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409B1 -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409B1
KR102083409B1 KR1020180088358A KR20180088358A KR102083409B1 KR 102083409 B1 KR102083409 B1 KR 102083409B1 KR 1020180088358 A KR1020180088358 A KR 1020180088358A KR 20180088358 A KR20180088358 A KR 20180088358A KR 102083409 B1 KR102083409 B1 KR 10208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loating structure
deck
blocked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3323A (en
Inventor
류용희
이윤한
황윤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4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1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1/00Applications
    • B63B2211/06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0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갑판의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 주변의 얼음을 제거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극저온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형성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 및 배수구가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의 주변에 있는 얼음을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eventing clogging of a drain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a drain of a deck is blocked by ice and to remove ice that blocks the drain or ice around the drain. A method of preventing clogging of a drain hol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cryogenic fluid is leaked from the floating structu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ryogenic fluid has leaked,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A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rain hole formed on a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b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hole is blocked, the step of removing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hole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to remove.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How to prevent drain clogging of float structures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본 발명은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구비되는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the drainage blockag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clogging of a drain provided on a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오늘날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건설되고 있다. 그런데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FL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FSRU) 등 극저온 유체(LNG)를 이용하는 해양 구조물의 경우, 극저온 유출 사고에 대한 위험이 존재한다.Today, various offshore structures are being built offshore to develop marine resources such as crude oil and natural gas. However, in the case of offshore structures using cryogenic fluids (LNG), such as floating LNG natural gas facilities (FLNG) and floating LNG natural gas storage and regasification facilities (FSRU), there is a risk of a cryogenic accid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5137호 (공개일: 2014.08.0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5137 (Published: 2014.08.01.)

극저온 유체의 유출시 비가 올 가능성이 존재하며, 많은 양의 비가 올 경우 극저온 유체와 비가 만나 얼음을 생성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얼음으로 인해 갑판에 있는 배수구가 막힐 수 있다.There is a possibility of rain on the outflow of cryogenic fluids, and when a large amount of rain occurs, the rain meets the cryogenic fluid to produce ice, which can block the drains on the deck.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갑판의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 주변의 얼음을 제거하는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drain to remove the ice around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by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of the deck is blocked by the 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의 일 면(aspect)은,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극저온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형성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 및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상기 배수구의 주변에 있는 얼음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drain hole of the flo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cryogenic fluid has flowed from the floating structure;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ryogenic fluid is leaked; A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rain hole formed on a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b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hole is blocked, removing the ice blocking the drain hole or the ice around the drain hole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to remove it.

상기 제3 판단 단계는, 상기 강수와 관련된 강수량을 측정하는 제1 측정 단계; 상기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측정 단계; 및 상기 강수량과 상기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a firs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precipitation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A seco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drain; And a four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comparing the precipitation and the flow rate of the drain hole.

상기 제4 판단 단계는 상기 강수량에 대한 상기 배수구의 유량의 백분율 값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fourth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ased on whether a percentage value of the flow rate of the drain to the precipit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제3 판단 단계는, 상기 배수구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 단계; 및 상기 배수구의 주변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a thir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drain hole; And a fif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rain hol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에 설치된 힌지 형태의 도어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상기 배수구의 주변에 있는 얼음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removing step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of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using a hinged door installed on the side wall located on the deck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거나,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갑판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바깥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or hinged to the side of the deck opposite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and open outwardly of the floating structure.

상기 배수구의 입구와 상기 갑판의 측부를 연결하는 구간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입구가 상기 갑판의 측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tion connecting the inlet of the drain and the side of the deck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inlet of the drain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side of the deck.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는 얼음 및 유체의 선외 배출을 위한 도어의 제1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얼음 및 유체의 선외 배출을 위한 도어의 제2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drainage blo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rainage blo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rainage blo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for outboard discharge of ice and flui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for outboard discharge of ice and flui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on" or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intervening other elements or layers as well as intervening another layer or element in between It includes everything. On the other hand, when a device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device or layer in 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 below ", " beneath ", " lower ", " above ", " upper "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a device or components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erms that differ in orientation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device shown in the figure, a device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device may be placed "above" of another devic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The device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Therefore, the first device, the first compon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device, a second component or a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may be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극저온 유체(LNG)가 유출된 뒤 강수(ex. 비)가 오면, 갑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배수구가 얼음으로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를 막을 가능성이 있는 배수구 주변의 얼음을 제거하는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precipitation (ex. Rain) comes after the cryogenic fluid (LNG) flows out,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drain located on the side of the deck is blocked by ice, and when the drain is blocked by 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clogging a drain, which removes ice around a drain or a block that may block the ice or the drai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수구(drain hole)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deck)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갑판 상의 빗물, 해수 등을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된다.A drain hole is formed on the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and is installed to discharge rainwater, seawater, and the like on the deck to the outside of the hull.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ex. FLNG, FSRU 등)의 통제실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서버, 컴퓨터, 프로세서(processor)가 탑재된 보드 형태의 것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통제실 외 부유식 구조물의 다른 장소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rainage clogg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of the floating structure (ex. FLNG, FSRU, etc.).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a computer, a board in which a processor is mounted, and the like.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floating structure by wire or wireless to acquire and process sensing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other places of the floating structure outside the control room.

먼저 제어부는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Firs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ryogenic fluid has flowed out (S110).

제어부는 부유식 구조물 내에 설치된 가스 누출 감지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이 센싱 정보를 토대로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극저온 유체의 유출 사고에 조기 대응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cquire sensing information from a gas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loating structure, and determine whether cryogenic fluid is leak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ryogenic fluid is leaked at a predetermined time so as to be able to respond early to the accident of the cryogenic fluid.

가스 누출 감지 센서는 부유식 구조물의 액화 설비, 저장 설비(ex. 저장 탱크), 기화 설비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가스 누출 감지 센서는 액화 설비, 저장 설비, 기화 설비 등을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gas leak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liquefaction facility, a storage facility (eg, a storage tank), a vaporization facility, or the like of a floating structure,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gas leak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pipe connecting a liquefaction facility, a storage facility, and a vaporization facility.

한편 제어부는 유출 사고의 발생 여부를 인식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cryogenic fluid has been leak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administrator who has recognized the occurrence of the leakage accident.

S110 단계에서 극저온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ryogenic fluid is leaked in step S11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ain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S120).

제어부는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비 감지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이 센싱 정보를 토대로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비가 오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극저온 유체의 유출 사고에 조기 대응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cquire sensing information from a non-sensing sensor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floating structure, and determine whether it is raining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rain fall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o that the cryogenic fluid may be leaked early.

비 감지 센서는 강우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 감지 센서가 강우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비 감지 센서는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비 감지 센서가 습도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비 감지 센서는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non-sensing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rain sensor, a humidity sensor, or the like. When the non-sensing sensor is implemented as a rainfall sensor, the non-sensing sensor may be installed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When the non-sensing sensor is implemented as a humidity sensor, the non-sensing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한편 제어부는 비가 오는지 여부를 인식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it is raining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manager who recognized whether it is raining.

한편 S110 단계에서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는 배수구가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결론짓고, 도 1에 따른 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cryogenic fluid has not flowed ou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gain whether or not the cryogenic fluid has flowed o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may conclude that the drain hole is not blocked, and terminate the present process according to FIG. 1.

S120 단계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극저온 유체가 유출된 뒤 비가 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갑판의 외곽(ship side)에 위치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in step S120,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 after the cryogenic fluid flow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rain hole located on the ship side of the deck is blocked ( S130).

제어부는 강수량과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갑판 외곽의 온도를 측정하여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각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y comparing the precipitation and the flow rate of the drai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of the deck. Hereinafter, ea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강수량과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First,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y comparing the rainfall and the flow rate of the drain is described. 2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rainage blo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극저온 유체의 유출 사고를 알려주는 알람 메시지가 작동되면(S210), 강수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내리는 강수의 양(강수량)을 측정한다(S220). 강수량 측정 장치는 우량계(rain gauge), 강수량 측정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alarm message informing the leakage of the cryogenic fluid is activated (S210), the amount of precipitation (precipitation) falling on the periphery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measured using the precipitation measuring apparatus (S220). Precipitation measurement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rain gauge, a precipitation measurement sensor.

이후, 배수구 유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한다(S230). 본 실시예에서 강수량을 측정하는 단계(S220)와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23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강수량을 측정하는 단계(S220)와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230) 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수구 유량 측정 장치는 유량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reafter, the flow rate of the drain opening is measured using the drain flow measuring apparatus (S230). 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measuring precipitation (S220) and the step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drain (S230)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ny one of the steps of measuring the precipitation (S220) and the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drain (S230) may be performed first. Meanwhile, the drain flow measur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flow sensor.

이후, 제어부는 강수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강수량과 배수구 유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Thereaft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recipitation measured by the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with the flow rate of the drainage measured by the drainage flow rate measuring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drainage is blocked (S240).

제어부는 강수량에 대한 배수구 유량의 백분율 값(배수구 유량 / 강수량 * 100)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강수량에 대한 배수구 유량의 백분율 값이 10%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percentage value of the drain flow rate to the precipitation (drain flow rate / precipitation *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percentage value of the drain flow rate against precipitation is 10% or less.

기준값으로 10%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는 강수량에 대한 배수구 유량의 백분율 값이 1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50). 반면 제어부는 강수량에 대한 배수구 유량의 백분율 값이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60).If 10% is used a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ainage port is blocked by ice when the percentage value of the drainage flow rate to precipitation is 10% or less (S250). On the other hand, if the percentage value of the drain flow rate for the rainfall exceeds 10%,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rain is not blocked by ice (S26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준값은 10%로 설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기준값은 5%, 20% 등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is not limited to 10%.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5%, 20%, or the like.

다음으로 갑판 외곽의 온도를 측정하여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막힘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deck outside will be described. 3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rainage blo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극저온 유체의 유출 사고를 알려주는 알람 메시지가 작동되면(S310), 갑판 외곽(ex. 도 4 ~ 5에 도시된 갑판(410)의 측부(450)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갑판의 측부 주변의 온도를 측정한다(S320).When the alarm message informing the leakage of the cryogenic fluid is activated (S310), the side of the deck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eck (ex. Around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shown in Figures 4-5) The ambient temperature is measured (S320).

이후, 제어부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갑판 측부 주변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Thereaft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side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ice (S330).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가 영하 20도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around the deck sid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ambient temperature around the deck side is below 20 degrees.

기준 온도로 영하 20도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가 영하 20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40). 반면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가 영하 20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50).If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used to minus 20 degrees,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around the deck side is less than 20 degrees,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is blocked by ice (S34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is found that the temperature around the deck side exceeds 20 degrees below zero,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in is not blocked by ice (S35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준 온도는 영하 20도로 설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기준 온도는 영하 10도, 영하 30도 등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not limited to being set to minus 20 degrees. For exampl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to minus 10 degrees, minus 30 degrees, or the like.

한편 S320 단계에서 도 4 ~ 5에 도시된 갑판(4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420)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벽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측벽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측벽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측벽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320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around the side wall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side wall 420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deck 410 shown in FIG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around the side wal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ide wall is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ain is blocked by ice,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ide wall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ain is not blocked by ice. .

한편 S320 단계에서 배수구 주변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배수구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배수구 주변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배수구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배수구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around the drain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round the drain in step S3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in is blocked by ice by comparing the surrounding temperature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rain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rain is blocked by ice,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rain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ain is not blocked by ice. .

한편 S120 단계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비가 오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는 비가 오지 않는 것으로 결론짓고, 도 1에 따른 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 is not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in step S120,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gain whether or not the rain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may conclude that there is no rain, and may terminate the present process according to FIG. 1.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S130 단계에서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 주변의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한다(S14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drain is blocked by 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move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S140).

일례로 제어부는 배수구가 막혀 있다는 메시지를 관리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관리자의 지시를 따르는 자로 하여금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배수구가 막혀 있다는 메시지를 부유식 구조물에 거주하는 로봇에게 전송하여 로봇으로 하여금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rain hole is blocked to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to control the manager or a person who follows the manager's instructions to remove the i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rain hole is blocked to the robot living in the floating structure to control the robot to remove ice.

한편 제어부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이나 로봇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때 빠른 시간 내에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구의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robot of the manag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also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ain so that an action can be made in a short time.

배수구(440)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440) 주변의 얼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4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ship side wall; 420)에 설치된 도어(door; 430)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얼음 및 유체의 선외 배출을 위한 도어의 제1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The ice blocking the drain 440 or the ice around the drain 44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430 installed at a ship side wall 420 located outside the deck 410, as shown in FIG. Can be removed.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for outboard discharge of ice and fluid.

도어(430)는 힌지(hinge) 형태의 여닫이 문으로 측벽(420)의 하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430)는 측벽(420)의 하단부(470)에 힌지 결합되어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 방향(바깥쪽 방향)으로 개방(open)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30)가 부유식 구조물의 내측 방향(안쪽 방향)으로 개방되면, 사람이나 로봇이 도어(430)를 개방시킨 후에 얼음을 밀어서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반면 도어(430)가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면, 사람이나 로봇이 도어(430)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얼음을 밀어서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어(430)는 부유식 구조물의 내측 방향과 외측 방향 모두 개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oor 430 is a hinged swing door and may be formed below the sidewall 420. The door 430 may be hinged to the lower end 470 of the side wall 420 to be opened in an outer direction (outward dire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When the door 430 opens in the inward direction (inward dire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a person or a robot must open the door 430 and push the ice to discharge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430 is open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it is possible for the human or robot to push the ic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without opening the door 430.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oor 430 may be formed to be openable in both an inner direction and an outer dire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한편 도어(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420)의 하단부(470)에 대향되는(즉, 측벽(420)의 하단부(470)와 마주보고 있는) 갑판(410)의 측부(450)에 힌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얼음 및 유체의 선외 배출을 위한 도어의 제2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 경우의 도어(430)도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부유식 구조물의 내외측 방향으로 개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430, on the other hand, is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opposite the bottom 470 of the side wall 420 (ie facing the bottom 470 of the side wall 420)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hinge coupled to).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for outboard discharge of ice and fluid. In this case, like the former case, the door 43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open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or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opened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floating structure.

한편 갑판(410)의 측부(450)와 배수구(440)의 입구를 연결하는 구간(460)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440)의 입구가 갑판(410)의 측부(450)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갑판(410)의 측부(450)와 배수구(440)의 입구 사이의 구간(46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사람이나 로봇이 해당 구역으로 이동하여 얼음을 밀지 않아도 얼음이 자연적으로 미끄러져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section 460 connecting the side portion 450 of the deck 410 to the inlet of the drain 440 may be inclined. In this embodiment, the section 460 between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and the inlet of the drain 440 is inclined so that the inlet of the drain 440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It is preferabl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ce can naturally slide out of the floating structure without the need for humans or robots to move to the area and push the ice.

한편 배수구(440)를 막고 있는 얼음은 사람에 의해 꺼내어져 제거될 수 있지만, 발열 기능이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발열 기능이 있는 장치는 배수구(44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수구(440)의 입구에 설치되어 얼음을 녹여서 제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ce blocking the drain port 440 can be removed by the person is removed, it can also be removed using a devic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this case, the device having a heating func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440 or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drain 440 to melt and remove ice.

한편 S130 단계에서 배수구가 얼음으로 인해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는 배수구가 막혀 있지 않는 것으로 결론짓고, 도 1에 따른 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drain is not blocked by ic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gain whether or not the drain is block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may conclude that the drain hole is not blocked, and may terminate the present process according to FIG. 1.

한편 제어부는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배수구 주변의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한 후, 배수구(440)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강수량과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수구(440)의 내부가 여전히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수구(440)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의 휴대 단말이나 로봇에게 적절한 조치(ex. 이물질 제거)를 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remove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and then determine again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440 is block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ior of the drain is blocked by comparing the rainfall and the flow rate of the dra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ide of the drain 440 is still block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ain 440 is blocked by a foreign object, and request the administrator's mobile terminal or robot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ex.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have.

한편 제어부는 배수구의 유량과 기준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다음 순서에 따라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is blocked by comparing the flow rate of the drain and the reference flow.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is blocked in the following order.

먼저 제어부는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한다.First,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drain.

이후 제어부는 배수구의 유량과 기준 유량을 비교하여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배수구의 유량이 기준 유량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배수구의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flow rate of the drain port with the reference flow 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port is block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inside of the drain is blocked if the flow rate of the drai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flow rate, and may determine that the inside of the drain is not blocked if the flow rate of the drain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제어부는 배수구의 크기, 배수구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 등을 기초로 기준 유량을 사전에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배수구의 단면적, 배수구를 통과하는 물의 평균 유속, 제1 가중치 등을 곱셈하여 기준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배수구의 단면적, 배수구를 통과하는 물의 최대 유속, 제2 가중치 등을 곱셈하여 기준 유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이며, 제2 가중치는 제1 가중치와 같거나 제1 가중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reference flow rate in advance based on the size of the drain,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reference flow rate by multiply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rain, the averag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the first weight, and the like. The controller may also calculate the reference flow rate by multiply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rain, the maximum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the second weight, and the like.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may be value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and the second weight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weight.

한편 제어부는 S130 단계에서 강수량과 배수구 유량의 비교 결과, 갑판 외곽의 온도 측정 결과 등을 이용하여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어부는 S130 단계에서 배수구 유량과 기준 유량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배수구의 내부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is blocked us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ainfall and the drain flow rate in step S130,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utside of the deck,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ide of the drain is blocked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drain flow rate and the reference flow rate in step S130.

한편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갑판(410)의 측부(450) 주변에 얼음이 쌓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갑판(4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420)에 설치된 도어(430)를 이용하여 갑판(410)의 측부(450) 주변에 쌓여 있는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ontroller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side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ice is accumulated around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side wall 420 located at the outside of the deck 410 is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o remove the ice accumulated around the side portion 450 of the deck 410 by using the door 430 installed in the).

일례로 제어부는 갑판 측부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ex. 영하 20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면, 갑판(410)의 측부(450) 주변에 얼음이 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람이나 로봇으로 하여금 도어(430)를 이용하여 갑판(410)의 측부(450) 주변에 쌓여 있는 얼음을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sid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eg, minus 20 degrees), it is determined that ice is accumulated around the side 450 of the deck 410. It can be controlled to remove the ice accumulated around the side portion 450 of the deck 410.

한편 제어부는 갑판 측벽 주변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갑판(410)의 측벽(420) 주변에 얼음이 쌓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갑판(4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420)에 설치된 도어(430)를 이용하여 갑판(410)의 측벽(420) 주변에 쌓여 있는 얼음이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ice is accumulated around the side wall 420 of the deck 410 by compa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side wall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side wall 420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deck 4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o remove the ice accumulated around the side wall 420 of the deck 410 by using the door 430 installed in the).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얼음으로 인해 배수가 막힐 경우 갑판(410) 상의 측벽(420)에 얼음이나 극저온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물 즉, 도어(430)를 설치하여 얼음이나 극저온 유체가 선체 밖으로 오버보드(overboard)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갑판 상의 배수구가 얼음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cludes a hinge structure, that is, a door 430 for discharging ice or cryogenic fluid to the outboard on the side wall 420 on the deck 410 when drainage is blocked due to ice. Ice or cryogenic fluids overboard out of the hu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rain hole on the deck from being blocked by ice can be obtain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410: 갑판 420: 측벽
430: 도어 440: 배수구
410: deck 420: side wall
430: door 440: drain

Claims (7)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극저온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극저온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주변에 강수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상에 형성된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 및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상기 배수구의 주변에 있는 얼음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A first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cryogenic fluid has flowed out of the floating structure;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ryogenic fluid is leaked;
A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rain hole formed on a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b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precipitation falls around the floating struc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is blocked, the drainage block preventing method of the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a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to rem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단 단계는,
상기 강수와 관련된 강수량을 측정하는 제1 측정 단계;
상기 배수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측정 단계; 및
상기 강수량과 상기 배수구의 유량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A firs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the precipitation;
A seco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drain; And
And a four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comparing the precipitation and the flow rate of the drain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판단 단계는 상기 강수량에 대한 상기 배수구의 유량의 백분율 값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ourth determining step determines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a percentage value of the flow rate of the drain hole relative to the precipit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단 단계는,
상기 갑판의 측부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 단계; 및
상기 갑판의 측부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배수구가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A thir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sid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And
And a fif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 hole is blocked based on whether the side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ck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외곽에 위치하는 측벽에 설치된 힌지 형태의 도어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구를 막고 있는 얼음이나 상기 배수구의 주변에 있는 얼음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ving step is a floating type that discharges the ice blocking the drain or the ice around the drain by using a hinged door installed on a side wall located outside the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structure. How to prevent blockage of drains in structur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거나,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갑판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oor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r hinged to the side of the deck opposite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the rotation structure around the hinge axis to open the drain block clogging prevention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와 상기 갑판의 측부를 연결하는 구간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입구가 상기 갑판의 측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tion connecting the inlet of the drain and the side of the deck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inlet of the drain is formed clogging the drain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of the deck.
KR1020180088358A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KR102083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58A KR10208340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58A KR10208340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23A KR20200013323A (en) 2020-02-07
KR102083409B1 true KR102083409B1 (en) 2020-03-02

Family

ID=6956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58A KR10208340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4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53B1 (en) 2014-09-05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otecting spilled cryogenic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86B1 (en) 2013-01-23 2015-01-05 주식회사 비엠에스이앤씨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drain from freezing using the microwave
KR101705128B1 (en) * 2015-06-25 2017-02-09 이주승 Filtering device for rainfall runoff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53B1 (en) 2014-09-05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otecting spilled cryogenic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23A (en)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3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gaps in gasoline storage facilities and pipelines
US7823744B2 (en) Storage container for water-endangering liquids
NO3298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age control and / or testing of piping and tapping points for non-compressible liquids
JP2019523872A5 (en)
KR1011778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tifreezing ballast water
US10877493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water level in a plumbing element, and a plumbing element
JP2019523872A (en) Series cycle fuse
KR102432593B1 (en) Rainfall measurement device for drones and its operation method
JP5044494B2 (en) Double shell tank leak inspection device
WO2014098696A1 (en) Identifying undesired conditions in the function of a floating roof of a tank
US20160168933A1 (en) Intelligent sensor systems and methods
NO321248B1 (en) Drainage system for a liquid storage tank
KR102083409B1 (en)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US784989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draining an enclosure
KR20200029880A (en) Method for preventing drain clogging of floater
US20220074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KR20210084043A (en) Sensor module for sensing water level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1700782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leak
CN106195427B (en) Liquid line valves leakage monitor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101802203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seal pot system having function of oil emission
JP2003315201A (en) Leak tester
CN210194775U (en) Leakage detection and drainage integrated system for sewage pipe in same-floor drainage backfill layer
JP2006240655A (en) Underground tank management system
KR20120103181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f a vessel
RU2723000C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head losses in relief pip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