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41B1 -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4441B1 KR102084441B1 KR1020190092880A KR20190092880A KR102084441B1 KR 102084441 B1 KR102084441 B1 KR 102084441B1 KR 1020190092880 A KR1020190092880 A KR 1020190092880A KR 20190092880 A KR20190092880 A KR 20190092880A KR 102084441 B1 KR102084441 B1 KR 1020844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ontrol
- sensor
- sensor module
- modul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4—Measuring arrangements for voltage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4—Control of logging system, e.g. decision on which data to store; time-stamping measur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관리 장치를 통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모듈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관리 장치를 통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모듈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 온도, 습도, CO2, 풍향/풍속, PH, EC, 지온, 지습, 일사량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다양하다.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거나 과하면 그해 농작물의 수확량은 매우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인력을 무한정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이때 이용되는 것이 모니터링 및 알림을 제공하고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이다.
다만, 현재의 스마트팜의 경우 센싱 및 제어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컨트롤러를 통해 운영되며, 이때의 스마트팜은 일반인들이 손쉽게 이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컨트롤러 장치가 고장이 나기라도 하면 수리비용도 만만치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독립된 모듈을 통해 온도, 습도 등을 각각 모니터링하고, 온실 개폐, 온도 등을 제어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센서모듈 또는 제어모듈을 추가하여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모듈들의 정보를 메인모듈에서 한번에 획득할 수 있고, 연결된 모듈들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모듈관리 장치를 통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모듈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듈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독립된 모듈을 통해 온도, 습도 등을 각각 모니터링하고, 온실 개폐, 온도 등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센서모듈 또는 제어모듈을 추가하여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모듈들의 정보를 메인모듈에서 한번에 획득할 수 있고, 연결된 모듈들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센서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와 센서모듈 사이의 정보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 및 센서모듈의 프로세스에 대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제어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저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저항의 개수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제어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 및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센서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와 센서모듈 사이의 정보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 및 센서모듈의 프로세스에 대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제어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저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저항의 개수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제어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 및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스마트팜 시스템에서는 통합제어기가 온도, 습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 및 팬, 모터 등을 컨트롤하여 생육환경을 컨트롤하는 제어모듈을 관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통합제어기는 모듈관리 장치라고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농작물 관리인)가 스마트폰(앱)을 통해 통합제어기를 관리할 수 있으며, 중앙서버로부터 P2P 통신 중계, 농가 데이터를 수집, 최적 생육조건 추천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CCTV와도 연결되어 시설관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2와는 달리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선, 모듈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30)는 농장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모듈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듈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모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각 센서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각 센서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센서모듈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모듈 중 메인센서 모듈(메인 모드)이 모듈관리 장치(1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센서 모듈은 여러 개의 서브센서 모듈(서브 모드)과 병렬로 연결되어 모듈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수축산 분야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센서 혹은 스위치가 연결되며 다수의 입력모듈을 구비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모듈관리 장치(100)와 직접 연결되는 메인센서 모듈은 1개이고, 서브센서 모듈은 여러 개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 상기 메인센서 모듈 역시 복수 개로 병렬 형태로 모듈관리 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센서 모듈과 상기 서브센서 모듈은 포함된 스위치부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센서모듈에는 스위치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부는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가령, 현재 모드가 서브 모드인 센서모듈에서 스위치부가 동작하면 메인 모드로 변경되고 결국 메인센서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모드가 메인 모드인 센서모듈에서 스위치부가 동작하면 서브 모드로 변경되고 결국 서브센서 모듈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와 함께 각 센서모듈에 포함된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센서 모듈 및 서브센서 모듈 모두 유/무선 통신부1(제1 통신부), 유/무선 통신부2(제2 통신부), 외부데이터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데이터 관리부, 디스플레이 관리부, 메시지 관리부1, 2, 서브모듈 관리부, 메모리부, 스위치부가 포함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메인센서 모듈 또는 서브센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센서모듈에 포함된 외부데이터 입력부에서는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값을 입력하는 센서/스위치를 복수 개 연결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온도, 습도, PH 등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센서모듈마다 모니터링되는 각종 수치값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며, 제어부에서 센서모듈과 관련된 프로세스가 처리될 수 있다.
도 3(a)(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메인센서 모듈은 유/무선 통신부1(제1 통신부)를 통해 모듈관리 장치(100)와 연결되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유/무선 통신부2(제2 통신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센서 모듈과 모듈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서브센서 모듈의 경우에는 유/무선 통신부1(제1 통신부)를 사용하지 않고 유/무선 통신부2(제2 통신부)만을 사용하여 다른 센서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통신부는 하나의 통신선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센서모듈의 연결통로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도 3(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임베디드 시스템에 포함된 입력모듈 및 모듈관리 장치를 모니터링/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관제시스템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와 센서모듈 사이의 정보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아래에서는 메인센서 모듈을 제1 센서모듈, 서브센서 모듈을 제2 센서모듈, 유/무선 통신부1을 제1 통신부, 유/무선 통신부2를 제2 통신부로 상정하겠다.
모듈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A)로 하여금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B, C)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모듈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제1 센서모듈을 직접 컨트롤할 수도 있지만 컨트롤할 수 있는 환경(직접 컨트롤하지 않더라도 센서모듈과 연결되어 해당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모듈이 제2-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B), 제2-2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이 제2-1 센서모듈 또는 제2-2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하고자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모듈은 제2-1 센서모듈 및 제2-2 센서모듈에 정보요청 메시지를 전송(S410, S430))하여 제2-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ID 등) 및 제2-2 센서모듈의 식별정보(ID 등)를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S420, S440)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센서모듈은 제2-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B) 또는 제2-2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C)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제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A)에서 특정 센서모듈을 제2-1 센서모듈로 보고 상기 제2-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때도 제2-1 센서모듈 및 제2-2 센서모듈 모두에 정보요청 메시지를 전송(S410)하고 제2-1 센서모듈로부터 모듈정보를 획득(S420)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모듈이 제2-1 센서모듈 또는 제2-2 센서모듈을 특정 센서모듈로서 소정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센서모듈에서는 모듈관리 장치(100)에 각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전송(S460)하기 전에 미리 서브모드에 해당하는 복수의 센서모듈에 대한 모듈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A)에서는 제2-1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B), 제2-2 센서모듈(도면상 모듈 C), 제2-3 센서모듈(미도시) 각각에 대한 모듈정보를 수신하고자, 1차적으로는 제2-1 센서모듈을 특정 센서모듈로서 모듈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소정 시간(ex 100msec) 후에 2차적으로 제2-2 센서모듈을 특정 센서모듈로서 모듈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며, 소정 시간(ex 100msec) 후에 3차적으로 제2-3 센서모듈을 특정 센서모듈로서 모듈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듈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S450)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S460)할 수 있다.
즉, 모듈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모듈에 기록되어 있던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제2 센서모듈(제2-1 센서모듈, 제2-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전술하는 식별정보는 모듈을 각각 구별할 수 있는 ID 정보 등을 포함하고, 모듈정보는 상기 식별정보(ID 등), 온도/ 습도/ PH/ CO2/ 우적/ 일사량/ 풍속/ 풍향/ 기타 등의 센싱정보, SW 관련 정보, HW 관련 정보, 현재 센서모듈의 상태 정보(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과 같이 모듈관리 장치(100)가 제1 센서모듈로부터 각 센서모듈의 정보를 한번에 획득하는 방식을 이용할 때, 모듈관리 장치(100)의 센서모듈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및 데이터 처리량 감소로 시스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을 추가함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으므로 연결가능한 센서모듈의 개수가 손쉽게 증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분산처리용 중계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관리 장치 및 센서모듈의 프로세스에 대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상기 알고리즘들은 전술한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좌측의 알고리즘의 경우 모듈관리 장치(100)가 제1 통신부와 연결된 센서모듈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센서모듈이 메인모드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모듈관리 장치(100)가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가운데 알고리즘의 경우 제1 센서모듈(메인 모드)에서 특정 센서모듈의 ID를 탐색(이때, 제2 통신부를 통해 탐색)하고, 찾고자 하는 ID(ex M)를 확인한 경우 해당 ID값을 가진 특정 센서모듈에 대해 정보를 요청하고 모듈정보를 획득/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의 오른쪽 알고리즘의 경우 제2 센서모듈(서브 모드)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 통신부를 통해 정보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센서모듈(메인 모드)에 모듈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모듈의 제2 통신부를 통해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3 센서모듈을 제1 센서모듈에 추가로 연결시키거나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기존 연결된 센서모듈에 다른 센서모듈을 추가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서브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ex 제2-1 센서모듈, 제2-2 센서모듈, 제2-3 센서모듈)은 각각 제2 통신부를 통해 하나의 통신선을 공유하면서 병렬로 연결되고, 제1 센서모듈은 상기 병렬연결된 제2 센서모듈에 모듈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모듈 역시 모듈관리 장치(100)로부터 컨트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수 개의 제어모듈은 제1 제어모듈(도면 상의 제어모듈 1), 제2 제어모듈(도면 상의 서브제어모듈 1) 및 제3 제어모듈(도면 상의 서브제어모듈 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이 제어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제1 출력부 및 제1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제어모듈, 상기 제3 제어모듈 등 서브제어모듈의 경우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어모듈(도면 상의 제어모듈 1)의 경우 도면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설정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어모듈(도면 상의 제어모듈 1)과 서브제어모듈들은 스위치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는 도면상에서 제어데이터 출력부에 해당하며, 제1 입력부는 제어데이터 입력부에 해당한다. 물론, 도 6의 제어모듈 1과 같이 제1 입력부가 제어데이터 입력부가 아닌 유/무선 통신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메시지 관리부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설정에 따라 제1 출력부, 제1 입력부는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제2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제2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제3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 각각은 순차적으로 뒤에 연결되는 제어모듈의 출력부와 앞에 연결되는 제어모듈의 입력부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제어모듈(도 6상의 제어모듈 1)은 모듈관리 장치(100)로부터 메시지를 유/무선 통신부1(제1 입력부)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관리부 1에서 정보요청/정보수정 메시지로 처리하고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수신받은 메시지가 서브제어모듈의 제어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경우, 제1 제어모듈에서는 제어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제어데이터 출력부(제1 출력부)를 거쳐 제2 제어모듈(도 6상의 서브제어모듈 1)의 제어데이터 입력부(제1 입력부)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여 제2 제어모듈(도 6상의 서브제어모듈 1)의 제어데이터 관리부(쉬프트레지스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은 전압 측정과 관련된 제2 출력부 및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부는 전압 출력부, 제2 입력부는 전압 입력부에 해당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는 도 6의 제어모듈 1과 같이 전압 출력부가 아닌 전압 측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저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좌측의 제1 제어모듈이 제1 저항(저항 A), 제2 저항(저항 B)을 포함하고, 우측의 제2 제어모듈이 제3 저항(저항 C)을 포함하며, 제3 제어모듈(미도시)이 제4 저항(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상기 제1 제어모듈에 다른 서브제어모듈이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TR A가 동작하여 저항 A와 저항 B의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모듈의 전압 측정부에서는 제1 저항값과 제2 저항값에 대한 제1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제어모듈(도 7상의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도 7상의 서브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IN B와 OUT B가 연결되어 TR B를 동작시켜 TR A가 동작되지 못하게 하고, 제2 제어모듈의 저항 C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저항 B와 저항 C의 합성저항과 저항 A의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는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2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는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3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는 제1 분배전압, 제2 분배전압, 제3 분배전압 등 측정된 분배전압에 기초하여 연결된 복수 개의 제어모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제어모듈에 연결된 서브제어모듈(제2 제어모듈, 제3 제어모듈 등)의 개수를 인식하기 위해 서브제어모듈이 추가될 때마다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 입력되는 전압을 변경하기 위해 각 서브제어모듈의 전압 변경부(전압 변경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저항의 개수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그래프에서 나타난 배수는 제1 저항값과 다른 저항값(ex 제2 저항값, 제3 저항값 등) 사이의 차이에 해당한다.
제1 제어모듈에 서브제어모듈을 추가로 연결할수록 전압측정 위치 뒤에 걸리는 합성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분배되는 전압의 차이로 추가되는 서브제어모듈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제1 저항값과 다른 저항들의 합성저항값의 차이가 클수록 제1 제어모듈에 서브제어모듈 추가로 변화하는 전압의 변화량은 선형(ex 도 8의 56배에 해당하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가령, 도 7과 같이 저항 A를 56K, 저항 B를 1K로 상정하는 경우 56배의 차이가 존재하며 따라서 도 8의 그래프상에서 56배에 해당하는 직선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제어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9는 제1 제어모듈에 연결된 서브제어모듈의 개수(ex 0개, 1개, 2개 등)에 따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각 저항을 포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모듈 및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제어모듈이 제1 제어모듈(도 10상의 제어모듈) 및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은 제1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제2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제1 제어모듈은 쉬프트레지스터 제어부, 소정 내부저항, 전압측정부,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각각은 소정 내부저항,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 제1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에서 제1 전압측정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제어모듈의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제2 전압측정값을 비교하여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 측정되는 전압에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1 제어모듈과 연결된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모듈에서는 상기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개수를 측정한 후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개수 인식 방법은 별도의 데이터 수정없이 개수를 파악하여 제어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간편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 상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들은 모듈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컨트롤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20)에 의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유도되어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서술하고 있는 모듈관리 장치(100), 센서모듈, 제어모듈 등에서 각각 프로세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결국 하나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모듈관리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 모듈관리 장치를 통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a) 상기 모듈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이 제1 제어모듈, 제2 제어모듈 및 제3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i-1)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이 제어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제1 출력부 및 제1 입력부를 포함하고, i-2)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이 전압 측정과 관련된 제2 출력부 및 제2 입력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ii-1)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하며, ii-2)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1 제어모듈이 제1 저항,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이 제3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제어모듈이 제4 저항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 제1 저항값과 제2 저항값에 대한 제1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2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3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배전압, 상기 제2 분배전압 및 상기 제3 분배전압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제어모듈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2 센서모듈이 제2-1 센서모듈, 제2-2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이 상기 제2-1 센서모듈 또는 상기 제2-2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센서모듈이 상기 제2-1 센서모듈 및 상기 제2-2 센서모듈에 정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2-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2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모듈이 상기 제2-1 센서모듈 또는 상기 제2-2 센서모듈을 상기 특정 센서모듈로서 소정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특정 모듈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 포함된 스위치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모듈의 모드 상태가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3 센서모듈을 상기 제1 센서모듈에 추가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센서모듈 및 상기 제2-3 센서모듈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모듈관리 장치를 통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a) 상기 모듈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는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이 제1 제어모듈 및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은 제1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제2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각각이 소정 내부저항,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에서 제1 전압측정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제2 전압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 측정되는 전압에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 제어모듈과 연결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이 제1 제어모듈, 제2 제어모듈 및 제3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i-1)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이 제어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제1 출력부 및 제1 입력부를 포함하고, i-2)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 각각이 전압 측정과 관련된 제2 출력부 및 제2 입력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ii-1)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1 출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1 입력부가 연결가능하며, ii-2)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1 제어모듈이 제1 저항,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이 제3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제어모듈이 제4 저항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 제1 저항값과 제2 저항값에 대한 제1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2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모듈의 제2 입력부와 상기 제3 제어모듈의 제2 출력부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대한 제3 분배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배전압, 상기 제2 분배전압 및 상기 제3 분배전압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제어모듈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장치. -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육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 존재하며, 모듈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을 관리하는 상태에서, 메인 모드 또는 서브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센서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센서모듈로 하여금 상기 서브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의 모듈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모듈의 모듈정보를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모듈이 제1 제어모듈 및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은 제1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제2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 각각이 소정 내부저항,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이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제1 제어모듈의 전압측정부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에서 제1 전압측정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제2 전압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제어모듈의 내부저항과 상기 복수 개의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내부저항 사이 측정되는 전압에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 제어모듈과 연결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 모듈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880A KR102084441B1 (ko) | 2019-07-31 | 2019-07-31 |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880A KR102084441B1 (ko) | 2019-07-31 | 2019-07-31 |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4441B1 true KR102084441B1 (ko) | 2020-05-29 |
Family
ID=7091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2880A KR102084441B1 (ko) | 2019-07-31 | 2019-07-31 |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444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5211B1 (ko) * | 2013-03-14 | 2014-04-15 | 한재용 |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
JP6312744B2 (ja) * | 2011-09-23 | 2018-04-18 |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 第1のセンサを少なくとも1つの第2のセンサと結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KR20180076766A (ko) * | 2016-12-28 | 2018-07-06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인공지능 스마트팜 관리 시스템 |
-
2019
- 2019-07-31 KR KR1020190092880A patent/KR10208444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12744B2 (ja) * | 2011-09-23 | 2018-04-18 |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 第1のセンサを少なくとも1つの第2のセンサと結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KR101385211B1 (ko) * | 2013-03-14 | 2014-04-15 | 한재용 |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
KR20180076766A (ko) * | 2016-12-28 | 2018-07-06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인공지능 스마트팜 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83875B2 (en) | Site management in an on-demand system | |
US900980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device | |
KR102058557B1 (ko) | 스마트 홈 기반 실내 환경 제어모드 추천 장치 및 방법 | |
US20160033985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reducing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with a network of smart sensors | |
JP2016527471A (ja) | 気候コントローラ | |
KR20070095712A (ko) |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실내 환경 관리방법 | |
US9578721B2 (en) | Instrument control device, instrument control system, instru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11118802B2 (en) | Indoor environmental weighted preference management | |
GB2501765A (en) | Apparatus to control a central heating system using a remote server | |
CN105430061A (zh) | 可穿戴设备数据处理方法和用户终端 | |
KR102084441B1 (ko) | 센서모듈 및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
KR101355455B1 (ko)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795745B1 (ko) | 다중상황 기반 에너지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 |
US9161374B2 (en) |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networks | |
KR102630770B1 (ko) | 지능형 스마트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 |
KR100876223B1 (ko) | 온도 감지 및 제어 시스템 | |
US9801218B2 (en) | Establishing method for self-organization network of wireless nodes | |
KR20160096469A (ko) | 생산량 예측 이벤트 감지 시스템 | |
KR102587435B1 (ko) | 무선 메시 네트워크 기반 물류 관리 시스템 | |
KR102211602B1 (ko) | 상관 계수 기반 센서 및 구동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3785666B (zh) | 照明设备 | |
US11611450B2 (en) | User scene and schedule creation based on time of the year | |
KR102454732B1 (ko) | 배전반 내 복수의 센서에 대한 통신주기 설정 방법 | |
CN104580786A (zh) | 监视区域的系统和方法 | |
CN112714423A (zh) | 用于监控过程单元的通信系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