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153B1 -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153B1
KR102084153B1 KR1020180014223A KR20180014223A KR102084153B1 KR 102084153 B1 KR102084153 B1 KR 102084153B1 KR 1020180014223 A KR1020180014223 A KR 1020180014223A KR 20180014223 A KR20180014223 A KR 20180014223A KR 102084153 B1 KR102084153 B1 KR 10208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bitstream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387A (ko
Inventor
장석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4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25Transmit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장치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근사화된 왜곡율(distortion-rate)을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transmission data rate)과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각각의 패킷을 코딩 및 변조(coding and modulation)하는 코딩 및 변조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코딩 및 변조된 각각의 패킷을 시공간 코딩(space-time coding)하는 시공간 코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ITSTREAM}
본 발명은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이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고품질, 고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대역폭이 제한된 무선 채널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고속 전송시 발생하는 심벌 간 간섭 및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극복해야만 한다. 또한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채용되고 있다.
MIMO 기술은 크게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로는 채널의 페이딩 환경으로 인한 성능 감소를 줄이기 위해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을 높이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둘째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올리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61873 (2012.06.2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 이러한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transmission data rate)과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고, 이와 같이 결정된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에 따라 코딩된 비트스트림이 전송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장치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근사화된 왜곡율(distortion-rate)을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transmission data rate)과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각각의 패킷을 코딩 및 변조(coding and modulation)하는 코딩 및 변조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코딩 및 변조된 각각의 패킷을 시공간 코딩(space-time coding)하는 시공간 코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 및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이 마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과 상기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에서 1개씩 임의로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선택하여서 상기 복수 개의 패킷마다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 데이터율 및 상기 할당된 공간 다중화율을 상기 근사화된 왜곡율과 결합하여서 각각의 패킷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부가 각각의 패킷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에 대한 패킷 에러율 및 각각의 패킷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사화된 왜곡율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비트 레이트(bit rate)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파라미터가 갖는 복수 개의 값 중에서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왜곡도를 최소화시키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트스트림(bitstream) 전송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에 의하면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근사화된 왜곡율(distortion-rate)을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spectral efficiency)과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각각의 패킷을 코딩 및 변조(coding and modulation)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코딩 및 변조된 각각의 패킷을 시공간 코딩(space-time coding)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되어야 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가 종래보다 경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해석되지는 않는다.
먼저,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안테나 기술이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해당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통신 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는 코딩 및 변조부(coding and modulation)(130), 시공간 코딩부(space-time)(150) 및 결정부(17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패킷화부(110), 다중화부(multiplexer)(190) 및 전송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화부(110)는 비트스트림(10)을 복수 개(예컨대 L개, L은 자연수)의 패킷(111)으로 패킷화(packetizing)한다. 이러한 패킷화부(110)는 프로그레시브 소스 인코더(progressive source encode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아울러, 비트스트림은 프로그레시브 소스 비트스트림(progressive source bitstream) 또는 임베디드 비트열(embedded bitstream)일 수 있다.
패킷화부(110)는 패킷화된 복수 개의 패킷(111)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 배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패킷화부(110)는 패킷(111)의 중요도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복수 개의 패킷(111)을 배열하거나 그 반대로 배열할 수 있으며, 다만 중요도가 아닌 다른 기준에 따라 배열하는 실시예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111)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과정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코딩 및 변조부(130)는 패킷화된 복수 개의 패킷(111) 각각에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131)(transmission data rate)을 적용하여서 코딩 및 변조한다. 각각의 패킷(111)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131)은 소정의 개수, 예컨대 M개(M은 자연수)의 후보 전송 데이터율 중에서 선택된다. 선택의 주체는 결정부(50)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송 데이터율(131)은 스펙트럼 효율성(spectral efficiency)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공간 코딩부(150)는 복수 개의 패킷(111) 각각에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151)(spatial multiplexing rate)을 적용하여서 시공간 코딩을 수행한다. 시공간 코딩이 수행되는 패킷(111)은 코딩 및 변조부(130)에서 코딩 및 변조된 패킷이다. 각각의 패킷(111)에 적용될 공간 다중화율(151)은 소정의 개수, 예컨대 N개(N은 자연수)의 후보 공간 다중화율 중에서 선택된다. 서로 다른 공간 다중화율은 시공간 코딩의 방법이 서로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예컨대 OSTBC(Orthogonal Space Time Block codes) 방식, D-BLAST(Diagonal -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또는 V-BLAST(Vertical -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의 주체는 결정부(50)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코딩 및 변조부(130)와 시공간 코딩부(150) 자체는 패킷(111)을 코딩하고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정부(17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결정부(170)는 복수 개(예컨대 L개)의 패킷(111)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131)과 공간 다중화율(151)을 결정한다. 복수 개의 패킷(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화부(110)에 의해 패킷화된 패킷(111)이다. 만약 복수 개의 패킷(111) 각각에 임의로 1부터 L까지의 순번을 매겼을 때, 1번째부터 L번째 패킷(111) 중 L번째 패킷(111)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131) r* L(α)과 공간 다중화율(151) c* L(α)은 다음과 같이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1
아울러, 수학식 1에서 정의된 전송 데이터율 r* L(α)과 공간 다중화율(151) c* L(α)을 이용해서 L-1번째 패킷(111)부터 차례대로 1번째 패킷(111)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 r* i(α)와 공간 다중화율(151) c* i(α)이 결정부(170)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L-1번째 패킷(111)부터 1번째 패킷(111)의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2
이 때, 수학식 1과 2에서 R은 M개의 후보 전송 데이터율 ri를 원소로 포함하는 후보 전송 데이터율 집합이고, C는 N개의 후보 공간 다중화율 ci를 원소로 포함하는 후보 공간 다중화율 집합을 나타낸다. 1부터 L번째까지의 패킷(111) 각각에는 M개의 후보 전송 데이터율 ri 중 어느 하나가 r1, r2,..., rL과 같이 할당되고, N개의 후보 공간 다중화율 ci 중 어느 하나가 c1, c2,..., cL과 같이 할당되는데, 이러한 할당은 실시예에 따라 각 패킷(111)에 랜덤으로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데이터율 r* i(α)와 전송 데이터율 c* i(α)가 결정되기 위해서는 수학식 1과 2에 나타난 함수 Dp 1,...,L -i+ 1()와 파라미터 α가 정의되어야 한다. 파라미터 α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러한 파라미터 α를 갖는 함수 Dp 1,...,L -i+ 1()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4
은 상수값을 갖는 분산을 나타내며, p(ri,ci)는 전송 데이터율 ri와 공간 다중화율(151) ci를 갖는 i번째 패킷(111)의 패킷 에러율을 나타낸다. 아울러, g(x)는 함수 2- αx를 나타내고, b(ri,ci)는 전송 데이터율 ri와 공간 다중화율(151) ci를 갖는 i번째 패킷(111)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패킷(111)에 대한 패킷 에러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식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학식 1 내지 3을 살펴보면, 1번째 패킷(111)부터 L번째 패킷(111)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 r* i(α)와 공간 다중화율(151) c* i(α)는 파라미터 α에 대해 종속적인 값이다. 여기서 α는 서로 상이한 값을 갖도록 미리 Q개(Q는 자연수) 마련된다. 즉,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5
여기서 α는 비트 레이트(bit rate)에 종속적인 값이다. 예컨대, 비트스트림의 비트레이트가 기준보다 높다면 α=2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비트레이트가 기준과 같거나 낮다면 α>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결정부(170)는 α값이 α1 일 때의 전송 데이터율 r* i1)와 공간 다중화율(151) c* i1)을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α값이 α2부터 αL일 때의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151)을 결정한다. 즉, 수학식 1 내지 3에 따른 과정을 Q회 반복한다.
다음으로, 결정부(170)는 다음의 수학식 5에 따라 Q개의 α 중에서 어느 하나인 α*을 결정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6
여기서, 수학식 5에 나타난 함수 D1,...,L()은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7
그리고, 수학식 5에서 결정된 α*는 아래의 수학식 7에 나타난 α에 대입된다.
Figure 112018012716156-pat00008
여기서, f(x)는 근사화된 왜곡율 함수를 나타낸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실질적인 왜곡도가 아닌 수학식 7에 나타난 근사화된 왜곡율 함수를 이용하여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번째 패킷(111)부터 L번째 패킷(111)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151)이 결정된다. 수학식 1 내지 7을 살펴보면, 비트스트림이 L개의 패킷(111)으로 패킷화될 때, 후보 전송 데이터율이 M개이고 후보 공간 다중화율이 N개이면서 파라미터 α가 Q개 구비된다면, 이러한 L개의 패킷(111)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151)은 L*M*N*Q로 계산된 횟수만큼의 연산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하지 않는다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횟수만큼, 예컨대,(M*N)L의 값에 비례하는 횟수만큼의 연산이 수행되어야 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 L개의 패킷(111) 각각에 적용되어야 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151)을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가 종래보다 경감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다중화부(multiplexer)(190)는 시공간 코딩부(150)에 의해 시공간 코딩이 수행된 패킷을 다중화한다. 여기서, 다중화부(190) 자체의 구성 및 이러한 다중화부(190)에 의해 복수 개의 패킷이 다중화되는 과정 자체는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전송부(195)는 다중화부(190)에 의해 다중화된 패킷을 목적지(destination)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부(19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되어야 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가 종래보다 경감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이 도 2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한정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수행 가능하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비트스트림을 복수 개(예컨대 L개, L은 자연수)의 패킷(111)으로 패킷화(packetizing)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00). 이는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패킷화부(110)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이 때 비트스트림은 프로그레시브 소스 비트스트림(progressive source bitstream) 또는 임베디드 비트열(embedded bitstream)일 수 있다.
아울러, 패킷화부(110)는 패킷화된 복수 개의 패킷(111)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 배열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패킷화부(110)는 패킷(111)의 중요도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복수 개의 패킷(111)을 배열하거나 그 반대로 배열할 수 있으며, 다만 중요도가 아닌 다른 기준에 따라 배열하는 실시예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111)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과정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M개의 후보 전송 데이터율이 마련되고 N개의 후보 공간 다중화율이 마련된다(S110). 이러한 1부터 L번째까지의 패킷(111) 각각에는 M개의 후보 전송 데이터율 ri 중 어느 하나가 r1, r2,..., rL과 같이 할당되고, N개의 후보 공간 다중화율 ci 중 어느 하나가 c1, c2,..., cL과 같이 할당되는데, 이러한 할당은 실시예에 따라 각 패킷(111)에 랜덤으로 일어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부(170)는 L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 r* i와 전송 데이터율 c* i를 결정한다(S130). 결정함에 있어서, 해당 패킷에 대한 패킷 에러율과 해당 패킷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가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코딩 및 변조부(130)는 L개의 패킷 각각에 결정부(170)에 의해 결정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코딩 및 변조를 수행한다(S140).
다음으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시공간 코딩부(150)는 L개의 패킷 각각에 결정부(170)에 의해 결정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시공간 코딩을 수행한다(S150). 여기서, 시공간 코딩이 수행되는 패킷은 단계 S140에서 코딩 및 변조된 패킷일 수 있다.
다음으로,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다중화부는 단계 S150에서 시공간 코딩된 패킷을 다중화하고, 비트스트림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전송부(195)는 이와 같이 다중화된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한다(S160)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Claims (6)

  1.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트스트림(bitstream)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근사화된 왜곡율(distortion-rate)을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transmission data rate)과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각각의 패킷을 코딩 및 변조(coding and modulation)하는 코딩 및 변조부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코딩 및 변조된 각각의 패킷을 시공간 코딩(space-time coding)하는 시공간 코딩부를 포함하며,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 및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이 마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과 상기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에서 1개씩 임의로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선택하여서 상기 복수 개의 패킷마다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 데이터율 및 상기 할당된 공간 다중화율을 상기 근사화된 왜곡율과 결합하여서 각각의 패킷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하는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가 각각의 패킷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에 대한 패킷 에러율 및 각각의 패킷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가 고려되는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사화된 왜곡율은,
    상기 비트스트림의 비트 레이트(bit rate)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파라미터가 갖는 복수 개의 값 중에서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왜곡도를 최소화시키는 값을 결정하는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6. 비트스트림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트스트림(bitstream) 전송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근사화된 왜곡율(distortion-rate)을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킷 각각에 적용될 소정의 전송 데이터율(spectral efficiency)과 소정의 공간 다중화율(spatial multiplexing rate)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전송 데이터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각각의 패킷을 코딩 및 변조(coding and modulation)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각의 패킷에 대한 공간 다중화율을 적용하여서 상기 코딩 및 변조된 각각의 패킷을 시공간 코딩(space-time co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 및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송 데이터율과 상기 복수 개의 공간 다중화율에서 1개씩 임의로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선택하여서 상기 복수 개의 패킷마다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 데이터율 및 상기 할당된 공간 다중화율을 상기 근사화된 왜곡율과 결합하여서 각각의 패킷에 적용될 전송 데이터율과 공간 다중화율을 결정하는
    비트스트림 전송방법.
KR1020180014223A 2017-10-12 2018-02-05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KR102084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2432 2017-10-12
KR1020170132432 2017-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87A KR20190041387A (ko) 2019-04-22
KR102084153B1 true KR102084153B1 (ko) 2020-03-04

Family

ID=6628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223A KR102084153B1 (ko) 2017-10-12 2018-02-05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873B1 (ko) 2004-09-07 2012-07-03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Chang 외, "Optimization of Multimedia Progressive Transmission Over MIMO Channels", IEEE 2015.
S-H. Chang 외, "Optimization of Scalable Broadcast for a Large Number of Antennas", IEEE Trans. Vehicular Technology, 2016.04.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87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6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different services
KR102316775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09539B1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다양한 다중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628900B2 (ja) 非直交アップリンク送信におけるリソースと電力の割り当て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6161910A1 (zh)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CN106464318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的选择性信道反馈方法和装置
US8121207B2 (en) Method for transforming data,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US1155809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7003979A (zh) 用于软件可配置空中接口自适应的系统与方法
US9356738B1 (en) Adaptive data unit transmission and acknowledgment
CN106506131B (zh) 用于周期性传送信道状态信息反馈信息的终端
JP2007194747A (ja)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CN114390579A (zh) 信道状态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
CN109039547B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通信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79121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dvanced networks
JP512925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資源を割り当てる方法および構成
KR20100101541A (ko) 다중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CN115777183A (zh) 用于确定上行链路/下行链路传输块大小以及调制编码方案的方法和装置
WO2017065984A1 (en)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source data for single carrie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CN109429259A (zh) 一种下行信道质量上报方法及用户终端
US10470207B2 (en)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data block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101301428B1 (ko) 통신 장치 및 자원 도출 방법
KR102084153B1 (ko)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TWI416896B (zh) 基於信號先權值與通道可靠度的資料傳輸方法及裝置
CN111246419A (zh) 一种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