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00B1 -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 Google Patents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00B1
KR102086800B1 KR1020190061185A KR20190061185A KR102086800B1 KR 102086800 B1 KR102086800 B1 KR 102086800B1 KR 1020190061185 A KR1020190061185 A KR 1020190061185A KR 20190061185 A KR20190061185 A KR 20190061185A KR 102086800 B1 KR102086800 B1 KR 10208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input terminal
wire
photocouple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중
Original Assignee
김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중 filed Critical 김일중
Priority to KR102019006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Abstract

본 발명은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과 동시에 실시간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기존 변압기의 반응시간보다 단축되어 효율적인 서보 드라이브의 보호가 가능하며, 전압 보호 및 전선 연결보호 기능이 구비되어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Digital transformer}
본 발명은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과 동시에 실시간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기존 변압기의 반응시간보다 단축되어 효율적인 서보 드라이브의 보호가 가능하며, 전압 보호 및 전선 연결보호 기능이 구비되어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서보모터는 자동화 제어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서보모터 드라이버는 대다수 3상 200V 혹은 220V AC를 사용하고 있다. 전력망 전압 매칭을 위해, 서보모터 드라이버에 전자변압기를 설치해야 하는 데, 종래의 전자변압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전자변압기는 출력부하가 과도하게 크거나 입력전압이 과도하게 높으면, 출력 차단이 불가하고, 내부가 고온으로 파괴되거나 입력전압이 너무 높아 정류관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력에 결상 혹은 오결선이 발생할 경우에도 출력 차단이 불가하여, 전자변압기 내부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나, 실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 공개특허공보 제2005-0064551호(2005.6.29.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안전하며, 과부하보호기능, 과전압보호기능, 결상 보호기능 및 오결선 보호기능이 구비되며, 소형화된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R상 입력단, S상 입력단, T상 입력단, N상 입력단을 포함하는 3상 4선 입력단(10);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3상 3선 출력단(12);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단상 2선 출력단(14)을 포함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은 단상 2선 출력단(14)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가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는 스위칭 릴레이(SR1)가 연결되며,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는 단상 2선 출력단(14)에 병렬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제1 트랜지스터(T1), 제1 포토커플러(PC1), 제3 포토커플러(PC3), 및 제4 포토커플러(PC4)를 포함하는 제1 보호모듈; 제1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와 직렬 연결되는 온도 제어기(ST1)(42)를 포함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는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는 S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수광부(32)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며,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S상 입력단과 R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4 포토커플러(PC4)의 수광부(3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 및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 제2 제너 다이오드(ZD2) 및 제5 제너 다이오드(ZD5)에 각각 직렬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T상 입력단은 다이오드와 제2 보호모듈에 연결되고, 제2 보호모듈은 제2 포토커플러(PC2)와 제4 제너다이오드(ZD4)를 포함하며, 제4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은 포토커플러 스위치의 발광부(38)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포토커플러(PC2)의 발광부(38)의 타측단은 R상 입력단과 S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4 제너다이오드(ZD4)의 양극은 다이오드를 통해 T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작동과 동시에 실시간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기존 변압기의 반응시간보다 단축되어 효율적인 서보 드라이브의 보호가 가능하며, 전압 보호 및 전선 연결보호 기능이 구비되어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 보호 기능이 구비되어 공급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서보 드라이브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으로 작동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R,S,T,N 입력단 중 임의의 한 선의 연결이 유실되었을 때 자동으로 출력을 제한하도록 하여 디지털 변압기에 연결되는 서보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선과 접지선을 자동 분별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연결선을 잘못 연결하여 작동할 경우 자동으로 식별되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출력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출력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출력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출력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는 R상 입력단, S상 입력단, T상 입력단, N상 입력단을 포함하는 3상 4선 입력단(10),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3상 3선 출력단(12),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단상 2선 출력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3상 4선 입력단(10)의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은 단상 2선 출력단(14)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는 첫 번째 릴레이(16)가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는 두 번째 릴레이가(18) 직렬연결되고, 첫 번째 릴레이(16)의 제어기(20,22)는 단상 2선 출력단(14)에 병렬연결된다.
여기서, 첫 번째 릴레이(16)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를 뜻하고, 두 번째 릴레이는 스위칭릴레이(SR1)를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는 제1 보호모듈과 온도제어기(ST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보호모듈은 제1 트랜지스터(T1), 제1 포토커플러(PC1), 제3 포토커플러(PC3), 및 제4 포토커플러(PC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 번째 릴레이(18)인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와 온도 제어기(ST1)(42)는 모두 제1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와 직렬 연결된다.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는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는 S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수광부(32)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S상 입력단과 R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4 포토커플러(PC4)의 수광부(3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 및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첫 번째 제너다이오드에 직렬연결된다.
여기서, 첫 번째 제너다이오드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 제2 제너 다이오드(ZD2) 및 제5 제너 다이오드(ZD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상 3선 출력단은 3상 단방향 출력이 가능하고, 특히, T상 입력단, R상 입력단 및 S상 입력단은 모두 활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N상 입력단은 중성선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은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에 직렬 연결되며, 제2 제너 다이오드(ZD2)는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에 직렬 연결되고, 제5 제너 다이오드(ZD5)는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에 직렬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1) 과부하기능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의 출력단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미리 설정된 정격 출력파워를 초과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온도제어기(ST1)(42)가 자동으로 오프상태가 되며,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를 차단하여,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 접점이 개방상태가 되고,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의 전기가 차단되게 되면,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와 제2 파워릴레이(PR2)의 접점이 개방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3상 3선 출력단(12)과 단상 2선 출력단(14)의 출력를 차단시켜 과부하로 인한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2) 과전압보호기능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는 공급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범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서보 드라이브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전압이 적정 범위를 유지하지 못하여 서보 드라이브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기존에 서보 드라이브의 파손 원인 중 공급 전압으로 인한 비율이 5~10% 정도임을 감안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변압기는 적정한 전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서보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변압기(100)는 360~420V의 전압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활선상태의 T상 입력단과 중성선인 N상 입력단 사이의 입력전압이 너무 높고, 기 설정된 입력전압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1 제너 다이오드(ZD1)가 도통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에 전류가 흐르면서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에 신호를 보내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는 신호를 받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차단되고,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가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의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어,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 (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단상 2선 출력단(14)과 3상 3선 출력단(12)의 출력을 차단시켜 과전압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3) 결상기능(R상, S상, T상 중 어느 한 상이 들어오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는 입력전선 R,S,T,N 중 임의의 한 선의 연결이 유실되었을 때 자동으로 출력을 제한하도록 하여 서브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활선상태의 T상 입력단에 결상이 발생할 경우,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며, 3상 3선 출력단(12)의 출력을 차단시켜 결상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활선상태의 R상 입력단 혹은 S상 입력단에 결상이 발생할 경우,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에 전류 흐름이 사라지며 신호 발생이 불가하고, 제4 포토커플러(PC4)의 수광부(36)가 응답하지 않게 되며, 제1 트랜지스터(T1)이 차단되고,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도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어,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의 전류가 차단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3상 3선 출력단(12)의 출력이 차단되고, 결상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4) 오결선 보호기능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100)는 입력선과 접지선을 자동 분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연결선을 잘못 연결하여 작동시킬 경우, 자동으로 이를 식별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활선상태의 T상 입력단과 중성선 N상 입력단이 반대로 연결되면, 제1 제너 다이오드(ZD1)가 도통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에 전류가 흐르면서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에 신호를 보내며,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는 신호를 받은 후 도통되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차단되며,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도 차단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어, 제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제어기(22)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3상 3선 출력단(12)의 출력이 차단되고, 오결선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활선상태의 R상 입력단 혹은 S상 입력단이 중성선 N상이 반대로 연결되면, 제2 제너 다이오드(ZD2)가 도통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에 전류가 흐르면서 제3 포토커플러(PC3)의 수광부(32)에 신호를 보내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수광부(32)는 신호를 받은 후 도통되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차단되며,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도 차단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며,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재2 파워릴레이 제어기(22)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3상 3선 출력단의 출력이 차단되고, 오결선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T상 입력단에는 다이오드와 제2 보호모듈이 연결되어 있다. 제2 보호모듈은 포토커플러 스위치와 두 번째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토커플러 스위치는 제2 포토커플러(PC2)를 뜻하고, 두 번째 제너 다이오드는 제4 제너 다이오드(ZD4)를 뜻한다.
두 번째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은 포토커플러 스위치의 발광부(38)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포토커플러 스위치의 발광부(38)의 타측단은 모두 R상 입력단과 S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두 번째 제너 다이오드의 양극은 다이오드를 통해 T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장시간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외부 전압이 다이오드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파괴가 발생하고, 변압기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T상 입력단의 다이오드가 파괴될 때, 제4 제너 다이오드(ZD4)가 도통되고, 제2 포토커플러(PC2)의 발광부(38)에 전류가 흐르면서 제2 포토커플러(PC2)의 수광부(40)에 신호를 보내고, 제2 포토커플러(PC2)의 수광부(40)는 신호를 받은 후 도통되며, 제1 트랜지스터(T1)이 차단되고, 스위칭 릴레이 제어기(24)도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 있는 스위칭 릴레이(SR1)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고,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며,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 있는 제1 파워릴레이(PR1) 및 제2 파워릴레이(PR2)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고, 3상 3선 출력단(12)의 출력이 차단되며, 보호가 가능하다.
즉, R상 입력단과 S상 입력단에는 각각 다이오드와 공기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있고, R상 입력단의 다이오드 음극은 S상 입력단의 다이오드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한 개가 파괴되고, R상 입력단과 S상 입력단 연결에 쇼트가 발생하며, 디지털 변압기에 연결된 공기스위치가 트립되어 전류가 차단하게 되어 보호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에는 로터리 방식의 가변저항(R4)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즉, 로터리 방식의 가변저항(R4)을 조절하여 입력전압의 정상작동 전압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3상 3선 출력단이 2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3상 양방향 출력이 가능하게 되고, 그 중, 제2 실시예에서 도시된 3상 출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출력의 원리 및 효과와 일치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외부로부터 내부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80)와 케이스(80)를 덮는 커버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는 조정 장치로 입력전압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조정장치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입력전압이 낮아지고, 조정장치를 타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입력전압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3상 4선 입력단 12 - 3상 3선 출력단
14 - 단상 2선 출력단

Claims (3)

  1. R상 입력단, S상 입력단, T상 입력단, N상 입력단을 포함하는 3상 4선 입력
    단(10);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3상 3선 출력단(12);
    3상 4선 입력단(10)에 연결되는 단상 2선 출력단(14)
    을 포함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은 단상 2선 출력단(14)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3상 3선 출력단(12) 사이에는 제1 파워릴레이(PR1)및 제2 파워릴레이(PR2)가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과 단상 2선 출력단(14) 사이에는 스위칭 릴레이(SR1)가 연결되며, 제1 파워릴레이 제어기(20)와 제2 파워릴레이 제어기(22)는 단상 2선 출력단(14)에 병렬연결되는 것
    을 포함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R상 입력단은 제1 파워릴레이(PR1)를 경유하여 3상 3선 출력단(12)의 L3에 연결되거나, 제1 파워릴레이(PR1)의 후방에서 분기되어 3상 3선 출력단(12)의 L1에 연결되거나, 제2 파워릴레이(PR2)를 경유하여 3상 3선 출력단(12)의 L2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S상 입력단은 제1 파워릴레이(PR1)를 경유하여 3상 3선 출력단(12)의 L3에 연결되거나, 제1 파워릴레이(PR1)의 후방에서 분기되어 3상 3선 출력단(12)의 L1에 연결되거나, 제2 파워릴레이(PR2)를 경유하여 3상 3선 출력단(12)의 L2에 연결되거나, S상 입력단의 초입에서 분기되어 단상 2선 출력단(14)의 L1C 또는 L2C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T상 입력단은 제2 파워릴레이(PR2)를 경유하여 3상 3선 출력단(12)의 L2에 연결되거나, 제2 파워릴레이(PR2)의 후방에서 분기되어 3상 3선 출력단(12)의 L1 또는 L3에 연결되거나, T상 입력단의 초입에서 분기되어 스위칭 릴레이(SR1)를 경유하여 단상 2선 출력단(14)의 L1C 또는 L2C에 연결되고,
    3상 4선 입력단(10)의 N상 입력단은 단상 2선 출력단(14)의 L1C 또는 L2C에 연결되거나 N상 입력단의 초입에서 분기되어 3상 3선 출력단(12)의 L1 또는 L2 또는 L3에 연결되는 것
    을 포함하는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트랜지스터(T1), 제1 포토커플러(PC1), 제3 포토커플러(PC3), 및 제4 포토커플러(PC4)를 포함하는 제1 보호모듈;
    제1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와 직렬 연결되는 온도 제어기(ST1)(42)
    를 포함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는 T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1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28)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는 S상 입력단과 N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포토커플러(PC3)의 수광부(32)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며,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S상 입력단과 R상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4 포토커플러(PC4)의 수광부(3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및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26), 제3 포토커플러(PC3)의 발광부(30), 및 제4 포토커플러(PC4)의 발광부(34)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 제2 제너 다이오드(ZD2) 및 제5 제너 다이오드(ZD5)에 각각 직렬연결되는 것
    을 포함하는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T상 입력단은 다이오드와 제2 보호모듈에 연결되고,
    제2 보호모듈은 제2 포토커플러(PC2)와 제4 제너다이오드(ZD4)를 포함하며,
    제4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은 포토커플러 스위치의 발광부(38)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포토커플러(PC2)의 발광부(38)의 타측단은 R상 입력단과 S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4 제너다이오드(ZD4)의 양극은 다이오드를 통해 T상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포함하는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KR1020190061185A 2019-05-24 2019-05-24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KR10208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85A KR102086800B1 (ko) 2019-05-24 2019-05-24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85A KR102086800B1 (ko) 2019-05-24 2019-05-24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00B1 true KR102086800B1 (ko) 2020-03-09

Family

ID=6980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85A KR102086800B1 (ko) 2019-05-24 2019-05-24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848A (ko) * 1997-07-15 1999-02-25 가나이 쯔도무 인버터 장치
KR20050064551A (ko) * 2003-12-24 2005-06-29 이성호 복권형 3상 4선 변압기
KR20120086973A (ko) * 2011-01-27 2012-08-06 (주)메가일렉트릭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모터 제어반/자동제어반 및 중성선 대체방법
JP2014124062A (ja) * 2012-12-21 2014-07-03 Tsubaki E&M Co 過負荷検知装置及び過負荷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848A (ko) * 1997-07-15 1999-02-25 가나이 쯔도무 인버터 장치
KR20050064551A (ko) * 2003-12-24 2005-06-29 이성호 복권형 3상 4선 변압기
KR20120086973A (ko) * 2011-01-27 2012-08-06 (주)메가일렉트릭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모터 제어반/자동제어반 및 중성선 대체방법
JP2014124062A (ja) * 2012-12-21 2014-07-03 Tsubaki E&M Co 過負荷検知装置及び過負荷検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6725B2 (en) Method of providing a secondary means of overload protection and leakage current protection in applications using solid state power controllers
KR101421564B1 (ko) 예상 밖 동작 방지 기능이 있는 누전 검출 장치
US4580186A (en) Grounding and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s
US20020085326A1 (en) Circuit breaker with display function
US3944891A (en) Circuit for verifying correct connections to a three-wire dual 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the absence of open circuit conditions therein
EP0483164B1 (en) A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EP1701424B1 (en) Combined device of electric protection at low voltage against transient and extended over-voltage with automatic reconnection
KR102086800B1 (ko) 3상 복권식 디지털 변압기
EP1439623A2 (en) Auto-reset leakage current circuit breaker
KR100648132B1 (ko) 엔상 결상식 과전압 보호 차단기
US20070109696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JPH11299082A (ja) 過電圧保護機能付き漏電遮断装置
KR101522955B1 (ko) 결상 보호 차단기
JP2004266894A (ja) 3相4線式欠相保護付き回路遮断器
KR20190096634A (ko) 모터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기 제어반
CN110649563B (zh) 一种直流供电保护装置及其方法
CN109980458B (zh) 一种控制电路及变压器插座
JP3449172B2 (ja) 3相4線中性線欠相検出装置及び回路遮断器
JP2783313B2 (ja) 異常電圧保護付き低圧開閉装置
CN106802632A (zh) 基于可控硅的分体模块式驱动控制器
KR102414095B1 (ko) 비정상 접속시 차단 기능을 갖는 3상 4선식 스마트 누전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KR20010003354A (ko) 전원공급장치의 고전압 입력 차단장치
CN2165557Y (zh) 多功能电机保护器
US20240044998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interruption device for power cord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appliances
CN217882816U (zh) 电源线漏电检测保护装置、电连接设备和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