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247B1 -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247B1
KR102084247B1 KR1020130118801A KR20130118801A KR102084247B1 KR 102084247 B1 KR102084247 B1 KR 102084247B1 KR 1020130118801 A KR1020130118801 A KR 1020130118801A KR 20130118801 A KR20130118801 A KR 20130118801A KR 102084247 B1 KR102084247 B1 KR 10208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ound trip
user terminal
trip time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162A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2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패킷식별부와, 패킷식별부가 식별한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을 산출하는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와,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가 산출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하는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Method and system for judgment over load base station by packet distinguish based on 3 way handshake}
본 실시예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모바일 트래픽의 8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주요 이용 서비스는 웹 트래픽과 같은 짧은 데이터 프로우를 생성하고 없어지는 트래픽들이다.
종래의 TCP 플로우에 따른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신호 송수신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네트워크가 접속될 때 TCP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본격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3방향 핸드셰이크(3 way handshake)라는 미리 정의된 규칙이 사전에 선행된다.
그 첫 번째 단계로서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SYN 패킷(접속 동기화 메시지)을 송신한다. 서버에서는 단말로부터 SYN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는 SYN와 ACK가 혼합된 패킷(접속 동기화 및 접속 확인 메시지)을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SYN와 ACK가 혼합된 패킷을 수신시,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다시 서버로 ACK 패킷을 송신하게 되며, 이후로부터 연결이 이루어지고 본격적으로 데이터가 교환된다.
그러나, 상술한 3방향 핸드셰이크 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과부하 기지국을 판단함으로써 접속지역의 네트워크 혼잡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3방향 핸드셰이크 과정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산출하여 과부하 기지국을 판단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패킷식별부와, 상기 패킷식별부가 식별한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을 산출하는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와, 상기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가 산출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하는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은 기지국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가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하는 송수신률 산출부와,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상기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하는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가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하는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와,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하는 단말기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하는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와,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가 인식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대역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식별부는 업 링크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SYN 패킷과 상기 서버가 응답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의 쌍을 식별하고, 다운 링크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는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의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에 있어서,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은 기지국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상기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과정은, 업 링크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SYN 패킷과 상기 서버가 응답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의 쌍을 식별하고, 다운 링크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는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3방향 핸드셰이크 과정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산출하여 과부하 기지국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접속지역의 네트워크 혼잡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후에 수행되는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 판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후에 수행되는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 분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후에 수행되는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3 way handshake) 기반 패킷(packet)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는, 패킷식별부(110),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120),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130), 송수신률 산출부(140),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150),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160), 단말기 분류부(170),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180), 및 대역폭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식별부(110)는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접속 동기화 메시지, Synchronous) 패킷, SYN과 ACK(접속 확인 메시지, Acknowledge)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한다. 3방향 핸드셰이크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가 서로 송수신하는 절차를 일컫는다. 패킷식별부(110)는 업 링크시(uplink)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로 송신하는 SYN 패킷과, 서버가 응답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의 쌍을 식별한다. 다운 링크시(downlink)에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SYN과 ACK의 혼합 패킷과,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는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한다.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120)는 패킷식별부(110)가 식별한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 (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 RTT)을 산출한다. 라운드 트립시간은 기지국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일 수 있다.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130)는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120)가 산출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130)는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다. 라운드 트립시간이 클수록 과부하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설정시간은 과부하를 판단하는 기준시간이다.
송수신률 산출부(140)는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130)가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이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한다. 특정 기지국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와 송수신하므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다른 송수신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률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지국을 통해 서버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의 평균값이 필요하다. 송수신률은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150)는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150)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한다. 제1 설정값은 과부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과 평균 송수신률의 차이값이다.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160)는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130)가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한다. 특정 기지국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와 송수신하므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다른 라운드 트립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지국에 대한 라운드 트립시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지국을 통해 서버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이 필요하다.
단말기 분류부(170)는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말기 분류부(170)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한다. 제2 설정값은 경계지역 위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과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의 차이값이다.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18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라운드 트립시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한다.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인식하는 이유는, 과부하를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함이다.
대역폭 제어부(190)는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180)가 인식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bandwidth)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킨다.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과부하 정도가 큰 사용자 단말기부터 과부하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나, 편의상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도 3 관련)뿐만 아니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 판단장치(도 4 관련), 위치 사용자 단말기 분류장치(도 5 관련), 및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도 6 관련)가 모두 포함된 하나의 장치로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이 송수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업 링크시에 사용자 단말기(210)에서 서버(220)로 SYN 패킷을 송신하고, 서버(220)에서는 SYN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다운 링크시에 서버(220)에서 사용자 단말기(210)로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을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10)에서는 SYN을 수신하여 서버(220)로 ACK 패킷을 송신한다. RTTu는 업 링크시의 라운드 트립시간이고, RTTd는 다운 링크시의 라운드 트립시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방향 핸드셰이크(3-way handshake) 기반 패킷(packet)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은, S310 내지 S340을 포함한다.
먼저, 패킷식별부에서,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한다(S310).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에서,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 (Round Trip Time)을 산출한다(S320).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에서,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30).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에서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다(S340). 그러나, S330에서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 S310을 수행한다.
S3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는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 판단방법, 및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 분류방법은 각각 도 4, 도 5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이후에 수행되는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 판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 판단방법은, S410 내지 S430을 포함한다.
먼저, 송수신률 산출부에서,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한다 (S410).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에서,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지를 판단한다(S420).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한다(S430). 그러나, S420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크지 않은 경우, S410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3의 이후에 수행되는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 분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 분류방법은, S510 내지 S530을 포함한다.
먼저,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에서,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한다(S510).
단말기 분류부에서,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지를 판단한다(S520).
단말기 분류부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한다(S530).
S5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는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도 6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이후에 수행되는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S610 내지 S620을 포함한다.
먼저,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에서,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한다(S610).
대역폭 제어부에서,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킨다(S620).
도 3 내지 도 6에서는 과정 S310 내지 과정 S62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내지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310 내지 과정 S62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내지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패킷식별부
120 :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
130 :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
140 : 송수신률 산출부
150 :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
160 :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
170 : 단말기 분류부
180 :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
190 : 대역폭 제어부
210 : 사용자 단말기
220 : 서버

Claims (12)

  1.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패킷식별부;
    상기 SYN 패킷,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 상기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을 산출하는 제1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하는 과부하 기지국 판단부;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하는 제2 라운드 트립시간 산출부;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하는 단말기 분류부;
    상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하는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 및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비교부가 인식한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대역폭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은 기지국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하는 송수신률 산출부; 및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상기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하는 과부하 단말기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식별부는 업 링크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상기 SYN 패킷과 상기 서버가 응답하는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의 쌍을 식별하고, 다운 링크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는 상기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7.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의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에 있어서,
    기지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SYN 패킷, SYN과 ACK의 혼합 패킷,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SYN 패킷,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 상기 ACK 패킷의 쌍으로부터 업 링크(uplink) 및 다운 링크(downlink)의 라운드 트립시간(Round Trip Time)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을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하는 과정;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이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 평균값보다 제2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하는 과정;
    상기 경계지역 위치 사용자 단말기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이 큰 순서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대역폭을 설정 대역폭으로 감소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시간은 기지국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라운드 트립시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기지국으로 판단된 해당 기지국 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평균 송수신률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해당 기지국 내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송수신률이 상기 평균 송수신률보다 제1 설정값 이상 큰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과부하 사용자 단말기로 판단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과정은, 업 링크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상기 SYN 패킷과 상기 서버가 응답하는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의 쌍을 식별하고, 다운 링크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상기 SYN과 ACK의 혼합 패킷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는 상기 ACK 패킷의 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KR1020130118801A 2013-10-04 2013-10-04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KR10208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01A KR102084247B1 (ko) 2013-10-04 2013-10-04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01A KR102084247B1 (ko) 2013-10-04 2013-10-04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62A KR20150040162A (ko) 2015-04-14
KR102084247B1 true KR102084247B1 (ko) 2020-03-03

Family

ID=5303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801A KR102084247B1 (ko) 2013-10-04 2013-10-04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2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440A (ja) * 2011-03-10 2012-10-04 Kddi Corp 通信品質測定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374B1 (ko) * 2009-12-30 2016-01-11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셀 경계지역 판단 방법 및 통신상의 간섭을 줄이는 방법
WO2012037707A1 (en) * 2010-09-24 2012-03-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point congestion detection and reduction
KR101718088B1 (ko) * 2011-04-19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의 부하 예측을 기반으로 하는 전력 할당 및 부하 균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3631B1 (ko) * 2011-12-16 2019-09-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품질을 분석하는 방법, 그 단말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440A (ja) * 2011-03-10 2012-10-04 Kddi Corp 通信品質測定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62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270B2 (ja) サービス層サウスバウンド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サービスの質
EP361478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713970B (zh) 一种发送报文的方法、装置、芯片及终端
US83462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point load
US2017037391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090042792A (ko) 파라미터들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453356B (zh) 无线网络双边加速传输方法和系统
KR20150085405A (ko)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혼잡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0719616A (zh) 网络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40024462A (ko)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정체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264079B (zh) 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5530076A (zh) 数据丢包重传优化方法
US10511494B2 (en) Networ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47685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WO2016062005A1 (zh) 机器类通信请求重发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084247B1 (ko) 3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패킷 식별에 의한 과부하 기지국 판단방법 및 과부하 기지국 판단장치
JP2017050869A (ja) 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認証制御方法
JP2017034627A (ja)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790192B1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514960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6789864B (zh) 一种报文防攻击方法及装置
Tanabe et al. vepc optimal resource assignment method for accommodating m2m communications
CN114172977B (zh) 一种传输控制协议tcp代理方法、装置及基站
US11589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haul communications services
CN107306437B (zh) 关联消息处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