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927B1 -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927B1
KR102085927B1 KR1020180150754A KR20180150754A KR102085927B1 KR 102085927 B1 KR102085927 B1 KR 102085927B1 KR 1020180150754 A KR1020180150754 A KR 1020180150754A KR 20180150754 A KR20180150754 A KR 20180150754A KR 102085927 B1 KR102085927 B1 KR 10208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heater
heating tube
conn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술 filed Critical 김범술
Priority to KR102018015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26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히터가 포함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물공급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가열관이 설치된 본체부, 가열관의 외부면에 연결 설치되고 가열관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부, 및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온수배출부로 된 히터를 구비하여, 물이 가열관을 지나갈 때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을 온수배출부를 통해 토출 사용하고, 필요시 본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물이 통과하는 히터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상시적으로 가열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A Heater of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히터가 포함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물공급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가열관이 설치된 본체부, 가열관의 외부면에 연결 설치되고 가열관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부, 및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온수배출부로 된 히터를 구비하여, 물이 가열관을 지나갈 때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을 온수배출부를 통해 토출 사용하고, 필요시 본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물이 통과하는 히터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상시적으로 가열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온수 공급 장치는 상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가능한 열 응답성이 빠르고 비교적 용량이 적은 저수탱크를 사용하고 그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순간 가열하는 온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온수장치에 사용하는 히터는 세라믹 기재 상에 저항 발열체로 텅스텐이나 몰리브덴의 분말 합금재료를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도포한 히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저항 발열체로 은, 백금, 은-파라디움, 은-백금 분말에 안료와 바인더를 배합하여 세라믹기재나 절연층 기재 위에 도포한 히터 등을 사용하여 이를 저수탱크에 수몰시켜 가열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히터는 소형 및 박형으로 순간 온수가열 히터로 사용되어, 열 교환 효율은 우수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고가이므로 생산비용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져 경제성이 문제시되는 단점이 있으며 히터표면에 스케일이 발생 할 경우 내전압 특성이 떨어지며 물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세라믹 기재 등이 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발열 저항체의 도포 등이 균일하지 않으면 국부 가열 현상이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 제조 및 사용방법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저수탱크(저수조)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순간 가열하는 온수장치는 수조에 채워진 물을 계속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를 계속해서 틀어놓기 때문에 전기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수조 내에 각종 유해 세균이 번식하고 있는 온수를 급탕기 등에 그대로 공급하게 되어 온수 사용자의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석영관 히터를 이용한 온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석영관 히터를 이용한 온수기는 공개특허 제10-2017-0045511호의 '온수 직수 열매체'가 공지 되어 있다.
종래의 석영관을 이용한 히터는 석영관 내부로 열선을 설치하고 열선의 발열에 의해 석영관 외부로 유동되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수기는 히터 교환시에 석영관을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화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석영관 히터를 비롯한 모든 히터가 포함되어 고온의 물을 제공하는 정수기는 정수필터만 교체하여 사용하고 히터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온수 가열관 내부는 세척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때나 이물질 등이 온수 가열관 내부에 고착되어 음용시 건강에 위해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7-0045511 (공개번호) 2017.04.27. KR 10-2006-0053452 (공개번호) 2006.05.22. KR 20-0439282 (등록번호) 2008.03.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가열관을 지나갈 때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배출부를 통해 온수를 공급 사용하되, 필요시 본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온수 가열관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 본체부의 상부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체부의 탈착 및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관 내부의 세척작업을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터 내부의 청소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숙련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히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 가열관을 통해 제공하는 온수 용량의 대소에 따라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관의 설치 갯수를 용이하게 부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의 히터 용량에 대한 확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11)를 포함하며 물이 가열시켜 온수를 제공하는 히터(100)가 포함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100)는, 내부로 출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 가열관(111)이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몸체부(110)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하부측에는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 가열관(111)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21)이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착탈되는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설치되는 물공급부(120);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30);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에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토출관(141)이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착탈되는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설치되는 온수배출부(140); 및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동시에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가압장치(15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장치(15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히터몸체부(110)가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서 탈착되어 상기 온수 가열관(111)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터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외통부(112)와, 상기 외통부(112)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장착부(113), 및 상기 외통부(11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밀착되는 상부장착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장착부(113)는 상기 외통부(112)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실링 장착되도록 하부실링(S1)이 구비된 하부밀착지지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장착부(114)는 상기 외통부(112)의 상단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실링 장착되도록 상부실링(S2)이 구비된 상부밀착지지부(114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통해 설치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부(131)와,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131)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저항체(1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자부(131)는 상기 상부장착부(114)의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발열저항체(132)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부(131b), 및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전극단자부(131b)를 연결하는 매개단자부(131c)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히터몸체부(110),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하부연결하우징(122)을 감싸는 설치브라케트(13)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압장치(150)는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장치(15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측에서 회동되는 회동플레이트(15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작동손잡이(152)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하부면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회전에 따라 회동플레이트(151)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는 물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온수 가열관을 지나갈 때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배출부를 통해 온수를 공급 사용하되, 필요시 본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온수 가열관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본체부의 상부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체부의 탈착 및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관 내부의 세척작업을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히터 내부의 청소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숙련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히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가열관을 통해 제공하는 온수 용량의 대소에 따라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관의 설치 갯수를 용이하게 부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의 히터 용량에 대한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설치된 히터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온수관 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설치된 히터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와 단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히터의 온수관 상부측에 구비된 온수배출부가 탈착장치에 의해 가열부 상단부에서 탈장착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히터의 온수관이 몸체 내부에 2개 설치된 상태도와 1개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히터의 히터몸체부가 탈착되어 온수 가열관의 내부를 브러쉬를 이용해 세척하는 단계별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히터의 몸체부 상부측 온수배출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가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10)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11)와 상기 필터부(11)에서 정수된 물이 저정되는 정수탱크(12) 및 상기 정수탱크(12)에 저장된 물이 유입 배출되면서 가열되는 온수를 제공하는 히터(100)가 포함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100)는,
물이 내부로 출입되면서 가열되는 온수 가열관(111)이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몸체부(110)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정수탱크(12)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 가열관(111)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21)이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설치되는 물공급부(120);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30); 및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에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토출관(141)이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설치되는 온수배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동시에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가압장치(15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장치(15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히터몸체부(110)가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서 탈착되어 상기 온수 가열관(111)이 노출됨으로 상기 온수 가열관(111)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히터(100)가 설치브라케트(13)에 의해 상기 정수기(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11)에서 정화된 물이 상기 정수탱크(12)로 공급되고 이어 상기 정수탱크(12)의 물이 상기 물공급부(120)의 상기 물공급관(121)을 통해 상기 온수 가열관(111)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온수토출관(141)을 통해 배출 공급되면서 음용된다.
이러한 사용상태에서 일정기간 경과 시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 벽면에 물이 지나면서 발생된 물때나 이물질이 고착된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150)를 작동시켜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부측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가압장치(150)의 가압력으로 결합되어 있던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부측에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몸체부(110)를 하우징에서 탈착시켜 그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측 벽면부에 고착된 이물질이나 물때 등을 청소용 도구인 브러쉬(B) 등을 통해 세척 제거하는 작업을 시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물이 지나가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측 벽면부를 깨끗하게 세척해 줌으로써 정화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하 설명은 가압장치(150)에 가압력이 가해져, 외통부(112)를 기준으로 상부의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하부의 하부연결하우징(122)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이후에 가압력이 해제되는 과정 및 해제된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히터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외통부(112)와, 상기 외통부(112)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장착부(113), 및 상기 외통부(11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상부장착부(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장착부(113)는 상기 외통부(112)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실링 장착되도록 하부실링(S1)이 구비된 하부밀착지지부(113b)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부(114)는 상기 외통부(112)의 상단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실링 장착되도록 상부실링(S2)이 구비된 상부밀착지지부(114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장착부(113)의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하부측 외면을 실링하여 상기 물공급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외통부(112)의 내부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관하부실링(S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장착부(114)의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상부측 외면을 실링하여 상기 온수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외통부(112)의 내부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관상부실링(S4)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통부(112)의 내부 공간부로는 물이 들어갈 수 없는 공간부로 유지된다.
히터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수 가열관(111)은 히터몸체부(110)를 상하로 전체 관통하여 1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도 1 및 3에서는 온수 가열관(111)이 2개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온수가열관(111)은 상부 전극단자부와 하부 전극단자부 사이에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부(130)가 구비되며, 가열부(1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가열부가 없는 관이다. 가열부(130)가 구비되지 않는 히터몸체부(111)는 외부의 수증기 또는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부장착부(114)와 하부장착부(113)가 외부를 감싸고 있다.
상기 가열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와 하부의 전극 사이로 발열저항을 도포하여 발열저항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할수 있고, 또는 가열부(130) 외부에 열전소자를 두되 열전소자의 가열면이 가열부(130)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극단자부에 전원이 제공될때에 가열부를 데울수도 있다. 기타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가열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발열저항 또는 가열면을 통합하여 발열저항체(132)로 표기한다.
한편,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통해 설치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부(131)와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131)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저항체(1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31)는 상기 상부장착부(114)의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발열저항체(132)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부(131b) 및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전극단자부(131b)를 연결하는 매개단자부(131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전선(L)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류)이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매개단자부(131c) 및 상기 전극단자부(131b)를 통해 상기 발열저항체(132)로 공급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어 상기 발열저항체(13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로 유동되는 물을 히팅시키게 된다. 상기 온수 가열관(111)에서 가열된 온수는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거쳐 상기 온수토출관(141)을 통해 토출 공급된다.
도 3에서 전면에 보이는 전선(L) 및 전극단자부는 도3의 (a)의 후면의 단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형성되며,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류가 이동하며 발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는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에서 나사 체결되도록 그 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히터몸체부(110)에 구비된 상기 상부장착부(114)는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의 둥근나사머리부가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의 상부면을 지지하면서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가 상하 견고하게 체결 설치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둥근나사머리부와 접촉되는 전선(L)의 끝단은 단자부(131)와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전선(L)의 끝단은 상부연결하우징(142)와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장치(150)가 상부연결하우징(142)을 강하게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하여 전선(L)의 끝단이 상기 단자부(131)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압장치(150)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이 히터몸체부(110)에서 탈착되면 전선(L)의 끝단도 단자부(131)에서 탈착된다. 이는 전선(L)이 외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연결항우징(142)과 같이 히터몸체부(110)에서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온수 가열관(111)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6이하에서는 도시의 편리를 위하여 전선을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가 삽입 설치되는 틈새부인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에는 상기 외통부(112)의 내부로 온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단자부실링(S5,S6)이 각각 설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몸체부(110) 내부의 공간부에 상기 온수 가열관(111)이 2개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일측의 온수 가열관과 타측의 온수 가열관의 외부면에 발열저항체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극단자부도 발열저항체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는 2개의 단자부(131)가 설치되어 한쪽은 양극이고 다른쪽은 음극으로 이루어져 단자부(131)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발열저항체에서 열(복사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극단자부는 발열저항체에 도전성 접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착 연결할 수도 있고, 다른 공지기술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환경에 따라,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내부 공간부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온수 가열관을 증설하여 히터의 용량(온수 공급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이들을 줄여 용량을 작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내부 공간부에 2개 이상의 온수 가열관을 증설하는 경우에는 온수 가열관의 수를 짝수 개로 하여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내부 공간부에 1개의 온수 가열관(1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1개의 단자부가 연결 구비되고 다른 1개의 단자부는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연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 가열관의 수를 가감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히터 용량에 대한 확장성이 매우 좋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가압장치(15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기 외통부(112)의 상부측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동시에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기 외통부(112)의 하부측에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도 밀착 또는 해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장치(15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하에서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과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의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히터몸체부(110)를 탈착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탈착된 상기 히터몸체부(110)는 상부측과 하부측이 개방되면서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상부와 하부도 개방되어 이들 내부를 브러쉬 등을 이용해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정수기(10)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히터몸체부(110)를 탈착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를 세척하여 물때나 벽면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해 줌으로써 질 좋은 온수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압장치(150)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장치(15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15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작동손잡이(152)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하부면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형성된 하향요홈면(142a)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크게 경사지는 하향경사면부(151a)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동플레이트(151)는 상기 작동손잡이(152)에 의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10)의 내벽면에 설치된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상부가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기 가압장치(150)는 도 4(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손잡이(152)를 정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플레이트(151)가 회전되면서 그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하향경사면부(151a)가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형성된 상기 하향요홈면(142a)의 경사면의 높은 면을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관(121)을 통해 물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온수 가열관(111)으로 공급되면서 가열된다. 이어 가열된 온수는 상기 온수토출관(141)을 통해 토출된다.
반대로, 도 4(b)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손잡이(152)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플레이트(151)가 역회전되면서 상기와는 역으로 상기 하향경사면부(151a)가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형성된 상기 하향요홈면(142a)의 경사면 낮은면에 위치하면서 가압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부면에 이완되고 동시에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서도 이완되어 상기 히터몸체부(110)가 탈착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도 6(c)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히터몸체부(110)를 탈착하여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를 청소한다(도 6(d) 참조).
상기 가압장치(150)는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설치브라케트(13)에 의하여 상부연결하우징(142)으로의 가압력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장치(150)를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장치(150)를 나사식 가압장치(150a)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식 가압장치(150a)는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부면에 지지커버부(150a1)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회동나사부(150a2)를 설치하여 작동손잡이(153a3)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나사부(150a2)가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설치브라케트(113)를 가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가압 또는 해제시켜 상기 히터몸체부(110)가 착탈되어 상기 온수 가열관(111)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사식 가압장치(150a)도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설치브라케트(13)에 의하여 상부연결하우징(142)으로의 가압력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장치(150)를 링크식 가압장치(150b)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식 가압장치(150b)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하부아암(150b1)과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부아암(150b2), 이들 아암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링크(150b3), 및 상부아암(150b2)에 연결하는 작동손잡이(150b4)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손잡이(150b4)의 상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아암(150b1)과 상기 상부아암(150b2)이 접혀지거나 신장되면서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상기 히터몸체부(110)에서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온수 가열관(111)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식 가압장치(150b)도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설치브라케트(13)에 의하여 상부연결하우징(142)으로의 가압력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장치(150)를 캠식 가압장치(150c)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캠식 가압장치(150c)는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중심이 편심되는 캠(150c1)과, 상기 캠(150c1)을 회전시키는 캠작동손잡이(150c2), 및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지지하는 캠지지부(150c3)로 구성되어 상기 캠작동손잡이(150c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150c1)이 상기 캠지지부(150c3)를 가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상기 히터몸체부(110)에서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온수 가열관(111)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캠식 가압장치(150c)도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설치브라케트(13)에 의하여 상부연결하우징(142)으로의 가압력이 발생된다.
나사식 가압장치(150a), 링크식 가압장치(150b), 캠식 가압장치(150c)는 통합하여 가압장치(150)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는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물공급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열되면서 유동되는 가열관이 설치된 본체부, 가열관의 외부면에 연결 설치되고 가열관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부, 및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온수배출부로 된 히터를 구비하여, 물이 가열관을 지나갈 때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을 온수배출부를 통해 토출 사용하고, 필요시 본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가열관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상시적으로 가열하여 음용할 수 있다.
10: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11:필터부 12:정수탱크 13:설치브라케트
100:히터
110:히터몸체부
111:온수 가열관 112:외통부 113:하부장착부 114:상부장착부
113a:하부지지브라케트 113b:하부밀착지지부
114a:상부지지브라케트 114b:상부밀착지지부
120:물공급부 121:물공급관 122:하부연결하우징
130:가열부
131:단자부 132:발열저항체
131a:나사형 단자부 131b:전극단자부 131c:매개단자부
140:온수배출부 141:온수토출관 142:상부연결하우징 142a:하향요홈면
150:가압장치
151:회동플레이트 151a:하향경사면부 152:작동손잡이
S1:하부실링 S2:상부실링 S3:가열관하부실링 S4:가열관상부실링
S5, S6:단자부실링 B:브러쉬

Claims (7)

  1.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11)를 포함하며 물이 가열시켜 온수를 제공하는 히터(100)가 포함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100)는,
    내부로 출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 가열관(111)이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몸체부(110)와;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하부측에는 유입되는 물을 상기 온수 가열관(111)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21)이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착탈되는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설치되는 물공급부(120);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내부로 열을 전달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30);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온수 가열관(111)에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토출관(141)이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착탈되는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설치되는 온수배출부(140); 및
    상기 온수배출부(140)의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동시에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이 상기 히터몸체부(110)의 하단부에 밀착 또는 해제시키는 가압장치(15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장치(15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히터몸체부(110)가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서 탈착되어 상기 온수 가열관(111)이 노출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외통부(112)와, 상기 외통부(112)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장착부(113), 및 상기 외통부(11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밀착되는 상부장착부(114)를 포함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착부(113)는 상기 외통부(112)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13a)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결하우징(122)에 실링 장착되도록 하부실링(S1)이 구비된 하부밀착지지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장착부(114)는 상기 외통부(112)의 상단부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에 실링 장착되도록 상부실링(S2)이 구비된 상부밀착지지부(114b)를 포함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통해 설치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부(131)와, 상기 온수 가열관(111)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131)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저항체(132)를 포함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131)는 상기 상부장착부(114)의 상기 상부지지브라케트(114a)와 상기 상부밀착지지부(114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발열저항체(132)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부(131b), 및 상기 나사형 단자부(131a)와 상기 전극단자부(131b)를 연결하는 매개단자부(131c)로 구성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몸체부(110),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 및 하부연결하우징(122)을 감싸는 설치브라케트(13)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압장치(150)는 상기 설치브라케트(13)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150)는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의 상부측에서 회동되는 회동플레이트(15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작동손잡이(152)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하부면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의 회전에 따라 회동플레이트(151)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연결하우징(142)을 가압하는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20180150754A 2018-11-29 2018-11-29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208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54A KR102085927B1 (ko) 2018-11-29 2018-11-29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54A KR102085927B1 (ko) 2018-11-29 2018-11-29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927B1 true KR102085927B1 (ko) 2020-03-06

Family

ID=698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54A KR102085927B1 (ko) 2018-11-29 2018-11-29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88Y1 (ko) * 1991-01-14 1993-05-19 조홍구 공중전화박스의 선반장치
KR20060053452A (ko) 2004-11-16 2006-05-22 김태균 온수가열용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KR200439282Y1 (ko) 2007-05-09 2008-04-01 심용섭 근적외선을 이용한 온수기
KR20100129912A (ko) * 2009-06-02 2010-12-10 (주)알투알 라인세척을 위한 식음료 공급장치
KR20170045511A (ko) 2015-10-19 2017-04-27 이동관 온수 직수 열매체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KR20190103836A (ko) *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88Y1 (ko) * 1991-01-14 1993-05-19 조홍구 공중전화박스의 선반장치
KR20060053452A (ko) 2004-11-16 2006-05-22 김태균 온수가열용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KR200439282Y1 (ko) 2007-05-09 2008-04-01 심용섭 근적외선을 이용한 온수기
KR20100129912A (ko) * 2009-06-02 2010-12-10 (주)알투알 라인세척을 위한 식음료 공급장치
KR20170045511A (ko) 2015-10-19 2017-04-27 이동관 온수 직수 열매체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KR20190103836A (ko) *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927B1 (ko) 히터 온수 가열관 내부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1437995B1 (ko)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JP3409448B2 (ja) 無隔膜型電解槽を備えたイオンリッチ水生成装置
KR20100136797A (ko)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US844262A (en) Water-purifying apparatus.
CN210458591U (zh) 一种能够对布料除味的服装布料生产加工用装置
JP6141961B2 (ja) 液体を浄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5792433A (en) Light irradiating device with easily replaceable light irradiating lamps
CN212534315U (zh) 一种易更换模块的集成水槽
CN109368817B (zh) 用于次氯酸钠发生器的防结垢投加装置
JP2006314963A (ja) 浄水器
KR101459346B1 (ko)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대용량 중성 살균수 생성 유닛 및 장치
KR101201510B1 (ko) 정수기의 여과필터 설치장치
CN211146900U (zh) 用于防止电热水器水箱结垢的装置
CN210613105U (zh) 一种新型组合式净水器滤芯
KR0131316Y1 (ko)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용 자외선 살균등
JPH10277554A (ja) 水処理装置
CN213037455U (zh) 布水结构及设有其的软水装置
CN213700888U (zh) 一种吸附器用清洁装置
CN111058512A (zh) 一种可更换组合的集成水槽
CN2206925Y (zh) 多功能微型净化热水器
KR0139864Y1 (ko) 살균 샤워기
KR101191418B1 (ko) 정수기의 여과필터 장착장치
KR100495000B1 (ko) 은이온수 발생기
JPH0810756A (ja) 浄水器用再生式活性炭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