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227B1 - 방우 박스 - Google Patents

방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227B1
KR102083227B1 KR1020190001984A KR20190001984A KR102083227B1 KR 102083227 B1 KR102083227 B1 KR 102083227B1 KR 1020190001984 A KR1020190001984 A KR 1020190001984A KR 20190001984 A KR20190001984 A KR 20190001984A KR 102083227 B1 KR102083227 B1 KR 10208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stening
cover
piece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연
Original Assignee
최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연 filed Critical 최상연
Priority to KR102019000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콘센트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와 상기 콘센트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가 각각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전선 인입을 위한 전선인입구가 마련되는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박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상기 박스본체를 기밀 가능하게 차단하거나, 개폐되도록 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박스본체의 전면에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이 밀착되도록 하고, 메쉬 형태로 다수로 배열 형성되는 체결홈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가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피스의 관통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피스의 나사 체결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가변체결부;를 포함하도록 한 방우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에서 전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콘센트를 강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야외 설치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개폐를 위한 도어의 밀폐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방우 박스{Box for preventing rain}
본 발명은 방우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접속을 위한 콘센트가 강우나 수분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방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기계 및 장비 조립 제조 현장 등을 비롯하여, 각종 산업 현장 뿐만 아니라, 캠핑장을 비롯하여, 야외에서 전기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원거리에 위치한 전원을 콘센트를 통해 원하는 위치까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원거리에 다수의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야외 특성상 강우나 각종 수분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감전이나 정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9057호의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절연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이고,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양측면에 다수의 콘센트 삽입홀과 정면에 케이블 인입홀이 구비되며, 상단 테두리에 제 1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누전 차단기와; 복수의 단자와 단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단자대와; 방우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코일 스프링에 의해 힌지 결합된 방우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각각의 콘센트 삽입홀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콘센트와;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전 차단기를 외부로 도출시키도록 사각형태의 누전 차단기용 홀이 상기 누전 차단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제 1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전 커버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하단 테두리에 제 2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제 2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긴밀하게 체결시키도록 상기 커버 및 본체에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순히 콘센트의 설치만을 고려할 뿐, 다른 용도로서 사용하지 못하여 활용성이 저하되고,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인 커버의 밀폐력을 개폐시키는 것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 및 밀폐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외에서 전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콘센트를 강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야외 설치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여,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고, 개폐를 위한 도어의 밀폐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폐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콘센트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와 상기 콘센트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가 각각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전선 인입을 위한 전선인입구가 마련되는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박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상기 박스본체를 기밀 가능하게 차단하거나, 개폐되도록 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박스본체의 전면에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이 밀착되도록 하고, 메쉬 형태로 다수로 배열 형성되는 체결홈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가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피스의 관통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피스의 나사 체결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가변체결부;를 포함하는, 방우 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부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개방슬릿을 형성하는 힌지결합부가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고, 타측부에 제 1 체결축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개방슬릿을 통해 상기 힌지결합부 각각에 끼워지도록 힌지축부가 일측에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부에 상기 제 1 체결축 각각에 대응하여 나란하도록 제 2 체결축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체결축 각각에 끼워져서 회동하도록 고리 형태의 축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체결축으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제 1 체결축에 나란한 제 2 체결축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여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스가변체결부는, 상기 덮개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가변체결부는, 상기 다수의 체결홈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테두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스가변체결부는, 상기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이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으로서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우 박스에 의하면, 야외에서 전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콘센트를 강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야외 설치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개폐를 위한 도어의 밀폐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의 브라켓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의 브라켓 설치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우 박스(100)는 박스본체(110), 덮개(120), 클램프(130) 및 피스가변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본체(110)는 내부에 콘센트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111)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112)와 콘센트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113)가 각각 마련되며, 저면에 수용공간(111)으로의 전선 인입을 위한 전선인입구(1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112)는 예컨대 외측면에 별도의 고정밴드나 고정프레임 등과의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을 위하여 외측으로 개방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구조에 의해 설치 장소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113)는 예컨대 콘센트의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을 위하여 내측으로 개방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구조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에서 콘센트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선인입구(114)는 개방이 용이하도록 절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단편(115)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시공시 차단편(115)을 제거한 다음, 전선인입구(114)에 전선의 인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슬리브 등이나 이와 유사한 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박스본체(110)는 덮개(120)와의 힌지 결합과 클램프(1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예컨대 일측부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개방슬릿(117)을 형성하는 힌지결합부(116)가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타측부에 제 1 체결축(118)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120)는 박스본체(110)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를 위해 가장자리에 박스본체(110)의 개방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러한 테두리부에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실링부재의 설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덮개(120)는 박스본체(110)와의 힌지 결합과 클램프(130)와의 결합을 위하여, 개방슬릿(117)을 통해 힌지결합부(116) 각각에 끼워지도록 힌지축부(121)가 일측에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어, 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지 끼움방식 만으로도 박스본체(110)와의 조립성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타측부에 제 1 체결축(118) 각각에 대응하여 나란하도록 제 2 체결축(122)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130)는 박스본체(110)에 결합되어 덮개(12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덮개(120)가 박스본체(110)를 기밀 가능하게 차단하거나, 개폐되도록 한다.
클램프(130)는 예컨대, 제 1 체결축(118) 각각에 끼워져서 회동하도록 고리 형태의 축결합부(131)가 마련될 수 있고, 제 1 체결축(118)으로부터 회동하여 제 1 체결축(118)에 나란한 제 2 체결축(122)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여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체결부(132)가 마련됨으로써, 박스본체(110)에 대한 조립이 단지 끼움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덮개(120)가 박스본체(110)와의 기밀된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축체결부(132)는 제 2 체결축(122)을 양측에 각각 가압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피스가변체결부(140)는 박스본체(110)의 전면에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10)이 밀착되도록 하고, 메쉬 형태로 다수로 배열 형성되는 체결홈(141)에 브라켓(10)을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2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10)에서 피스(20)의 관통 위치에 상응하도록 피스(20)의 나사 체결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체결홈(141)이 메쉬 형태로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브라켓(10)의 구조나 형태, 특히 브라켓(10)에서의 피스(20) 고정 위치에 따라 피스(20)의 나사 체결 위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피스(20)의 관통 위치를 가진 다양한 브라켓(10)의 설치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피스가변체결부(140)는 체결홈(141)이 피스(20)의 나사 체결 깊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덮개(120) 외측면으로의 돌출을 피함으로써, 브라켓(10) 설치로 인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도록, 도 4에서와 같이 덮개(12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스가변체결부(140)는 다수의 체결홈(141)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브라켓(141)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테두리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120)가 수직면인 경우, 브라켓(141)이 설치시 미처 고정되지 못함으로써, 피스가변체결부(140)로부터 쉽게 이탈하고, 이로 인해 피스(20)의 나사 체결 작업을 번거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20)의 고정 위치를 적정하게 선택하는데 불편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이드테두리부(142)에 브라켓(20)이 고정 전에도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20)에 의한 고정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피스가변체결부(140)는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10)이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으로서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감시용, 보안용, 방재용 등과 같은 다양한 카메라를 방우 박스(100)를 이용하여 손쉽게 거치 내지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10)은 본 실시례에서 제시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뿐만 아니라, 화재 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조명, 안테나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외부 기기의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우 박스에 따르면, 야외에서 전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콘센트를 강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야외 설치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를 위한 도어의 밀폐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브라켓 20 : 피스
110 : 박스본체 111 : 수용공간
112 : 제 1 고정부 113 : 제 2 고정부
114 : 전선인입구 115 : 차단편
116 : 힌지결합부 117 : 개방슬릿
118 : 제 1 체결축 120 : 덮개
121 : 힌지축부 122 : 제 2 체결축
130 : 클램프 131 : 축결합부
132 : 축체결부 140 : 피스가변체결부
141 : 체결홈 142 : 가이드테두리부

Claims (5)

  1. 내부에 콘센트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와 상기 콘센트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가 각각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전선 인입을 위한 전선인입구가 마련되는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박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상기 박스본체를 기밀 가능하게 차단하거나, 개폐되도록 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박스본체의 전면에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이 밀착되도록 하고, 메쉬 형태로 다수로 배열 형성되는 체결홈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가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피스의 관통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피스의 나사 체결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피스가변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부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개방슬릿을 형성하는 힌지결합부가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고, 타측부에 제 1 체결축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개방슬릿을 통해 상기 힌지결합부 각각에 끼워지도록 힌지축부가 일측에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부에 상기 제 1 체결축 각각에 대응하여 나란하도록 제 2 체결축이 상하 일렬로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체결축 각각에 끼워져서 회동하도록 고리 형태의 축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체결축으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제 1 체결축에 나란한 제 2 체결축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여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가변체결부는,
    상기 덮개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홈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테두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피스가변체결부는,
    상기 외부 기기 설치용 브라켓이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으로서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방우 박스.
KR1020190001984A 2019-01-07 2019-01-07 방우 박스 KR10208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84A KR102083227B1 (ko) 2019-01-07 2019-01-07 방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84A KR102083227B1 (ko) 2019-01-07 2019-01-07 방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27B1 true KR102083227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984A KR102083227B1 (ko) 2019-01-07 2019-01-07 방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0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KR20110000913U (ko) * 2009-07-21 2011-01-27 이충원 화물 운반용 대차
JP5058949B2 (ja) * 2008-11-18 2012-10-24 未来工業株式会社 機器収容ボックス
KR101693542B1 (ko) * 2015-09-10 2017-01-06 조경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춘 콘센트 보관함
KR101712063B1 (ko) * 2015-07-01 2017-03-0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접속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JP5058949B2 (ja) * 2008-11-18 2012-10-24 未来工業株式会社 機器収容ボックス
KR20110000913U (ko) * 2009-07-21 2011-01-27 이충원 화물 운반용 대차
KR101712063B1 (ko) * 2015-07-01 2017-03-0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접속함
KR101693542B1 (ko) * 2015-09-10 2017-01-06 조경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춘 콘센트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0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KR102433231B1 (ko) 2020-06-23 2022-08-17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850B2 (en) Environmentally sealed wiring device with removable weather-resistant cover
US9960524B2 (en) Slim line while in use cove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396997B2 (en) Hinged weatherproof electrical box cover
US7947901B2 (en) Environmentally sealed wiring device with integral weather-resistant cover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US5306178A (en) Phone jack box
US20080110661A1 (en) Dual hinge recess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AU2016256768B2 (en) Weather resistant power outlets
EP0442871A1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with cover
MXPA05011738A (es) Cubierta a prueba de clima e interruptor de desconexion.
US11817689B2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KR102083227B1 (ko) 방우 박스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US10749322B2 (en) Shrouded in-use cover for a junction box
US8902595B2 (en) Reducing possibility of short-circuit in a display device
US20090071681A1 (en) Modular electrical assembly
CA2857918A1 (en) While-in-use outdoor cover with recessed electrical device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20100034388A (ko) 완전 방수용 분전함
US9935442B2 (en) Weather resistant power outlets
KR20200114198A (ko) 링메인유닛용 외함
CN213304461U (zh) 防护盒和电气组件
EP3767764B1 (en) Mounting system for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CN212674998U (zh) 插卡式电表箱的箱门和插卡式电表箱
GB2474931A (en) Watertight electrical connector ca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