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455B1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455B1
KR101355455B1 KR1020120029250A KR20120029250A KR101355455B1 KR 101355455 B1 KR101355455 B1 KR 101355455B1 KR 1020120029250 A KR1020120029250 A KR 1020120029250A KR 20120029250 A KR20120029250 A KR 20120029250A KR 101355455 B1 KR101355455 B1 KR 10135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sensing
valu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456A (ko
Inventor
강효석
Original Assignee
(주)이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팜 filed Critical (주)이지팜
Priority to KR102012002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4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수집부, 수신된 센싱값을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따라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판단부는, 센싱값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과, 관리 조건을 저장하는 관리 조건 저장 모듈 및 센싱값 분석 결과와 관리 조건을 비교하여 정상일 경우에는 로그 정보를 저장하고, 비정상일 경우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로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ING INFORMATION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스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싱 정보의 상태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 중에서 센서 값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제할 것인지에 관한 메카니즘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센서 값에 따라 어떠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어떻게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것인지와 같은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10 내지 20℃ 이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별도의 제어 조치를 취하 필요가 없으나, 온도가 21℃를 넘으면 온도가 너무 높으므로 에어콘을 특정 시간 가동하도록 에어콘을 제어하고, 온도가 10℃보다 낮으면 온도가 너무 낮으므로 온풍기를 특정 시간 가동하도록 온풍기를 제어한다.
이처럼 어떤 유형의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값이 어떤 임계값에 도달하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데이터로 셋팅을 하거나 사용자가 셋팅된 값에 도달한 것에 대한 알람을 통해서 대응 조치를 수행하였다.
종래에도 센서 정보를 그룹화하여 표현하는 것과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보내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센싱 신호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하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니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센서에 의해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환경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센싱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XML 기반의 센싱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따라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는 분석모듈, 관리 조건에 대해서 저장하고 있는 조건 관리 모듈 및 판단된 실행 동작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로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 그룹화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 명령은, 헤더값과 센서그룹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값은 등록일자, 플랫폼 ID 및 플랫폼 이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그룹값은 센서 그룹 정보, 센서 정보 및 센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센서 그룹 정보는, 그룹 ID, 그룹 이름, 센서 종류,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센서 정보는, 센서 ID 및 센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센서 상태는, 동작 기간, 동작 임계값, 동작 상태 및 동작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따라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는 단계와, 관리 조건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값 분석 결과와 상기 관리 조건에 따라 산출된 실행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명령은, 헤더값과 센서그룹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값은 등록일자, 플랫폼 ID 및 플랫폼 이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그룹값은 센서 그룹 정보, 센서 정보 및 센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그룹 정보는, 그룹 ID, 그룹 이름, 센서 종류,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정보는, 센서 ID 및 센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상태는, 동작 기간, 동작 임계값, 동작 상태 및 동작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다양한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정보를 다양한 응용예, 다양한 설정, 그룹 개념, 센서 값의 범위 설정등을 일반화함으로써 센싱 정보를 특정 환경에 따라 적절한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적으로 센서를 활용한 장치 통제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럭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의 센싱 정보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ML 기반의 센싱 정보 처리 결과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그것의 예시적인 것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식별번호는 도면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과 함께 참고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싱 정보 처리 장치는, 수집부(110), 판단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한다. 복수의 센서는 그룹화되거나 그룹화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되고,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값은 센서의 종류 및 센서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수집부(110)에 의해서 수집된다. 수집부(110)는 복수의 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집부(11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수집부(110)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판단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서 수집된 센싱값을 분석한다. 즉, 특정 장소에서 수집된 다양한 종류의 센싱 정보(온도, 습도, CO2 농도 등)를 다양한 센서에 의해서 센싱되고, 동일한 센서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예를 들어 장소 A에 온도 센서 2개, 장소 B에 온도 센서 3개) 또한 이들 장소에 따라, 센싱 값에 따라 또 다른 통제가 필요해진다.
동일한 장소에서 복수의 센서를 통해서 동일한 종류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각각의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값은 동일한 값을 갖지 않을 수 있으므로, 판단부(130)는 수집된 센싱값을 분석하여 특정 장소에서 특정 종류의 센싱 정보를 표준화시킨다.
또한, 수신된 센싱값이 아날로그 값일 경우에는 신호 처리를 위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를 신호가 처리가 용이하도록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한다.
판단부(130)는 분석된 센싱값을 기 저장된 관리 조건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실행 동작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부(130)는 센싱값을 분석하여 표준화 데이터 신호로 분석하는 분석 모듈(131), 센싱값에 따라 대응되는 관리 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조건 관리 모듈(133) 및 분석된 센싱값과 관리 조건에 따라 판단된 실행 동작을 관리하는 로그 관리 모듈(135)을 더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들에서 의해서 센싱된 값이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신된다. 기 저장된 XML 형태로 정의된 관리 조건과 센싱값을 비교하여 센서가 설치된 장소와 일치하는 장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고, 일치되는 경우에 정의된 행동을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비쿼터스 센싱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는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 그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것은 그룹화된 그룹 정보, 각 그룹별로 센서의 정보, 센서의 조건등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함으로써 특정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행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때 적절한 장소에 적절한 대응 명령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관리 조건 명령은, 헤더값과 센서 그룹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헤더값은 플랫폼에 대한 값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플랫폼의 등록일자, 플랫폼 ID 및 플랫폼 이름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그룹값은 센서 그룹 정보, 센서 정보 및 센서 상태를 포함한다.
한편, 센서 그룹 정보는, 센서 그룹 ID, 센서 그룹 이름, 센서 종류, 센서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정보는 분석부에 의해서 분석됨으로 XML 형식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기 저장된 관리 조건 데이터와 비교된다.
센서 그룹 정보에 포함된 센서 종류, 센서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센싱값이 어느 장소에서 어떠한 센서 종류에 의해서 센싱된 값인지를 분석하게 되고, 분석된 값은 관리 조건 명령에 저장된 센서 상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제어부(150)가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센서 정보는, 센서 ID 및 센서 위치를 포함한다. 즉,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ID는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동일한 종류의 센서 사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센서가 다른 장소에서 센싱 값을 송신하여 올 경우에는 센서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센서 위치 정보를 통해서 분석한다.
또한, 센서 상태는, 동작 기간, 동작 임계값, 동작 상태 및 동작 내용을 포함한다.
이때 동작 기간은, 센서의 동작 기간을 의미한다. 센서가 동작하는 시간은 동작 개시 시간과 동작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다.
동작 임계값은 특정 센서에 의해서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대응하는 장치가 어떤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값이다.
동작 상태는 해당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동작 내용은 해당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값의 속성에 대응한 구체적인 동작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럭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복수의 센서로부터(201) 발생하는 센싱 값을 게이트 웨이(202)를 통해서 수신받아서 이를 주기적으로 서버(203)에 전송한다. 서버(203)에서는 조건 관리 모듈(204)에 저장된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센싱 값과 비교하여 센싱값의 속성을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센싱값이 정상 값의 범위에 속하면 로그 관리 모듈에 저장하고, 비정상인 경우에는 SMS(207)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장치 작동을 위하여 컨트롤러(206)에 조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조건 정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XML 형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의 센싱 정보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관리 구조는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건 정보의 전체 구조(310)는 헤더 및 센서 그룹으로 구성된다. 헤더는 등록일, 플랫폼 ID, 플랫폼 명으로 구성된다. 센서 그룹은 센서 그룹 종류별로 반복될 수 있으나, 해당 센서 그룹(340)은 그룹 정보, 센서 정보, 조건을 포함한다.
해당 센서 그룹이 어떤 그룹에 속하는 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그룹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타 센서 그룹과 식별한다. 즉, 그룹 이름, 센서 종류를 기초로 하여 해당 센서 그룹이 타 센서 그룹과 식별될 수 있다.
해당 그룹에 속하는 센서 리스트는 반복적으로 센서 정보에 대해서 기술한다. 조건은 해당 센서가 기간, 값, 상태, 행동 등을 포함한다. 센싱값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해당 조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센서 그룹에 조건 항목에 포함된 동작 항목을 구성하는 전화번호(32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SMS 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3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실행 장치의 ID로 실행 장치를 식별하고, 제어 명령어를 해당 실행 장치로 전송한다. 만약 센싱 값이 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ML 기반의 센싱 정보 처리 결과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XML 기반의 조건 정보 구조는, 제1 root로 header와 sensorActionGroup으로 구성된다. header의 하위 root는 registrationDate, PlatformID 및 PlatformName으로 구성된다.
sensorActionGroup은 groupInfo, sensorInfo 및 conditions으로 하위 root를 구성한다. groupInfo의 하위 root는 groupID, groupName, sensorType 및 locationName으로 구성된다.
sensorInfo의 하위 root는 sensorID와 sensorLocation으로 구성된다.
condition 항목의 하위 root는 duratio, value, status 및 action으로 구성된다. duration은 durationType으로 start와 end의 정보값을 포함한다. value는 센싱값과 비교되는 기준값으로 valueType은 기준값보다 low 또는 high의 값을 포함한다.
action은 센싱값이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나서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message를 전송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해서 phoneNumber를 저장하며, contoller가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수신할 장치의 deviceID 및 comman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N 시스템을 설치한 환경에서 센서값에 따라 어떤 행동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해서 기존에는 센서가 n개 있으면, n개 전체에 대하여 어떤 행동을 정의하지만, 본 발명에 따를 경우에는 그룹으로 하여 1개만 행동을 제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뿐만 아니라 센싱 값에 따라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조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센서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보편적인 동작 프레임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유비쿼터스 센싱 정보 처리 방법은,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S510), 센싱값을 분석하는 단계(S521), 관리 조건과 비교하여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S52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25),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526) 및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한다. 센싱값은 주기적으로 수신한다(S510). 수신된 센싱값은 관리 조건과 비교하기 위해서 XML 데이터 형식으로 분석한다(S521). 분석된 센싱값은 기 저장된 관리 조건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실행 동작을 판단한다(S523).
수신된 센싱값이 관리 조건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정상 조건에 속할 경우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에, 수신된 센싱값이 관리 조건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비정상 조건에 속할 경우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이므로,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실행 동작을 판단한다(S523-Y).
구체적으로, 센싱값과 관리 조건을 비교하여 센싱 값을 판단하는 단계(S523)는, 센싱값을 XML 데이터 형식으로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며, 센싱값 분석의 결과와 관리 조건을 서로 비교하여 정상일 경우(S523-N)에는 센싱값의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6). 비정상일 경우(S523-Y)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 생성한다(S525). 생성된 제어 신호는 컨트롤러로 전달되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실행 장치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S530).
예를 들어, 복수의 온도 센서를 통해서 수신된 센싱 값을 분석하여 온도 센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온도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센싱값을 관리 조건과 비교한다. 제1 온도 센서는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는 21℃라고 가정한다. 제2 온도 센서는 제2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는 18℃라고 가정한다. 제3 온도 센서는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제3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는 19℃라고 가정한다.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분석하여 제1, 3 온도 센서는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것이므로 이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각각의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값을 관리 조건의 기준 값과 비교한다. 관리 조건은 온도가 20℃ 내지 25℃ 일 경우에는 제1 동작으로 셋팅되어 있고, 온도가 20℃미만일 경우에는 제2 동작으로 셋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3 온도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는 각각 21℃와 19℃이므로 기준 값과 비교해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동시에 충족한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메세지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할 수 있다.
메세지 알람 이후에 제1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동작에 대한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서 별도의 지시를 기다린다. 또는 제1 동작이 정상 영역일 때 수행되는 동작이고, 제2 동작이 온도가 낮을 때 수행되는 동작일 경우에는 먼저 제2 동작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온풍기를 가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동작이 충돌할 경우에는 어느 동작을 우선하여 수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리 조건은 기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 값을 산술평균처리하여 센서 값을 갱신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 값 중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을 이용하여 센서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센서 값중 최고값 또는 최소값으로 센싱 값을 갱신하여 극단적인 조건을 가정하여 이벤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는 관리 조건을 설정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여 그룹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식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110 : 수집부 130 : 판단부
131 : 분석 모듈 133 : 관리조건 저장모듈
135 : 로그 관리 모듈 150 : 제어부

Claims (12)

  1.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따라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동일 장소에서 획득한 동일 종류의 센싱 정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관리 조건을 저장하는 관리 조건 저장 모듈 및
    상기 센싱값 분석 결과와 상기 관리 조건을 비교하여 정상일 경우에는 로그 정보를 저장하고, 비정상일 경우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로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 그룹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조건는,
    헤더값과 센서그룹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값은 등록일자, 플랫폼 ID 및 플랫폼 이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그룹값은 센서 그룹 정보, 센서 정보 및 센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그룹 정보는, 그룹 ID, 그룹 이름, 센서 종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센서 ID 및 센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상태는, 동작 기간, 동작 임계값, 동작 상태 및 동작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7. 복수의 센서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센싱값을 분석하고, 관리 조건에 따라 실행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장치로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동일 장소에서 획득한 동일 종류의 센싱 정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는 단계와,
    관리 조건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값 분석 결과와 상기 관리 조건을 비교하여 정상일 경우에는 로그 정보를 저장하고, 비정상일 경우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조건은, 헤더값과 센서그룹값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값은 등록일자, 플랫폼 ID 및 플랫폼 이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그룹값은 센서 그룹 정보, 센서 정보 및 센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그룹 정보는, 그룹 ID, 그룹 이름, 센서 종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센서 ID 및 센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상태는, 동작 기간, 동작 임계값, 동작 상태 및 동작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방법.
KR1020120029250A 2012-03-22 2012-03-2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5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250A KR101355455B1 (ko) 2012-03-22 2012-03-2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250A KR101355455B1 (ko) 2012-03-22 2012-03-2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56A KR20130107456A (ko) 2013-10-02
KR101355455B1 true KR101355455B1 (ko) 2014-02-12

Family

ID=4963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250A KR101355455B1 (ko) 2012-03-22 2012-03-2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242A (ko) 2016-11-08 201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26B1 (ko) * 2014-04-03 2015-02-23 (주)대은 Plug-in 타입의 무선 USN 장치
KR101650423B1 (ko) * 2014-11-25 2016-08-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통합 관리에 의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JP7069944B2 (ja) * 2018-03-28 2022-05-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環境検出装置、環境検出システム、環境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078715A1 (de) * 2018-10-17 2020-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Umsetz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setzung von zyklischer und ereignisbasierter datenkommunikation
KR102401203B1 (ko) * 2020-03-20 2022-05-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노지형 스마트 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151A (ko) * 2008-06-24 2010-0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151A (ko) * 2008-06-24 2010-0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242A (ko) 2016-11-08 201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5419B1 (ko) * 2016-11-08 2019-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56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455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100976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density of data surrounding an event
US9415514B2 (en) System to monitor/analyze robot related information and display on a smart device
US8635307B2 (en) Sensor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1137484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 stack emulation, monitoring, and control
US10359771B2 (en) Prediction of false alarms in sensor-based security systems
KR101725659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0979783B1 (ko)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CN103685442A (zh) 使用云架构的远程工业监视
US88246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ound in a process system
US11817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US11275643B2 (en) Dynamic configuration of anomaly detection
KR101208857B1 (ko)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노드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77501A1 (en) Wireless sensor network
EP31542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olicy-based m2m terminal device monitoring and control
JP2018010430A (ja) 制御システムの遠隔監視を行う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0051452B2 (e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environment abnormality
WO2018193571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モデル学習方法およびモデル学習プログラム
KR20100073889A (ko) 무선인식 시스템과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 미들웨어 장치
JP2012037991A (ja) 予測装置、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4199A (ko) 제어 명령 분석 기반 IoT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64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56972A1 (en) Web of thins plug-in system
KR101950374B1 (ko) 비표준 프로토콜 역공학 분석 장치
US10740214B2 (en) Management computer,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