KR102086868B1 -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68B1
KR102086868B1 KR1020140133549A KR20140133549A KR102086868B1 KR 102086868 B1 KR102086868 B1 KR 102086868B1 KR 1020140133549 A KR1020140133549 A KR 1020140133549A KR 20140133549 A KR20140133549 A KR 20140133549A KR 102086868 B1 KR102086868 B1 KR 10208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dule
film
capacitiv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860A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모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Touch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Module}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하는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여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종래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치모듈을 제작하는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복수의 터치부들을 터치모듈의 외부에 노출시켜 제작하는데(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65624호(2014년05월30일),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81560호(2013년07월17일)), 이와 같이 복수의 터치부들이 터치모듈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면,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터치부들의 기하학적 관계도 당연히 그대로 노출되어, 누구라도 이를 용이하게 복제 또는 도용하여 부정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부정 사용은 상기 터치모듈을 더 이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하는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적층되고,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비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손에 쥐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힘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힘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힘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순차적으로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수용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 및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켜 조립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매입하여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할 평판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삽입될 기둥부를 구비한 압인 구현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에 상기 압인 구현부의 기둥부를 삽입하고,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을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의 전도성 재질을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연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적층되고,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비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손에 쥐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압인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인력을 통해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압인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압인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순차적으로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방법은, 터치모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수용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 및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켜 조립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매입하여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할 평판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삽입될 기둥부를 구비한 제1 압인 구현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에 상기 압인 구현부의 기둥부를 삽입하고,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을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의 전도성 재질을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연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와,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를 부착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매입하여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터치막과, 상기 터치막을 고정하여 상기 매입판부를 통해 상기 터치막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와,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은, 상기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복수의 터치부와 압인 구현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도록 유지하는 스프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스프링부가 배치될 스프링 배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은, 손에 쥐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압인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면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매입홀에 전도성 금속재질이 매입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매입홀에 매입된 전도성 금속재질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은 0.2mm 이내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인 구현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인 구현부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인체에 의해 전달되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나 이상의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압인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압인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순차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방법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준비하고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삽입하여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을 통해 상기 터치막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과 지정된 두께의 기둥이 삽입될 가이드부를 구비한 하우징부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기둥부를 구비한 압인 구현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에 상기 압인 구현부의 기둥부를 삽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터치막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게 상기 터치막을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복수의 터치부와 압인 구현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도록 유지하는 스프링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스프링부가 배치될 스프링 배치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하우징부의 스프링 배치 공간에 상기 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압인 구현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복수의 터치부와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도록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 제작 방법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노출된 압인 구현부의 기둥부에 손에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터치부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대한 순차 터치, 시간차 터치, 동시 터치 등의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기밀성이 보장되는 터치모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의 구조와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통합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a 내지 도면1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100)의 구조와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a 내지 도면1d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와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터치막(110)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100)의 구조와 그 동작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a 내지 도면1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100)의 구조와 동작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a 내지 도면1d를 참조하면, 터치모듈(100)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130)와,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130)를 부착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에 매입하여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터치막(110)과, 상기 터치막(110)을 고정하여 상기 매입판부(130)를 통해 상기 터치막(110)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115)와,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부(115)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와 접촉하는 압인 구현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손에 쥐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압인 구현부(12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25)를 더 구비한다.
상기 터치부(105)는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105)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금속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이 난해하므로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전도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수축 및 복원 가능하지 않다면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105)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를 조합한 형태(예컨대, 제2 터치부 실시예의 금속성 재질에 제4 터치부 실시예의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한 재질을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에 제작된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터치되도록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 접촉면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면은 직경 3㎜ 내지 7㎜의 원형, 또는 상기 직경 3㎜ 내지 7㎜의 원 면적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지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 변화 유도 재질 중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인 구현부(120)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압인 구현부(120)가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접촉함에 따라 인체의 정전용량을 각 터치부(105)로 인가하는 경우,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에 순차적으로(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순차 터치(예컨대, 터치부(105) 별로 터치 순서가 정해진 터치) 또는 적어도 시간차 터치(예컨대, 복수의 터치부(105)가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 비동시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순차 터치는 각 터치부(105)의 터치 순서를 인증팩터로 이용 가능하므로 인증 가능한 경우의 수를 급격히 향상시키며, 순차 터치와 시간차 터치는 복수의 터치부(105)에 대한 터치율(예컨대, 복수의 터치부(105)가 모두 터치 인식 성공하는 비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터치막(1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다른 터치부(105)의 재질과 접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상기 압인 구현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입판부(13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막(110)의 반대영역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가 상기 매입홀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배치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매입판부(130)를 상기 터치막(110)의 반대영역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매입 고정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정밀하게 상기 터치막(110)에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입판부(130)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터치막(1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볼트 조립이나 걸쇠를 이용한 기구 조립을 통해 상기 터치막(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막(110)은 상기 터치부(105)를 구성하는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판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판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를 배치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빛 투과율의 측면에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1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불투명 재질’은 터치막(110)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0%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의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없는 빛 투과율까지 불투명 재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그 수치는 빛 투과율이 5% 미만인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2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0)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3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반투명 재질’은 터치막(110)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불투명의 범주에 속하지도 않고 투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빛 투과율을 지닌 재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4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0)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반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5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재질’은 터치막(110)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100%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빛 투과율이 95% 이상인 재질까지 투명 재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6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0)은 다른 일 측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7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 가변 재질’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되는 재질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투과율 가변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과율 가변 재질’이 상기 투과율 가변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하면 투과율이 가변되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8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0)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투과율 가변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8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상기 제1 내지 제8 투과율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막(110)의 실시예가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부(1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이나 특성을 지닌다면 어떠한 빛 투과율을 지니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전기적 전도성 측면에서 비전도성 재질, 전도성 재질, 전도성 재질과 비전도성 재질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1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상기 터치막(110)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터치막(110)은 0.2mm 이내의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터치막(110)의 두께가 0.2mm 이내에서는 비전도성 재질이라고 하더라도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성하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의 정전 변화를 99% 이상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하다. 다만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0)의 두께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또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전달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부(105)의 저항에 반비례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0)의 경우까지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2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막(110)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터치막(110)의 두께는 별도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더라도 정전 변화를 전달 가능하나, 1mm 이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3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비전도성 재질에 복수의 홀이 격자구조(또는 벌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터치막(110) 양면의 소정 영역(예컨대, 직경 2mm 내외)에 금속 재질이 도금되어 도금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제3 터치막 실시예에서 상기 도금홀을 통과하여 양면의 소정 영역에 도금되는 금속 재질이 상기 터치부(105)의 정전 변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금홀은 촘촘히(예컨대, 도금홀을 통과하여 양면에 도금된 영역 간 간격이 2mm 내외)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치막(110)이 도금홀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0)의 두께가 별도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나, 0.2mm 이내인 경우에 정전 변화의 전달율이 더욱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4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비전도성 재질의 판 내부에 전도성 재질(예컨대, 금속 재질)이 매입되어 전도층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을 판 또는 망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본 제4 터치막 실시예에서 터치막(110) 자체의 두께가 별도의 수치는 한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나, 상기 터치막(11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도층과 정전식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0.2mm 이내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층은 각 터치부(105)의 지정된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각 터치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5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전도성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막(110)의 실시예가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부(1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이나 특성을 지닌다면 어떠한 형태 또는 구성을 지니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하우징부(115)는 상기 터치막(110)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수용하는 내부의 공간을 구비하며,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을 이용하여 압인 구현부(120)(예컨대, 압인 구현부(120)의 기둥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115)는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복수의 터치부(105)의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일 측 방향(예컨대, 터치막(11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 면의 수직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부(115)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성하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이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압인 구현부(120)의 재질 자체가 전도성 재질이거나, 적어도 일 축 부분에 상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도성 재질이 도금/샌딩 처리된 형태 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압인 구현부(120)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인체에 의해 전달되는 압인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적 특징을 포함하거나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터치막(110)에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와 접촉하면서 해당 터치부(105)를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터치부(105)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상기 터치부(105)의 복원력에 의해 압인력이 가해지던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다르게 제작되고,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다르게 터치막(110)에 배치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압인 구현부(120)가 압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압인 구현부(120)는 상기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5)들과 순차적으로(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되고,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5) 중 높은 높이의 터치부(105)들을 순차적(또는 시간차를 두고) 수축시키면서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모든 터치부(105)와 모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25)는 손에 쥐어지게 형성된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도장 손잡이처럼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며, 만약 사람의 손으로 압인 구현부(120)에 직접 압인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성하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이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압인 구현부(120)도 상기 터치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25)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손잡이부(125)의 재질 자체가 전도성 재질이거나, 적어도 일 축 부분에 상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도성 재질이 도금/샌딩 처리된 형태 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압인 구현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터치부(105)의 전도성 재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a는 터치모듈(100)에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면1b 내지 도면1d는 압인력이 가해져 압인 구현부(120)가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5) 중 높은 높이의 터치부(105)와 접촉 및 수축하면서, 결과적으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110)에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복수의 터치부(105)와 모두 접촉해가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2a 내지 도면2e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 내지 도면2e는 상기 도면1a 내지 도면1d에 도시된 터치모듈(100)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a 내지 도면2e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a 내지 도면2e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a 내지 도면1d에 도시된 터치모듈(100)을 제작하기 위해,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를 준비하고,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0)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130)를 준비한다.
상기 터치부(105)는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의 재질 또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터치부(105)의 높이가 서로 다른 높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순차 터치(또는 시간차 터치)의 터치 특성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같은 높이로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터치막(110)은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막 실시예의 재질 또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부(115)에 고정 가능한 판 형태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입판부(13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매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막(110)의 반대영역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가 상기 매입홀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배치되도록 유도한다.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막(110)의 영역 중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130)를 부착하고, 상기 터치막(110)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130)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에 삽입하여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터치막(110)은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막(110)과 매입판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또는 볼트 조립이나 걸쇠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막(110)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과 지정된 두께의 기둥이 삽입될 가이드부를 구비한 하우징부(115)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기둥부를 구비한 압인 구현부(120)를 준비한다.
도면2d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5)의 가이드부에 상기 압인 구현부(120)의 기둥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복수의 터치부(105)와 상기 압인 구현부(120)가 접촉 가능하게 처리한다.
도면2e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b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터치막(110)(즉, 상기 매입판부(130)의 매입홀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터치막(110))을 상기 도면2d를 통해 제작된 하우징부(115)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터치막(110)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상기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게 상기 터치막(110)을 상기 하우징부(115)에 고정한다.
상기 터치막(110)과 하우징부(115)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볼트 조립되는 형태로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2e를 통해 제작된 터치모듈(100)의 구성 중 하우징부(115)의 외부에 노출된 압인 구현부(120)의 기둥부에 손에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125)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면1a 내지 도면1d에 도시된 형태의 터치모듈(100)을 제작할 수 있다.
100 : 터치모듈 105 : 터치부
110 : 터치막 115 : 하우징부
120 : 압인 구현부 125 : 손잡이부
130 : 매입판부

Claims (24)

  1.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통해 상기 터치막과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터치막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를 구비하는 터치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적층되고,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일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압인 구현부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비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손에 쥐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압인 구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힘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힘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평판영역과,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재질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힘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는,
    상기 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순차적으로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21. 터치모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2 단계;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수용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 및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켜 조립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모듈 제조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 관계와 매칭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매입하여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제조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할 평판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삽입될 기둥부를 구비한 압인 구현부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하우징부의 가이드부에 상기 압인 구현부의 기둥부를 삽입하고,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을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제조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 구현부의 전도성 재질을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연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 제조 방법.
KR1020140133549A 2014-10-02 2014-10-02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08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49A KR102086868B1 (ko) 2014-10-02 2014-10-02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49A KR102086868B1 (ko) 2014-10-02 2014-10-02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168A Division KR101507058B1 (ko) 2014-06-02 2014-06-09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60A KR20150141860A (ko) 2015-12-21
KR102086868B1 true KR102086868B1 (ko) 2020-03-10

Family

ID=5508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49A KR102086868B1 (ko) 2014-10-02 2014-10-02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978A (ko) * 2011-02-18 2012-08-28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60A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667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CN110506317A (zh) 触摸面板用按钮结构、触摸面板用按钮以及电子设备
JP7026036B2 (ja) マルチタッチ用タッチモジュール
JPWO2019230634A1 (ja) 感圧タッチセンサ及び感圧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KR102238931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086868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US20170070226A1 (en) Switch apparatus
KR102086869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086866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1507058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086867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086865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2326171B1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35885B1 (ko) 밀폐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884B1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1481477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50545B1 (ko) 적층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101481475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US10297706B2 (en) Conformal photoconductive switch package
KR102235890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모듈
KR102250546B1 (ko) 밀폐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101482660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35887B1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402968B1 (ko)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정전식 터치모듈
KR101660525B1 (ko)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정전식 터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