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301B1 -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 Google Patents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301B1
KR102086301B1 KR1020190134132A KR20190134132A KR102086301B1 KR 102086301 B1 KR102086301 B1 KR 102086301B1 KR 1020190134132 A KR1020190134132 A KR 1020190134132A KR 20190134132 A KR20190134132 A KR 20190134132A KR 102086301 B1 KR102086301 B1 KR 10208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hair
groove
seat plat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연
Original Assignee
이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연 filed Critical 이승연
Priority to KR102019013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 운동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양측방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 가능한 거치부와, 좌판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각 거치부는 좌판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잘려나간 구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회동 가이드부재와, 일단에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회동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에 고정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며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재가 결합되는 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CHAIR HAVING FUNCTION OF EXERCISE FOR THE OLD AND INFIRM}
본 발명은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 운동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는 신체 기능의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 및 근력의 저하로 근감소증(Sarcopenia)을 겪는다.
근감소증은 일상생활 활동에 장애를 유발하여 노인들의 독립적인 생활을 제한하고, 낙상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동의 불안함으로 경제활동을 위축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의 QOL(Quality of life)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감소증 예방이 필요하다.
근감소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통해 근력을 유지 및 증대시켜야 하는데, 기존의 운동 기구는 많은 공간을 점유하여 가정 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인테리어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가 개발되었으나, 외부로 돌출되는 운동부재로 인해, 인테리어를 해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취할 수 있는 자세가 한정되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테리어를 해치지 않으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122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테리어를 해치지 않으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양측방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 가능한 거치부와, 좌판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각 거치부는 좌판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잘려나간 구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회동 가이드부재와, 일단에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회동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에 고정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며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재가 결합되는 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팔 받침부재는 손잡이부재가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회동 가이드부재에 고정된 채 상지 근력에 의해 회동 가능한 것을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 가이드부재는 회동구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1몸체와, 제1몸체 및 회동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상면에 팔 받침부재가 상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한 양측면에 팔 받침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홈은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부재는 고정홈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고정홈으로부터 인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약자용 의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체 운동부를 더 포함하며, 하체 운동부는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있는 이동부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차단부재와, 이동부재에 축결합되는 운동부재를 포함하고, 이동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운동부재는 차단부재와 좌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차단부재에 의해 가로막혀 축회동이 제한되고, 이동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운동부재는 차단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지 근력에 의해 축회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거치부는 팔 받침부재에 형성된 함몰홈에 결합되며, 손잡이부재를 고정홈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푸시부를 더 포함하며, 푸시부는 함몰홈에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된 제1내측공간을 가지며, 샤프트 및 걸림고리가 내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재와, 일단이 개구된 제2내측공간을 가지며, 타단이 손잡이부재와 결합되고, 제2내측공간과 제1내측공간이 대항하여 배치되어 하우징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제2내측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샤프트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홈이 함몰 형성되며, 걸림고리가 걸림 가능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래치부재와, 슬라이딩부재와 하우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재를 하우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손잡이부재에 가해지는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고리가 걸림홈에 걸리게 되거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걸림고리가 걸림홈에 걸리게 된 경우, 손잡이부재는 고정홈에 인입된 상태이고, 걸림고리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손잡이부재는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운동기구로 이용되거나, 휴식을 취하는 의자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운동 기능을 제공하는 팔 받침부재 및 하체 운동부는 필요에 따라 회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거동 및 휴식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거치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하체 운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팔 받침부재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의 팔 받침부재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1)의 사시도이다.
노약자용 의자(1)는 좌판부(10), 거치부(20) 및 등받이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하체 운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판부(10)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판 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좌판부(10)는 목재, 세라믹 및 플라스틱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0)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거나, 상지 근력 운동을 유도하는 구성요소로서, 좌판부(10)의 양방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거치부(20)는 좌판부(1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0)는 좌판부(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거치부(20)의 하부에 좌판부(10)가 결합되는 경우, 노약자용 의자(1)는 좌식 의자일 수 있으며, 거치부(20)의 중앙부 또는 상부에 좌판부(10)가 결합되는 경우, 노약자용 의자(1)는 입식 의자일 수 있다.
등받이부(3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좌판부(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30)는 단순한 판 형태이거나, 중공이 형성된 베이스판(31)에 굴곡진 띠 형태의 보강판(32)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하체 운동부(40)는 하지 근력 운동을 유도하는 구성요소로서, 좌판부(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체 운동부(40)의 일부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좌판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거치부(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부(20)는 베이스부재(21), 회동 가이드부재(22), 팔 받침부재(23), 회동구(24), 연결부재(25) 및 손잡이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1)는 좌판부(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좌판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재(21)는 좌판부(1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판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재(21)는 사각 기둥 형상의 제1프레임(211), 제1프레임(211)의 일단에서 소정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며 좌판부(10)와 결합되는 제2프레임(212) 및 제1프레임(211)의 타단에서 소정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며 좌판부(10)와 결합되는 제3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재(21)는 노약자용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프레임(212)은 제1프레임(211)의 상면에서 이어진 경사면에 손잡이부재(26)가 인입되는 고정홈(212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2121)은 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손잡이부재(26)는 개방된 측면을 통해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회동 가이드부재(22)는 회동구(24)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1프레임(2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가 잘려나간 구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은 회동구(24)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팔 받침부재(23)는 제1프레임(211)과 평행하게 제1프레임(2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일단에 회동구(24)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에 손잡이부재(26)결합될 수 있다.
회동구(24)는 팔 받침부재(23)와 연결부재(25)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팔 받침부재(23)가 회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회동구(24)는 MC나일론(Mono Cast Nyl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5)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팔 받침부재(23)의 하면에 결합되고, 일부는 팔 받침부재(23)의 일단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구(24)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재(26)는 팔 받침부재(23)를 이용한 상체 운동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21)에 형성된 고정홈(2121)에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재(26)가 고정홈(2121)에 인입된 경우, 팔 받침부재(23)는 회동이 불가하며, 손잡이부재(26)가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팔 받침부재(23)는 회동이 가능하다. 즉, 손잡이부재(26)의 인입 여부에 따라, 팔 받침부재(23)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음으로, 상체 운동 시에만 거치부(20)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상체 운동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재(26)를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출하고, 손잡이부재(26)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팔 받침부재(23)를 180 회전한 후, 팔 받침부재(23)에 전완을 거치하고 손잡이부재(26)를 파지한 상태에서 어깨와 팔꿈치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로 전완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Arm curl), 어깨를 외전하여 전완의 위치를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취하며(Shoulder lateral rotation) 상지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1)의 거치부(2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회동 가이드부재(22)는 제1몸체(221) 및 케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몸체(223) 및 덮개(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221) 및 제2몸체(223)는 회동구(24)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 회동구(24)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으며, 케이스(222)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221)는 제1수용홈(2211)이 상측에 위치한 회동구(24)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몸체(223)는 제2수용홈(2231)이 회동구(24)의 하부를 감싸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홈(2211)과 제2수용홈(2231)은 상술한 내부공간을 이룰 수 있다.
케이스(222)는 제1몸체(221), 제2몸체(223) 및 회동구(2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22)는 상면에 회동구(24)와 결합된 연결부재(25)가 상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홀(22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과 수직한 양측면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홀(22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홀(2222)과 제2홀(2223)은 손잡이부재(26)의 회동을 위해 형성된 것이다.
덮개(224)는 수용공간(22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222)의 제1홀(2222) 및 팔 받침부재(23)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1)의 하체 운동부(40)의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체 운동부(40)는 레일부재(41), 이동부재(42), 한 쌍의 차단부재(43), 운동부재(44) 및 완충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재(41)는 이동부재(42)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좌판부(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재(41)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면의 일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42)는 레일부재(41)를 따라 이동하며 운동부재(44)를 운반하는 것으로, 레일부재(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운동부재(44)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동부재(42)는 레일부재(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판(421), 이동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넥터(422) 및 커넥터(422)에 결합되며 운동부재(44)와 축결합되는 결합체(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판(421)은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롤러가 결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체(423)는 운동부재(44)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체(423) 및 운동부재(44)를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축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재(43)는 레일부재(41) 및 이동부재(42)의 노출을 차단하며, 이동부재(42)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좌판부(10)의 하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재(43)는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부재(41)를 중심으로 양측방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좌판부(1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차단부재(43)는 내측 바닥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있는 이동부재(42)가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부재(42)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스토퍼(431, 4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42)가 제1스토퍼(432)에 의해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운동부재(44)는 차단부재(43)와 좌판부(10)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차단부재(43)에 의해 가로막혀 축회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좌판부(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부재(42)가 제2스토퍼(431)에 의해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운동부재(44)는 차단부재(43)와 좌판부(10) 사이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축회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좌판부(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약자용 의자(1)를 의자로 활용 시에, 사용자는 이동부재(42)를 제1위치에 고정하여 운동부재(4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노약자용 의자(1)를 하지 운동 기구로 활용 시에, 사용자는 이동부재(42)를 제2위치에 고정하여 운동부재(44)가 외부로 노출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차단부재(43)는 상호 연결되어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운동부재(44)는 하지 근력 운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동부재(42)에 축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운동부재(44)는 한 쌍의 연결바(442) 및 각 연결바(442)에 외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중량체(4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체(423)는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연결바(442)가 서로 다른 삽입홈에 삽입되어 축결합될 수 있다. 즉, 각 연결바(442)는 개별 회동이 가능하다.
완충부재(45)는 레일부재(41)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부재(42)의 이동을 제한하며, 이동부재(4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레일부재(41)의 끝단과 맞닿도록 좌판부(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완충부재(45)는 좌판부(1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는 개구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451), 본체(451)의 개구공간에 배치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452), 각 고정바(452)를 감싸는 스프링(453) 및 한 쌍의 고정바(452)를 연결하며, 고정바(452)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무버(4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42)와 무버(454)가 맞닿게 됨에 따라, 스프링(453)이 수축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레일부재(41)의 일단측에만 완충부재(45)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레일부재(41)의 타단측에도 완충부재(45)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하체 운동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부재(42)를 제2위치에 고정하여 운동부재(4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좌판부(10)에 앉아 중량체(441)의 하부에 발등을 위치시킨 채로 양 무릎을 교대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하며 대요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42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체(423)는 중공에 삽입된 채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결합체(423)는 커넥터(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결합체(423)를 90° 회전시킨 다음, 좌판부(10)에 앉아 중량체(441)를 무릎 사이에 둔 후, 무릎을 모으는 동작을 취해 내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1)의 팔 받침부재(23)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20)는 팔 받침부재(23)의 내부에 배치되는 당김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26)는 당김부(28)에 의해 당김 가능하게 팔 받침부재(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팔 받침부재(23)는 내주연을 따라 단턱(232)이 형성된 함몰홈(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당김부(28)는 단턱(232)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관통할 수 있다.
당김부(28)는 나사머리(2811)가 함몰홈(231)과 단턱(232)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단턱(232)의 구멍을 관통하여 손잡이부재(26)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나사(281) 및 나사머리(2811)와 단턱(232)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82)는 나사머리(28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단턱(232)의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당김부(28)가 형성됨으로 인해, 손잡이부재(26)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도 7의 (b) 참조), 외력의 해제되는 경우, 다시 고정홈(2121)으로 인입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즉, 본원발명의 사용자는 손잡이부재(26)를 파지하고 탄성부재(282)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손잡이부재(26)를 당겨 손잡이부재(26)를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습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1)의 팔 받침부재(23)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20)는 팔 받침부재(23)의 내부에 결합되는 푸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26)는 푸시부(27)에 의해 누름 동작에 따라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이때, 팔 받침부재(23)는 푸시부(27)가 끼움 결합되는 함몰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27)는 하우징부재(271), 슬라이딩부재(272), 래치부재(273) 및 탄성부재(27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271)는 함몰홈(23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일단이 개구된 제1내측공간(2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재(271)의 개구된 일단은 타단보다 함몰홈(231)의 개구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271)는 내측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샤프트(2712)와 걸림고리(27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2712)는 내측 바닥면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하우징부재(271)와 결합될 수 있으며, 걸림고리(2713)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72)는 제1내측공간(27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일단이 개구된 제2내측공간(27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내측공간(2711)과 제2내측공간(2721)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재(271)는 내주면에 가이드홈(27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272)는 일단부 외주면에 외측을 향해 가이드돌기(27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272)의 슬라이딩 이동은 가이드돌기(2722) 및 가이드홈(271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래치부재(273)는 제2내측공간(2721)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 걸림고리(2713)가 걸림 가능한 걸림홈(2731)이 함몰 형성되고, 일면과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에 슬라이딩부재(272)가 삽입 가능한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래치부재(273)는 수직면과 평행한 면이 제2내측공간(2721)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274)는 슬라이딩부재(272)를 하우징부재(2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간에 샤프트(2712) 및 걸림고리(27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재(271)는 내측바닥면의 중심부에 탄성부재(274)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271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시부(27)의 구조로 인해, 누름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72)가 일정 길이 이상 제1내측공간(2711)으로 삽입되는 경우, 걸림고리(2713)가 래치부재(273)의 걸림홈(2731)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딩부재(272)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즉, 손잡이부재(26)가 고정홈(2121)에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슬라이딩부재(272)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걸림고리(2713)가 탄성부재(274)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273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슬라이딩부재(272)가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즉, 손잡이부재(26)는 고정홈(212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약자용 의자(1)는 필요에 따라 운동기구로 이용되거나, 휴식을 취하는 의자로 이용될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하는 의자로 이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10 : 좌판부
20 : 거치부
30 : 등받이부
40 : 하체 운동부

Claims (5)

  1.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방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 가능한 거치부와, 상기 좌판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좌판부의 측면에 결합되며,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잘려나간 구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회동 가이드부재와,
    일단에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회동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고정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며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재가 결합되는 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팔 받침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재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상지 근력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회동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동구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회동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팔 받침부재가 상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한 양측면에 상기 팔 받침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고정홈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체 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체 운동부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있는 이동부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축결합되는 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운동부재는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좌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가로막혀 축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운동부재는 차단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지 근력에 의해 축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거치부는,
    상기 팔 받침부재에 형성된 함몰홈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재를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푸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된 제1내측공간을 가지며, 샤프트 및 걸림고리가 내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재와,
    일단이 개구된 제2내측공간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2내측공간과 상기 제1내측공간이 대항하여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내측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 가능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래치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재에 가해지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되거나,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인입된 상태이고,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KR1020190134132A 2019-10-25 2019-10-25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KR10208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32A KR102086301B1 (ko) 2019-10-25 2019-10-25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32A KR102086301B1 (ko) 2019-10-25 2019-10-25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301B1 true KR102086301B1 (ko) 2020-03-06

Family

ID=6980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32A KR102086301B1 (ko) 2019-10-25 2019-10-25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02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마스터핏 운동 및 체형교정용 의료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69Y1 (ko) * 2000-02-01 2000-06-15 도재기 운동기구 겸용 의자
KR200331390Y1 (ko) * 2003-06-27 2003-10-30 최정원 방석의자의 팔걸이
KR200351227Y1 (ko) 2003-12-01 2004-05-31 임재룡 팔,다리 운동구를 구비한 의자
KR101206620B1 (ko) * 2011-11-29 2012-11-29 오민수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69Y1 (ko) * 2000-02-01 2000-06-15 도재기 운동기구 겸용 의자
KR200331390Y1 (ko) * 2003-06-27 2003-10-30 최정원 방석의자의 팔걸이
KR200351227Y1 (ko) 2003-12-01 2004-05-31 임재룡 팔,다리 운동구를 구비한 의자
KR101206620B1 (ko) * 2011-11-29 2012-11-29 오민수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02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마스터핏 운동 및 체형교정용 의료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6308A (en) Body exerciser
CN110169896B (zh) 孕妇助行装置
KR102086301B1 (ko) 운동 기능을 갖는 노약자용 의자
US7326153B2 (en) Exercise device
US6689025B2 (en) Exercise device utilizing rubber tubing
US9005087B1 (en) Weight lifting apparatus
WO2017027398A1 (en) Reconfigurable rocking chair
US6565494B1 (en) Portable and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6514182B1 (en) Doorframe mountable exercise system
US3814085A (en) Massaging device
KR100673581B1 (ko) 완력기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1272499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록킹장치
CN213074111U (zh) 一种多功能渔具箱
CN212262282U (zh) 老年人用上肢康复护理椅
JP4802296B1 (ja) ベッド
KR102362287B1 (ko) 접이식 체어 운동기구
CN216295189U (zh) 一种适用于不同体重具有调节功能的跷跷板
CN213553471U (zh) 一种辅助老人坐起式移动装置
JP7328851B2 (ja) 浴室スライド手摺固定構造
EP1208889A1 (en) Device for preventing rope of toy swing from bending
CN215017624U (zh) 一种心电监护仪接线头保护装置
CN113041131B (zh) 一种中医用辅助背部按摩锤
CN219646182U (zh) 折叠拐杖
KR102363530B1 (ko) 슬링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