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55B1 - 흙막이 가시설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55B1
KR102084355B1 KR1020190082396A KR20190082396A KR102084355B1 KR 102084355 B1 KR102084355 B1 KR 102084355B1 KR 1020190082396 A KR1020190082396 A KR 1020190082396A KR 20190082396 A KR20190082396 A KR 20190082396A KR 102084355 B1 KR102084355 B1 KR 10208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pile
pile
support
thumb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환
Original Assignee
오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환 filed Critical 오창환
Priority to KR102019008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터파기 공사시 굴착된 벽면이 토압(F)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흙막이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굴착 바닥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설된 엄지말뚝(100)과,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 사이에 적층되게 삽입된 토류판(200)과, 상기 엄지말뚝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류판의 측단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본 발명은 터파기 공사시 굴착된 벽면이 토압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흙막이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 등을 지하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공토대가 되는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는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터파기 공사시 토압에 의해 굴착된 벽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흙막이 가시설이 설치된다.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은 굴착 바닥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설된 에이치빔 형태의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 사이에 적층되게 삽입된 토류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굴착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엄지말뚝과 토류판에 작용하는 토압이 크게 상승하게 되므로, 종종 과도한 토압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이 굴착부 내측을 향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면서 엄지말뚝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엄지말뚝이 굴착부 내측으로 좌굴되면서 흙막이 가시설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용적률 확보 및 지가상승의 요인으로 인하여 좁은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지하굴착 심도 깊이를 더욱 깊게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흙막이 가시설에 대한 강도 보강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185599 B1
본 발명은 큰 토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엄지말뚝이나 토류판의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굴착 바닥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설된 엄지말뚝과,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 사이에 적층되게 삽입된 토류판과, 상기 엄지말뚝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류판의 측단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류판은 내측으로 수평되게 끼워지고 양단이 각각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강도보강용 지지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일정간격들 두고 고정된 상부지지브라켓과 하부지지브라켓 및 상기 상부지지브라켓과 하부지지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된 제1턴버클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엄지말뚝의 양측부에 토류판의 측단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기 토류판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큰 토압을 받더라도 엄지말뚝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면서 쉽게 붕괴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분해사시도로서, 강도보강용 지지볼트가 더 구비된 도면;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인장부재가 구비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제1지지부재가 구비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사시도로서, 제2지지부재가 구비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게이지 평면도;
도 8는 도 6의 사용상태 평단면도로서, 보조지지말뚝가 구비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정면도로서, 토압감시부재가 구비된 도면;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은 엄지말뚝(100)과 토류판(200)과 미끄럼 방지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엄지말뚝(100)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빔으로서, 굴착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토류판(200)은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100) 사이에 적층되게 삽입된 패널로서, 토압(F)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엄지말뚝(100)과 토류판(200)은 종래의 엄지말뚝과 토류판과 대비할 때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0)는 엄지말뚝(100)의 양측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0)는 마찰력이 높으면서 강도가 우수하고 자체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나 공업용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재(300)는 엄지말뚝(100)에 끼워지는 상기 토류판(200)의 측단을 긴밀하게 감싸주게 되며, 상기 토류판(200)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0)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큰 토압(F)을 받아 굴착부를 향해 휘어지거나 손상되더라도 엄지말뚝(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0)로 인하여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면서 과도한 토압(F)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붕괴되지 않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류판(200)은 내측으로 수평되게 끼워지고 양단이 각각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100)에 고정되는 강도보강용 지지볼트(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류판(200)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지지볼트(210)가 통과하는 제1통과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엄지말뚝(100)에는 상기 지지볼트(210)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볼트(210)는 엄지말뚝(100)의 제1관통공(110)을 통과한 지지볼트(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230)를 통해 엄지말뚝(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엄지말뚝(100)의 제1관통공(110)에는 상기 지지볼트(210)의 머리부와 너트(230)가 엄지말뚝(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토류판(2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안착홈(120)이 형성된다.
한편, 미끄럼 방지부재(300)가 구비된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0)에는 지지볼트(21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토류판(200)에 상기 강도보강용 지지볼트(210)가 구비되면 토류판(200)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향상되므로 토류판(200)에 과도한 토압(F)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붕괴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엄지말뚝(10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부재(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장부재(400)는 엄지말뚝(100)의 전면에 일정간격들 두고 고정된 상부지지브라켓(410)과 하부지지브라켓(420),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브라켓(410)과 하부지지브라켓(420)에 양단이 고정된 제1턴버클 지지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인장부재(400)는 엄지말뚝(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장력(F1)을 부여하여 상기 엄지말뚝(100)이 토압(F)에 의해 쉽게 좌굴되지 않도록 엄지말뚝(100)의 강도를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시공시 실제 엄지말뚝(100)에 작용하는 토압(F)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인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해가면서 엄지말뚝(100)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전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10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된 제1지지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마주하는 엄지말뚝(100)의 상부 전면에 각각 동일높이로 고정된 고정브라켓(510)과, 상기 고정브라켓(510)들에 양단이 고정된 제2턴버클지지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엄지말뚝(10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토압(F)에 대항하는 지지력(F2)을 부여하여 상기 엄지말뚝(100)이 토압(F)에 의해 쉽게 좌굴되지 않도록 엄지말뚝(100)의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제2턴버클지지대(520)를 이용하여 엄지말뚝(100) 사이의 거리 및 엄지말뚝(100)에 작용하는 토압(F)에 맞추어 시공현장에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해 가면서 엄지말뚝(100)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은 엄지말뚝(100)의 중앙에 대하여 토압(F)에 대항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력(F3)을 독립적으로 부여하는 제2지지부재(6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외측으로 매설되는 지지말뚝(610)과, 상기 엄지말뚝(1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말뚝(610)에 설치된 구동모터(620)와, 상기 구동모터(620)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너트부재(630)와, 상기 너트부재(630)와 체결되도록 상기 엄지말뚝(100)의 중앙에 고정되는 나사봉(640)과, 상기 구동모터(620)와 너트부재(630)와 나사봉(640)을 감싸 토사로부터 격리시켜 보호하는 제1케이스(650)와 제2케이스(6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650)와 제2케이스(660)는 지지말뚝(610)에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터(6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은 제1케이스(650)를 통과하여 지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구동모터(620)가 동작되면 너트부재(630)가 회전하면서 나사봉(640)과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체결력을 통해 엄지말뚝(10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토압(F)에 대항하는 지지력(F3)을 부여하여 상기 엄지말뚝(100)이 토압(F)에 의해 쉽게 좌굴되지 않도록 엄지말뚝(100)의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구동모터(620)를 이용하여 실제 엄지말뚝(100)에 작용하는 토압(F)에 맞추어 시공현장에서 너트부재(630)와 나사봉(640)과의 체결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해 가면서 엄지말뚝(100)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강도가 가장 취약한 엄지말뚝(100)의 중앙에서 지지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엄지말뚝(100)의 강도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상기 엄지말뚝(10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제1지지부재(500)를 통해 효과적으로 엄지말뚝(100)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재(500)와는 달리 각각의 엄지말뚝(10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각기 다른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토압(F)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재(600)가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엄지말뚝(100)에 과도한 토압(F)이 작용하여 엄지말뚝(100)의 중앙부위가 좌굴되는 경우, 굴착된 벽면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커지므로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게이지(6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게이지(670)는 하단이 상기 제1케이스(650)이 상단에 밀착되도록 매설된 관찰용 파이프(671)와, 상기 관찰용 파이프(671)의 내부에 끼워져 구동모터(620)의 상단에 고정된 수직봉(672)과, 상기 수직봉(672)의 상단에 부착된 니들(6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650)에는 수직봉(672)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651)이 형성된다.
상기 관찰용 파이프(671)의 상단에는 니들(673)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부(67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게이지(670)가 구비되면, 작업자는 상기 니들(673)의 위치 변화를 통해 구동모터(620)의 위치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구동모터(620)의 위치변화를 통해 엄지말뚝(100)의 좌굴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즉, 게이지(670)가 굴착부 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엄지말뚝(100)에 좌굴이 발생하여 중앙부위가 상기 게이지(670)가 이동한 거리만큼 굴착부 내측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하므로 작업자는 게이지(670)의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너트부재(630)와 나사봉(640)과의 체결을 추가로 진행시켜 엄지말뚝(100)을 지지말뚝(610)측으로 당겨서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엄지말뚝(100)의 강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찰용 파이프(671)의 상단에는 굴착부 방향과 그 반대방향에 각각 지시액이 담겨진 캡슐(675)이 고정되고, 상기 게이지(670)에는 상기 캡슐(675)에 대응되도록 고정핀(676)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지(670)가 설정거리 이상으로 비정상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핀(676)이 캡슐(675)에 구멍을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캡슐 밖으로 지시액이 유출되면서 관찰용 파이프(671)의 상단을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 지시액은 야간에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광 또는 야광물질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눈금표시부(671)로 유출되는 지시액을 보고 엄지말뚝(100)에 큰 좌굴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굴착된 벽면이 붕괴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핀(676) 외부에는 천재질의 지시부(677)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지시부(677)는 상기 고정핀(676)이 캡슐(675)에 구멍을 형성하여 지시액이 외부로 유출 시 지시부(677)에 흡수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캡슐(675)의 천공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시액과 지시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말뚝(610)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말뚝(610)의 주변에는 연결프레임(710)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복수의 보조지지말뚝(700)이 더 매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말뚝(610)은 상기 연결프레임(71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지지말뚝(700)은 지지말뚝(610)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원형 또는 사각형 등 굴착부 형상에 따라 굴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710) 통해 인접한 보조지지말뚝(700)끼리 연속적으로 연결되면, 보조지지말뚝(70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면서 지지말뚝(610)의 구조적 강도도 동반 상승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 이상의 토압(F)이 작용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토압감시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압감시부재(800)는 토류판(200)에 기준 이상의 토압(F)이 작용할 경우 수축되면서 유로가 폐쇄되는 토압감지호스(810)와, 상기 토압감지호스(810)에 복수로 구비된 유체배출구(820)와, 상기 유체배출구(820) 단부에 설치된 밸브(8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토류판(200a)은 마주하는 한 쌍의 판재(201)와 상기 판재(201)들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2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압감지호스(810)는 토류판(200a)의 상부에서 상기 판재(201)들 사이로 삽입되어 인접한 엄지말뚝(100)들의 하부와 상부를 번갈아 가면서 경유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토류판(200a)으로 연장 설치되며, 내부에는 물과 같이 흐름성이 좋은 유체가 채워진다. 상기 인접한 엄지말뚝(100)들의 하부와 상부에는 토압감지호스(810)가 통과하는 제2관통공(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토류판(200)에는 상기 유체배출구(820)가 굴착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유체배출구(820)가 통과하는 통과공(2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830)는 굴착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유체배출구(820)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토압감시부재(800)가 구비되면, 기준 이상의 토압(F)이 토류판(200a)에 작용할 경우에 탄성지지부재(240)가 압축되면서 판재(201)와 판재(201)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토압감지호스(810)가 압착되면서 유로가 폐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밸브(830)를 차례로 개방시켜 가면서 유체의 배출 유무 또는 배출상태를 통해 기준 이상의 토압(F)이 작용하는 부위가 어느 곳인지를 쉽고 정확하게 유추해 낼 수 있게 되며, 해당 부위의 엄지말뚝(100) 및 토류판(200a)의 강도를 보강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함으로써 굴착된 벽면이 붕괴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엄지말뚝 200: 토류판
210; 지지볼트 300; 미끄럼 방지부재
400; 인장부재 410; 상부지지브라켓
420; 하부지지브라켓 430; 제1턴버클 지지대

Claims (3)

  1. 굴착 바닥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설된 엄지말뚝;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 사이에 적층되게 삽입된 토류판; 및 상기 엄지말뚝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류판의 측단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류판은 내측으로 수평되게 끼워지고 양단이 각각 측방으로 마주하는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강도보강용 지지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엄지말뚝의 중앙에 대하여 토압에 대항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독립적으로 부여하는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엄지말뚝의 외측으로 매설되는 지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말뚝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체결되도록 상기 엄지말뚝의 중앙에 고정되는 나사봉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나사봉을 감싸 토사로부터 격리시켜 보호하며 상기 지지말뚝에 고정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되면 상기 너트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봉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력을 통해 상기 엄지말뚝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토압에 대항하는 지지력을 부여하여 상기 엄지말뚝의 강도를 향상시켜 주도록 하며,
    상기 엄지말뚝에 기 설정 이상의 토압이 작용하여 상기 엄지말뚝의 중앙부위가 좌굴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게이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게이지는 하단이 상기 제1케이스이 상단에 밀착되도록 매설된 관찰용 파이프와, 상기 관찰용 파이프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구동모터의 상단에 고정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부착된 니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수직봉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찰용 파이프의 상단에는 상기 니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찰용 파이프의 상단에는 굴착부 방향과 그 반대방향에 각각 지시액이 담겨진 캡슐이 고정되고, 상기 게이지에는 상기 캡슐 상기 게이지가 상기 캡슐측으로 이동 시 상기 캡슐을 파쇄하는 고정핀이 부착되는,
    흙막이 가시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일정간격들 두고 고정된 상부지지브라켓과 하부지지브라켓 및 상기 상부지지브라켓과 하부지지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된 제1턴버클 지지대로 구성된 흙막이 가시설.
KR1020190082396A 2019-07-09 2019-07-09 흙막이 가시설 KR10208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6A KR102084355B1 (ko) 2019-07-09 2019-07-09 흙막이 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6A KR102084355B1 (ko) 2019-07-09 2019-07-09 흙막이 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55B1 true KR102084355B1 (ko) 2020-03-03

Family

ID=6993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96A KR102084355B1 (ko) 2019-07-09 2019-07-09 흙막이 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94B1 (ko) * 2007-05-23 2007-09-05 김유진 배수 및 차수기능이 구비된 토류판
KR101176592B1 (ko) * 2011-10-10 2012-08-24 전혜관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101185599B1 (ko) 2009-06-25 2012-09-24 이동정 흙막이공사용 토류벽 시공장치
KR101221118B1 (ko) * 2012-06-28 2013-01-11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흙막이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94B1 (ko) * 2007-05-23 2007-09-05 김유진 배수 및 차수기능이 구비된 토류판
KR101185599B1 (ko) 2009-06-25 2012-09-24 이동정 흙막이공사용 토류벽 시공장치
KR101176592B1 (ko) * 2011-10-10 2012-08-24 전혜관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101221118B1 (ko) * 2012-06-28 2013-01-11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흙막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42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US7661908B1 (en) Trench shield with adjustable vertical panels
KR100743424B1 (ko) 안전진단 구조물이 설치된 도로의 옹벽
KR102084355B1 (ko) 흙막이 가시설
KR100610563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 구조
JP2023077355A (ja) 土留め支保工
KR100593184B1 (ko) 보강토 옹벽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2088161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KR100749329B1 (ko) 도로 옹벽 변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20170035575A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CN209798770U (zh) 一种具有减震结构的建筑基坑支护组合桩
US20160340853A1 (en) Interlocking Shoring Panels
KR100618650B1 (ko) 건축공사용 경고가능 토류판
CN110984252A (zh) 用于智能监测深基坑稳定性的系统
KR101242206B1 (ko) 터널 붕락 방지구
KR102653012B1 (ko)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US20100104378A1 (en) Temporary safety box for assistance in excavation of foundation
KR102276810B1 (ko) 흙막이 구조물, 토류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042878A (ko) 흙막이 관측용 토류판 설치구조
US20100209199A1 (en) Interlocking shoring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7397933B1 (ja) 浅堀掘削溝用土留め装置
KR102087551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Berg et al. Effects of Pile Driving Through a Full-Height Precast Concrete PanelFaced, Geogrid-Reinforced,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