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02B1 -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02B1
KR102083502B1 KR1020170104139A KR20170104139A KR102083502B1 KR 102083502 B1 KR102083502 B1 KR 102083502B1 KR 1020170104139 A KR1020170104139 A KR 1020170104139A KR 20170104139 A KR20170104139 A KR 20170104139A KR 102083502 B1 KR102083502 B1 KR 10208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ignal
information
lamp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9363A (en
Inventor
안근택
Original Assignee
안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근택 filed Critical 안근택
Priority to KR102017010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1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조명 장치는 점소등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 및 건물의 벽에 설치된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ighting device is disclosed. Th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memory device that stores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turn o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transmitted from a switch installed in a wall of a building. have.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설치된 조명 설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power by using an existing lighting installation.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건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무용 건물의 경우 전체 전력의 약 25% 정도가 건물 내부의 조명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ave electric energy used in building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in office buildings, about 25% of the total power is reported to be used for lighting inside buildings.

현재 사용되는 조명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어느 회사가 건물 한 층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고 할 때, 위 사무 공간에서 사용되는 조명 장치의 개수는 수십 내지 수백개이다. 통상 이러한 수십 내지 수백개의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십 내지 수백개의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에 여러 개의 조명 장치가 매칭되게 된다.Currently used lighting systems are as follows. For example, if a company is using part of a floor of a building, the number of lighting devices used in the above office space is tens or hundreds. Typically, a switch for controlling such tens or hundreds of lighting devices is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tens or hundreds of lighting devices individually, several lighting devices are matched to one switch.

한편으로 사무 공간에 설치된 조명은 대부분 건물의 건축 당시에 설치된 것이어서, 초기 설치된 조명 장치를 모두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사용하지 않는 빈 공간에 설치된 조명 장치나, 결원이 발생하여 사람이 없는 책상 위의 조명 장치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조명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스위치에 여러 개의 조명 장치가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불필요한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점소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lighting installed in the office space was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o it is not necessary to use all the initially installed lighting devices. For example,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n empty space not used in an office, or a lighting device on a desk without a person due to a vacancy, does not need to be used for a period of time. Since several lighting devices are match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turn on and off these unnecessary lighting devices individually.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그러한 시스템의 설치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 기간 동안 사무실의 운영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설치 후에 조명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무실 사용자의 자체적인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고, 조명 시스템을 설치한 회사의 수리 인력에 의해서만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 유지보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개의 조명장치가 설치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및 중앙제어 방식의 조명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의 기술적 한계 등과 관련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O104552호(2015.9.15.)에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troducing a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can be considered. However, the installation of such a system is expensive and the operation of the office becomes impossible during the installation period. In addition, if a problem occurs in the lighting system after installation, the office user's own problem cannot be solved, and the problem can be solved only by the repair personnel of the company who installed the lighting system.
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oblems caused whe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lighting apparatuses are installed and the technical limitations when introducing a central control lighting control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O104552 ( September 15, 2015).

한편으로 최근에는 스마트 조명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점소등하는 기술로서,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고도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 조명 기술은 수십~수백개의 조명 장치가 배치된 사무용 공간에서는 적절치 않다.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은 1:1 통신이므로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무실에서 사용하지 않는 빈 공간에 설치된 조명 장치나, 결원이 발생하여 사람이 없는 책상 위의 조명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손님이 방문하는 등의 이유로 사무실 공간에 배치된 조명 전체를 점등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오히려 조명 장치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서 전체 점등에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smart lighting technology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The technology of individually turning on and off lighting devic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or ZigBee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ghting devices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without introducing a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However, smart lighting technology is not suitable for office spaces where dozens or hundreds of lighting devices are placed. Since Bluetooth or Zigbee communication is 1: 1 communication, it is only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s individual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lighting devices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not used in the office or the lighting devices on the unattended desk due to the vacancy, but it is arranged in the office space for reasons such as visits by guests. When the whole lighting needs to be turned on, a problem arises that the lighting devices are individually controlled so that the whole lighting takes time.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1대 다수 통신 패턴이 구현되어야 하는데, 1대 다수 통신 패턴의 구현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나 브릿지와 같은 추가적인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결국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지 못하고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과 유사한 개념의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로 귀결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one-to-many communication pattern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s must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lement a one-to-many communication pattern, an additional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gateway or a bridge must be installed. This results in a problem that a separate device with a concept similar to that of a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cannot be used without using exis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고비용의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이나 별도의 통신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의 조명 장치들에 연결된 전원 스위치와 무선 송신기의 혼합 조작을 통해 개별 조명 장치를 독립적으로 점소등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조명 장치 전체를 점소등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lights off individual lighting devices through mixing operation of a power switch and a wireless transmitter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without having to install an expensive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or a separate communication syst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capable of turning off the entir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소등되는 조명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명 장치는, 제1 극성을 수신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수신하는 제2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어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 유닛의 점소등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제1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정보에 기초한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제2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 유닛을 점등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or off using a switch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a ligh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 first terminal for receiving one polarity; A second terminal receiving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A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t least one ligh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lighting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responds to a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mod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Outputt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lighting information to the output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second mod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lighting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irrespective of the lighting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to the output stag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는, 점소등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 및 건물의 벽에 설치된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ve concept, a lighting apparatus (and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may include a memory device configured to store turned-on state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turn o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transmitted from a switch installed in a wall of a build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1 조명 장치를 제1 송신기를 이용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고, 상기 제1 조명 장치에 포함된 제1 제어부에 제1 점소등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제2 조명 장치를 제2 송신기를 이용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고, 상기 제2 조명 장치에 포함된 제2 제어부에 제2 점소등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조명 시스템에 연결된 스위치를 턴 온 하여,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점소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의 점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에 각각 포함된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ve concept, a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ncluding a lighting device may include: turning on or turning off a first lighting device using a first transmitter, and including a first lighting device; Recording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unit; Turning on or off a second lighting device using a second transmitter and recording second lighting information on a second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econd lighting device; Turn on the switch connected to the lighting system to apply power to the first ligh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lighting information, the first lighting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ligh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are turned on include, respectively, the first ligh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It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조명 장치에 포함된 토글 감지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은 송신기 등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3 shows the operation of the toggle detection circuit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4 to 7 schematically illustrate a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8 to 10 schematically illustrate a transmitter registration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inventive concep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specify the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 / or presence of these groups mentioned.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 / 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의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 / or portions, it is obvious that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Do. These terms are not meant to be in any particular order, up, down, or right,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member, region, or region. Thus, the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he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ich schemat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1 schematically shows a lighting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소등되는 조명등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조명 시스템에 삽입되는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는, 교류 전원(1), 교류 전원(1)과 연결된 스위치(2), 및 스위치(2)와 연결되어 교류 전원(1)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조명등 전원(3)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통상의 사무 공간에 설치된 기존 조명 시스템에 연결되어, 건물의 벽면과 같은 공간에 이미 설치된 스위치(2)를 이용하여 점소등되는 구성으로서, 조명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공이나 장비의 추가가 불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device may be a lighting device that is turned on by using a switch installed in a building, and may be a lighting device inserted into an existing lighting system. For example, the lighting device 10 is an AC power source 1, a switch 2 connected to the AC power source 1, and a lighting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switch 2 to convert the AC power source 1 into a DC power source. Can be connected to a lighting system comprising (3). That is,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isting lighting system installed in a normal office space, and is turned on by using a switch 2 already installed in the same space as a wall of a building, and a separate installation for lighting Note that no construction or addition of equipment is necessary.

조명 장치(10)는 제1 단자(T1), 제2 단자(T2), 조명 유닛(L),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T1)는 제1 극성(예를 들어 (+) 극성)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일 수 있고, 제2 단자(T2)는 제2 극성(예를 들어 (-) 극성)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단자(T1) 및 제2 단자(T2)는 교류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일 수도 있다.The light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T1, a second terminal T2, an illumination unit L, and a controller 20. The first terminal T1 may be a terminal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of a first polarity (for example, (+) polarity), and the second terminal T2 may be a terminal of the second polarity (for example, (−) polarity). It may be a terminal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may be terminals for receiving an AC signal.

조명 유닛(L)은 LED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외에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 및 임의의 빛을 방사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조명 유닛(L)은 직류 신호, 교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조명 유닛(L)은 제1 단자(T1) 및 제2 단자(T2)로부터 스위칭 신호(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2)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 및/또는 스위칭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2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신호는 건물의 조명 시스템 내 배선에 의해 전달되는 유선 신호일 수 있다.The lighting unit L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light, in addition to a fluorescent or incandescent light bulb and a module for emitting any light. The lighting unit L may use a direct current signal,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lighting unit L is a control unit based on a switching signal (for example, a signal transmitted by a switch 2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 or a switching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It can be turned on by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20. In one embodiment, the switching signal may be a wired signal transmitted by wiring in a lighting system of a building.

제어부(20)는 제1 단자(T1)와 제2 단자(T2) 사이에 연결되어 조명 유닛(L)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유닛(L)은 제1 단자(T1)와 제어부(2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조명 유닛(L)이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to control the lighting unit L. FIG. For example, the lighting unit L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20, so that the lighting unit L is controlled by a signal output by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20. It can be turned on or off.

제어부(20)는 조명 유닛(L)의 점소등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 소자에는 조명 유닛(L)이 스위치(2)에 의해 턴 오프 되기 전의 점소등 상태 정보가 기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유닛(L)이 스위치(2)에 의해 턴 온 된 상태에서, 조명 유닛(L)이 점등된 상태인 경우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1'이 점소등 상태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고, 조명 유닛(L)이 소등된 상태인 경우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0'이 점소등 상태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lighting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L.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 memory device, and the flashing-off state information before the lighting unit L is turned off by the switch 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For example, when the lighting unit L is turned on by the switch 2 and the lighting unit L is turned on, the data '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the unlit state information. When the lighting unit L is turned off, data '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the unlit state information.

제어부(20)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로부터 전달된 제1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상태 정보에 기초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 '1'이 점소등 상태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가 턴 온 됨에 따라, 조명 유닛(L)을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 '0'이 점소등 상태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가 턴 온 되더라도, 조명 유닛(L)을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스위치(2)의 턴 온에도 불구하고 조명 유닛(L)이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may output a light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to an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mod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For example, when data '1'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the unlit stat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ing unit L as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turned on. Can be output to the output stage. When data '0'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the unlit stat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0 does not output a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L to the output terminal even when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turned on. Thus, the lighting unit L can remain off despite the turn-on of the switch 2.

또한, 제어부(20)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로부터 전달된 제2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상태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 유닛(L)을 점등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가 토글링되는 경우,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점소등 상태 정보가 데이터 '1'이 또는 '0'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조명 유닛(L)을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명 유닛(L)이 점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second mod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outputs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L) irrespective of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to the output terminal. You can print For example, when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toggled, the control unit 20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L regardless of whether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is data '1' or '0'. ) Can be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the lighting unit (L) can be turned on accordingly.

제어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 2의 110) 및 무선 수신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소자는 리모콘과 같은 송신기로부터 무선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즉,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송신기의 제2 신호(예를 들어, 등록된 리모콘에 의해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유닛(L)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조명 유닛(L)에 대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110 of FIG. 2) and a wireless receiving device.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a wireless signal (eg, an infrared signal) from a transmitter, such as a remote control. The micro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record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based on the first signal (i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generate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L based on the second signal of the transmitter (eg,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by a registered remote controller) received by the radio receiving element. Output and update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for the lighting unit (L).

예를 들어, 제1 조명 장치(10)와 제2 조명 장치(10')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 장치(10)와 상기 제2 조명 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조명 장치 또는 후술할 조명 장치로 구현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may be controll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teps.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may be implemented or include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or a light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제1 단계(등록 단계): 제1 송신기(IR1)(예를 들어, 적외선 리모콘)의 임의의 버튼을 눌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조명 장치(10)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 송신기(IR1)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제2 송신기(IR2)(예를 들어, 적외선 리모콘)의 임의의 버튼을 눌러 다른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조명 장치(10')의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2 송신기(IR2)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록한다. 제1 송신기(IR1)와 제2 송신기(IR2)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송신기일 수도 있다. First step (registration step): press any button of the first transmitter IR1 (e.g. infrared remote control) to generate a first signal, the first microprocessor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transmitter IR1. Similarly, any button of the second transmitter IR2 (for example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is pressed to generate another first signal, and the second microprocessor of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tter IR2.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first transmitter IR1 and the second transmitter IR2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transmitters.

제2 단계(점소등 정보 기록/갱신 단계):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를 턴 온 하면,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가 점등될 것이다. 이후, 제1 조명 장치(10)를 제1 송신기(IR1)를 이용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고, 제1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1 제어부(20)에 제1 점소등 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제1 조명 장치(10)가 사무실의 빈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평소에 점등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 송신기(IR1)를 이용하여 제1 조명 장치(10)를 소등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10)가 제1 송신기(IR1)에 의해 소등되면 제1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1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0'이 제1 점소등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명 장치(10')는 점등 상태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제2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2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1'이 제2 점소등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Second Step (Turning Off / Recording Information): When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turned o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will be turned on. Thereafter,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n or off using the first transmitter IR1, and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first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installed in an empty space of an office and does not need to be turned on normally,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may be turned off using the first transmitter IR1. Whe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ff by the first transmitter IR1, data '0' is recorded as first lighting information on the memory device of the first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Can be. In this case, assuming that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is maintained in a lit state, data' 1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of the second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Can be recorded as

제3 단계(점소등 정보에 기초한 점등):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를 턴 오프 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가 모두 소등된다. 이후 스위치(2)를 턴 온 하여 제1 조명 장치(10)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점소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명 장치(10)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10')의 점등 여부가 결정된다. 전술한 예에서 스위치(2)의 턴 온 이후, 제1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0'이 제1 점소등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1 조명 장치(10)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2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는 데이터 '1'이 제2 점소등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2 조명 장치(10')는 점등 상태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조명 장치(10)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10')의 점등 여부의 결정은,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에 각각 포함된 제1 제어부(20) 및 제2 제어부(20')에 의해 수행됨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조명 장치(10) 내지 상기 제2 조명 장치(10') 외부의 구성요소에 의한 관여 없이(즉, 별도의 추가 시공 없이 조명 장치의 장착만으로), 제1 조명 장치(10)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10') 내부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1 조명 장치(10)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10')의 점등 여부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Third step (lighting based on the lighting information): When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both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are turned off. Thereafter,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n and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based on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lighting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are turned 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data '0' is recorded as the first flash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device of the first control unit 20 after the switch 2 is turned o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ff.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n because the data' 1 'is recorded as second light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element of the second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Can be a con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described above is turned on is performed by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respectively. 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0 '. In other words, without the involvement of components outside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to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i.e., only mounting of the lighting device without additional constructio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 And whether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are turned on or not may be individually determined by the components inside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제4 단계(스위치의 제1 토글링에 의한 점등):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를 턴 온 한 상태에서 스위치(2)에 대한 제1 토글링 동작(예를 들어, 스위치를 턴 오프 하고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스위치를 다시 턴 온 하는 동작을 1회 하는 것)을 수행하면,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1 제어부(20) 및 제2 제어부(20')에 기록된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제1 조명 유닛(L) 및 제2 조명 유닛(L')이 점등된다. 즉, 제1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 '0'이 제1 점소등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더라도, 제1 조명 장치(10)는 점등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2)에 대한 제1 토글링 동작에 의해 제1 조명 장치(10)와 제2 조명 장치(10') 모두가 점등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무실에 손님이 방문하는 등의 일시적인 사정으로 수십~수백개의 조명을 한번에 점등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Fourth step (lighting by the first toggling of the switch): The first toggling action for the switch 2 with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turned on (e.g., turning off the switch and then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witch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control unit 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Regardless of the lighting information recorded in 20 '), the first lighting unit L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L' are turned on. That is, even if data '0' is recorded as the first flashing light information in the memory device of the first control unit 20,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may be turned on. Therefore, both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 may be turned on by the first toggling operation on the switch 2. This operation may be useful when tens or hundreds of lights need to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due to a temporary situation such as a visit to the office.

제5 단계(스위치(2)의 제2 토글링에 의한 점등 및 점소등 정보를 모드 점등 상태로 갱신):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를 턴 온 한 상태에서 스위치(2)에 대한 제2 토글링 동작(예를 들어, 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스위치(2)를 다시 턴 온 하는 동작을 2회 하는 것)을 수행하면,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1 제어부(20) 및 제2 제어부(20')에 기록된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제1 조명 유닛(L) 및 제2 조명 유닛(L')이 점등된다(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소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명 장치(10)의 제1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제1 점소등 정보가 데이터 '1'로 갱신되고, 제2 조명 장치(10')의 제2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제2 점소등 정보가 데이터 '1'로 갱신된다. 따라서 추후 스위치(2)가 턴 온 되는 경우, 제1 조명 장치(10)와 제2 조명 장치(10') 모두가 점등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수십~수백개의 조명을 모두 점등한 상태에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즉, 일부 조명 장치(10)만을 소등하도록 설정하려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5th step (update lighting and flashing light information by the 2nd toggle of switch 2 to a mode lighting state): the 2nd toggle with respect to the switch 2 in the state which turned on the switch 2 installed in a building. When the ring operation (for example, turning off the switch 2 and then turning on the switch 2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performed,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Regardless of the light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first control unit 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device 10', the first lighting unit L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L 'are turned on. (May be turned off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of the first control unit 20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updated with the data '1', the second control unit 20 'of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The second flashing l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is updated with data '1'. Therefore,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n later, both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may be turned on. This operation may be useful in the case where the lighting information is updated (ie, only some lighting device 10 is set to be turned off) while all tens or hundreds of lights are turned on.

제6 단계(스위치(2)의 제3 토글링에 의한 점등 및 점소등 정보를 모두 소등 상태로 갱신):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를 턴 온 한 상태에서 스위치(2)에 대한 제3 토글링 동작(예를 들어, 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스위치(2)를 다시 턴 온 하는 동작을 3회 하는 것)을 수행하면, 제1 조명 장치(10) 및 제2 조명 장치(10')에 포함된 제1 제어부(20) 및 제2 제어부(20')에 기록된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제1 조명 유닛(L) 및 제2 조명 유닛(L')이 소등된다. 또한 제1 조명 장치(10)의 제1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제1 점소등 정보가 데이터 '0'으로 갱신되고, 제2 조명 장치(10')의 제2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제2 점소등 정보가 데이터 '0'으로 갱신된다. 따라서 추후 스위치(2)가 턴 온 되는 경우, 제1 조명 장치(10)와 제2 조명 장치(10') 모두가 소등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수십~수백개의 조명을 모두 소등한 상태에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즉, 일부 조명 장치(10)만을 점등하도록 설정하려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Step 6 (updates both lighting and flashing light information by the third toggling of the switch 2 to the unlit state): third toggle for the switch 2 with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turned on When the ring operation (for example, turning off the switch 2 and then turning on the switch 2 again three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performed,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Regardless of the light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first control unit 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0 'included in the device 10', the first lighting unit L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L 'are turned off. do. 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of the first control unit 20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is updated with data '0', the second control unit 20 'of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The second flashing l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is updated with data '0'. Therefore,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n later, both the first lighting device 1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 'may be turned off. This operation may be useful in the case of updating the lighting information (i.e., setting only some lighting device 10 to light) while turning off all of the tens to hundreds of lights.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점소등 상태 정보에 따라 조명 장치(10)의 점등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20)를 조명 장치(10) 내부에 설치하고 이를 기존의 조명 시스템(예를 들어, 건물의 벽에 설치된 스위치(2)와 연결된 조명 시스템)에 배치함으로써,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이나 별도의 통신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적외선 TV 리모콘과 같은 흔하게 이용되는 염가의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개별 조명 장치(10)를 독립적으로 점소등하고 이를 기억하도록 하여, 조명의 전력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예를 들어, 토글링)만으로 조명 장치 전체를 점소등하거나 조명 장치의 점소등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즉, 조명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공이나 장비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복수의 조명들에 대한 유연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control unit 2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in the lighting device 10 and the existing lighting system (for example, a wall of a building). By placing them in a lighting system connected to a switch (2) installed in the system, individual lighting devices (using a commonly used inexpensive wireless transmitter such as an infrared TV remote control) can be installed without installing a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or a separate communication system. By independently flashing 10) and remembering it, power savings of the lighting can be achieved.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entire lighting device may be turned on or the lighting information of the lighting device may be updated by only the switching operation (for example, toggling) of the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That is, flexible control of a plurality of lights can be achiev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struction or equipment for installing the lights.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간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schematically shows a lighting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may be a modific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uplicate descriptions between the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의 제어부(20)는 토글 감지 회로(130), 마이크로프로세서(110), 적외선 수신 소자, 및 출력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20 of the light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toggle sensing circuit 130, a microprocessor 110, an infrared receiver, and an output driver.

토글 감지 회로(130)는 제1 단자(T1) 및 제2 단자(T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단자(T1) 및 제2 단자(T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달되는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Si)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2)가 턴 오프 되고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스위치(2)를 다시 턴 온 되는 경우, 토글 감지 회로(130)는 이러한 스위치(2)의 턴 온 및 턴 오프에 의해 생성되는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고, 검출 신호(Si)를 생성할 수 있다.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and a switch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Can be configured to output the detection signal Si based on. For example,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2 is subsequently turned on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switches the switching generated by the turn on and turn off of the switch 2. The signal may be detected and a detection signal Si may be generated.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토글 감지 회로(130)와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Si)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검출 신호(Si)에 응답하여 전술한 단계들(예를 들어, 제4 단계, 제5 단계, 및 제6 단계)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검출 신호(Si)의 발생 횟수, 검출 신호(Si)의 로직 하이의 지속 시간, 및 검출 신호(Si)의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술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microprocess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to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Si. The micro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steps (eg, fourth, fifth, and sixth step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Si. For example, the microprocessor 11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step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detection signal Si, the duration of the logic high of the detection signal Si, and the duty ratio of the detection signal Si. Can be done.

토글 감지 회로(130)는 임시 전원 공급부(133) 및 검출 신호 생성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전원 공급부(133)는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2)의 토글이 발생하여 스위칭 신호가 턴 오프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 신호 생성부(135)는 스위칭 신호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호 변화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는 레벨 하이에서 레벨 로우로 변화하였다가 다시 레벨 하이로 변화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는 펄스 신호(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110)가 처리할 수 있는 크기의 펄스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The toggle detection circuit 130 may include a temporary power supply 133 and a detection signal generator 135. The temporary power supply unit 133 may perform a function of maintaining power supplied to the microprocessor 110 while the toggle signal of the switch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generated and the switching signal is turned off. The detection signal generator 135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chang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of the switching signal. For example, the switching signal may change from level high to level low and then back to level high, and a corresponding pulse signal (eg, a pulse signal of a magnitude that the microprocessor 110 can process). Can be generated.

예를 들어, 스위치(2)의 토글 동작은 스위치(2)가 턴 오프된 후 0.5초 이상 지속되었다가 0.7초 내지 1초 이내에 다시 턴 온 되는 경우의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스위칭 신호가 로직 하이에서 로직 로우로 변환된 후, 0.7초 내지 1초 이내에 다시 로직 하이로 변환되는 경우, 토글 감지 회로(130)는 스위치(2)의 토글 동작을 감지하여 검출 신호(Si)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ggle operation of the switch 2 may be defined as an operation in which the switch 2 lasts for 0.5 seconds or more after being turned off and then turns on again within 0.7 to 1 second. That is, when the switching signal is changed from logic high to logic low and then changed back to logic high within 0.7 seconds to 1 second, the toggle detection circuit 130 detects the toggle operation of the switch 2 to detect the detection signal Si. ) May be output to the microprocessor 110.

일 실시예에서, 토글 감지 회로(13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may include the following components.

- 제1 단자(T1)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0)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A diode D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microprocessor 110

- 제2 단자(T2)와 다이오드(D)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용량성 소자(예를 들어, 커패시터(C1))A capacitive element (e.g.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T2 and the cathode of the diode D

- 다이오드(D)의 애소드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0)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P2), 에미터 단자(P3), 및 콜렉터 단자(P4)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Q1)A transistor Q1 connected between the anode of the diode D and the microprocessor 110 and comprising a gate terminal P2, an emitter terminal P3, and a collector terminal P4

- 다이오드(D)의 애소드와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단자(P2)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소자(R5)A first resistance element R5 connected between the anode of the diode D and the gate terminal P2 of the transistor Q1.

-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단자(P2)와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소자(R6)A second resistor element R6 connected between the gate terminal P2 of transistor Q1 and the ground node;

-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P4)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 소자(R7)A third resistive element R7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P4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ground terminal;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토글 감지 회로(130)의 동작이 도 3에 설명된다.Operation of 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is described in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2)가 턴 오프 되면 제1 단자(T1)의 전압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이 때 다이오드(D) 및 용량성 소자인 커패시터(C)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0)의 전원(예를 들어 약 2.5V~5V)은 약 2초간 유지된다. 조명 장치(10)의 출력 전압인 게이트 단자(P2)의 전압은 턴 오프 이후 점차 감소하다가 (0.5초 내지 0.6초 이후) 5V 이하로 떨어지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P4)는 즉시 상승하고 그에 따라 검출 신호(Si)가 생성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ff, the voltage of the first terminal T1 is rapidly lowered.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for example, about 2.5 V to 5 V) of the microprocessor 110 is maintained for about 2 seconds by the diode D and the capacitor C as the capacitive element. When the voltage of the gate terminal P2, the output voltage of the lighting device 10, gradually decreases after turning off (after 0.5 seconds to 0.6 seconds) and falls below 5 V, the collector terminal P4 of the transistor Q1 immediately rises and Accordingly, the detection signal Si is generated.

도 3에 나타난 스위치(2)의 토글링은 2회 수행된 경우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토글 감지 회로(130)로부터 검출 신호(Si)(예를 들어 펄스 신호)를 2회 수신하여 전술한 제5 단계(스위치(2)의 제2 토글링에 의한 점등 및 점소등 정보를 모두 점등 상태로 갱신)를 수행할 수 있다.Toggling of the switch 2 shown in FIG. 3 is performed twice, and the microprocessor 11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Si (for example, a pulse signal) twice from the toggle sensing circuit 13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One fifth step (update both the lighting and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by the second toggling of the switch 2 to the lighting state) can be performed.

이러한 검출 신호는 스위칭 신호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호 변화를 감지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난 실시예(즉, 0.5초 내지 0.6초 이상 유지되는 턴 오프 상태 및 0.7 내지 1초 이내에 수행되는 턴 온 동작)는 검출 신호의 생성에 관한 일 예에 불과함에 유의한다.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토글링 동작이 정의되고 그에 따라 검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Such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detecting a change in a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f the switching signal, and is performed with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at is, the turn-off state maintained for 0.5 to 0.6 seconds or more and within 0.7 to 1 second. Turn-on operation) is merely an example of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and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an appropriate toggling operation may be defined and a detec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 내지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간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to 7 schematically illustrate a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The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apparatus or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using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uplicate descriptions between the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점소등 상태 정보에 따라 점등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조명 시스템에 장착하고 스위치(2)를 턴 온 하면,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모두 점등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lighting system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each including a control unit 20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lighting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the lighting apparatus is turned on. All lights up.

이후 송신기(IR)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송신기(IR)의 등록 작업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무실 또는 가정에 있는 TV등의 리모콘을 램프의 점소등 장치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하고자 하는 리모콘의 버튼 하나를 선정하고 조명등의 라벨이 있는 근처에 접근하고 3초 이내에 5회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등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registration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IR is performed so that the lighting device 1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transmitter IR.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such as a TV in a user's office or home is registered with a lamp lighting device. For example, a regist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button of a remote controller to be used, approaching a neighborhood with a label of a lamp, and repeatedly pressing five times within three seconds.

정상 등록이 이루어지면, 해당 버튼을 누를 때 마다 조명 장치(10)가 점소등된다. 이와 같은 등록 작업을 다른 조명 장치에 대해서도 수행한다. 등록 작업은 동일한 송신기(I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조명 장치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른 송신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When normal registration is made, the lighting device 10 is turned off every time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This registration is also performed for other lighting devices. The regist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same transmitter (IR), or may be performed using different transmitter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different lighting devices.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절전 모드에서의 조명 장치(10, 10', 10'', 10''')의 점소등 상태 정보가 송신기(IR)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등록된 TV 리모콘과 같은 송신기(IR)를 이용하여 (점)소등하려는 하는 조명을 (점)소등한다. 절전 상태의 조명조건이 설정 완료되면(예를 들어, 램프 1, 4 점등 및 램프 2, 3 소등, O1 참조), 다음 전원 재 투입 시에(즉, 스위치(2)의 턴 오프 이후 3초 이상의 시간이 흐른 뒤 스위치(2)가 턴 온 될 때) 이 절전상태가 유지된다(즉, 램프 2, 3이 소등, O2 참조).5, the ligh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10, 10 ′, 10 ″, 10 ′ ″ i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using the transmitter IR. For example, by using a transmitter IR such as a registered TV remote control, the lighting to be turned off is turned off. When the lighting condition in the power saving state is completed (for example, lamps 1 and 4 lit and lamps 2 and 3 extinguished, see O1), at the next power-on again (ie, 3 seconds or more after the switch-off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n after the time has elapsed, this power saving state is maintained (ie lamps 2 and 3 are off, see O2).

한편, 스위치(2)에 대한 제1 토글링 동작(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0.7~1초 내에 다시 스위치(2)를 턴 온 하는 동작을 1회 수행하는 것)을 하면, 모든 조명등이 켜진다(O3 참조). 즉, 각각의 조명 장치(10, 10', 10'', 10''')에 저장된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개별 조명 장치에서 조명 유닛을 점등하는 조명 제어 신호가 제어부(20)에서 출력됨으로써, 모든 조명 장치(즉, 램프 1~4)가 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점등 동작은 게이트웨이나 브릿지와 같은 별도의 통신 장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다시 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3초 이후에 스위치(2)를 턴 온 하면, 복수의 조명 장치들은 절전 모드로(즉, 점소등 정보에 따라) 점등된다(즉, 램프 1, 4 점등 및 램프 2, 3 소등, O2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oggling operation for the switch 2 (turning off the switch 2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urning the switch 2 on again within 0.7 to 1 second), all the lights are turned on. Lights up (see O3). That is, irrespective of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stored in each lighting device 10, 10 ′, 10 ″, 10 ′ ″,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in the individual lighting device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0. , All lighting devices (ie lamps 1 to 4) can be turned on. The ligh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gateway or a bridge. If the switch 2 is then turned off again and the switch 2 is turned on after 3 seconds,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turned on in the power saving mode (that is, according to the lighting information), that is, the lamps 1 and 4 are lit. And lamps 2 and 3 extinguished, O2).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2)에 대한 제2 토글링 동작(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0.7~1초 내에 다시 스위치(2)를 턴 온 하는 동작을 2회 수행하는 것)에 따라, 소등으로 설정된 조명 장치(10)가 모두 해제된다(O4 참조). 예를 들어, 복수의 조명 장치(10) 내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점소등 정보가 점등 상태(예를 들어 데이터 '1')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일정 시간 뒤에(예를 들어, 3초 이상 경과 후) 스위치(2)를 턴 온 하면, 복수의 조명 장치들은 모두 점등된다(O5 참조). 이러한 동작은 절전 모드 설정 시 수십개~수백개의 조명 장치(10) 대부분을 켜고 몇 개만 소등으로 설정할 때 유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ccording to the second toggling operation for the switch 2 (turning off the switch 2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witch 2 again within 0.7 to 1 second) , All the lighting devices 10 set to extinguished are released (see O4). For example,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of the control unit 20 in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10 may be updated to a lit state (for example, data '1'). Thus, when the switch 2 is turned on after a certain time (for example, after 3 seconds or more elapses),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all turned on (see O5). This operation may be advantageous when turning on most of the dozens to hundreds of lighting devices 10 and setting only a few lights out when setting the power saving mode.

도 7을 참조하면, 스위치(2)에 대한 제3 토글링 동작(스위치(2)를 턴 오프 하고 0.7~1초 내에 다시 스위치(2)를 턴 온 하는 동작을 3회 수행하는 것)에 따라, 점등으로 설정된 조명 장치(10)가 모두 해제된다(O6 참조). 예를 들어, 복수의 조명 장치(10) 내 제어부(20)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점소등 정보가 소등 상태(예를 들어 데이터 '0')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일정 시간 뒤에(예를 들어, 3초 이상 경과 후) 스위치(2)를 턴 온 하면, 복수의 조명 장치들은 모두 소등된다(O7 참조). 이러한 동작은 절전 모드 설정 시 수십개~수백개의 조명 장치(10) 대부분을 소등하고 몇 개만 점등으로 설정할 때 유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the third toggling operation for the switch 2 (turning off the switch 2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witch 2 again within 0.7 to 1 second three times) , All the lighting devices 10 set to lit are released (see O6). For example, the unillumin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of the controller 20 in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10 may be updated to the unlit state (for example, data '0'). Therefore, after a certain time thereafter (for example, after 3 seconds or more), the switch 2 is turned on,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all turned off (see O7). This operation may be advantageous when turning off most of the dozens to hundreds of lighting devices 10 and setting only a few lights when setting the power saving mode.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송신기 등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간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to 10 schematically illustrate a transmitter registration operation performed in a lighting device (and a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Duplicate descriptions between the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4와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제1 송신기(IR1)에 대하여 등록 작업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하고자 하는 제1 송신기(IR1)의 버튼 하나를 선정하고 조명 장치를 향하여 3초 이내에 5회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조명 장치에 대한 제1 송신기(IR1)의 등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소자의 제1 어드레스에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4, a regist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For example, by selecting one button of the first transmitter IR1 to be used and repeatedly pressing it five times within 3 seconds toward the lighting device, registration of the first transmitter IR1 to the lighting device may be performed. Can be.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ransmitter IR1 may be stored in the first address of the memory device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이후 제2 송신기(IR2) 내지 제4 송신기(IR4)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수행된다. 각각의 송신기에 대한 등록 작업은 전술한 등록 작업과 유사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버튼 하나를 선정하고 조명 장치를 향하여 3초 이내에 5회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즉, 5회의 반복되는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송신기(IR2) 내지 제4 송신기(IR4)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록할 것이다.Thereafter, the registration operation for the second transmitter IR2 to the fourth transmitter IR4 is performed. The registration operation for each transmitter can be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as the registration oper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by selecting one button and repeatedly pressing five times within 3 seconds toward the lighting device). In this case, the microprocessor will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transmitter IR2 to the fourth transmitter IR4 based on the first signal (ie five repeated pulse signals)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송신기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수행되면, 그 정보가 메모리 소자의 상위 어드레스에 저장되고, 기존에 저장된 등록 정보는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제1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후, 제2 송신기(IR2)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수행되면, 제2 송신기(IR2)에 대한 정보가 제1 어드레스에 저장되고,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제2 어드레스에 저장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무선 수신 소자로부터 제1 신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의 등록 정보를 최우선순위의 등록 정보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a registration operation for a new transmitter is performe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at an upper address of the memory element, and the previously stored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be changed to a lower address. For example, after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stored at the first address, when a regist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econd transmitter IR2,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ransmitter IR2 is stored at the first addres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may be changed to be stored at the second address. As such, when the microprocessor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the micro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따라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송신기(IR1) 내지 제4 송신기(IR4)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경우, 제1 어드레스에는 제4 송신기(IR4)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2 어드레스에는 제3 송신기(IR3)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3 어드레스에는 제2 송신기(IR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4 어드레스에는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when registration operations for the first transmitter IR1 to the fourth transmitter IR4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formation about the fourth transmitter IR4 is stored i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third transmitter IR3 is stored i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transmitter IR2 is stored in the third addr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stored in the fourth address. Can be.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송신기 내지 제4 송신기(IR1-IR4)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제1 송신기(IR1)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송신기(IR1)의 선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송신기(IR1)에서 제2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가 생성되고, 무선 수신 수신 소자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유닛에 대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는 한편,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송신기(IR1)의 등록 정보를 최우선순위의 등록 정보로 기록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egistration operations for the first to fourth transmitters IR1 to IR4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 first transmitter IR1 may be used. That is, when the predetermined button of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pressed, a second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is generated at the first transmitter IR1, and the wireless receiving device receives the second signal. Can be. The microprocessor may update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on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ransmitter IR1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

다시 말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제4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후, 제1 송신기(IR1)에 대한 등록 작업이 수행되면,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제1 어드레스에 저장되고, 기존의 제1 내지 제3 어드레스에 저장되었던 제2 내지 제4 송신기(IR2-IR4)에 대한 정보는 제2 내지 제4 어드레스에 저장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9, if the regist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after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stored at the fourth addres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performed. Is stored at the first address,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o fourth transmitters IR2-IR4 which have been stored at the first to third addresses may be changed to be stored at the second to fourth addresses.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동작 이후, 제1 어드레스에는 제1 송신기(IR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2 어드레스에는 제4 송신기(IR4)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3 어드레스에는 제3 송신기(IR)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4 어드레스에는 제2 송신기(IR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0, after the operation of FIG. 9,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ransmitter IR1 is stored at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fourth transmitter IR4 is stored at the second address, and at the third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third transmitter IR is stored,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transmitter IR2 is stored at the fourth address.

이후 제2 송신기(IR2)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 송신기(IR2)의 선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제2 송신기(IR2)에서 제2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가 생성되고, 무선 수신 수신 소자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유닛에 대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는 한편,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송신기(IR2)의 등록 정보를 최우선순위의 등록 정보로 기록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tter IR2 may then be used. That is, when the predetermined button of the second transmitter IR2 is pressed, a second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is generated at the second transmitter IR2, and the wireless receiving device receives the second signal. Can be. The microprocessor may update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on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ransmitter IR2 that transmits the second signal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는,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송신기의 신호(예를 들어, 등록 정보와 관련된 신호 또는 조명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송신기의 등록 정보를 최우선순위의 등록 정보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소자의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송신기의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송신기 및/또는 분실한 송신기 대한 등록 정보를 후순위의 등록 정보로 갱신함으로써 (추가 등록에 따라) 자동적으로 삭제되게끔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receives a signal of the transmitter (for example, a signal related to registration information or a signal for controlling lighting) by a wireless receiving element,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may be configured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As a result, when the capacity of the memory element of the microprocessor is limited, by maintain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frequently used transmitter and updat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n unused transmitter and / or a lost transmitter with a lower priority registration information (additional (Depending on registration) can be delet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해되도록 첨부한 도면의 각 부분의 형상과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된 형상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기재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In order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the shape and description of each par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illustrated shape. Like numbers described in the figures refer to like ele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Claims (10)

조명 시스템으로서,
건물에 설치된 스위치와 연결된 제1 조명등;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된 제2 조명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 각각은,
제1 극성을 수신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수신하는 제2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어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 유닛의 점소등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제1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정보에 기초한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제2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 유닛을 점등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토글 감지 회로; 및
상기 토글 감지 회로와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감지 회로는 상기 스위칭 신호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호 변화를 감지하여 검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토글 감지 회로는,
상기 건물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의 토글이 발생하여 스위칭 신호가 턴 오프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켜주는 임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신호 변화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생성된 제1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개별적인 상기 제1 조명등에 포함된 제1 제어부에 저장된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조명등에 포함된 제2 제어부에 저장된 제2 점소등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조명되고,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생성된 제2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개별적인 점소등 정보와 무관하게 모두 조명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생성된 제3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점소등 정보는 점등 상태로 갱신되며, 이후 상기 스위치로부터 생성된 제1 모드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점등 상태로 갱신된 상기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점소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은 모두 조명되고,
상기 제1 점소등 정보는 상기 제1 조명등에 포함된 상기 제1 제어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점소등 정보는 상기 제2 조명등에 포함된 제2 제어부에 저장되며,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이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1 점소등 정보 및 상기 제2 점소등 정보는 무선 송신기에 의해 갱신되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중앙 통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이나 별도의 통신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무선 송신기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을 독립적으로 점소등하는 한편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 전체를 점소등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
As a lighting system,
A first lamp connected to a switch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second lamp connected to the switch,
Each of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A first terminal receiving a first polarity;
A second terminal receiving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A controll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t least one ligh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tores the lighting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output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based on the lighting information to the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mod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and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In response to the switched signal of the second mode, output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irrespective of the lighting information to the output terminal,
The control unit,
A toggle sensing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microprocessor coupled to the toggle sensing circuit,
The toggle detection circuit is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a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f the switching signal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The toggle detection circuit,
A temporary power supply unit which maintains power supplied to the microprocessor while a toggle signal of the switch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generated and a switching signal is turned off; And
A detection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change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is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first control lamp included in the first lighting lamp and the second lamp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mode generated from the switch. Individually illuminated based on second lit information stored in a second controller,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are all illuminated regardless of individual flash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second mode generated from the switch,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third mode generated from the switch, the first flashing light information and the second flashing light information are updated to the lit state, and then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mode generated from the switch. Both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are illuminated based on the first lamp information and the second lamp information updated in the lit state,
The first ligh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first lamp, the second ligh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econd lamp, by operating the switch A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ar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second controller,
The first flash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flashing information are updated by a wireless transmitter,
The lighting system independently turns off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without installing a centr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or a separate communication system.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turning off an illuminator and the second illuminator as a w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글 감지 회로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용량성 소자;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ggle detection circuit,
A diode coupl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icroprocessor;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athode of the diode; And
And a transistor coupled between the anode of the diode and the microproces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수신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에 대한 등록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무선 수신 소자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송신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명 유닛에 대한 점소등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조명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wireless receiving element,
The microprocessor,
Based on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recor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nd output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of the transmitter received by the radio receiving element, and update the flashing light information for the illumination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수신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의 등록 정보를 최우선순위의 등록 정보로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조명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microprocessor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or the second signal from the wireless receiving element,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or the second signal is the highest priority registration information. An illumination system, configured to reco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4139A 2017-08-17 2017-08-17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83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39A KR102083502B1 (en) 2017-08-17 2017-08-17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39A KR102083502B1 (en) 2017-08-17 2017-08-17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63A KR20190019363A (en) 2019-02-27
KR102083502B1 true KR102083502B1 (en) 2020-03-02

Family

ID=6556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39A KR102083502B1 (en) 2017-08-17 2017-08-17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05B1 (en) * 2020-04-13 2021-10-18 주식회사 커널로그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254A (en) * 2006-08-01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as well as illumin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this lighting device
JP2010189118A (en) * 2009-02-17 2010-09-02 Sugiyasu Corp Remote control system of lif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26B1 (en) * 2007-04-19 2008-12-10 남상률 Electric lamp system for controlling a number of lighted lamps
KR100908209B1 (en) * 2007-12-28 2009-07-20 윤영근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 of light using wall switch and remote controller
KR101377038B1 (en) * 2012-04-23 2014-03-20 주식회사 에이디텍 LED ligh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254A (en) * 2006-08-01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as well as illumin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this lighting device
JP2010189118A (en) * 2009-02-17 2010-09-02 Sugiyasu Corp Remote control system of lif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63A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805B2 (en) Location-based configuration of a load control device
EP3501240B1 (en) Lighting device for powering from a main power supply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S8339054B2 (en) Motion sensor switch for 3-way light circuit and method of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US20110050132A1 (en) Area 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local luminaire control
US9433067B2 (en) Dimming a multi-lamp fluorescent light fixture by turning off an individual lamp using a wireless fluorescent lamp starter
KR20100125799A (en) A led lighting control unit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ed lighting control
JP5299677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20230309209A1 (en) Self-Test Procedure for a Control Device
JP6281764B2 (en) Lamp and lighting device
KR102083502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328866A1 (en) Load control system comprising linear lighting fixtures
CN116439551A (en) Mirror with human body induction wireless switch for adjusting light and color and bathroom mirror cabinet
JP2016192328A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201300338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ing control
KR101698346B1 (en) An ac wall switch performing led lights controls without supplemental power wires
KR101546417B1 (en) Apparatus of control for LED roadlamp MTF using power line
JP6913892B2 (en) Lighting system
US20120161636A1 (en) Occupancy sensor for task lighting application
CN101208998B (en) Method and device for dimming lighting control devices to a predefined level
JP2017033840A (en) Home communication device
KR101803915B1 (en) Electric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TWI589187B (en) Energy-saving lighting control board
JPH1116682A (en) Wireless switch
JP2007035293A (en) Light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