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67B1 -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 Google Patents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67B1
KR102086867B1 KR1020140133545A KR20140133545A KR102086867B1 KR 102086867 B1 KR102086867 B1 KR 102086867B1 KR 1020140133545 A KR1020140133545 A KR 1020140133545A KR 20140133545 A KR20140133545 A KR 20140133545A KR 102086867 B1 KR102086867 B1 KR 10208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region
area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548A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Touch Module for Multiple Order Touch}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여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종래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치모듈을 제작하는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복수의 터치부들을 터치모듈의 외부에 노출시켜 제작하는데(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65624호(2014년05월30일),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81560호(2013년07월17일)), 이와 같이 복수의 터치부들이 터치모듈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면,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터치부들의 기하학적 관계도 당연히 그대로 노출되어, 누구라도 이를 용이하게 복제 또는 도용하여 부정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부정 사용은 상기 터치모듈을 더 이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막 및 정전식 터치 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과, 상기 프레임부의 영역 중 상기 터치막을 마주보는 일측영역 중, 적어도 일 측의 영역 또는 양 측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을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 및 상기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이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프레임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과, 정전식 터치 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프레임부의 영역 중 상기 터치막을 마주보는 일측영역 중, 적어도 일 측의 영역 또는 양 측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을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상기 터치막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 및 상기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이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프레임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과,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과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마주보게 구비된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대영역은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반대영역과 마주보게 구비된 터치막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막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영역은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과,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프레임부의 일측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을 상기 제1 판영역에 대응하는 제2 판영역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대영역은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대영역은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대영역은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반대영역과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측영역은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측영역은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반대영역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측영역은 상기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를 상기 반대영역과 일측영역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어느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은 0.2mm 이내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제1 판영역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는 터치모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들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다중 터치되는 방식을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는 터치모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우선 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대한 안정된 터치율(예컨대, 복수의 터치부가 모두 터치 인식될 확률)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에 대한 제1 판영역 고정 및 제2 판영역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에 대한 제1 판영역 고정 및 제2 판영역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에 대한 제1 판영역 고정 및 제2 판영역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 간 관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통합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200)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0)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터치 점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시키는 터치모듈(200)에 복수의 터치부(100)를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하는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북수의 터치부(100)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터치모듈(200)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0)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과,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부(100)는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금속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이 난해하므로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2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전도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수축 및 복원 가능하지 않다면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2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100)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를 조합한 형태(예컨대, 제2 터치부 실시예의 금속성 재질에 제4 터치부 실시예의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한 재질을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에 제작된 터치부(10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터치되도록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 접촉면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100)의 접촉면은 직경 3㎜ 내지 7㎜의 원형, 또는 상기 직경 3㎜ 내지 7㎜의 원 면적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지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 시 상기 제1 판영역(105)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상호 간 비교 길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길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길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길거나 또는 짧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부(100) 간의 높이(또는 길이) 차이로 인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또는 비동시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 편의상 ‘높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순차 터치는 복수의 터치부(100)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기본 인증 대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각 터치부(100) 별 터치 순서를 추가 인증 대상으로 이용하는 정전식 터치이다. 순차 터치를 적용하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의 식별 가능한 경우의 수가 기대 값보다 적더라도 상기 순차 터치를 이용하여 식별 가능한 경우의 수를 급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시간차 터치(또는 비동시 터치)는 별도로 터치부(100) 별 터치 순서를 인식하지는 않으나, 복수의 터치부(100)들이 동시에 터치되는 않는 정전식 터치이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하나 또는 두개의 터치 점이 멀티 터치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터치율(=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을 모두 인식하는 확률)의 하락은 거의 없다. 그러나 3점 이상의 터치 점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에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서 정전 변화가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기종의 단말기(예컨대, 애플사의 iOS를 탑재한 기종)에서 터치율이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차 터치(또는 비동시 터치)를 적용하여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점의 수를 제어하면 터치율이 하락하지 않고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0)에 대한 터치 점들을 안정적으로 모두 인식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100)들 간의 높이 차에 해당하는 기준 값은 상기 터치부(100)들의 경도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100)들의 경도가 낮다면(예컨대, 쇼아 A 경도게 기준 30 미만) 상기 기준 값은 비교적 큰 값(예컨대, 4mm 이상)을 갖더라도 작은 압인력에서도 복수의 터치부(100)에 대하여 모두 유효하게 정전식 터치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터치부(100)들의 경도가 높다면(예컨대, 쇼아 A 경도게 기준 60 이상) 상기 기준 값은 작은 값(예컨대, 2mm 미만)을 가져야 작은 압인력에서도 복수의 터치부(100)에 대하여 모두 유효하게 정전식 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기준 값은 상기 터치부(100)들이 반복 수축 후 복원성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 값은 10만회 이상 반복 수축한 후에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또는 비동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높이 차가 유지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값은 적어도 1mm 이상의 값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판영역(105)은 터치모듈(20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를 배치 고정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모듈(200)의 구성 영역의 총칭으로서, 터치모듈(2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라도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된다면 그 영역을 제1 판영역(105)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영역(105)은 평판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곡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터치모듈(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평판구조의 영역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판영역(105)에 터치부(100)를 배치한다는 것은, 상기 터치모듈(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의 정전 변화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유도(또는 전달)되는 시점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유도(또는 전달)된 정전 변화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배치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터치부(100)를 고정한다는 것은, 상기 터치모듈(200)의 기울임 등에 의한 중력가속도 방향의 변화에 의해서도 상기 터치부(100)가 제1 판영역(105)에 배치된 터치부(100)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접착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매입홀을 구비한 배치판(도시생략)을 이용하여 상기 배치판의 매입홀에 상기 터치부(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판영역(110)은 터치모듈(200)의 구성 중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모듈(200)의 구성 영역의 총칭으로서, 터치모듈(2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이라도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면 그 영역을 제2 판영역(11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터치모듈(200) 내에서 상기 제1 판영역(105)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판영역(110)은 평판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곡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평판구조라고 하여 상기 제2 판영역(110)도 평판일 필요는 없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효율적인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또는 비동시 터치)를 위해 상기 제1 판영역(105)과 제2 판영역(110)의 판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제1 판영역(105)은 평판구조이고 제2 판영역(110)은 곡판구조를 지니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2 판영역(110)이 터치모듈(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평판구조의 영역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판영역(110)과 터치부(100)의 접촉 상태는, 상기 터치모듈(200)의 기울임 등에 의한 중력가속도 방향의 변화에 의해 제2 판영역(110)과 터치부(100)가 접촉하기도 하고 떨어질 수도 있으나 지정된 조건(예컨대, 중력가속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판영역(110) 아래에 터치부(100)가 있는 조건, 또는 중력가속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판영역(110) 위에 터치부(100)가 있는 조건 등)에서는 상기 제2 판영역(110)과 터치부(100)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판영역(110)과 터치부(100)의 접촉 상태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20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5)과,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부(100)를 수축시키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프레임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하우징부(2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막(115)은 상기 터치부(100)를 구성하는 상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판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판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일 측에 접촉영역(115a)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상기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 내지 후에 상기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에 복수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에 대응하는 복수의 터치 점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빛 투과율의 측면에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1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불투명 재질’은 터치막(115)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0%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0)의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없는 빛 투과율까지 불투명 재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그 수치는 빛 투과율이 5% 미만인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2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5)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3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반투명 재질’은 터치막(115)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불투명의 범주에 속하지도 않고 투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빛 투과율을 지닌 재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4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5)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반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5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재질’은 터치막(115)에 입사한 빛의 투과율이 100%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빛 투과율이 95% 이상인 재질까지 투명 재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6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5)은 다른 일 측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투명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7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 가변 재질’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되는 재질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투과율 가변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과율 가변 재질’이 상기 투과율 가변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하면 투과율이 가변되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8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적어도 일 측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막(115)은 다른 일 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의 층 또는 필름이 구비되거나, 또는 투과율 가변 재질이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8 투과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상기 제1 내지 제8 투과율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막(115)의 실시예가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부(100)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이나 특성을 지닌다면 어떠한 빛 투과율을 지니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전기적 전도성 측면에서 비전도성 재질, 전도성 재질, 전도성 재질과 비전도성 재질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1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상기 터치막(115)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터치막(115)은 0.2mm 이내의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터치막(115)의 두께가 0.2mm 이내에서는 비전도성 재질이라고 하더라도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복수의 터치부(100)를 구성하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의 정전 변화를 99% 이상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하다. 다만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5)의 두께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또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전달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부(100)의 저항에 반비례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5)의 경우까지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2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막(115)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터치막(115)의 두께는 별도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더라도 정전 변화를 전달 가능하나, 1mm 이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3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비전도성 재질에 복수의 홀이 격자구조(또는 벌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터치막(115) 양면의 소정 영역(예컨대, 직경 2mm 내외)에 금속 재질이 도금되어 도금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제3 터치막 실시예에서 상기 도금홀을 통과하여 양면의 소정 영역에 도금되는 금속 재질이 상기 터치부(100)의 정전 변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금홀은 촘촘히(예컨대, 도금홀을 통과하여 양면에 도금된 영역 간 간격이 2mm 내외)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치막(115)이 도금홀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두께가 별도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나, 0.2mm 이내인 경우에 정전 변화의 전달율이 더욱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4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비전도성 재질의 판 내부에 전도성 재질(예컨대, 금속 재질)이 매입되어 전도층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을 판 또는 망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본 제4 터치막 실시예에서 터치막(115) 자체의 두께가 별도의 수치는 한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나, 상기 터치막(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도층과 정전식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0.2mm 이내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층은 각 터치부(100)의 지정된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각 터치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막 재질의 제5 전도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상기 제1 내지 제4 전도성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막(115)의 실시예가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부(100)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이나 특성을 지닌다면 어떠한 형태 또는 구성을 지니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는 본 도면1의 (가), (나), (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1 판영역(105)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되고 제2 판영역(1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되고 제2 판영역(110)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우선 터치되는데, 상기 우선 터치에 의해 복수의 터치부(100)를 동시에 터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 변화의 분산을 막아 터치율(예컨대, 복수의 터치부(100)가 모두 터치 인식될 확률)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도면1의 (가)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게 구비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1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모두 배치 고정된다.
상기 제1 실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도면1의 (가)의 예시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반대영역(115b)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1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도면1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게 구비된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1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모두 배치 고정된다.
상기 제2 실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도면1의 (나)의 예시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1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도면1의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중 적어도 한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도면8의 (가) 참조).
도면1의 (다)에 따른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도면8의 (나) 참조).
도면1의 (다)에 따른 제3 실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도면8의 (다) 참조).
도면1의 (다)에 따른 제3 실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의 (다)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일부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고, 나머지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를 조합한 복수의 터치부(100)를 배치 위치를 평면에 투영(예컨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1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2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3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4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5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6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7 터치부 간 높이 관계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도면2는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100)에 대한 제1 판영역(105) 고정 및 제2 판영역(110)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의 (가)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근거로, 제1 판영역(105)에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제2 판영역(110)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부(100)의 고정/접촉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게 구비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모두 배치 고정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제1 판영역(105)에 해당하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복수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지정된 조건(예컨대, 중력가속도 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아래에 터치부(100)가 있는 조건)에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의 (가)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기반으로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서 터치모듈(200)의 필수 구성은 제1 판영역(105)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되고 제2 판영역(110)과 접촉하는 터치부(100)이고, 그 외에 구성은 터치모듈(200)을 실시하는 형태나 터치모듈(200)이 탑재되는 물건의 종류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또는 생략 가능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터치모듈(200)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0)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을 구비한 터치막(115)과, 상기 터치부(100)로 압인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한 프레임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하우징부(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에 복수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 측 부분에 터치막(115)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05)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실시예들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4는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의 (가)에 도시된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상기 도면3과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도면1의 (가)에 도시된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의 관계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도면3과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 전부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4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도면4의 (나)와 같이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지면, 도면4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된다.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부(100)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120)도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재질이 전도성 재질이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일 측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도금, 샌딩 처리)함으로써 압인력을 가하는 인체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도면3과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부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도면4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면4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져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또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먼저 접촉한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도면4의 (다)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접촉한 모든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도면4의 (가) 내지 (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도면5는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100)에 대한 제1 판영역(105) 고정 및 제2 판영역(110)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의 (나)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근거로, 제1 판영역(105)에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제2 판영역(110)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부(100)의 고정/접촉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게 구비된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모두 배치 고정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제1 판영역(105)에 해당하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복수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지정된 조건(예컨대, 중력가속도 방향을 기준으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위에 터치부(100)가 있는 조건)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105)(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6은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1의 (나)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기반으로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서 터치모듈(200)의 필수 구성은 제1 판영역(105)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되고 제2 판영역(110)과 접촉하는 터치부(100)이고, 그 외에 구성은 터치모듈(200)을 실시하는 형태나 터치모듈(200)이 탑재되는 물건의 종류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또는 생략 가능하다.
도면6을 참조하면, 터치모듈(200)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0)와, 상기 터치부(100)로 압인력을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을 구비한 프레임부(120)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한 터치막(115)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하우징부(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복수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 측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부(120)로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 측 부분에 터치막(115)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05)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실시예들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7은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1의 (나)에 도시된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상기 도면6과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도면1의 (나)에 도시된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의 관계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도면6과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 전부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7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도면7의 (나)와 같이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지면, 도면7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부(100)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120)도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재질이 전도성 재질이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일 측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도금, 샌딩 처리)함으로써 압인력을 가하는 인체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도면6과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부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도면7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부(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면7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져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먼저 접촉한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도면7의 (다)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한 모든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도면7의 (가) 내지 (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도면8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부(100)에 대한 제1 판영역(105) 고정 및 제2 판영역(110) 접촉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근거로, 제1 판영역(105)에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제2 판영역(110)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부(100)의 고정/접촉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판영역(105)은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판영역(110)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중 적어도 한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판영역(105)이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일부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고, 나머지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를 조합한 복수의 터치부(100)를 배치 위치를 평면에 투영(예컨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는 기 설계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본 도면8의 (가)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8의 (가)를 참조하면, 제1 판영역(105)에 해당하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됨과 동시에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또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또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8의 (나)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8의 (나)를 참조하면, 제1 판영역(105)에 해당하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됨과 동시에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또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8의 (다)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8의 (다)를 참조하면, 제1 판영역(105)에 해당하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됨과 동시에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을 포함하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판영역(110)이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후에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또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는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터치부(100) 관계를 기반으로 복수의 터치부(100)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둘 이상의 제1 판영역(105)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서 터치모듈(200)의 필수 구성은 제1 판영역(105)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되고 제2 판영역(110)과 접촉하는 터치부(100)이고, 그 외에 구성은 터치모듈(200)을 실시하는 형태나 터치모듈(200)이 탑재되는 물건의 종류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또는 생략 가능하다.
도면9를 참조하면, 터치모듈(200)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0)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막(115)과, 상기 터치부(100)로 압인력을 전달하는 프레임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하우징부(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a)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될 복수의 터치부(100)에 포함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거나, 및/또는 다른 제1 판영역(105)(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양측영역 중 접촉영역(115a)의 반대영역(115b)과 마주보는 일측영역(120a)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될 복수의 터치부(100) 중에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는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거나, 및/또는 다른 제1 판영역(105)(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될 복수의 터치부(100) 중 일부의 터치부(100)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제1 판영역(105)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된다. 만약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될 복수의 터치부(100) 중 나머지 터치부(100)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제1 판영역(105)과 마주보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된다. 즉,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중 어느 영역을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하고 어느 영역을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할 지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판영역(110)으로도 이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상기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의 조합)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의 조합)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복수의 터치부(10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0)를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제1 판영역(105)에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하는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일부의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나머지 터치부(100)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상기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일정 간격 이상 떨어져있다가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 측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의 조합)는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 측 부분에 터치막(115)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막(115)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05)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5)는 상기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투과율 가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 측에 투과율 가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실시예들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0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모듈(200)의 동작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서로 다른 높이의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을 구비하여 상기 도면9와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200)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3 실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의 관계를 기반으로 도면8의 (가)와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 전부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도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도면10의 (나)와 같이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지면, 도면10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어 있는 일부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도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된다.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를 조합한 복수의 터치부(100)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120)도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재질이 전도성 재질이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일 측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도금, 샌딩 처리)함으로써 압인력을 가하는 인체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부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면10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져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또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접촉하게 되거나 및/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먼저 전기적으로 접촉한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도면10의 (다)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됨은 물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모든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도면10의 (가) 내지 (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제3 실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의 관계를 기반으로 도면8의 (나)와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 전부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도면10의 (나)와 같이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지면, 도면10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어 있는 일부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도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된다.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를 조합한 복수의 터치부(100)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120)도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재질이 전도성 재질이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일 측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도금, 샌딩 처리)함으로써 압인력을 가하는 인체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부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반면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는 하지만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지는 못하는 상태이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부(예컨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상기 프레임부(1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면10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져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또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접촉하게 되거나 및/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먼저 전기적으로 접촉한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도면10의 (다)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됨은 물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모든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도면10의 (가) 내지 (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제3 실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면1의 (다)에 도시된 터치부(100)와 제1 판영역(105) 및 제2 판영역(110)의 관계를 기반으로 도면8의 (다)와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은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 전부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상기 터치모듈(200)에 구비된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도면10의 (나)와 같이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지면, 도면10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어 있는 일부의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되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도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와 순차적 또는 시간차를 두고 접촉하게 된다.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나머지 터치부(100)를 조합한 복수의 터치부(100)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120)도 전도성 재질을 포함(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재질이 전도성 재질이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일 측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도금, 샌딩 처리)함으로써 압인력을 가하는 인체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도면9와 같이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부터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반면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는 압인력을 가할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지는 못하는 상태이다.
만약 상기 터치막(115)의 접촉영역(115a)을 도면10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부(예컨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면10의 (나)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가해져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또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접촉하게 되거나 및/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또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다른 터치부(100)보다 높은 터치부(100))와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먼저 전기적으로 접촉한 터치부(100)부터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도면10의 (다)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20)에 압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이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됨은 물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이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0) 중 낮은 높이의 터치부(100)와도 접촉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막(115)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과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모든 터치부(100)들이 정전식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도면10의 (가) 내지 (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순차 터치 또는 시간차 터치가 발생하게 된다.
도면11은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0) 간 관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1의 (다)와 같이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제1 판영역(105)으로 이용 가능하고,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1 판영역(105)과 제2 판영역(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0)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북수의 터치부(100)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일부의 터치부(100)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0) 중 나머지 터치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은 모두(또는 선택적으로) 제1 판영역(105)과 제2 판영역(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기준으로 터치부(100)의 관계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터치부(10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과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을 제1 판영역(105) 또는 제2 판영역(110)이라고 하더라도 무방하다.
도면11의 (가)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가)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가)에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된 터치부(A)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와 같은 높이지만,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는 다른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도면11의 (나)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나)에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된 터치부(B)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는 같은 높이지만,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와 다른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도면11의 (다)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다)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다)에서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배치된 터치부(C)는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도 높이가 다르고,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나머지 터치부(100)와도 다른 높이로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도면11의 (라)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라)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라)에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된 터치부(D)는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와 같은 높이지만,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는 다른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도면11의 (마)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마)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마)에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된 터치부(E)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된 다른 터치부(100)와는 같은 높이지만,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된 일부의 터치부(100)와 다른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도면11의 (바)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되는 나머지 터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0)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와 상기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 중 어느 한 터치부(100)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은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11의 (바)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의 (바)에서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배치된 터치부(F)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100)와도 높이가 다르고, 터치막(115)의 반대영역(115b)에 구비되는 일부의 터치부(100)와도 다른 높이로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영역(120a) 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100 : 터치부 105 : 제1 판영역
110 : 제2 판영역 115 : 터치막
115a : 접촉영역 115b : 반대영역
120 : 프레임부 120a : 일측영역
300 : 터치모듈 305 : 하우징부

Claims (34)

  1.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와 다른 높이로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 및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을 구비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막; 및
    정전식 터치 시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 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반대영역과, 상기 프레임부의 영역 중 상기 터치막을 마주보는 일측영역 중, 적어도 일 측의 영역 또는 양 측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을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터치부를 수축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터치부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터치막의 반대영역과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마주보는 프레임부의 일측영역 및 상기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을 마주보는 터치막의 반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이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하는 제1 판영역이면서 동시에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판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영역은,
    상기 터치막의 접촉영역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중 내지 후에 상기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판영역에 배치 고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부 중 다른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낮게 배치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29.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의 높이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와 상기 터치막의 반대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보다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높거나 또는 낮게 배치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3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막은,
    금속성 재질이 양면 도금된 복수의 도금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와 프레임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32. 삭제
  33. 삭제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0140133545A 2014-10-02 2014-10-02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08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45A KR102086867B1 (ko) 2014-10-02 2014-10-02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45A KR102086867B1 (ko) 2014-10-02 2014-10-02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95A Division KR101481477B1 (ko) 2014-06-02 2014-06-05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548A KR20150140548A (ko) 2015-12-16
KR102086867B1 true KR102086867B1 (ko) 2020-03-10

Family

ID=5508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45A KR102086867B1 (ko) 2014-10-02 2014-10-02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978A (ko) * 2011-02-18 2012-08-28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548A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1800B (zh) 具有同时感测和致动的触觉显示屏
CN105930001B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1482667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JP7026036B2 (ja) マルチタッチ用タッチモジュール
CN109739382A (zh) 触控装置和显示设备
US20130104323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2086866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086867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38931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086865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1481477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US20130120006A1 (en) Film sensor
KR102086868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263311B1 (ko) 진동 촉각 터치 스크린
KR102235884B1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1481475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WO2019079952A1 (zh) 一种防静电的触控液晶显示模组和电子设备
KR102086869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2250545B1 (ko) 적층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102235890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모듈
KR101507058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1482660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35885B1 (ko) 밀폐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887B1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50546B1 (ko) 밀폐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