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097B1 -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097B1
KR102083097B1 KR1020180148552A KR20180148552A KR102083097B1 KR 102083097 B1 KR102083097 B1 KR 102083097B1 KR 1020180148552 A KR1020180148552 A KR 1020180148552A KR 20180148552 A KR20180148552 A KR 20180148552A KR 102083097 B1 KR102083097 B1 KR 10208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dressing
styrene
myrrh
dressing composition
isop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18014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를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용융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에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넣고 교반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경화된 상기 단계 (c)의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이형지를 붙이는 단계. 본 발명의 습식 드레싱 조성물은 존의 습식 드레싱에 비해 상처 치유능력, 지혈능력 및 항균능력이 우수한 것은 물론, 제품의 보존기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Moist Wound Dressing Composition Comprising Myrrh}
본 발명은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몰약(沒藥, myrrh)은 쓴맛이 나며 향기가 좋고 노란색을 띤 적갈색의 함유수지(含油樹脂) 고무이다. 콤미포라속(Commiphora 屬)의 작고 가시가 있는 꽃피는 교목 또는 콤미포라 미르라(Commiphora myrrha)나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 같은 감람과(橄欖科, Burseraceae) 식물에서 얻어지며, 언급한 식물(Commiphora myrrha)과는 구별한다.
몰약은 주로 분향료(焚香料), 향수, 향고(香膏) 등의 화장품, 향유의 부향료(賦香料), 약재 등 다양하게 이용되어, 고대 근동(近東) 지방이나 중동 지역 및 중세 유럽에서는 매우 귀하게 여겼다. 일반인들에게는 기독교 경전에서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에게 황금, 유향, 그리고 몰약을 선물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상처 치료방법이 진화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처가 나면 진물을 닦아내고 머큐로크롬(빨간약)을 발라 소독한 뒤, 거즈나 1회용 밴드를 붙이는, 이른바 건조드레싱 방식이 일반상식처럼 굳어져 있었다.
그러면, 상처는 건조하게 유지되어 딱지가 생기게 되고 시간이 지나 이 딱지가 떨어지면 상처가 다 나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건조드레싱 방식은 상처치유와 흉터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선 상처에서 나오는 진물에는 세포의 재생을 돕는 성장인자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므로, 닦아내지 말고 촉촉하게 머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통론으로 되어있다. 또한, 항균제나 소독약을 남용하게 되면 피부 재생에 필요한 세포까지 손상을 입혀 오히려 치유를 더디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물에게 물리거나 상처부위가 오염된 경우 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굳이 소독약을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이나 생리식염수로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닦아내기만 하면 된다.
또한, 건식 드레싱인 거즈는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거즈가 상처면에 달라붙어 교환할 때마다 통증과 함께 2차 손상을 유발하고, 그만큼 흉터가 남을 위험도 커진다.
건조드레싱의 단점을 보완한 습윤드레싱 방식은 상처면을 촉촉한 습윤상태로 유지시켜 딱지가 생기지 않게 하고, 상처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는 원리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재생 상피세포가 상처면을 빠르게 덮고 상처 수복을 촉진시킨다. 특히, 상처부위에 삼출물을 적절히 유지하여, 삼출물 내 세포재생에 필요한 여러 인자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상처 치료방법이다.
뿐만 아니라 습윤드레싱은 상처부위를 촉촉하게 유지하여, 상처면이 밴드에 들러붙지 않아 교환시 통증이 적음은 물론이고, 상처의 2차 손상을 막아 흉터 생성도 억제할 수 있다. 즉, 습윤드레싱은 손상된 조직이 회복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줘, 건조드레싱 방식에 비해 상처의 회복 속도가 빠르고, 흉터가 생길 위험도 적은 것이다.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건조드레싱과 달리, 습윤드레싱재는 붙인 후 2~3일 정도는 갈아주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성과 경제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세계 드레싱재 시장에서는 매년 습윤드레싱이 5% 이상 성장하여 최근에는 4대 6 정도로 건조드레싱 시장을 이미 앞섰으며, 습윤드레싱 시장의 성장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는 추세다. 국내 시장에서도 최근 다양한 제품들이 속속 소개되면서 습윤드레싱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습윤드레싱과 관련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4061호(발명의 명칭 : 양막 추출물을 함유하는 이중층 하이드로겔 습윤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지 않는 창상 및 화상 치유용으로 안정성이 확보된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로겔과 양막 추출물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진 이중층 하이드로겔 양막 추출물 함유 습윤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에 포함된 습윤드레싱의 경우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멸균 과정에서 동물성 단백질이 변성될 문제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습식 드레싱에 비해 상처 치유능력, 지혈능력 및 항균능력이 우수한 습식 드레싱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이용하여 습윤 드레싱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보존기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습식 드레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습식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습식 드레싱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습식 드레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습식 드레싱에 비해 상처 치유능력, 지혈능력 및 항균능력이 우수한 습식 드레싱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이용하여 습윤 드레싱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보존기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몰약’은 감람과식물인 콤미포라 미르라(C.myrrha)나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abyssinica) 등의 수피(樹皮)에 상처를 내어 채취한 천연고무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습윤 드레싱’은 상처를 밀폐하여 습윤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일체의 물질 또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습윤 드레싱 조성물’은 습윤 드레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팽윤도’는 건조한 물질에 대한 흡수한 용매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하이드로콜로이드’는 물과 결합시키면 교질이 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00 중량부,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 50-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 몰약 나노입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와 혼합될 경우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팽윤도 및 수분흡수율을 유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몰약 파우더는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몰약 파우더를 0.5-1.0 중량%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 몰약 파우더를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팽윤도, 수분 흡수율, 세포 성장률 등 몰약 파우더의 효과가 미비해지는 문제가 있고, 몰약 파우더를 1.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습식 드레싱 조성물 제조단가가 오르는 것은 물론, 습식 드레싱 조성물의 물성이 오히려 나빠지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몰약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1000 n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 n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3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몰약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300 nm 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몰약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 nm 미만일 경우 몰약 파우더를 제조하는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300 nm를 초과할 경우 드레싱의 상처 치유능 및 지혈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팽윤도는 바람직하게는 0.1-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1.8%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팽윤도가 1.2-1.8%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팽윤도가 1.0 미만일 경우 상처에서 분비하는 혈액 및 고름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져 상처의 회복이 더디고, 흘러나온 액체를 통해 상처가 감염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수분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10-90%일 수 있고, 보다 바림직하게는 30-80%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7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수분 흡수율이 50-70% 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수분 흡수율이 50% 미만일 경우 상처에서 분비하는 혈액 및 고름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져 상처의 회복이 더디고, 흘러나온 액체를 통해 상처가 감염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를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용융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에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넣고 교반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경화된 상기 단계 (c)의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이형지를 붙이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150-25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c)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름층,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층 및 이형지 층을 포함하는 몰약 파우더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를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용융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에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넣고 교반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경화된 상기 단계 (c)의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이형지를 붙이는 단계.
(b) 본 발명의 습식 드레싱 조성물은 존의 습식 드레싱에 비해 상처 치유능력, 지혈능력 및 항균능력이 우수한 것은 물론, 제품의 보존기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도 2는 몰약 파우더의 입도분포를 나타낸다.
도 3은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팽윤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수분흡수력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몰약 파우더 용액의 세포 성장률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지혈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몰약 파우더 용액의 항균력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의 제조
제조예 1 : 원재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몰약 파우더
제조예 2 : 제조방법
190-200℃로 예열된 Bath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넣고 30분간 교반하여 녹였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가 다 녹으면 혼합해둔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와 몰약 파우더를 섞어 30분간 충분히 혼합시켰다. 교반이 끝나면 폴리우레탄 필름에 열룰러로 도포하였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온도가 내려가며 경화가 되었다. 경화가 된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이형지를 붙였다. 이형지가 부착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장한 다음, 25 kGy 조건에서 감마선 멸균을 진행하여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을 완성하였다(하기 도 1 참조).
실험예 :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효능 확인
실험예 1 : 몰약 파우더 입자 크기의 측정
실험방법
입자에 일정파장의 레이져 beam이 도착하면, 산란, 투과, 흡수된다. 산란되는 빛 중에는 회절(Diffraction), 굴절(Refraction), 반사(Reflection)되는 것이 있으며 흡수된 빛의 일부는 입사 빛 보다 긴 파장의 빛을 다시 방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이를 통틀어 광산란이라고 하며 광산란정도를 검출기로 검출하여서 입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용액에 분산시켜서 레이져 빔의 광축을 통과시켜서 측정하는 습식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몰약 파우더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입도분포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게는 100-300 nm 크기의 몰약 파우더 크기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팽윤도 및 수분흡수력 측정
실험방법
팽윤도 : 제조된 지지체가 일정 시간 동안 용액 속에 침지 되었을 때의 용적변화율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식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건조된 지지체의 무게(Wd)와 팽윤된 지 지체의 무게(Ws) 차를 건조된 지지체의 무게(Wd)로 나누어 나타냈다.
Figure 112018118381533-pat00001
<식> 1
수분흡수력 : 제조된 지지체의 수분흡수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식 2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흡수된 지지체의 무게(Ws)와 건조된 지지체의 무게(Wd)차를 흡수된 지지체의 무게(Ws)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냈다.
Figure 112018118381533-pat00002
<식> 2
실험결과
제조된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팽윤도와 수분흡수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몰약 파우더의 함량 증가에 따라 팽윤도와 흡수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세포독성 평가
실험방법
제조된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CCK-8 kit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NIH3T3 섬유아 세포를 사용하였고, 각 습윤드레싱에 5X104 cell/ml로 파종하였다. 1,3,5일 각각에 CCK-8 용액을 배양액의 1/10씩 넣은 다음 2시간 동안 37°C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1.5 ml 튜브에 습윤드레싱과 용액을 옮긴 후 초음파 세척기로 5분 용해하였다. 용해된 용액을 96 well에 100 ml씩 분주하고 ELISA 플레이트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향균작용 및 염증억제 효능을 지니고 있는 몰약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세포의 성장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으로 사용된 거즈에 비해 몰약 함유 습윤 드레싱 조성물에서의 세포증식률이 월등히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몰약 파우더 용액 세포 증식효과 확인
실험방법
24-well plate에 단일 세포층의 NIH3T3 섬유아세포를 5 X 104/well 씩 접종하여 세포를 plate 바닥에 부착시켰다. Pipette tip을 이용하여 plate 바닥을 긁어 세포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을 만들었다. PBS로 2 회 이상 처리하여 떨어져 나간 세포들을 제거하였다. 그 후 DMEM media에 몰약 파우더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상처가 생긴 후 0시간과 24시간에 같은 위치를 도립현미경으로 ×40 배율로 촬영하였다. 24시간 동안 줄어든 면적을 Image J로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몰약 파우더 용액을 0.5%, 1% 각각 농도범위로 처리하여 NIH3T3 섬유아세포의 운동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wound healing assay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몰약 파우더 용액을 1%을 처리하면 control에 비해 세포 이동이 45% 증가하였다. 0.5% 처리군에서도 1%보다는 작지만 0%군에 비해 34% 세포 이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 증식에 몰약이 관여한다고 사료된다.
실험예 5 :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지혈효과 확인
실험방법
각 지혈제의 지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50-300 g의 수컷 Sprague-Dawley 종 백서의 대퇴부에 출혈을 유발하여 몰약 파우더 미첨가 군과 각각 0.5%, 1% 함유된 습윤 드레싱 조성물을 각각 30 초 동안 5N의 힘을 가해 지혈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몰약 파우더 미첨가 군의 경우 지혈 부위가 매끄럽지 못하고 혈액이 뭉쳐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몰약 함유 습윤 드레싱 조성물에서는 지혈부위에 혈액 뭉침 없이 지혈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몰약의 상처치유 효능이 있다고 사료된다.
실험예 6 : 몰약의 항균효과 확인
실험방법
E.Coli 균이 분주된 disk paper위에 몰약 함유용액을 100 m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보관 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몰약의 향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E.Coli 균이 분주된 disk paper위에 몰약 함유용액을 100m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보관 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몰약이 함유하지 않은 군에서는 균에 오염된 disk paper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반해 몰약이 첨가된 군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몰약의 향균력이 있다고 사료된다.

Claims (8)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를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용융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에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Na) 및 몰약 파우더를 넣고 교반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및
    (d) 경화된 상기 단계 (c)의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이형지를 붙이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00 중량부,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즈 소듐 솔트 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약 파우더는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약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0-3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팽윤도는 1.2-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수분 흡수율은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가열온도는 섭씨 150-25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필름은 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8552A 2018-11-27 2018-11-27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KR10208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52A KR102083097B1 (ko) 2018-11-27 2018-11-27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52A KR102083097B1 (ko) 2018-11-27 2018-11-27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097B1 true KR102083097B1 (ko) 2020-02-28

Family

ID=6963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552A KR102083097B1 (ko) 2018-11-27 2018-11-27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0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494A (ja) * 2009-08-26 2011-03-10 Nichiban Co Ltd ハイドロコロイド型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基材に塗布した創傷材
US20110300198A1 (en) * 2010-06-03 2011-12-08 Amos Nussinovitch Hydrocolloid - essential oil patches
KR101454161B1 (ko) * 2013-10-30 2014-10-29 주식회사 해피콜 몰약수지 용액과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몰약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품
KR20150125137A (ko) * 2014-04-29 2015-11-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크 피브로인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상치료용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의 제조 방법
KR20180113779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494A (ja) * 2009-08-26 2011-03-10 Nichiban Co Ltd ハイドロコロイド型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基材に塗布した創傷材
US20110300198A1 (en) * 2010-06-03 2011-12-08 Amos Nussinovitch Hydrocolloid - essential oil patches
KR101454161B1 (ko) * 2013-10-30 2014-10-29 주식회사 해피콜 몰약수지 용액과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몰약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품
KR20150125137A (ko) * 2014-04-29 2015-11-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크 피브로인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상치료용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의 제조 방법
KR20180113779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n injectable self-healing coordinative hydrogel with antibacterial and angiogenic properties for diabetic skin wound repair
Basu et 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based films for healing of full-thickness wounds in normal and diabetic rats
AU2006329660B2 (en) Hemostatic material
AU2006329661B2 (en) Hemostatic material
Martínez-Martínez et al. Ionic hydrogel based on chitosan cross-linked with 6-phosphogluconic trisodium salt as a drug delivery system
Hussan et al. Momordica charantia ointment accelerates diabetic wound healing and enhances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expression
Qin et al. Zn2+ cross-linked alginate carrying hollow silica nanoparticles loaded with RL-QN15 peptides provides promising treatment for chronic skin wounds
Tenci et al. Particulate systems based on pectin/chitosan association for the delivery of manuka honey components and platelet lysate in chronic skin ulcers
Hu et al. Injectable carboxymethyl chitosan-genipin hydrogels encapsulating tea tree oil for wound healing
Ju et al. Silk fibroin based hydrogel for regeneration of burn induced wounds
Ditta et al. Agarose/κ-carrageenan-based hydrogel film enriched with natural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wounds
Angioi et al. The rediscovery of honey for skin repair: recent advances in mechanisms for honey-mediated wound healing and scaffolded application techniques
An et al. Anti‐Dehydration and Rapid Trigger‐Detachable Multifunctional Hydrogels Promote Scarless Therapeutics of Deep Burn
Zhao et al. Accelerating ESD-induced gastric ulcer healing using a pH-responsive polyurethane/small intestinal submucosa hydrogel delivered by endoscopic catheter
Ghosh et al. Copper-eluting fibers for enhanced tissue sealing and repair
Kim et al. Transdermal hydrogel composed of polyacrylic acid containing propolis for wound healing in a rat model
Froelich et al. Alginate-based materials loaded with nanoparticles in wound healing
Ciftci Release kinetics modelling and in vivo-vitro, shelf-life study of resveratrol added composite transdermal scaffolds
Shi et al. Thrombin-loaded TA-CaCO3 microspheres as a budget, adaptable, and highly efficient hemostatic
Qin et al. Biodegradable microneedle array-mediated transdermal delivery of dimethyloxalylglycine-functionaliz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8 nanoparticles for bacteria-infected wound treatment
KR102083097B1 (ko)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Machado Velho et al. Use of propolis for skin wound heal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ao et al. Hyaluronic acid sustains platelet stability with prolonged growth factor release and accelerates wound healing by enhancing proliferation and collagen deposition in diabetic mice
KR20210059880A (ko) 항염 활성이 증가된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제조방법
KR20210059879A (ko) 항염 활성이 증가된 몰약을 포함하는 습윤 드레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