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46B1 -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46B1
KR102086446B1 KR1020190001992A KR20190001992A KR102086446B1 KR 102086446 B1 KR102086446 B1 KR 102086446B1 KR 1020190001992 A KR1020190001992 A KR 1020190001992A KR 20190001992 A KR20190001992 A KR 20190001992A KR 102086446 B1 KR102086446 B1 KR 10208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r
plug
terminal
pow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우
최유리
김정은
서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텍
주식회사 모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텍, 주식회사 모비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텍
Priority to KR102019000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IoT-based control method of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which can cut the power supply when a user does not use any object driven by power supply and can supply power when the user uses the object in order to prevent power loss. To this end, the control method comprises: an identification step of coupling a plug to an outlet to apply power to an object, recognizing the plug for a terminal, and registering a switcher attach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object to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on/off opera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witcher to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a transmission step of inputting an on/off command to the application,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plug through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on/off command from the plug to the switcher; and a state information reporting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driv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witcher, and transmitting, by the switcher,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Control method of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본 명세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별 객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사물인터넷은 단어의 뜻 그대로 ‘사물들(things)’이 ‘서로 연결된(Internet)’ 것 혹은 ‘사물들로 구성된 인터넷’을 말한다. 기존의 인터넷이 컴퓨터나 무선 인터넷이 가능했던 휴대전화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사물인터넷은 책상, 자동차, 가방, 나무, 애완견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연결되어 구성된 인터넷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ternet of Things refers to providing new services that tangible or intangible objects in the worl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which individual objects could not provide. The word 'Internet of Things' literally means 'things' as 'internet' or 'internet of things'. Unlike the existing Internet, which is composed of computers or wireless mobile phone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ternet of Things is a Internet composed of all things in the world connected such as desks, cars, bags, trees, and dogs.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들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Many technologi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1983호는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사물에 설치되어 사물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며, E164에 따른 전화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사물통신단말; 및 사물통신단말로부터 사물의 식별정보와 사물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물의 상태별로 대응 서비스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별 판단정책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물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서비스를 선택하고, 사물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와 사물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물/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물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번호로 호(call)를 자동 생성하여 선택된 대응 서비스를 수행하는 연동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1983 is installed in the th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phone network interworking system, is installed in the thing to collect and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thing, the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E164 is not assigned IoT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ng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thing from the IoT terminal, referring to the state-specific decision policy database in which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stored for each state of the thing,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th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ng is extracted by referring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where the th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a call is made to the subscriber's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t includes an interworking service server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erforms the selected corresponding service.

상기의 종래기술은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물통신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사물통신망과 인터넷전화망 연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사물통신단말이 차량인 경우 차량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할 수 있다.The prior ar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IoT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et phone network interworking system that can create various IoT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an existing telephone network, an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in the vehicle when the IoT terminal is a vehicle, Ev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number can be automatically sent to the registered subscriber's telephone number.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물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들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oes not describe technologies for cutting off unnecessary power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h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thing in various way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198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1983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반대로 사물을 사용할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prevent power loss, when the user does not use any object driven by the power supply, the power is cut off, and in contrast, when using the object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supply.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들을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allows a user to control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operated by a power supply through a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대상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키고 단말기에 플러그를 인식시키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된 스위처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식별단계;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플러그 및 스위처 간의 ON/OFF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어플리케이션에 ON/OFF 명령을 입력하고 단말기를 통해 플러그에 전달하며 플러그에서 스위처로 ON/OFF 명령을 전달하는 송신단계; 및, 전원부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스위처로 전달하며 스위처가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보고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outlet in order to apply power to the object, recognizes the plug in the terminal and attach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object An identific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switcher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ON / OFF operation between a plug and a switcher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 transmission step of inputting an ON / OFF command to the application, transmitting the ON / OFF command from the plug to the switcher through the terminal; And a status information reporting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to the switche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y the switch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별단계에서 플러그는, 스위처와 동일하게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identification step, the plug may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witch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플러그와 단말기 간의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플러그의 제어가 가능하고, 플러그와 단말기의 거리가 거리 값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플러그가 대상물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OFF)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tting step may control the plug within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by setting a range of distance value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in adv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may be out of the distance value range. In this case, the plug may be set to block (OFF) the supply of power applied to the objec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어플리케이션에 스위처가 작동될 모형의 패턴이 설치되고 어플리케이션과 스위처를 연결시켜 모형의 패턴을 테스트하는 설정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t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checking step of installing a pattern of a model to operate the switcher in the application and connecting the switcher to the application to test the pattern of the model.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단말기가 플러그와 스위처 및 대상물을 개별제어 또는 전체제어 할 수 있는 선택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t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the terminal to individually control or totally control the plug, the switcher, and the objec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정단계는, 플러그와, 스위처의 ON/OFF 기능을 미리 설정해 놓는 사전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t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preset step of presetting an ON / OFF function of the plug and the switcher.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는, 단말기와 플러그를 서로 연결하여 플러그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1 설정단계; 플러그의 상태가 ON으로 위치되면 플러그가 스위처로 ON 명령을 지시하여 스위처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2 설정단계; 및, 스위치의 상태가 ON이 되면 대상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tting step for operating the object, the first setting step of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plug to each other to turn on the state of the plug; A second setting step of turning on the state of the switcher by instructing the switch to turn on the state of the switch when the state of the plug is turned on; And a third setting step of supplying power to an object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is turned 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 설정단계에 앞서 스위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어 전원부를 작동시키는 전원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the switcher may further include a power pin that is elev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to operate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 설정단계에 앞서 스위처는, 광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the switcher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and a sound sensor.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는, 단말기와 스위처를 서로 연결하여 단말기가 스위처에 OFF 명령을 전달하는 제1 해제단계; 스위처의 상태가 OFF으로 위치되면 스위처가 플러그에 OFF 명령을 전달하는 제2 해제단계; 및, 플러그의 상태가 OFF가 되면 대상물에 전원을 차단하는 제3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t step for releasing the object may include: a first releasing step of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switcher to each other to transmit an OFF command to the switcher; A second releasing step of the switcher transferring an OFF command to the plug when the state of the switcher is located OFF; And a third setting step of shutting off power to the object when the plug is turned off.

본 명세서는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반대로 사물을 사용할 경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power loss, when the user does not use any thing driven by the power supply, the power is cut off, and conversely, when the thing is used, the power can be supplied.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물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control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terminal.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플러그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스위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tting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for operating an object in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for releasing an object in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8 to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g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witcher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출원인은 자신의 기술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applicant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technology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s,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is technolog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대상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키고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를 인식시키며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된 스위처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식별단계(S10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간의 ON/OFF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200);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ON/OFF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러그에 전달하며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스위처로 ON/OFF 명령을 전달하는 송신단계(S300); 및, 상기 전원부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스위처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처가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보고단계(S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s coupled to the plug to the outlet to apply power to the object, recognizes the plug to the terminal and attach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object An identification step (S100) of registering the switcher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ON / OFF opera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witcher i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S200); A step (S300) of inputting an ON / OFF command to the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ON / OFF command from the plug to the switcher through the terminal; And a state information reporting step (S400)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to the switcher, and the switch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단말기가 각각 서로 연결되도록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단말기가 서로 연동하기 위해, 허브(Hub)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 that the plug, the switcher and the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by wireless or wired. In addition, the network may include a hub device for the plug, the switcher and the terminal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며 콘센트에 결합되고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g and the switcher may be arranged to selectively supply the power to an object which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is installed therein, coupled to the outlet and operated by the power source.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스위처와 동일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도 있다.In the identification step S100, the plug may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witcher.

상기 식별단계(S100)는 최초의 단계로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키기 위해, 우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ON하고, 이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를 구동시킨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는 블루투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통신거리가 약 10m 이내 이므로 상기 플러그에 상기 블루투스가 장착될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약 10m 이외로 벗어나면, 통신이 끊기게 되고, 이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대상물로 상기 전원의 인가를 해제할 수도 있다. The identification step S100 is an initial step. In order to connect the plug and the switcher to the terminal, first, the plug and the switcher are turned on, and the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is driven. The terminal detects a signal propagated by the plug and the switcher and connects the signal with the application to connect the terminal to the plug and the switcher. Here, the plug may be connected by Bluetooth. Since the Bluetooth has a communication distance of about 10 m or less, when the Bluetooth is mounted on the plug, if the Bluetooth is out of the range of about 10 m,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Then, the plug releases the power to the object. It may be.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처와 인식 및 등록 단계를 마치게 되면 이어서, 상기 설정단계(S200)로 이동된다.In the identification step (S100), when the terminal has completed the recognition and registration steps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gs and at least one switcher, the terminal is moved to the setting step (S200).

상기 식별단계(S100)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되는데, 이때, 무분별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는 고유의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식별번호의 입력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의 식별번호는 제품의 설명서 또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 기재되어 있거나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identification step (S100),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switcher,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indiscriminately connecting, the plug and the switcher is stored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he input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switche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lug and the switcher may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or the plug and the switcher or may be engraved.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상기 대상물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동되는 것 일 수도 있다.The objec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may be link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tting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 설정단계(S200)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 간의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의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대상물로 인가되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OFF)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로 연결되고 상기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게 되면 상기 플러그는 자동 OFF가 되어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처에게도 OFF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스위처는 이를 수행한다.The setting step (S200) is to control the plug within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by setting a range of the distance value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in adv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is the distance When it is out of the range of the value is set so that the plug can be turned off (OFF) the suppl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object. Here,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Bluetooth and the Bluetooth connection is disconnected, the plu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object any mor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s no longer supplied to the object, the OFF comm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switcher, and the switcher performs this.

상기 설정단계(S200)는 설정 확인 단계(S210)와, 선택제어단계(S220) 및 사전 설정단계(S230)를 포함하고,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채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The setting step (S200) includes a setting checking step (S210), a selection control step (S220), and a preset setting step (S230), and may adopt and execute at least one or more of these methods.

상기 설정 확인 단계(S2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가 작동될 모형의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켜 상기 모형의 패턴을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 상기 단말기 내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나고, 이어서, 상기 플러그의 연결 상태와 상기 스위처의 연결 상태 및 구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모형의 패턴은 상기 스위처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고, 적어도 1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tting check step (S210), a pattern of a model for operating the switcher is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and the switcher may be connected to test the pattern of the model. When the application is driven,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terminal, and t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lu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er, and the driving state are set. The pattern of the model shown in the application may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witcher,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phere.

상기 선택제어단계(S220)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대상물을 개별제어 또는 전체제어 할 수도 있다.The selection control step S220 may individually control or totally control the plug, the switcher, and the object.

상기 개별제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대상물들 중 사용자가 구동시키고 싶은 상기 대상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개별제어는 상기 대상물들 중 사용자가 특정하는 상기 대상물을 구동시키기 위해, 그와 연결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가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하는 상기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장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자동 또는 이미 저장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의 구동으로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individual control is for operat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the plug, at least one switcher connected to the plug, and at least one of the objects that the user wants to drive among at least one of the objects. The individual control may drive the plug and the switcher connected thereto to drive the object specified by the user among the objects. To this end, the application may store the object specified by the user. Thus, when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xecut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operate the object by driving the plug and the switcher automatically or already stored.

상기 개별제어는 상기 사용자가 구동하고 싶은 상기 대상물을 미리 선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플러그를 ON 시키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스위처를 ON 시켜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한다.The individual control preselects the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drive, and to implement this, first, the plug is turned on using the terminal, and the plug turns on the switcher to supply the power to the object. .

상기 전체제어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전체적으로 ON 또는 OFF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overall control is formed so as to turn on or off the plug and the switch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s a whole.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의 ON/OFF 기능을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다.The preset step (S230) is to set the ON / OFF function of the plug and the switcher in advance.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에 대해서는 도 3을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preset step S2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0)는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S231)와, 상기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S232)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et step S230 includes a preset step S231 for operating the object and a preset step S232 for releasing the object.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for operating an object in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1)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플러그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플러그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1 설정단계(S231a)와,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N으로 위치되면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2 설정단계(S231b) 및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ON이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설정단계(S231c)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et step (S231) for operating the object is a first setting step (S231a) to turn on the state of the plug by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plug with each other, and the state of the plug And a second setting step (S231b) of turning on the state of the switch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 third setting step (S231c) of supplying the power to the object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is turned on.

상기 제1 설정단계(S231a)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플러그에 연결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상기 플러그의 ON/OFF 상태를 ON으로 설정한다.In the first setting step S231a,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is driven to connect to the plug,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plug preset in the application is set to ON.

상기 제2 설정단계에 앞서 상기 스위처는, 광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the switcher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and a sound sensor.

상기 광 센서(미도시)는 상기 전원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 중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면, 상기 전원부 중 빛이 발산되는 인근 또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상기 대상물의 품목마다 다를 수 있다.) 상기 대상물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광 센서가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빛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스위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했을 경우에 상기 작동수단을 재가동시키거나, 이에 대한 보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not shown) is most preferably formed on the surface attached to the object of the housing, the neighborhood or the poin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source in order to sen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unit is driven (it may be different for each item of the object), the light sensor collects light emitted from the object, and determines th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light, thereby determining malfunction of the object. have. In addition, as the optical sensor is coupled to the switcher, when the malfunc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the operating means may be restarted or a report thereof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미도시)는 상기 대상물에서 전달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사운드 센서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not shown) detects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object, and detects a malfunction of the object. When a malfunc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the sound sensor may transmit to the user at least one of a length of a signal sound, a height of a signal sound, regular or irregular signal sounds, and music.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는 상기 오작동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스위처는 재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detects the malfunction and based on this, the switcher may be restarted.

상기 제2 설정단계(S231b)는 상기 플러그에 ON이 설정되고 이어서, 상기 스위처는 ON 상태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처는 상기 플러그와 연동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의 ON/OFF의 상태에 따라, 서로 통신하여 동시동작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etting step S231b, ON is set to the plug, and then the switcher is set to the ON state. Here, the switcher may be interlocked with the plug, and may be simultaneously operat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plug.

상기 제3 설정단계(S231c)는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ON이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대상물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들 중 일부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수단이 장착된 것 일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의 작동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the third setting step S231c,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is O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object, and then the object may be operated. Some of the objects may be equipped with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whereby the terminal may detect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bject.

상기 제2 설정단계(S231b)에 앞서, 상기 스위처는 내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LED 또는 알람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S231b, the switcher may be mounted with at least one of at least two LEDs of different colors or a speaker equipped with an alarm function.

상기 스위처에 상기 LED가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스위처의 작동여부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발산할 수 있다.When the LED is mounted on the switcher, the color may diverg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er is operated.

상기 스위처에 상기 스피커가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스위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전달되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speaker is mounted on the switcher, the speaker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a length of a sign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a height of a signal sound, regular or irregular signal sounds, and music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er is operated. .

또한, 상기 스위처에 기능을 부가하자면, 상기 스위처의 작동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는 지에 대해, 상기 스위처가 상기 단말기나 불빛 또는 소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에 형성된 버튼을 통해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길이나, 상기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그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add a function to the switcher, the switcher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the light or the sound as to whether the switcher is fully operated. To set this, the setting may be possible through a button formed on the switch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time the button is pressed or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the function may be set or released.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for releasing an object in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S232)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스위처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처의 상태를 OFF로 하는 제1 해제단계(S232a)와, 상기 스위처의 상태가 OFF로 위치되면 상기 플러그의 상태를 OFF로 하는 제2 해제단계(S232b) 및,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FF가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차단하난 제3 설정단계(S232c)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preset step (S232) for releasing the object is a first release step (S232a) to turn off the state of the switcher by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switcher with each other, and the state of the switcher When the position of the plug is OFF may include a second release step (S232b) of turning off the plug, and when the plug is turned off, the third setting step (S232c) of the power is cut off to the object.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사전 설정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step of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플러그에 ON/OFF를 명령하고, 상기 플러그는 이에 의해 ON/OFF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처에 ON/OFF를 명령한다. 상기 스위처의 ON/OFF에 의해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전원부가 작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이 인가된다.As shown, the IoT 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mands the terminal and the plug ON / OFF, and the plug is thereby ON / OFF and at the same time commands the switcher ON / OFF.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object is operated by ON / OFF of the switcher, whereby the power is applied to the object.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외에도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대상물과도 연동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상태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받아볼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be linked with the switcher and the object in addition to the plug, the state information about them can be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he switcher and the object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또한, 상기 스위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대상물이 올바르게 작동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에 빛이 발산하는 패턴 또는 소리를 등록시킨다. 이후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키고 상기 플러그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 후 ON을 선택하여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콘센트나 상기 전원부로 상기 전원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스위처로 ON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스위처는 ON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처가 정상적으로 ON이 되었다면 그에 해당하는 불빛이 발산 또는 신호음이 들리게 된다. 허나, 이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상기 스위처는 이상 신호음 또는 그와 관련된 불빛을 발산하고 상기 플러그가 다시 상기 스위처에 ON에 대한 신호를 명령하며 상기 스위처는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object is operating correctly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er, the lighter emits a pattern or sound. Thereafter,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check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plug, and selects ON so that the plug can receive the power from the outlet. Subsequently,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plug, the power is moved from the plug to an outlet formed in the object or the power unit. At this time, when the switch transmits an ON command to the switcher, the switcher is switched to ON, and when the switcher is normally turned on, a corresponding light is emitted or a beep sound is heard. However, if there is a problem in this process, the switcher emits an abnormal tone or a light associated therewith, the plug again instructs the switcher to signal ON, and the switcher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이와 반대로, 상기 대상물을 OFF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에 OFF 명령을 전달하고, 이어서, 상기 스위처가 OFF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도 OFF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위처는 OFF 되는 신호음 또는 불빛을 발산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대상물이 OFF 되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스위처 OFF의 명령신호로 자동으로 전달된다.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의 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turn off the object, an OFF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witcher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then the switcher is turned OFF and the plug is turned OFF. In this process, the switcher emits a tone or light that is turned off. However, if the plug or the object is not turned OFF in this process,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mmand signal of the switcher OFF again. If there is no problem, the application may check the OFF state of the plug and the switcher.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를 컨트롤 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일들에 대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TV나 인덕션, 전기밥솥, 에어컨, 난로 등 ON/OFF 여부의 확인이 필요할 때, 외부에서 컨트롤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기억장애가 있을 경우에도, 화재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재산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plug and the switcher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reby reducing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work to be done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N / OFF status of TV, induction, rice cooker, air conditioner, stove, etc., it can be controlled from the outside, and even if there is a memory disorder of the user, the property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fire or disaster. It has an effect.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플러그(110)와, 스위처(120) 및 단말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power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herein includes a plug 110, a switcher 120 and a terminal 130, the plug 110, the switcher It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140 connecting the 120 and the terminal 130 to each other.

상기 네트워크(140)는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가 각각 서로 연결되도록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40)는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가 서로 연동하기 위해, 허브(Hub)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lug 110, the switcher 120, and the terminal 130 are wirelessly or wi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network 140 may include a hub device in order for the plug 110, the switcher 120, and the terminal 130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플러그(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통신이 가능한 후술할 송수신부(도 3 참조:112c)가 내부에 설치되며 콘센트에 결합되고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g 1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the communication unit (see FIG. 3: 112c)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herein and selectively supplied to the power to the object coupled to the outlet and operated by the power source It is arranged to.

상기 스위처(120)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후술할 송수신기(도 5 참조:123)가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되어 상기 플러그(110)의 ON/OFF 명령에 의해 작동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킨다.The switcher 120 has a transceiver (refer to FIG. 5) 123 installed inside to enable commun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112c and attached to a power supply of the object to turn on / off the plug 110. It is operated by and drives the power supply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에어컨, TV, 세탁기, 건조기, 전기밥솥, 청소기, 공기청정기에 형성된 전원부 외에도 조명스위치, 멀티탭에 설치된 스위치와 같이, 온(ON)과 오프(OFF)의 기능을 갖는 모든 스위치에 해당된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to all the switches having functions of ON and OFF, such as a switch installed in the light switch, the power strip, in addition to the power unit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TV, washing machine, dryer, electric rice cooker, vacuum cleaner, air purifier. Yes.

상기 단말기(130)는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110)와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110)를 제어한다. The terminal 130 controls the plug 110 within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by setting a range of distance values that are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112c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plug 110.

또한, 상기 플러그(110) 및 상기 스위치(120)는 각각 서로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플러그(110) 및 상기 스위처(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단말기(130)로 상기 상태 정보를 송수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g 110 and the switch 120 transmit and receive statu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g 110 and the switcher 120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30. Sending and receiving is possible.

상기 플러그(110)와, 상기 스위처(120) 및 상기 단말기(130)간 유기적인 연결구조 및 이에 의해 도출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An organi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lug 110, the switcher 120, and the terminal 130, and the effects derived therefrom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도 8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플러그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8 to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g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 도 8의 (b)를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110)는 단자(111) 및, 전원제어기(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B, the plug 110 includes a terminal 111 and a power controller 112.

상기 단자(111)는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고 110V 또는 220V 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콘센트에 따라, 3상 4선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may be formed at 110V or 220V, and may also be formed in a three-phase four-wire type according to the outlet.

상기 전원제어기(112)는 상기 단자(111)에 연장되고 상기 도 2의 (b)를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110)는 단자(111) 및, 전원제어기(112)를 포함한다.The power controller 112 extends to the terminal 111 and with reference to FIG. 2B, the plug 110 includes a terminal 111 and a power controller 112.

상기 단자(111)는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고 110V 또는 220V 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콘센트에 따라, 3상 4선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may be formed at 110V or 220V, and may also be formed in a three-phase four-wire type according to the outlet.

상기 전원제어기(112)는 상기 단자(111)에 연장되고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단말기(130)에 의해 상기 전원이 상기 단자(111)에서 상기 대상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The power controller 112 extends to the terminal 111 and a part of the object is inserted to supply the power to the object, and the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terminal 111 to the object by the terminal 130. It is arranged to be selectively supplied.

상기 도 8의 (a)를 참고하여, 상기 전원제어기(112)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이 상기 단자(11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일부 즉,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1)가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111)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12-2)이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방지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시에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기 이물질방지커버로 밀어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전원제어기(112)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1)가 형성된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플러그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걸림고리(112-3)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ler 112 receives a portion of the object, that is, the power to receive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111. The space part 112-1 may be formed therein to insert the power plug formed on the object. In addition, at least two holes 112-2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controller 112 in which the space 112-1 is formed to receive the power from the terminal 111. This can be formed. A foreign matter prevention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controller 112 in which the at least two holes 112-2 are form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power controller 112. The power plug is pushed into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cover so that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the power controller 112. In addition, a hook ring 112-3 provided to prevent the power plug from being separ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power controller 112 in which the space 112-1 is formed.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전원제어기(112)는 상기 단자(111)에 연장되는 바디부(112a)와, 상기 바디부(112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부(112b)와, 상기 배터리부(112b)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130)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2c)와,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13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 공급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송수신부(112c)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기(112)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부(112d) 및,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112d)의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물로 상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비된 스위치부(112e)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ower controller 112 includes a body portion 112a extending to the terminal 111, a battery portion 112b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12a and charged with the power. And a power source unit 112c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112b and transmitting / receiving with the terminal 130 and a signal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unit 112c and received from the terminal 130. A processing unit 112d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and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controller 112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2c, and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to the objec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processing unit 112d. It may include a switch unit 112e provided to apply power.

상기 배터리부(112b)는 상기 단자(111)에서 전달된 상기 전원을 저장하여 일시적인 정전이나 상기 단자(111)가 상기 콘센트에 꼽혀있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대상물에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12b may stor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1 to supply the power to the object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a temporary power failure or the terminal 111 is not plugged into the outlet. .

상기 송수신부(112c)는 상기 단말기(130)와 서로 연결되도록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통신사업자, 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단말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만약, 상기 전원제어기(112)가 블루투스(Bluetooth)로 설정되어 구비된다면, 상기 플러그(110)는 상기 단말기(130)와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의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이 차단된다면, 상기 플러그(110)는 자동으로 상기 스위처(120)에게 OFF 명령을 내리게 되고,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The transceiver 112c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30 by using a specific frequency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30 or by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Wifi, and Bluetooth. The Bluetooth refers to a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standar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y connecting mobile devices to each other. It is mainly used when a low power wireless connection is needed at a very short distance of about 10 meters. If the power controller 112 is set to Bluetooth, the plug 110 may block the supply of the power when the distance from the terminal 130 is out of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 If the power is cut off, the plug 110 automatically gives the switcher 120 an OFF command and stops supplying the power to the object.

상기 처리부(112d)는 상기 플러그(11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단말기에서 전달된 신호 즉, 상기 플러그(110)의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명령은 ON/OFF 신호를 말한다. 상기 처리부(112d)는 상기 배터리부(112b)에 저장된 상기 전원의 전력량, 상기 송수신부(112c)와 상기 단말기간 연결되는 신호의 강도, 후술할 상기 스위치부(112e)의 작동여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12d detec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g 110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perform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at is, a control command of the plug 110. Play a role. Herein, the control command refers to an ON / OFF signal. The processor 112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of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12b, the strength of a signal connected between the transceiver 112c and the terminal, and whether the switch 112e to be described below is operated to the terminal. You can also send.

상기 스위치부(112e)는 상기 콘센트와 상기 대상물과의 연결을 차폐하고, 상기 스위치부(112e)는 상기 바디부(112a)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대상물에 수동적으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ush/Pull 되는 수동스위치(도 2 참조:1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part 112e shield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object, and the switch part 112e partially protrudes out of the body part 112a and pushes to supply the power passively to the object. / Pull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switch (see FIG. 2: 112a).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플러그(110)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140)를 통해 상기 단말기(130)와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130)에서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대상물에게 상기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the plug 110 may transmit / receive with the terminal 130 through the network 140 and perform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30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to the object.

도 11 및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중 스위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witcher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스위처(120)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전원부에 커버되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122)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부(112c)에 연결되는 상기 송수신기(123)와, 상기 송수신기(123)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플러그(110)에서 전달된 ON/OFF 명령을 판단하여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124) 및, 상기 제어기(124)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전원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수단(125)을 포함한다.11 and 12, the switcher 120 includes a housing 121 cover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object, a battery 122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21 and charged with the power; , The transceiver 123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transceiver 112c and the ON / OFF command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123 and sensing the driv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ted from the plug 110.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ler 124 for driv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perating means 125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24 and transmits a drive signal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하우징(121)과 상기 전원부는 벨크로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전원부의 외측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121)의 외주면에도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의 갈고리의 형상을 갖는 벨크로(120b)가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121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upled by Velcro. To this end, a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plurality of hook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nonwoven fabric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21. Velcro (120b) having a can be coupled.

상기 배터리(122)는 상기 전원을 저장하여 일시적인 정전에 사용이 가능하다.The battery 122 stores the power and can be used for a temporary power failure.

상기 송수신기(12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30)와 서로 연결되도록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통신사업자, 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송수신부(112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때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123)는 상기 단말기(13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기(124)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스위처(120)의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ceiver 123 uses a specific frequency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30, or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Wifi, and Bluetooth, and the transceiver 112c. Can be connected. In some cases, the transceiver 123 may be linked with the terminal 130 to transmit state information of the switcher 120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4.

상기 제어기(124)는 상기 플러그(11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기(124)는 상기 배터리(122)의 전력량과, 상기 송수신기(123)와 상기 단말기(130)간 통신의 신호 강도 및 상기 전원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130)로 송신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24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plug 110 and drives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he controller 124 may transmit the power amount of the battery 122,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ceiver 123 and the terminal 130,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terminal 130.

상기 작동수단(125)은 상기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는 전원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핀은 상기 제어기(124)의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전원 핀(125)은 상기 전원부와 대응되게 적어도 1 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tuating means 125 may include a power pin that is lif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to the outside. The power pin is actu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24. The power pin 125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sphere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스위처(120)는 상기 전원부에 대향되어 상기 하우징(121)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처(12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2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20a)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LED 또는 알람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er 1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20a fac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disposed in the housing 121 to check whether the switcher 120 is operated. Here, the display unit 120a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LEDs having at least two different colors or a speaker equipped with an alarm function.

상기 표시부(120a)에 상기 LED가 배치된다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a)에 상기 스피커가 설치된다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전달되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알 수 있다.If the LED is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120a, the color ma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is operated. In addition, if the speaker is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120a,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sign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the height of the signal sound, regular or irregular signal sounds, and music,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is operated. It can be seen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through the operation.

또한, 상기 작동수단(125)은 광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ans 125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and a sound sensor.

상기 광 센서(미도시)는 상기 전원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21) 중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면, 상기 전원부 중 상기 빛이 발산되는 인근 또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가 구동될 경우(상기 대상물의 품목마다 다를 수 있다.) 상기 대상물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광 센서가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빛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124)가 판단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4)가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했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수단(125)을 재가동시키거나, 이에 대한 보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not shown) is most preferably formed on the surface attached to the object of the housing 121, in the vicinity or a point where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power source to sen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unit is driven (it may be different for each item of the object), the light sensor col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bject, and the controller 124 determines th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light, and the object You can determine the malfunction of the system. When the controller 124 detects a malfunction of the object, the controller 124 may restart the operation means 125 or transmit a report thereof to the terminal.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미도시)는 상기 대상물에서 전달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대상물의 오작동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사운드 센서는 신호음의 길이, 신호음의 높낮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신호음들 및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not shown) detects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object, and detects a malfunction of the object. When a malfunc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the sound sensor may transmit to the user at least one of a length of a signal sound, a height of a signal sound, regular or irregular signal sounds, and music.

또한, 상기 사운드 센서가 상기 오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기(124)에 의해 상기 스위처(120)는 재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detects the malfunction and the switcher 120 may be restarted by the controller 124.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기술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technology,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re provid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0: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
110:플러그 111:단자
111a:지지부 111b:삽입부
112-1:공간부 112-2:홀
112-3:걸림고리 112:전원제어기
112a:수동스위치 112a-1:바디부
112b:배터리부 112c:송수신부
112d:처리부 112e:스위치부
120:스위처 120a:표시부
120b:벨크로 121:하우징
122:배터리 123:송수신기
124:제어기 125:작동수단
130:단말기
100: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110: plug 111: terminal
111a: support portion 111b: insertion portion
112-1: Space part 112-2: Hall
112-3: Hook 112: Power controller
112a: Manual switch 112a-1: Body part
112b: Battery unit 112c: Transmitter and receiver
112d: processing section 112e: switch section
120: switcher 120a: display unit
120b: Velcro 121: housing
122: battery 123: transceiver
124: controller 125: operating means
130: terminal

Claims (10)

대상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키고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를 인식시키며 상기 대상물의 전원부에 부착된 스위처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식별단계;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 간의 ON/OFF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ON/OFF 명령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러그에 상기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스위처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송신단계; 및,
상기 전원부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스위처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처가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보고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단계에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스위처와 동일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를 ON하고,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를 구동시키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서 전파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시키며,
상기 식별단계에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에는 고유의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식별번호의 입력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처와 연결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 간의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값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거리 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플러그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거리 값 범위 외로 벗어나게 될 경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대상물로 인가되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OFF)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위처가 작동될 모형의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위처를 연결시켜 상기 모형의 패턴을 테스트하는 설정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확인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 상기 단말기 내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나고, 상기 플러그의 연결 상태와 상기 스위처의 연결 상태 및 구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설정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모형의 패턴은 상기 스위처의 형상과 유사하고, 적어도 1구 이상으로 형성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An identification step of coupling a plug to an outlet for applying power to an object, recognizing the plug on a terminal, and registering a switcher attached to a power unit of the object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ON / OFF opera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witcher i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 transmission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on an ON / OFF command to the application,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to the plug through the terminal, and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from the plug to the switcher; And,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to the switcher, and the state information repor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y the switcher;
Including,
The plug in the identification step,
The same as the switcher can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In the identifying step, the plug and the switcher are turned on to connect the plug and the switcher to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is driven, and the terminal senses a signal propagated by the plug and the switcher and the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switcher by interworking a signal with the application,
In the identification step,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stored in the plug and the switcher,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switcher through the input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The setting step,
When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is set in advance, the control of the plug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the distance value,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g and the terminal is out of the distance value range, The plug is set to block (OFF) the suppl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object,
And a setting checking step of installing a pattern of a model on which the switcher is to be operated in the application, and connecting the application and the switcher to test the pattern of the model.
When the application is driven in the setting checking step,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lug and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switcher are set to be visible. A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which is similar in shape to the switcher and is formed of at least one b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 및 상기 대상물을 개별제어 또는 전체제어 할 수 있는 선택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ing step,
And a selective control step of allowing the terminal to individually control or totally control the plug, the switcher, and the o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처의 ON/OFF 기능을 미리 설정해 놓는 사전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ing step,
And a preset step of presetting the plug and the switcher's ON / OFF function in advan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플러그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플러그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1 설정단계;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N으로 위치되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스위처로 ON 명령을 지시하여 상기 스위처의 상태를 ON으로 하는 제2 설정단계; 및,
상기 스위처의 상태가 ON이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설정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eset step for operating the object,
A first setting step of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plug to each other to turn on the state of the plug;
A second setting step in which the plug instructs the switcher to turn on the state of the switcher when the state of the plug is turned on; And,
A third setting step of supplying the power to the object when the state of the switcher is turned on;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단계에 앞서 상기 스위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강되어 상기 전원부를 작동시키는 전원 핀을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the switcher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urther including a power pin for lifting the power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단계에 앞서 상기 스위처는,
광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Prior to the second setting step, the switcher is,
Control method of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sensor and a sound sens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해제시키기 위한 상기 사전 설정단계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스위처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위처에 OFF 명령을 전달하는 제1 해제단계;
상기 스위처의 상태가 OFF으로 위치되면 상기 스위처가 상기 플러그에 OFF 명령을 전달하는 제2 해제단계; 및,
상기 플러그의 상태가 OFF가 되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제3 설정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eset step for releasing the object,
A first releasing step of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switcher to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 transmits an OFF command to the switcher;
A second releas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switcher, an OFF command to the plug when the state of the switcher is set to OFF; And,
A third setting step of shutting off the power to the object when the plug is turned off;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KR1020190001992A 2019-01-07 2019-01-07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KR102086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92A KR102086446B1 (en) 2019-01-07 2019-01-07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92A KR102086446B1 (en) 2019-01-07 2019-01-07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46B1 true KR102086446B1 (en) 2020-03-09

Family

ID=6980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92A KR102086446B1 (en) 2019-01-07 2019-01-07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4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08A (en) * 2011-07-29 2013-0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ystem for wirelessly controllng standby-power using smart device
KR20130091983A (en)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휴디콤 Interfacing network of m2m network and voip network
KR101389897B1 (en)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KR20160003517A (en) * 2014-07-01 2016-01-1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Smart plug and socket, and smart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for using the same
KR101657281B1 (en)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Remote Control System of Light Switch
KR101705009B1 (en) * 2016-03-11 2017-02-13 (주)커누스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oT devic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08A (en) * 2011-07-29 2013-0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ystem for wirelessly controllng standby-power using smart device
KR20130091983A (en) 2012-02-09 2013-08-20 주식회사 휴디콤 Interfacing network of m2m network and voip network
KR101389897B1 (en)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Multi tab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terminal
KR20160003517A (en) * 2014-07-01 2016-01-1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Smart plug and socket, and smart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for using the same
KR101657281B1 (en)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Remote Control System of Light Switch
KR101705009B1 (en) * 2016-03-11 2017-02-13 (주)커누스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oT device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99B1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f IoT
EP2685793B1 (en)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69933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CN102855744A (en) Infrared household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smartphone
CN111490915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voice
US11343115B2 (en) Connecting a domestic appliance to a remote control
JP4727926B2 (en) Remote-controllable vibrator
CN104885572A (en) Method of assigning lighting devices to a group
US20190181649A1 (en) Smart powering and pai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CN103026781A (en) Multi-mode communications system
TWI822835B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086446B1 (en)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JP2014155030A (en) Light emitting module for specific radio signal
CN103186115A (en) Networkable remote home intelligent control switch and intelligent realization method
CN103312381B (en) The method of wireless device pairing
EP2309467A2 (en) Security device
KR20150123676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677131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US9786160B2 (en) Interior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77078B1 (en) Electric device with pairing function between mobile device easily and pairing method thereof
US20120023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te transition of a load controller device
KR102034094B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registrating lighting at a display unit of lighting controlling system
JP38951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master st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CN107465964B (en) The communication means and device of talkback system
JP4288474B2 (en) Slave unit that transmits meter reading data to the mast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