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56B1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 Google Patents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656B1 KR102082656B1 KR1020170154408A KR20170154408A KR102082656B1 KR 102082656 B1 KR102082656 B1 KR 102082656B1 KR 1020170154408 A KR1020170154408 A KR 1020170154408A KR 20170154408 A KR20170154408 A KR 20170154408A KR 102082656 B1 KR102082656 B1 KR 1020826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fine
- heating
- resistance value
- wir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발열하는 조립식 열선으로 발열침구를 만들어 무선방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공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은,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열부를 구비시킨 발열침구 본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은,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열부를 구비시킨 발열침구 본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발열하는 조립식 열선으로 발열침구를 만들어 무선방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공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인류의 주거문화에서 침구류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인간은 잠을 잘 때 체온 보호를 위해 본능적으로 따뜻함을 원하고,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잠자리의 뜨거움을 원하는 정도가 더해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대인은 90% 이상이 침대생활을 하며, 침대 위에서 잠을 잘 때도 구들장에서 잠을 잘 때와 같은 따뜻함을 원하고 따뜻한 침구류들을 깔거나 덮고 자기를 원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인류가 개발한 기존의 침구류에서는 열을 낼 수 있는 기술이 완전히 개발되어 있지 못하여, 따뜻한 잠자리를 원하는 욕구를, 침대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침대침구류는 유연성과 쿠션이 너무 커서 딱히 따뜻한 열을 낼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어 침대침구류 내부에 전기열선을 구비시켜 열을 내보려는 시도는 수없이 있었지만, 종래의 전기열선기술들은 너무 낙후되고 기술의 한계성이 있어 전기열선들이 쉽게 끊어져서 화재나 감전 사고를 번번이 일으키게 되었고 또한 아래 첫째부터 셋째까지와 동일한 이유 때문에, 현재까지는 제대로 된 발열 침대침구류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현재 인류가 개발한 침대침구류 기술이 이렇게 열을 내는데 한계성에 봉착하여 침대생활이 90% 이상인 현대인들이 잠자리에서 따뜻한 열을 느끼며 자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발열 침대침구류 대신 그 보조방법으로, 발열매트류(AC 220V 전기매트, 온수매트)를 침대 위에 올려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들도 아래와 같은 위험성 등 심각한 문제점에 봉착하고 있다.
첫째, 종래의 전기열선 기술이 낙후되어 있어 감전위험이 없는 24V 이하의 초 저전압의 전기로는 침구(이불)류와 같은 넓은 면적을 발열시킬 수 있는 기술이 없어서 종래의 발열 침구류들은 AC 100~220V의 상용화된 전기만을 사용해야 하는 방식으로 상시 감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발열 침대침구류의 보조방법으로 종래의 발열매트들은, 열을 내기 위해 전기열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기술의 낙후성으로 AC 100~220V의 상용화된 전기만을 사용해야 하는 방식으로써, 이러한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전기열선을 넣은 침구류를 침대 위에 깔거나 덮고 사람이 수면을 취하게 되면, 침대 쿠션과 사람이 몸을 뒤척이는 하중으로 매트와 같은 침대에 까는 용도의 침구류에 들어간 전기열선에 트위스트 장력이 작용하여 해당 전기열선이 단선되고, 이불과 같이 덮고 자는 침구류는 사람이 돌돌 말며 잠을 자게 되면 열선과 열선이 겹치면서 과열이 발생하거나, 열선이 완전히 꺾이면서 접혀지게 되어 이때도 단선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선부위에 사람 몸이 접촉되게 되면 사용전압이 높아서 감전사고가 발생하고 사람이 목숨을 잃을 수도 있게 되는 등 상시 감전 위험성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전기열선 기술이 낙후되어 있어 감전위험이 없는 24V 이하의 초저전압이면서 유해전자파(유도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직류(DC)전기로 침구(침구)류와 같은 넓은 면적을 발열시킬 수 있는 기술이 없어서 종래의 발열 침구류들은 교류(AC) 전기를 사용하면 반드시 발생하는 유도파인 유해전자파에 상시 노출이 되어 있다.
발열 침대침구류의 보조방법으로 종래의 발열매트들은, 열을 내기 위해 전기열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전기 열선들은 기술의 낙후성으로 AC 100~220V의 상용화된 전기만을 사용해야 하는 방식으로써, 교류(AC) 전기는 유도파를 무조건 발생시키는 전기이고, 유도파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전파이며, 전자파는 거리의 제곱 승수에 반비례하므로 사람이 직접 접촉하는 침대침구류에서는 거리가 0에 가까워 전자파가 발생하면 인체가 직접 100% 모두 맞게 되고, 또한 전기를 켜고 잠을 자게 되면 잠을 자는 동안 유해 전자파를 지속적, 연속적으로 맞으면서 잠을 자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전기열선 소재기술이 낙후되어 있어 화재위험에 상시 노출된다.
발열 침대침구류의 보조방법으로 종래의 발열매트들은, 열을 내기 위해 전기열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전기 열선들은 소재기술이 낙후되어(인장력, 내구성 등이 현저히 좋지 않음) 구기거나 접혀지게 되면 단선이 쉽게 되고 조금 오래 사용하면 자연적으로 부스러짐이 발생하며, 이러한 단선이나 부스러짐 발생시 사용 전압이 높은 관계로 단선 부위나 부스러짐 부위에서 쇼트에 의한 불꽃이 발생하여 화재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특히, 침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침대는 쿠션이 있어 상하, 좌우 방향으로 트위스트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웬만한 전기열선과 전선과 열선이 연결되는 접속부위는 이러한 인장력에 견딜 수 없어 단선을 초래하게 되고, 열선이나 전기선, 접속부위가 단선되면 단선부위가 서로 부딪히며 불꽃이 발생하여 화재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열선 기술의 낙후성으로 열선소재 자체의 정온 유지기능이 없어 조절기나 감지기, 바이메탈 등 열 조절기능을 하는 장치가 고장 발생 시에는 온도가 연속 상승하며 과열로 화재가 발생한다.
넷째, 잠자리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침구에서 가장 중요한 유연성이 없다.
사람이 깔거나 덮고 자는 침구류는 유연하여야(부드러워야) 포근함을 느끼며 더욱 잠이 잘 온다. 또한, 침대류도 이러한 맥락으로 침대 제조사들은 침대와 매트리스 쿠션을 침대과학이라며 첨단적으로 개발해 나가면서 고성능 쿠션 기술의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전기발열매트는 전기열선 소재기술(인장력, 내구성 등)이 낙후되어 있고 상기 첫째~셋째 문제점들을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는 관계로 이를 보완하고자 잘 구부러지지 않고 딱딱하게, 그리고 두껍게 만들 수밖에 없어(내부 전기열선이 접히거나 구겨지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연성이 떨어지는 제품들로 만들 수밖에 없는 기술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전기발열매트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탄생한 온수매트들도 유연성이 없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온수매트들은 얇게 만들 수가 없고(얇을 경우 온수 배관에 스케일이 끼며 배관이 막힘), 온수(물) 자체 쿠션이 고성능 침대 고유의 쿠션을 저해하게 되며, 접히거나 구부리게 되면 온수 흐름이 차단되어 발열침구 기능을 상실하고 과압으로 보일러 폭발위험이 있어, 현재 사용화되어 유통되고 있는 모든 온수매트류들 역시 잘 구부러지지 않고 딱딱하게, 그리고 두껍게 만들 수밖에 없는 기술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연성 없이 잘 구부러지지 않고 딱딱하면서 두꺼운 종래의 전기발열매트류나 온수매트류들을 첨단과학의 침대 위에 깔고 자게 되면, 고급 고성능 침대에서 고유의 고성능 쿠션감이 없게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동시에 안고 있다.
결국, 종래의 전기발열매트류나 온수매트류들은 유연성이 없어 부드럽고 포근한 진정한 발열침구라고 할 수 없다.
다섯째, 발열침구를 제조하는 종합적 기술의 한계로 잠자리가 편리한 무선방식의 발열침구를 만들 수 없다.
종래의 온수매트류와 전기 발열매트류는 모두 유선방식으로 잠자리에서 침구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많다.
온수매트류들은 보일러에서부터 매트까지 온수배관이 연결되어 있고, 전기 매트류들은 전원공급선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유선방식은 그나마 바닥에 깔고 자는 침구의 제품군(매트 류)에서는 불편함이 덜 하지만, 덮고 자는 침구의 제품 군(이불, 담요 등)에서는 사람이 잠을 자면서 이불을 돌돌 말거나, 구르면서 자기 때문에 이불에 선이 연결되어 있으면 불편함을 이루 말할 수 없다.
여섯째, 종래의 전기발열침구류들은 일시적인 발열기술밖에 구현이 안 되므로 화재위험을 시스템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종래의 전기발열매트들은 매트 면적 전체에 열선이 들어가 있으며 이러한 열선에 전기가 한 번에 흘러(1회로로 구성됨) 일시발열을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시 발열방식은 국부적으로 축열이 발생하는 경우 과열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시스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근본적 문제점도 안고 있다. 즉, 발열매트가 구겨지거나, 겹쳐질 경우 겹쳐진 수의 제곱 승에 비례해 온도가 급상승하여 과열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며, 매트 일부 면적 위에 다른 침구(이불이나 담요)를 얹어 두었을 때도 그 부위로 열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며 과열이 화재로 이어진다.
일곱째, 종래의 전기 발열침구류나 온수매트들은 진정한 원적외선 방출기능이 없어 건강에 덜 이롭다.
원적외선은 인체 내부로 침투되어 진동을 발생시켜서 체내에서 열이 나게 하는 파장인데 이러한 원적외선을 인체가 쪼이게 되면 혈관이 팽창하여 피의 순환이 개선되는 등 인체에 많은 이로움을 준다.
특히 원적외선 파장대가 5 ~20미크론(㎛)인 경우 인체에 큰 이로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파장대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발열침구를 만드는 것은, 종래의 전기발열 침구 제조기술이나 온수매트 제조기술로는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목적은 DC 저전압의 전기를 사용하므로 감전 위험이 없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감전 위험이 없는 24V 이하의 초저전압인 직류(DC) 전기로 넓은 면적을 발열시킬 수 있어 유해전자파(유도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전기열선 소재를 개발하여 화재 위험이 없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넷째 목적은 침구를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잠자리에서 부드럽고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섯째 목적은 무선방식의 발열침구를 제공하여 잠자리가 편리한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섯째 목적은 지속적인 발열기술 구현으로 화재위험을 시스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곱째 목적은 진정한 원적외선 방출기능으로 인체 건강에 유익한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은,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열부를 구비시킨 발열침구 본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이나 멀티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여 만들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를 다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첫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열선,
둘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면서 한 가지 이상의 추가 기능을 발현하는 열선,
셋째 상기 첫째나 둘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이면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넷째 상기 첫째 내지 셋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춘 맞춤형 열선,
다섯째 상기 넷째에 의해 만들어지는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을,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방법 중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은,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저항값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재질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굵기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기능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는 열선이거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일으키는 열선이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열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그룹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그룹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그룹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어,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로 맞춤형 열선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그룹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그룹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그룹 가닥수는 2가닥 이상으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그룹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그룹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을,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해당 극세선 보다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하고,
또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그룹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그룹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준비된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상기 준비된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의 열선을,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고,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진 열선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을,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한 가닥의 열선으로 만들고,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을,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과,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변경(조절)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극세선 가닥수를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 또는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지고 극세선이 2개 이상의 다수 그룹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각 해당 그룹에서 극세선 가닥수를 각자 조절(그룹별 동일 또는 그룹별 다르게)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80℃ ~ 600℃의 범위 내에서 변경(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재질 자체를 50℃의 온도로 가열 시 원적외선이 3 ~ 200 미크론(㎛) 범위의 파장 길이로, 방사율 60% 이상 방출되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
순철 또는 순철이 함유된 합금금속,
탄소가 함유된 합금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과 구리 합금금속,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추가로 포함시켜 사용하거나,
1개의 다발 자체만을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선택하여,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 그룹으로 만들고,
제1종 그룹은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만들어, 이러한 2종의 극세선을 하나로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종 그룹은 강섬유(NASLON)로 하고, 제2종 그룹은 규소구리 합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첫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 100가닥 이상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둘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셋째, 제1그룹인,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 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고,
제2그룹인,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8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 중에서,
상기 제1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통 전 합성 조합되게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는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을 피복하여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재질이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들어지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을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들어지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극세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에 있어서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고, 가닥수는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
이 극세선으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화 작업을,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이 통전 합성되도록 쪼여지게 감싸는 피복을 씌우거나, 쪼여지는 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화 작업을,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온 섬유로 중첩되게 랩핑(Wrapping)하여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고온 섬유로 피복하는 제1방법,
합연기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꼬아서 한 몸이 되게 하여 번들화하는 제2방법,
코팅기에 투입하여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3방법,
상기 제3방법을 2회 이상 하면서 번들화하는 제4방법,
상기 제4방법으로 하면서 코팅 횟수별 코팅 재질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제5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6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하되, 코팅 재질을 횟수별 동일하게, 또는 횟수별 일부는 동일 일부는 다르게, 횟수별 모두 다르게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7방법,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하는 제8방법,
상기의 제1방법 내지 제8방법으로 만들어진 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 하는 제9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6, 7방법의 고온 섬유 피복재로,
아라미드,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자이론, 그래핀으로 만든 섬유(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회로 구성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거나,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는 다시 상기 전원부를 독립적으로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가 상기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각각의 독립회로를 병렬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는 1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후,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전원부 1개에 모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에 각각 나누어 병렬연결 하되,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전원부를 연결하거나, 1개의 전원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연결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에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첫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일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둘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셋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을 내장 프로그램에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구역별로 묶어서, 이렇게 묶인 2개 이상의 회로들에게는 상기 첫째 방법과 같이 일시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진 회로들에게는 묶임별로 상기 둘째 방법과 같이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넷째 상기 셋째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지는 독립회로들의 수량과 특정 구역위치와 특정구역 위치별 수량이 수시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게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발열침구를 좌우 구역으로 나누거나, 상하 구역으로 나누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다수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각 나뉜 구역별로 상기 열선을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배치시키되, 각각의 열선이 독립적으로 전원공급과 전원공급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배치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이 하나로 통합되어 1개의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여기에 다시 추가로 메인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구역별 온도조절장치에서 각각의 구역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다시 통괄하여 모든 구역을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통괄조절 또는 구역별 각자 조절을 할 수 있게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유선상의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거나,
일부 컨트롤은 유선상의 컨트롤러에서 하고 전체 컨트롤은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무선으로 할 수 있게,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별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상태를 차이를 두어 온도가 조절되게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이나 멀티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여 만들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를 다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첫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열선,
둘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면서 한 가지 이상의 추가 기능을 발현하는 열선,
셋째 상기 첫째나 둘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이면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넷째 상기 첫째 내지 셋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춘 맞춤형 열선,
다섯째 상기 넷째에 의해 만들어지는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을,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방법 중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은,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저항값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재질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굵기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기능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는 열선이거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일으키는 열선이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열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다수종류 다수가지의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그룹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그룹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그룹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어,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로 맞춤형 열선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그룹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그룹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그룹 가닥수는 2가닥 이상으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그룹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그룹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을,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해당 극세선 보다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하고,
또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그룹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그룹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준비된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상기 준비된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의 열선을,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고,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진 열선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을,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한 가닥의 열선으로 만들고,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을,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과,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변경(조절)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극세선 가닥수를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 또는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지고 극세선이 2개 이상의 다수 그룹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각 해당 그룹에서 극세선 가닥수를 각자 조절(그룹별 동일 또는 그룹별 다르게)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80℃ ~ 600℃의 범위 내에서 변경(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재질 자체를 50℃의 온도로 가열 시 원적외선이 3 ~ 200 미크론(㎛) 범위의 파장 길이로, 방사율 60% 이상 방출되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
순철 또는 순철이 함유된 합금금속,
탄소가 함유된 합금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과 구리 합금금속,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추가로 포함시켜 사용하거나,
1개의 다발 자체만을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선택하여,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 그룹으로 만들고,
제1종 그룹은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만들어, 이러한 2종의 극세선을 하나로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종 그룹은 강섬유(NASLON)로 하고, 제2종 그룹은 규소구리 합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첫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 100가닥 이상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둘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셋째, 제1그룹인,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 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고,
제2그룹인,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8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 중에서,
상기 제1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통 전 합성 조합되게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는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을 피복하여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재질이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들어지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을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들어지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극세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에 있어서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고, 가닥수는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
이 극세선으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화 작업을,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이 통전 합성되도록 쪼여지게 감싸는 피복을 씌우거나, 쪼여지는 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들화 작업을,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온 섬유로 중첩되게 랩핑(Wrapping)하여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고온 섬유로 피복하는 제1방법,
합연기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꼬아서 한 몸이 되게 하여 번들화하는 제2방법,
코팅기에 투입하여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3방법,
상기 제3방법을 2회 이상 하면서 번들화하는 제4방법,
상기 제4방법으로 하면서 코팅 횟수별 코팅 재질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제5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6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하되, 코팅 재질을 횟수별 동일하게, 또는 횟수별 일부는 동일 일부는 다르게, 횟수별 모두 다르게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7방법,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하는 제8방법,
상기의 제1방법 내지 제8방법으로 만들어진 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 하는 제9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6, 7방법의 고온 섬유 피복재로,
아라미드,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자이론, 그래핀으로 만든 섬유(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회로 구성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거나,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는 다시 상기 전원부를 독립적으로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가 상기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각각의 독립회로를 병렬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는 1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후,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전원부 1개에 모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에 각각 나누어 병렬연결 하되,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전원부를 연결하거나, 1개의 전원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연결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에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첫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일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둘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셋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을 내장 프로그램에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구역별로 묶어서, 이렇게 묶인 2개 이상의 회로들에게는 상기 첫째 방법과 같이 일시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진 회로들에게는 묶임별로 상기 둘째 방법과 같이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넷째 상기 셋째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지는 독립회로들의 수량과 특정 구역위치와 특정구역 위치별 수량이 수시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게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발열침구를 좌우 구역으로 나누거나, 상하 구역으로 나누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다수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각 나뉜 구역별로 상기 열선을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배치시키되, 각각의 열선이 독립적으로 전원공급과 전원공급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배치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이 하나로 통합되어 1개의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여기에 다시 추가로 메인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구역별 온도조절장치에서 각각의 구역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다시 통괄하여 모든 구역을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통괄조절 또는 구역별 각자 조절을 할 수 있게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유선상의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거나,
일부 컨트롤은 유선상의 컨트롤러에서 하고 전체 컨트롤은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무선으로 할 수 있게,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별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상태를 차이를 두어 온도가 조절되게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는,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와,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가 구비된 발열침구 본체 및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이나 멀티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것으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첫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열선,
둘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면서 한 가지 이상의 추가 기능을 발현하는 열선,
셋째 상기 첫째나 둘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이면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넷째 상기 첫째 내지 셋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춘 맞춤형 열선,
다섯째 상기 넷째에 의해 만들어지는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은,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은,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고,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는 열선이거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일으키는 열선이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행하는 열선으로,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어,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은,
극세선그룹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은,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은,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그룹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그룹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고,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그룹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은,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그룹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그룹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은,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해당 극세선 보다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성 조합하여 만든 하나의 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만을 사용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의 열선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고,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진 열선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은,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만든 한 가닥의 열선으로,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재질 자체를 50℃의 온도로 가열 시 원적외선이 3 ~ 200 미크론(㎛) 범위의 파장 길이로, 방사율 60% 이상 방출되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
순철 또는 순철이 함유된 합금금속,
탄소가 함유된 합금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과 구리 합금금속,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은,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더욱 높인 열선은,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추가로 포함시켜 사용하거나,
1개의 다발 자체만을 사용하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극세선들 중에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선택하여,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 그룹으로 만들고,
제1종 그룹은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만들어, 이러한 2종의 극세선을 하나로 합성 조합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종 그룹은 강섬유(NASLON)이고, 제2종 그룹은 규소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첫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 100가닥 이상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둘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셋째, 제1그룹인,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 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고,
제2그룹인,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8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 중에서,
상기 제1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통전 합성 조합되게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피복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의 극세선은,
재질이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들어지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을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들어지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은,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에 있어서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고, 가닥수는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 이 극세선으로 만든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기는 직류(DC) 안전 저전압(대) 전기이고,
상기 직류(DC) 안전 저전압(대)은 직류(DC) 전기를 사용하되,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무선 방식으로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는,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는,
입력 전압을 직류(DC) 5V, 직류(DC) 9V, 직류(DC) 12V, 직류(DC) 24V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규격화시킨 제품이거나,
출력 전압을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전압대)으로 규격화시킨 제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고정 방식으로 고정식 에너지저장장치(ESS), 고정식 직류전원공급 장치, 어댑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은,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나,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출력되는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로 발열동작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은,
조립식 열선의 길이 1m당 1.2Ω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열선(번들)의 직경이 코팅(피복)을 포함해서 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열선(번들)의 1회로 길이가 2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동작은,
조립식 열선에서 원하는 시간 내에 원하는 발열량이나 온도를 얻기 위해서 그 발열량에 비례한 전력량이 상기 조립식 열선에서 해당 시간 이내에 소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해당 전력값(전력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전압으로 나누어 산출된 전류값(전류량)이, 해당 전압으로 해당 시간 내에 그 조립식 열선에 모두 흘러가는 발열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은,
덮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이불, 담요, 야외용 담요, 모포, 덮고 자는 침구, 덮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매트리스, 침대, 침대커버, 보료, 소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컨트롤(제어) 및 ON/OFF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는,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장 프로그램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전원을 공급해 줌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해당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은, 텅스텐, 백금, 알루미늄, 구리, 니켈, 순철 중 어느 하나의 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구리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
배합비율 규소 20 중량%, 구리 80 중량%로 하여 만든 규소구리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은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0.241Ω(극세선 굵기 0.06721㎟) 또는 1.1150Ω(극세선 굵기 0.01452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텅스텐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30Ω(극세선 굵기 0.0532㎟), 5.768Ω(극세선 굵기 0.0095㎟) 또는 8.179Ω(극세선 굵기 0.0067㎟)인 극세선,
상기 백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2058Ω(극세선 굵기 0.51㎟), 0.913Ω(극세선 굵기 0.115㎟), 2.058Ω(극세선 굵기 0.051㎟), 4.565Ω(극세선 굵기 0.023㎟) 또는 14.999Ω(극세선 굵기 0.00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90.3Ω(극세선 굵기 0.009635㎟), 170.5Ω(극세선 굵기 0.005103㎟) 또는 281Ω(극세선 굵기 0.003096㎟)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구리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098Ω(극세선 굵기 0.1538㎟), 0.235Ω(극세선 굵기 0.0718㎟) 또는 1.1123Ω(극세선 굵기 0.015386㎟)인 극세선,
상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0201Ω(극세선 굵기 1.3㎟), 0.0315Ω(극세선 굵기 0.83㎟) 또는 0.356Ω(극세선 굵기 0.0735㎟)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니켈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3018Ω(극세선 굵기 0.053㎟), 6.2727Ω(극세선 굵기 0.011㎟) 또는 8.625Ω(극세선 굵기 0.008㎟)인 극세선,
상기 순철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886Ω(극세선 굵기 0.53㎟), 0.909Ω(극세선 굵기 0.11㎟), 2Ω(극세선 굵기 0.05㎟), 4.347Ω(극세선 굵기 0.023㎟) 또는 12.5Ω(극세선 굵기 0.008㎟)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SUS 316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90Ω(극세선 굵기 0.00785㎟), 170Ω(극세선 굵기 0.004525㎟) 또는 280Ω(극세선 굵기 0.002523㎟)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은,
상기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48Ω(극세선 굵기 0.015386㎟)이나 82Ω(극세선 굵기 0.00785㎟)인 극세선,
상기 니켈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1Ω(극세선 굵기 0.025434㎟)이나 36Ω(극세선 굵기 0.00785㎟)인 극세선,
상기 SUS 316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7,650Ω(극세선 굵기 0.0001005㎟), 17,330Ω(극세선 굵기 0.00004436㎟) 또는 26,375Ω(극세선 굵기 0.00002914㎟)인 극세선,
상기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7,700Ω(극세선 굵기 0.000113㎟), 17,319Ω(극세선 굵기 0.00005024㎟) 또는 26,239Ω(극세선 굵기 0.00003316㎟)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 미량을 추가하여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1.2Ω(극세선 굵기 0.02512㎟)이나 36.5Ω(극세선 굵기 0.00770㎟)인 극세선,
상기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48.7Ω(극세선 굵기 0.0151㎟)이나 83.7Ω(극세선 굵기 0.008785㎟)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하느, 상기 극세선은,
상기 규소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Ω(극세선 굵기 1㎟)이나 104.8Ω(극세선 굵기 0.47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패드, 침대패드, 담요, 요, 보료, 소파, 전기요, 전기장판,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장판, 전자파 없는 전기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자는 침구, 깔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이나 멀티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것으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첫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열선,
둘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면서 한 가지 이상의 추가 기능을 발현하는 열선,
셋째 상기 첫째나 둘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이면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넷째 상기 첫째 내지 셋째의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춘 맞춤형 열선,
다섯째 상기 넷째에 의해 만들어지는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은,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은,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고,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는 열선이거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일으키는 열선이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행하는 열선으로,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어,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열선은,
극세선그룹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은,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그룹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은,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그룹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으로 선택하며 극세선그룹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그룹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고,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그룹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은,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그룹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그룹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그룹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그룹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그룹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그룹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그룹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그룹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그룹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그룹은,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해당 극세선 보다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성 조합하여 만든 하나의 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상기 극세선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으로,
상기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만을 사용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기능의 열선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고,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진 열선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은,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만든 한 가닥의 열선으로,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재질 자체를 50℃의 온도로 가열 시 원적외선이 3 ~ 200 미크론(㎛) 범위의 파장 길이로, 방사율 60% 이상 방출되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
순철 또는 순철이 함유된 합금금속,
탄소가 함유된 합금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과 구리 합금금속,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은,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더욱 높인 열선은,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1가닥씩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추가로 포함시켜 사용하거나,
1개의 다발 자체만을 사용하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극세선들 중에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선택하여,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 그룹으로 만들고,
제1종 그룹은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만들어, 이러한 2종의 극세선을 하나로 합성 조합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종 그룹은 강섬유(NASLON)이고, 제2종 그룹은 규소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첫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 100가닥 이상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둘째 재질이 강섬유(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거나,
강섬유(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셋째, 제1그룹인,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 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그룹 이상 사용하고,
제2그룹인,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8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 중에서,
상기 제1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통전 합성 조합되게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피복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의 극세선은,
재질이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만들어지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을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만들어지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은,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에 있어서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고, 가닥수는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 이 극세선으로 만든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기는 직류(DC) 안전 저전압(대) 전기이고,
상기 직류(DC) 안전 저전압(대)은 직류(DC) 전기를 사용하되,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무선 방식으로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는,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는,
입력 전압을 직류(DC) 5V, 직류(DC) 9V, 직류(DC) 12V, 직류(DC) 24V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규격화시킨 제품이거나,
출력 전압을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전압대)으로 규격화시킨 제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고정 방식으로 고정식 에너지저장장치(ESS), 고정식 직류전원공급 장치, 어댑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은,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나,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출력되는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로 발열동작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은,
조립식 열선의 길이 1m당 1.2Ω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열선(번들)의 직경이 코팅(피복)을 포함해서 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열선(번들)의 1회로 길이가 2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동작은,
조립식 열선에서 원하는 시간 내에 원하는 발열량이나 온도를 얻기 위해서 그 발열량에 비례한 전력량이 상기 조립식 열선에서 해당 시간 이내에 소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해당 전력값(전력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전압으로 나누어 산출된 전류값(전류량)이, 해당 전압으로 해당 시간 내에 그 조립식 열선에 모두 흘러가는 발열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은,
덮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이불, 담요, 야외용 담요, 모포, 덮고 자는 침구, 덮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매트리스, 침대, 침대커버, 보료, 소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컨트롤(제어) 및 ON/OFF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는,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장 프로그램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전원을 공급해 줌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해당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의 소재(재질)는,
은, 텅스텐, 백금, 알루미늄, 구리, 니켈, 순철 중 어느 하나의 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구리 합금금속,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
배합비율 규소 20 중량%, 구리 80 중량%로 하여 만든 규소구리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은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0.241Ω(극세선 굵기 0.06721㎟) 또는 1.1150Ω(극세선 굵기 0.01452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텅스텐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30Ω(극세선 굵기 0.0532㎟), 5.768Ω(극세선 굵기 0.0095㎟) 또는 8.179Ω(극세선 굵기 0.0067㎟)인 극세선,
상기 백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2058Ω(극세선 굵기 0.51㎟), 0.913Ω(극세선 굵기 0.115㎟), 2.058Ω(극세선 굵기 0.051㎟), 4.565Ω(극세선 굵기 0.023㎟) 또는 14.999Ω(극세선 굵기 0.00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90.3Ω(극세선 굵기 0.009635㎟), 170.5Ω(극세선 굵기 0.005103㎟) 또는 281Ω(극세선 굵기 0.003096㎟)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구리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098Ω(극세선 굵기 0.1538㎟), 0.235Ω(극세선 굵기 0.0718㎟) 또는 1.1123Ω(극세선 굵기 0.015386㎟)인 극세선,
상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0201Ω(극세선 굵기 1.3㎟), 0.0315Ω(극세선 굵기 0.83㎟) 또는 0.356Ω(극세선 굵기 0.0735㎟)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니켈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3018Ω(극세선 굵기 0.053㎟), 6.2727Ω(극세선 굵기 0.011㎟) 또는 8.625Ω(극세선 굵기 0.008㎟)인 극세선,
상기 순철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0.1886Ω(극세선 굵기 0.53㎟), 0.909Ω(극세선 굵기 0.11㎟), 2Ω(극세선 굵기 0.05㎟), 4.347Ω(극세선 굵기 0.023㎟) 또는 12.5Ω(극세선 굵기 0.008㎟)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SUS 316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90Ω(극세선 굵기 0.00785㎟), 170Ω(극세선 굵기 0.004525㎟) 또는 280Ω(극세선 굵기 0.002523㎟)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은,
상기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48Ω(극세선 굵기 0.015386㎟)이나 82Ω(극세선 굵기 0.00785㎟)인 극세선,
상기 니켈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1Ω(극세선 굵기 0.025434㎟)이나 36Ω(극세선 굵기 0.00785㎟)인 극세선,
상기 SUS 316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7,650Ω(극세선 굵기 0.0001005㎟), 17,330Ω(극세선 굵기 0.00004436㎟) 또는 26,375Ω(극세선 굵기 0.00002914㎟)인 극세선,
상기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7,700Ω(극세선 굵기 0.000113㎟), 17,319Ω(극세선 굵기 0.00005024㎟) 또는 26,239Ω(극세선 굵기 0.00003316㎟)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세선은,
상기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 미량을 추가하여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11.2Ω(극세선 굵기 0.02512㎟)이나 36.5Ω(극세선 굵기 0.00770㎟)인 극세선,
상기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48.7Ω(극세선 굵기 0.0151㎟)이나 83.7Ω(극세선 굵기 0.008785㎟)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하느, 상기 극세선은,
상기 규소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1m당 저항값이 50Ω(극세선 굵기 1㎟)이나 104.8Ω(극세선 굵기 0.477㎟)인 극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패드, 침대패드, 담요, 요, 보료, 소파, 전기요, 전기장판,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장판, 전자파 없는 전기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자는 침구, 깔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DC 저전압의 전기를 사용하므로 감전 위험이 없다.
또한, 감전 위험이 없는 24V 이하의 초저전압인 직류(DC) 전기로 넓은 면적을 발열시킬 수 있어 유해전자파(유도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기열선 소재를 개발하여 화재 위험이 없다.
또한, 침구를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잠자리에서 부드럽고 편안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무선방식의 발열침구를 제공하여 잠자리가 편리하다.
또한, 지속적인 발열기술 구현으로 화재위험을 시스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진정한 원적외선 방출기능으로 인체 건강에 유익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립식 열선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립식 열선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종래의 발열침구류들은(전기발열매트류, 온수매트류 등)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첫째~셋째 문제점인 감전위험, 화재위험, 유해전자파(유도전자파)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열침구 특히 발열침구의 전원을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배터리는 보통 전압이 낮은 안전전압(24V 이하)을 사용하므로 감전 위험이 없고, 주파수가 없는 직류(DC) 전기이므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는 교류(AC) 전기와 같이 유도전기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으로써, 송배전 선로나 가전제품 등에서의 극저주파(Extremely Low Frequency: ELF)가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과 기지국 시설의 증가에 따른 무선 주파수에서의 고주파(Radio Frequency: RF)가 있는데, 이러한 유해전자파는 UN산하 국제암연구기구(IARC)에 의해서 99년에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으로 분류,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 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여 발열침구를 만들게 되면 유선방식(종래의 온수매트 류들에서는 온수공급배관, 종래의 전기매트류들에서는 전원공급선)에서 해방된 무선방식이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공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사용해도 되고, 상술한 유선에 따른 침구로서의 불편성과 이불과 같은 덮고 자는 발열침구로는 만들 수 없었던 종래의 발열침구 제조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가 있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이 다섯째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첫째 ~ 셋째 및 다섯째의 종래의 발열침구들 특히 발열침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미래 첨단적인 발열침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발열침구의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해야 하며, 발열체는 전기발열체를 사용하되 배터리 전기에서 동작되는 열선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열침구를 제조해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발열침구 제조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발열침구는 배터리(22)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20)를 구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배터리(22)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32)이 구비되는 발열부(30)를 구성하는 단계(S12)와,
상기 발열부(30)를 구비시킨 발열침구 본체(12)를 구성하는 단계(S14)와,
상기 전원부(20)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30)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32)으로 공급되게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 2>
여기서 핵심적인 기술은 본 발명의 발열침구에 적용해야 하는 열선이다.
상술한 첫째 ~ 일곱째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어야 하고, 저저항값을 가지며, 유연성이 뛰어나면서 쉽게 단선되지 않아야 하며, 원적외선도 방출하는 등 첨단적 발열기능과 보조적 건강기능까지 동시 발현을 해주어야 하는 첨단 멀티 전기 열선(전기 발열체)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첨단 멀티 발열기술을 구현하는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은 현재 인류에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저저항값을 가지거나 또는 첨단 멀티 성능들을 구현해내기에 기술상의 문제점(기술의 한계성)이 너무 커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하기의 <실시예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러한 종래 열선(발열체) 기술상의 문제점(기술의 한계성)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다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구현해 낼 수 있는 혁신적 신개념의 첨단 열선인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필요하고 이러한 기술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본 발명의 발열침구에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해낸 결과,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원하는 저저항값 또는 원하는 멀티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든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첨단적이며 효과적임을 알아내게 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반드시 구현해내야 하는 기술은,
①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배터리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전기는 보통 안전전압인 24V 이하 대의 직류(DC) 전기인 것이 대부분이므로, 배터리 전기는 곧,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발열동작이 되는 열선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열선은 아주 안전하고 낮은 전압인 안전 저전압(24V 이하의 전압의) 직류(DC) 전기에 동작하되, 원하는 발열동작이 실질적으로 이루어는 열선이어야 한다.
상기 열선을 침구(발열침구) 속에 내장시켜 따뜻한 열이 나게 하는 발열침구나 발열침구로 만들어야 하는데 24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또한 직류(DC) 전기에서 열이 잘 나지 않는다면 발열침구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열선에서 원하는 정도의 열이 발생되게 하려면 기본적으로 원하는 발열정도에 맞춘 전력량이 그 열선에서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아주 낮은 전압(예 24V 이하의 전압)에서도 해당 전력량의 소비를 구현해 낼 수 있는 전류량이 해당 열선으로 흘러가 줘야 한다.
즉, 열선(발열체)에서 발생시키는 발열량은, 수식 Q = 0.24 × I2 × R × T에 의해 결정된다(여기서 Q는 해당 열선의 발열량이고, I는 열선(발열체)에 공급하는 전류이고, R은 열선(발열체)의 저항값이며, T는 열선(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한 시간이다.)
또한, W(소비전력) = V(전압)×I(전류)이고, V(전압) = I(전류)×R(저항) 이므로 수식 W = I2 × R이 된다.
상기 수식에서 해당 열선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소비전력량에 비례하고, 저항값(R)과 전류공급시간(T)에 비례하며, 전류량(I)의 제곱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열선에서 원하는 어떤 발열량(온도)을 얻기 위해서는 그 발열량에 비례한 전력량을 그 열선에서 소비를 시켜야 하고, 해당 전력량을 소비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류량이 그 열선에 흘러가 줘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대로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아주 낮은 전압(안전 저전압)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해당 열선은 아주 낮은 저항값을 자지는 열선이 되어야만 원하는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해당 전류량이 그 열선(발열체)에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자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이불에서 열이 나게 하는 발열침구로 만들려고 했을 때, 본 이불 속에 전기열선을 구비시켜 열을 내 줘야 하는데, 초당 100w의 전력량이 소비되어야만 원하는 따뜻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면,
종래의 기술로 만들어진 열선을 사용하게 되면, 일반전기인 AC 220V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열선의 저항값은 484Ω이 되는 것을 사용해야만 그 열선에서 초당 0.4545A의 전류량이 흘러갈 수 있게 되고, 100w의 발열량을 발열할 수 있다(W = V×I에서 W ÷ V = I이고 따라서 100w ÷ 220V = 0.4545A이며, V = I×R에서 R = V ÷ I이므로 R = 220V ÷ 0.4545A = 484Ω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를 사용하므로, 예를 들어, 5V 이하의 안전 저전압의 전기를 방전하는 일상에 흔한 휴대폰 보조배터리를 사용해서 동일한 100w의 발열량을 발열할 수 있게 하는 발열침구를 만들려고 한다면,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에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초당 100w의 전력량이 소비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에서는 초당 20A의 전류량이 흘러갈 수 있게 되어야만 100w의 발열량을 발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되려면 그 열선의 저항값은 저저항값인 0.25Ω이 되어야만 그 열선에서 초당 100w의 발열량을 얻을 수 있다(W = V×I에서 W ÷ V = I이고 따라서 100w ÷ 5V = 20A이며, V = I×R에서 R = V ÷ I이므로 R = 5V ÷ 20A = 0.25Ω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예와 수식 계산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에서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주 낮은 저저항값을 가져야만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또한,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①의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함과 동시에, 이러한 원하는 발열동작과 동시에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열선이기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서 개발된 발열침구에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구비시켜 덮고 잠자는 과정에서 건강이 증진되면 더욱 좋다.
이러한 건강증진 효과를 내기 위해서 상기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이 동시에 발현되게 한다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발열침구에 인체에 건강함을 끼치는 효과가 추가되므로써, 인체는 잠을 자면서 더욱 건강함을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①의 기술이 발현됨과 동시에 병행하여, 인체 건강에 유리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발열침구 자체를 좀 더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기능들이 발현될 수 있게 하는 등,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이 추가로 자동 구현되는 열선으로 만들어야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에 더욱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
③ 본 발명에 의한 발열침구는 잠자리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침구의 가장 중요한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발열침구는 상기에서 상술한 넷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이 깔거나 덮고 잘 때 유연성이 뛰어나서 그 유연함 때문에 포근함을 느끼며 더욱 잠이 잘 오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여기에 적용되는 열선은 사람의 피부에 접촉되어도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부드럽고 유연한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열침구에 적용되는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① 또는 ②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열선 성능에 추가하여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이 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열선이 된다.
④ 본 발명에 의해 만들고자 하는 발열침구는 종류도 많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사이즈)와 다양한 발열량(또는 발열온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본 발명의 기술을 가지고 향후 발열침구 제조자가 원하는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에 모두 맞추어 원하는 상기와 같은 성능(①~③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모두 정밀하게 하나하나 모두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어야만 본 발명의 발열침구(이불)를 실질적으로 원하는 바대로 모두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①~③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가지는 열선을, 필요에 의해 원하는 바대로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되,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인 열선이 된다.
⑤ 이러한 열선은 발열침구 속에 삽입되어 수많은 사람이 덮고 사용하는 발열침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수요량이 엄청나게 많아지게 될 것이므로,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어진 것을,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한 제품으로 만들어 내야만 본 발명의 발열침구를 상용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④에 의거하여 정밀하게 만들어진 맞춤형 열선을 동일하고 똑같은 제품으로 수없이 대량 생산 가능하도록 하는 대량생산기술도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중요한 기술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에서는 어떠한 성능을 가진 열선(발열체)을 만들고자 할 경우 반드시 사전 설계된 특정 재질과 수많은 각각의 단면적 크기대로 정밀 가공할 수 있는, 전문 기계설비와 장치들을 수많은 종류별로 일일이 각각 다 만들어 갖추어야만 어떠한 성능을 가진 사전 설계된 열선(발열체)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상기 ④와 같은 수많은 종류의 맞춤형 열선을 동일한 제품으로 대량 생산해 내기에 사실상 경제적 실효성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④에 의거해 제조되는 각각의 맞춤형 열선을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을 가능하게하는 기술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종합적으로 다시 정리해 보면,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반드시 구현해야 하는 기술은,
①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
② 상기 ①의 열선으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병행하여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하는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
③ 상기 ① 또는 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병행하여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
④ 상기 ①~③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가지게,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이 되게 만드는 기술,
⑤ 상기 ④에 의거해 제조되는 각각의 맞춤형 열선을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술이며,
상기 <실시예 1>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반드시 상기 ①~⑤의 기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해내는 열선이어야 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실제 실용화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실물 열선으로 만들어 내기 위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의 실제적 구현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공급되는 배터리 전기에 발열동작을 일으켜야 하는데, 이러한 배터리 전기는 기본적으로 직류이므로, 직류(DC) 전기에 쉽게 발열동작 되는 열선이어야 한다.
그런데 직류(DC) 전기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흘러감으로, 배터리 전기에서 열선이 발열동작을 손쉽게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는 열선 소재를 오로지 100% R (Resistance) 성분으로만 구성된 소재인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열선 소재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을 금속 또는 합금금속만을 사용해서 만들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본 열선은 안전 저전압 직류(DC) 전기가 흐르면 순간고온발열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은 100% R(Resistance)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소재들이며, R(Resistance) 성분은 직류(DC) 전기와 교류(AC) 전기에서 모두 발열반응을 잘 일으킨다.
이에 비해 C(Condenser) 성분은, AC 유도 전류(순간순간 전류 흐름 방향이 바뀌는 AC 전기)에서만 발열반응을 일으키며, 직류(DC) 전기에서는 발열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따라서 만일 C(Condenser) 성분이 큰 소재(예, 종래의 고무성분들을 포함 시킨 카본블랙 발열체 류 등)나, R(Resistance) 성분과 C(Condenser) 성분이 합성된 백터합으로 산출이 가능한 임피던스저항 값을 가지는 재질(예, 종래의 탄소성분 포함 발열체, 카본성분 포함 발열체, 면상발열체 류 등)을 본 발명의 열선 소재로 사용하면, 본 발명의 열선은 직류 전기를 직접사용 하는 것이므로, 해당 열선에서 열이 아예 나지 않거나, 열 반응이 느려져서 본 발명에서 원하는 직류(DC) 전기만을 사용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되며, 순간고온발열도 해내지 못하는 열선이 된다.
또한, 금속 또는 합금금속이 아닌 발열체(열선) 소재는 발열속도가 매우 느릴 뿐만 아니라, 고온발열을 일으킬 경우 소재가 타면서 화재가 발생되거나, 고온으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부스러지며 고장단 선쇼트화재 사고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저전압전기에서 순간고온발열동작이 쉽게 일어나는 특정된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들을 본 열선 소재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킬 수 있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렇게 하려면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수적으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면서도 동시에 병행하여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 기능(예를 들어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등)을 발현해내는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하고,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침구로서의 기본적 부드러움과 이물감을 없애기 위해서 반드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하며,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어지면서 동시에 병행하여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해 내는 열선이어야 하고 또한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든 성능을 완벽히 가지는 열선을 필요에 의해 원하는 바대로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되,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이 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의해 원하는 바대로 각각의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되, 수없이 많은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이 되게 만들어서, 이러한 맞춤형 열선을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제조되는 기술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필요로 하는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전기에서 순간고온발열동작이 쉽게 일어나게 하는 특정된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재질로 사용하여 상기 5가지 성능을 모두를 발현시킬 수 있게 만들어져야 하고,
이러한 기술을 모두 완벽히 구현시키는 열선을 손쉽게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첨단 열선 제조기술이 바로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이다.
그런데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을 살펴보면, 종래의 열선(발열체)들은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설혹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었다 해도 유연성을 가질 수 없게 굵고 단면적이 커지게 되며, 정밀한 저항값을 가지게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로 만들려면 하나하나 단면적을 깎아서 만들어야 하거나 합금금속을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서 개발해야 하므로, 난이도가 높아지고 정밀성이 없거나, 대부분의 경우의 수에 대한 저저항값은 아예 만들 수 없거나, 대량생산을 해낼 수 없으며, 가장 큰 문제점인 경제성이 없다.
그리고 종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면서도,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해 내는 열선을 동시에 병행해서 구현한다는 것이 아예 불가능한 기술이라는 점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되어있는데, 첫 번째 유형은 금속(합금금속 포함)으로 된 열선(발열체)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해당 발열체의 저항값을 조절해주는 방법이고, 두 번째 유형은 특정한 저항값을 가지게끔 열선(발열체) 자체를 합금기술로 만드는 방법이며, 세 번째 유형은 금속(합금속)이 아닌 열선(발열체)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종래의 금속(합금금속 포함)으로 된 열선(발열체)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해당 발열체의 저항값을 조절해주는 방법의 제조기술을 살펴보면, 이러한 기술은 모두 열선(발열체)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금속(합금속)의 단면적 크기조절로 저항값을 조절하여 생산하는 발열체(열선) 제조방법인데,
종래의 통용되는 재질 중 열선(발열체)의 재질로 사용하는 금속이나 합금속 재료를 기계 설비(장비, 장치)를 사용하여 정해진 몇 가지 저항값에 맞춘 단면적 크기를 가지게끔 깎거나, 인발 등 압출(냉연 방법 등) 또는 기타 기계장비를 사용하여 만들되, 모두 금속의 단면적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즉, 단면적 크기 조절로 저항값을 맞추어내는 방법에 의거하여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러한 기계(장치, 설비)에 의한 금속의 단면적 크기를 조절하여 해당 발열체(열선)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종래의 금속(합금속) 발열체 제조방법으로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종류의 발열침구들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수많은 종류로 수많은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어 내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한 기술이고, 설혹 일부를 저저항값을 가지게 만들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정밀성이 없거나, 난이도가 높아지는 대부분의 경우의 수의 저저항값에 대해서 대량생산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열선 재질로 필수적인 금속 또는 합금금속은 견고성이 너무 강하고 부스러지기 쉬어서 일반적인 쉬운 방법으로는 열선으로 쉽게 만들 수 없으므로, 종래의 방법으로써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으로는, 인발기와 다이스 등 특수한 전문적 기계설비와 전문장치들을 만들어서 이를 통해서 깎거나 가공하여서 금속(합금금속) 열선을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수없이 많은 종류로 다양하게 만들어야 하므로, 이렇게 하려면 종래의 방법으로는 수많은 각각의 원하는 저항값 종류에 따르는 특정 재질의 금속(합금속)을 선택하고, 해당 수많은 단면적 크기를 설계한 후, 이러한 사전 설계된 특정 재질과 수많은 각각의 단면적 크기대로 정밀 가공할 수 있는, 전문 기계설비와 장치들을 수많은 종류별로 일일이 각각 다 만들어 갖추어야만 비로소 해당열선을 생산해 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는 과정에서도 어떤 특수한 용도로 쓰고자 하는 열선이 미세하게나마 다시 신규 저항값으로 변경되어 생산되어야 한다고 했을 때, 거기에 맞는 기계장비와 전문장치를 또 신규로 설계하고 만들어야만 해당 정밀 열선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다양하고 수많은 저저항값을 갖는 정밀한 열선들을 모두 다 쉽게 대량 생산(제조)해 낸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경제성도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의 금속, 합금금속으로 제조되는 열선들은 일반적으로 잘 유통되는 몇 가지 종류의 저항값(Ω/m)을 가지게 규격화시켜(국내 및 전 세계적으로 AC 110V, 220V 등과 같은 상용화 된 전압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끔 특정 저항값으로 규격화됨) 생산,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몇 종류로 한정하여 규격화된 열선들로서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수많은 종류의 다양한 열선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설혹 금속이나 합금금속 재질을 가지고 상기와 같이 전문 기계설비와 전문 장치를 일일이 모두 갖추어, 다양한 종류의 열선을 만들어 낸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렇게 단면적을 조절하여 저항값을 맞추어 내는 기술로 제조되는 열선은, 이러한 열선이 저저항값을 가지게 하려면, 금속(합금금속) 단면적 굵기가 아주 굵어져야 하고, 길이는 아주 짧아지게 만들어야만 원하는 저저항값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이렇게 제조되는 금속(합금금속)을 소재로 하는 열선은 굵기는 굵어지고, 짧고, 유연성이 거의 없게 만들어질 수밖에 없어, 발열침구에 구비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이를 다시 수치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1차적으로, 본 발명으로 만들고자 하는 어떤 경우에도 전기 감전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안전한 발열침구를 만들기 위해서 직류 전기(DC)를 5V 이하의 안전 저전압 이하로 수많은 전압대를 사용하여 원하는 발열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서 열선의 저항값을 0.1Ω/m 이하의 저항값을 가져야 하며, 굵기는 단면적 기준으로 2㎟ 이하로 만들어야만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이 잡히지 않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발열침구로 만들 수 있다고 가정하고,
또한, 2차적으로 이러한 열선은 상기 저저항값을 각각 가짐과 동시에 특정 기능(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을 뛰어나게 하는 기능 등)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종래의 금속(합금금속) 발열체(열선)들 중에서 대표적인 니크롬선으로 상기 1차적 조건의 열선을 만들어 보면, 현재 생산 유통되는 니크롬선의 저항값은 직경 0.18㎜, 길이 1m 일 때 48.39Ω의 저항값을 가져, 이를 단면적으로 환산하면 원 단면적= πr²= 314 × (0.18㎜/2)²= 0.0254㎟가 되며, 상기 니크롬선 원 단면적이 0.0254㎟, 길이 1m 일 때 48.39Ω의 저항값을 가진다.
그런데 발열체의 저항값은 단면적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이러한 니크롬열선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저항값을 0.1Ω/m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게 만들려면, 상기 열선 단면적 = 48.39Ω÷ 0.1Ω/m = 483.9배가 되어, 실제 굵기는 0.0254㎟×483.9배 = 12.29㎟ 이상이 된다.
따라서 이렇게 단면적을 크게 하여 열선 저항값을 0.1Ω/m 이하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어냈다 하더라도, 상기 조건에서 필요한 열선은 굵기는 단면적 기준으로 2㎟ 이하 이여야 하므로 상기 열선 굵기 12.29㎟는 상기 예시에 만족하는 열선 굵기 조건에 비해, 12.29㎟ ÷ 2㎟ = 약 6배 이상 굵어지는 열선으로 만들어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단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저항값을 조절하여 제조되는, 굵고, 짧고, 유연하지 못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종래의 금속 합금금속 열선 제조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열선들로는 도저히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발열침구에 적용이 불가능하여 1차적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금속(합금속) 열선(발열체) 기술은, 상기 실시예의 2차적 조건은 만족할 수 없고 실현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발열체)은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이 뛰어난 기능 등을 발열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러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병행하여 자동 동시 발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의 금속(합금금속) 열선(발열체) 기술은 아예 이러한 기술 자체를 구현시킬 수 있는 기하학적인 구조나 여기에 필요한 재질(소재)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술 자체(동작 원리 등)가 없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금속(합금) 열선(발열체) 제조기술로는 정밀한 수많은 다양한 저저항값을 가지게 하는, 어떠한 발열침구 종류에도 다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열선(발열체)을 만들어 내기에는 기술적 한계가 극명하게 노출되고, 또한, 동시에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이 뛰어난 기능 등을 해당 열선에서 발열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추가적 기능을 병행 구현해내는 기술은, 그리고 특히 이러한 맞춤형 정밀 열선을 동일하게 대량 생산(양산) 해 내는 기술을 구현한다는 것은 더욱 더 현실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하다.
두 번째 유형인, 특정한 저항값을 가지게끔 열선(발열체) 자체를 합금 기술로 만드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면, 금속 발열체(열선)를 제조함에 있어서 모든 단일금속은 고유저항값을 가지고 있으며 인류가 발견한 단일금속들은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단일 금속들만으로는 좀 더 다양한 저항값을 만들어 내기 어려움으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일금속들을 섞어서 합금속을 만들어, 단일금속들만으로는 가질 수 없었던 저항값을 가지는 금속(합금속)이 되게 하는 합금속 기술인데,
이러한 합금속 기술은 또 하나의 장점으로 초고온에 견디며, 순간고온발열을 하는 발열체(열선)를 단일금속에 비해 좀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방법으로는 고난도의 또 하나의 금속(합금속) 열선(발열체)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합금에 의한 발열체(열선)제조기술의 가장 큰 단점은, 합금기술이라는 것은 수많은 실험과 연구(재료종류와 배합비율 등)를 통해 알아내야 하는 것임으로, 수없이 많은 저저항값을 갖는 원하는 합금의 종류를 수만 가지로 다양하게 만들기 위한 그 수많은 합금기술이 수없이 개발되어 질 수 없으므로, 합금으로 어떠한 특정한 저저항값을 맞춤형으로 만든다는 것은 오히려 상기 첫 번째 종래 기술인 단면적 조절에 의한 저항값 조절 방법보다 더 어렵고 힘든 기술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두 번째 금속(합금속)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인 합금 기술이라는 것도,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하여 안전 저전압 직류(DC) 전기에 동작되는 수없이 많은 사용 여건에서 각각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수많은 경우의 수에 의거한 각각이 특정한 저저항값을 가지게끔 하는 열선(발열체)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사실상 도저히 불가능한 기술이며,
특히,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등을 해당열선에서 발열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추가적 기능을 병행 구현해내는 기술은, 그리고 특히 이러한 맞춤형 정밀 열선을 동일하게 대량 생산(양산) 해 내는 기술을 구현한다는 것은, 더욱더 수많은 합금기술이 추가로 더욱더 수 없이 많이 개발되어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실상 이러한 것은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유형인 금속(합금속)이 아닌 열선(발열체)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직류(DC) 전기에서 발열동작이 쉽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순간고온발열을 이루어야 하는 데 비해, 종래의 금속(합금속)이 아닌 열선(발열체)들은 모두 C(Condenser) 성분이 큰 소재 들이거나(예, 종래의 고무성분들을 포함시킨 카본블랙 발열체류 등), R(Resistance) 성분과 C(Condenser) 성분이 합성된 저항값을 가지는 재질(예, 종래의 탄소성분 포함 발열체, 카본성분 포함 발열체, 면상발열체 류 등)을 사용하는 발열체들이므로,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DC) 전기에서는 동작을 못하거나 발열속도가 너무 느리고, 순간 고온발열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기본적인 기술 사항부터 이미 기술적 한계를 노출함으로써, 다른 추가 기능 동시 구현 등에 대해서 사용할 수 없는 발열체(열선)들이다.
종합 결론적으로,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방법(기술)들로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수많은 종류의 저저항값을 가지게 특정하게 맞춤형으로 만들기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미 상용화된 몇 가지 교류(AC) 전압대(기존 일반적 전압인 110V, 220V 등)에서만 사용 가능(발열동작) 하도록 열선을 만들 수밖에 없고, 또한,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을 뛰어나게 하는 기능 등을 해당 열선에서 발열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추가로 병행 발현되게 하는 기술과, 특히 이러한 맞춤형 정밀 열선을 동일하게 대량 생산(양산)해 내는 기술을 구현한다는 것은 아예 불가능한바,
이러한 종래의 열선(발열체) 제조기술로는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기존 열선(발열체) 기술상의 문제점(기술의 한계성)을 완전히 해결하고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상기 본 발명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다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구현해 낼 수 있는 혁신적 신개념의 첨단 열선 제조방법(기술)인,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이 필요하고 이러한 기술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만들어서 본 발명의 발열침구에 구비시켜야한다.
이러한 상기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실제 실용화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실물 열선으로 만들어 내기 위한 상기“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의 실제적 구현방법이 필요한데 이러한 실제적 구현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열선(발열체) 소재(재질)는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 다음으로, 다수 종류 다수 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원하는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원하는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원하는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원하는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들의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데이터를 만들어 놓은 후,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원하는 사양(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된 ①~⑤의 기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구현하는)에 맞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들 내부의 극세선들을 통전 합성하는 방법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고, 이러한 번들이 곧 본 발명에서 원하는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에서 만들어진 조합을 변경한 것이 곧, 번들의 변경이고 번들의 변경이 곧,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맞춤형으로 만들어 낸 것이 된다.
이때, 상기 조합을 변경하는 방법은,
조합들 내부 극세선의 선택함을 원하는 각각의 사양(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된 ①~⑤의 기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구현하는 등)에 맞추어 변경시켜 선택함으로써 이렇게 변경 선택된 극세선들의 조합이 곧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 사양이 변경된 것에 맞춘 것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의 변경되는 사양이 너무 미세하고 까다로워 상기 극세선들의 선택만으로 맞추지 못할 경우, 여기에 더하여 이러한 극세선들만의 선택 변경에 의해 변경되는 조합들 자체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시키면서, 이러한 원하는 사양을 맞춘다면, 아무리 어렵고 까다로운 사양이라도 맞출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열선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번들로 조립함에 있어서, 해당 번들 내부에 조합을 이루고 있는 상기 다수 가닥 극세선들이 모두 서로 밀착(공극이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아주 밀착되게) 접촉되어 합성이 이루어져야 하며(이렇게 잘 밀착되지 않으면 극세선들 사이에 아주 미세한 공극이 생기며, 극세선에 전기가 흐를 때 이러한 공극이 존재하는 극세선 사이에 전위차이가 발생, 국부과열로 국부적 고온이나 국부적 화재가 발생될 수 있음) 극세선 길이 전체에 걸쳐서, 길이방향 시작점부터 끝 지점까지, 길이 방향으로 전체 면이 모두, 그리고 모든 극세선이 모두 이렇게 서로 접촉되면서, 모든 극세선들이 서로 접촉면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끔 서로 통전 밀착 접촉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모든 극세선들이 길이 방향 전체로 완전 합성되면서 실제적 사용시 전혀 저항값이 변화되지 않도록, 마치 한 덩어리의 금속(합금금속)과 같이 완전한 합성 저항값이 나오도록 조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특정한 저항값이나 기능, 굵기, 재질을 가지는 극세선을 조합하며 여기에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까지 추가하여 조합을 이루게 하면, 이러한 조합의 수많은 변경이 곧 합성 저항값 조절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조합의 변경의 수가 곧 합성 저항값의 변경의 수가 되어, 합성 저항값의 경우의 수가 무한대로 생성될 수 있음으로써, 이러한 무한대 경우의 수로 탄생되는 극세선들의 조립식 조합의 합성을 하나의 다발(번들)로 묶어서 그 다발 자체가 단위 길이당 특정한 저항값을 가지는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면,
이러한 극세선들의 무한대 경우의 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번들들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수많은 저저항값 특히, 저저항값을 갖는 많은 열선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선(발열체) 제조기술은, 극세선을 합성시켜서 그 극세선들의 합성저항값을 변경시켜 나가는 방식임으로, 수많은 저항값을 가지는 열선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고, 정밀하고 미세한 저항값으로도 만들 수 있으며, 특정한 극세선을 조합하거나 가닥수를 변경 조립하기만 하면, 원하는 저항값과 원하는 기능을 가지게끔 열선을 만들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미세하고 정밀한 저항값을 가지게 각자가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동일한 열선을 수없이 대량 생산함을 아주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한다면 본 발명에서 원하는 그 어떠한 특정한 저저항값과 특정한 기능을 가지는 열선도 맞춤형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모두 손쉽게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맞춤형으로 저항값과 기능, 성능을 맞추어 조립식으로 생산함으로써 정밀하게 맞춤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한번 조립한 극세선 종류와 가닥수를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전문 기계설비와 장치들을 수많은 종류별로 일일이 각각 다 만들어서 갖추고 있어야만 열선 생산이 가능한 종래의 열선(발열체) 기술로서는 도저히 해낼 수 없었던 동일 열선의 대량생산도, 손쉽게 아주 간단한 극세선 조립장비만 있어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특정한 저항값이나 기능, 굵기, 재질을 가지는 극세선을 조합하며 여기에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까지 추가하여 조합을 이루게 하면, 이러한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로 변경되는 조합에 의한 원하는 저저항값과 원하는 각종 기능(성능)을 동시 수행 가능한 복합적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발열 신소재가 수없이 원하는 설계대로 맞춤형으로 탄생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상기 극세선들의 선택함과 그 극세선들의 가닥수까지를 변경시키면서 조합변경을 하여 이러한 조합의 변경이 곧 본 발명에서 원하는 사양에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이 되게 하는 조립식 복합소재 열선 제조방법을 활용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된 ①~⑤의 기술 모두를 동시에 구현해내는 열선을 모두 하나하나 원하는 사양별로 맞추어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예를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열선(발열체) 소재를 만들기 위해 합금금속을 개발하는 기술과 본 발명의 기술과 비교하면, 기존 금속(합금속)발열체로 원하는 발열동작(저항값 맞춤 내지는 조절)과 특수한 기능(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등)을 수행하기에 합금이 단일 금속보다 발열체로써 더 여러 가지 유리하게 작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현재 세계적으로 열선 개발자들은 합금 개발에 의한, 발열체(열선) 소재를 특수한 합금금속을 사용하려고 발전되어 가고 있으나,
열선(발열체) 소재로써의 특별한 저항값과 기능(성능)을 수행해 내기 위한 합금금속을 만들어 내려면, 여러 가지 금속을 용융시켜서 하나의 새로운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야 하므로, 이러한 금속재료의 종류, 혼합 비율, 용융 기법 등 여러 가지 어려운 기술적 사항들을 수많은 실험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만 알아낼 수 있고,
또한, 원하는 합금의 종류를 수만 가지로 다양하게 만들기에 그 많은 합금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다양성을 가지고 필요한 모든 것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을 이용하면,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되, 이러한 극세선을 특정된 저항값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특정된 굵기를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특정된 재질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특정된 기능을 가진 것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금속이나 합금금속 극세선들이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것들의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들의 값을 취합하여 데이터를 만들어 놓은 후,
이미 만들어 준비하거나 알고 있는 이러한 각종 극세선을 가지고 복합적으로 조합을 통해서 여기에 추가하여 각 종류별로 가닥수를 가감하여 조절해주는 조합의 경우 수 까지를 창출시키면,
그 어떠한 원하는 발열동작(저저항값 맞춤 내지는 조절)과 특수한 기능을, 즉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을 뛰어나가게 하는 기능, 정온유지 기능 등, 인류 생활 속에서 전기 열선을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서 수없이 필요한 발열기능 외의 발열동작과 병행으로 발현시키고자 하는 수많은 특수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멀티열선을 사전 설계하여 설계된 대로 합성 병합(조립)하는 방법으로 만들면 되므로,
즉, 합금은 서로 다른 금속을 용융을 통해 1개의 금속으로, 한 몸으로 만들어야 하는 어려운 기술로써, 원하는 특수 발열기능 수행을 위한 새로운 합금을 한 품목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간과 연구 노력을 투자해야 하고 그렇게 해서 한 가지 품목을 겨우 만들 수 있는데(그것도 결과가 나와 봐야 구현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고) 비해, 본 발명의 기술은 서로 다른 금속을 용융방법 대신 극세선으로 만들어 수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고(서로 다르게 만들어진 다양한 재질, 기능, 굵기, 가닥수를 서로 변경 조합하면 무궁무진한 경우의 수가 창출됨) 서로 다르게 원하는 대로(또는 원하는 값을 설계하여) 변경 조합(복합 합성) 시킴으로써 아주 쉽게 합금과 같은 효과를 내는 발열체(열선)를 탄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탄생된 발열체(열선)는 원하는 조립을 통하여 원하는 합금효과를 내는, 신개념으로 제조되는 조립식 열선의 새로운 소재(신소재)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은 원하는 합금효과를 내는 발열체(열선)소재를, 합금을 개발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히 수만~수십만 가지로 다양하고 쉽게 조립과 조합으로, 극세선들의 조합 및 합성과 번들화를 통해서 만들 수 있고, 또한 그 제조과정이 너무 쉽고, 더 정밀하고, 원하는 발열동작(저항값 맞춤 내지는 조절)과 특수한 기능(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을 뛰어나가게 하는 기능, 정온유지 기능 등, 인류 생활 속에서 전기 열선을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서 수없이 필요한 발열기능 외의 발열동작과 병행으로 발현시키고자 하는 수많은 특수 기능 등)을 완벽히 수행하는 발열체를 그냥 설계된 대로 해당 극세선들을 조립만 하면 아주 정밀한 원하는 발열동작과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열선으로 손쉽게 만들 수가 있으며,
동일 제품을 대량생산도 간단한 번들화 시키는 조립기계만 있으면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성과 적용성은 가히 무한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발열체)를 제조한다면 그 어떠한 발열 신소재도 만들 수가 있어서, 그동안에 금속을 배합하고 용융시켜서 만들고자 하는 발열체(열선) 합금속 기술이 필요 없게 되거나, 적어도 합금기술로 종래에 만들거나 향후에 지속적 연구개발로 탄생될 모든 발열체(열선) 합금속 소재 자체들이 모두가 이러한 획기적인 조립식 복합 발열 신소재를 탄생시키는 하나의 소재로 전락하게 되는 세계 최초로 획기적이고 첨단적인 발열체(열선) 제조 신기술(원리 기술)이 탄생된다.
이를 검증해 보이기 위하여, 상술한 종래의 발열체(열선) 제조기술인 첫 번째 유형은 금속(합금금속 포함)으로 된 열선(발열체)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해당 발열체의 저항값을 조절해주는 기술, 두 번째 유형은 특정한 저항값을 가지게끔 열선(발열체) 자체를 합금으로 만들어내는 기술, 세 번째 금속(합금속)이 아닌 열선(발열체)의 제조기술 중 3가지 기술 모두로 도저히 구현할 수 없었던 상기 실시 예를,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으로 구현시켜 보면,
상기 조건이 예를 들어, 1차적으로 본 발명으로 만들고자 하는 어떤 경우에도 전기 감전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안전한 발열침구를 만들기 위해서 직류전기(DC)를 5V 이하의 안전 저전압대 이하로 수많은 전압대를 사용하여 원하는 발열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서 열선의 저항값을 0.1Ω/m 이하의 저항값을 가져야 하며, 굵기는 단면적 기준으로 2㎟ 이하로 만들어야만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이 손에 잡히지 않고, 피부에 닿아도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발열침구로 만들 수 있다고 가정하고,
또한, 2차적으로 이러한 열선은 상기 저저항값을 각각 가짐과 동시에 특정 기능(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유연성을 뛰어나게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먼저, 상기 예의 1차적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적용한 것으로써, 만들고자 하는 발열체를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조합으로 만들되 2가지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고, 1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직경 기준)가 12㎛으로서, 이러한 극세선을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된 그룹을 2개 그룹으로 합성하여 그룹화시킨 그룹(이러한 550가닥으로 된 그룹 한 개는 합성저항값으로 길이 1m 일 때 14Ω의 합성저항값을 가진다)으로 구성하고, 2그룹은 굵기(단면적 기준)가 1㎟, 길이 1m 일 때 0.1Ω의 저항값을 가지는 순철(Fe)을 1가닥으로 구성한 후,
상기 1그룹과 2그룹을 조합(합성)시켜 조립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서 이를 해당 발열체로 사용하면 상기 예에서 원하는 1차적 기본적 조건과 2차적 추가 동시 병행 조건을 모두 간단히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예의 1차적 조건이 만족됨을 검증해 보이기 위해 이를 수치로써 설명하면,
1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직경 기준)가 12㎛으로서, 이러한 극세선을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된 그룹을 2개 그룹으로 합성하여 그룹화시킨 그룹으로 구성하고(이러한 550가닥으로 된 그룹 한 개는 합성저항값으로 길이 1m 일 때 14Ω의 합성저항값을 가진다), 2그룹은 굵기(단면적 기준)가 1㎟, 길이 1m 일 때 0.1Ω의 저항값을 가지는 순철(Fe)을 1가닥으로 구성한 후,
이들 2개의 그룹의 모든 극세선을 통전합성 되게 꽉 쪼여주는 방법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서, 이렇게 만들어진 번들이 곧 상기 예의 1차적 조건과 2차적 조건을 만족시켜주는 하나의 열선이 되게 해주면 된다.
첫 번째로,
1그룹과 2그룹의 총 합성 굵기(단면적)를 계산하면, 1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으로서, 이러한 극세선을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 2개 그룹 = 1,100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1그룹의 합성 총 굵기를 산출해 보면, 해당 강섬유 1가닥 굵기가 12㎛ = 0.012㎜이므로 이를 단면적으로 환산하면 원 단면적= πr²= 314 × (0.012㎜/2)²= 314 × 0.000036㎟ = 0.000113㎟가 되며, 이를 다시 1그룹 전체 총 굵기로 환산하면 0.000113㎟ × 550가닥 × 2개그룹 = 0.06217㎟ × 2 = 0.83084㎟가 된다.
즉, 1그룹의 합성 총 굵기는 단면적 기준으로 0.83084㎟가 된다.
다음 2그룹은 굵기(단면적 기준)가 1㎟, 길이 1m 일 때 0.1Ω의 저항값을 가지는 순철(Fe)을 1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2그룹의 합성 총 굵기를 산출해 보면, 해당 순철(Fe) 굵기는 단면적 기준 1㎟ × 1가닥 = 1㎟ 가 된다.
즉, 2그룹의 합성 총 굵기는 1㎟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열선 1그룹과 2그룹의 총 합성 굵기(단면적)는, 0.83084㎟ + 1㎟ = 1.83084㎟ 가 되어 기준 목표치인 2㎟ 이하의 범위에 든다.
두 번째로,
1그룹과 2그룹의 총 합성 저항값을 계산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먼저, 1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으로서, 이러한 극세선을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된 그룹을 2개 그룹으로 합성하여 그룹화시킨 그룹으로 만들고 이러한 그룹 한 개는 합성저항값으로 길이 1m 일 때 14Ω의 합성저항값을 가지므로, 1그룹 총합성저항값 = 1 ÷ [(1/14) + (1/14)] = 7Ω이 된다.
즉, 1그룹의 총 합성저항값은 7Ω이 된다.
다음 2그룹은 굵기(단면적 기준)가 1㎟, 길이 1m 일 때 0.1Ω의 저항값을 가지는 순철(Fe)을 1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합성저항값은 0.1Ω이 된다.
즉, 2그룹의 총 합성저항값은 0.1Ω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열선 1그룹과 2그룹의 총 합성저항값은, 상기 열선 총 합성저항값 = 1 ÷ [(1/7) + (1/0.1)] = 1 ÷ [(0.14285) + (10)] = 1 ÷ 10.14285 = 0.09859Ω/m이므로 즉, 상기 열선 1그룹과 2그룹의 총 합성저항값은 0.09859Ω/m가 되어 이 역시 기준 목표치인 0.1Ω/m 이하의 범위에 든다.
1차적 결론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예에서 원하는 열선을 만들어 본 결과, 1차적 기본적 요구조건인 열선의 굵기(단면적 기준)를 기준 목표치인 2㎟ 이하의 범위로 만들어지게 하면서도, 해당 열선의 저항값은 기준 목표치인 0.1Ω/m 이하의 범위에 들게 아주 쉽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금속, 합금금속 발열체 제조기술로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의 열선을 만들게 되면, 열선의 저항값을 기준 목표치인 0.1Ω/m 이하의 범위에 들게 하려면 해당 열선의 굵기는 기준 목표치인 2㎟에 비해 최소 6배 이상 굵어지게 만들어지게 될 수밖에 없는 기술적 한계점 있다.
상기 예의 2차적 조건이 만족됨을 검증해 보이면, 상기 예의 2차적 조건을 1차적 조건 만족과 동시에 병행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에서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적용한 것으로써,
상기 2그룹 극세선들을 합성 조립하여 번들화 시킨 열선은, 상기 열선의 재질을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으로서, 이러한 극세선을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된 그룹을 사용해 줌으로써, 순간고온발열동작을 일으키는 기능, 원적외선 방출기능,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단선되지 않는 기능 등이 동시 병행하여 발현되게 할 수가 있게 한 것이며, 특히, 상기 원적외선 방출이 잘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추고 있을 때 실질적 원적외선 방출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는, 본 발명에 의한 기하학적 원리를 적용, 상기 열선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다수 가닥의 극세선으로(특히 2종류의 서로 다른 재질로)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화시킨 열선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원적외선이 잘 방사되게 하는 기능이 동시 병행하여 발현되게 해 준 것이고,
또한, 유연성이 뛰어나게 하는 기능을 갖춘 열선으로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 확대 원리를 적용하여, 상기 해당 금속(합금금속) 재질을 될수록 가늘게 많은 가닥수로 쪼개어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합성하여 번들 화 시켜서 해당 열선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구조로 만들어 줌으로써 유연성을 뛰어나게 하는 기능도 모두 동시 병행하여 발현되게 해 준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만들어 준다면 상기 예의 1차적 조건과 2차적 조건을 모두 동시 병행 만족시켜주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진정한 열선이 탄생된다.
지금까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실제 실물 열선으로 실용화시키기 위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의 실제적 구현방법을 상술하였는 바,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수 종류 다수 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지게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들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놓은 후,
상기에서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어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곧, 원하는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지게 합성 조립하여 만드는데,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조립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되, 길이방향으로 첫 시작점부터 끝 지점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를 다시 번들 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의 맞춤형 열선으로 하나하나 정밀하게 만드는 방법으로는, 상기 하나의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주어, 이러한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들 각각이 곧, 상기 <실시예 3>의 맞춤형 열선이 되는 것이고, 이렇게 정밀하게 맞춤형 열선으로 만들어진 열선 하나하나가 곧, 상기 <실시예 1> 과 <실시예 2>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제적 구현방법이 곧,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으로써 가장 최적화된 방법이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해주는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원하는 사양(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된 ①~⑤의 기술 모두를 동시에 구현하는)에 맞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조합으로 만듦에 있어,
상기 하나의 조합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조합 내부의 극세선들을 변경해주는 방법으로 하면 되는데, 상기 극세선을 선택하는 것을 원하는 사양을 구현해 낼 수 있는 열선이 되는데 가장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고, 원하는 사양이 수없이 많으므로, 원하는 사양이 각각 다름에 따른 이러한 사양의 변경에 맞추어, 극세선의 선택도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변경 선택해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극세선들의 선택 변경만으로는 원하는 사양을 구현해 낼 수 있는 열선이 되는데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선택 변경된 극세선을 더욱더 미세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갠 것으로 다시 가닥수를 변경한다든지, 또는 동일한 굵기로 가닥수를 줄이거나 늘려준다든지, 또는 굵기가 더욱 굵은 것으로 가닥수를 줄여준다든지 하는 등 기타 수없이 많은 방법으로 상황에 맞게 가닥수를 변경하여 주는 방법을 추가해 주면, 결국은, 원하는 사양을 구현해 낼 수 있는 열선을 만들기 위한 극세선들의 선택 폭(선택할 수 있는 경우 수)이 대폭 증가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증가한 선택의 폭을 최대한 활용하면, 아무리 까다롭고 어려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사양이라도 다 맞추어서 해당 열선을 좀 더 정밀하게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 4>에서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해주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 4>에서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을,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을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곧, 상기 <실시예 4>에서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해주는 방법이 된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 있어서, 선택함의 변경함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해주는 방법으로는,
상기 선택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도 변경하거나,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이 되게 하며 선택함의 변경함이 이루어져 나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4>에서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해주는 방법이 되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을 예를 들면, 상기 단일금속, 합금금속들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실제 자체실험을 통해서 아래와 같은 본 발명에서 필요한 실제 극세선을 만들어 사전 준비를 하였는데,
① 특정 재질을 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극세선으로써,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본 것 중, 다른 극세선들과 통전접촉 합성 조합이 문제없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를 잘 흘러갈 수 있게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좀 더 효과적으로 만들게 하기 쉬운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①-1,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거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만을 하게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①-2,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중간 역할만(약간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만,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을 더 상당히 많이 함)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텅스텐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30Ω(극세선 굵기 0.0532㎟)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백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2058Ω(극세선 굵기 0.51㎟) 가지는 극세선,
①-3,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 으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90.3Ω(극세선 굵기 0.009635㎟) 가지는 극세선이다.
② 특정 저항값을 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극세선으로써,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본 것 중, 다른 극세선들과 통전접촉 합성 조합이 문제없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를 잘 흘러갈 수 있게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좀 더 효과적으로 만들게 하기 쉬운,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들로는,
②-1,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거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만을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98Ω(극세선 굵기 0.1538㎟)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0201Ω(극세선 굵기 1.3㎟) 가지는 극세선,
②-2,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중간 역할만(약간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만,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을 더 상당히 많이 함)을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니켈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3018Ω(극세선 굵기 0.053㎟)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순철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886Ω(극세선 굵기 0.53㎟) 가지는 극세선,
②-3,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으로,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90Ω(극세선 굵기 0.00785㎟)으로 가지는 극세선이다.
③ 특정 기능을 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극세선으로써,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본 것 중, 다른 극세선들과 통전접촉 합성 조합이 문제없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해 내는 열선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쉬운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들은,
③-1,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은,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48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 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7,650Ω(극세선 굵기 0.0001005㎟)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7,700Ω(극세선 굵기 0.000113㎟) 가지는 극세선,
③-2,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열에 의한 산화반응을 좀 더 억제하여 열선(극세선) 수명을 좀 더 길게 하기 위한 기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은,
재질을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제조되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11.2Ω(극세선 굵기 0.02512㎟)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 으로 제조되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48.7Ω(극세선 굵기 0.0151㎟) 가지는 극세선,
③-3,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흘러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급격히 저항값이 떨어지는 역할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게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은,
재질을 배합비율 규소 20 중량%, 구리 80 중량% 으로 만들어진 규소구리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Ω(극세선 굵기 1㎟) 가지는 극세선이다.
④ 특정 굵기를 우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극세선으로써,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본 것 중, 다른 극세선들과 통전접촉 합성 조합이 문제없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상기 ①~③의 역할을 해당 극세선의 굵기를 다르게 해 줌으로써, 상기 ①~③의 본 역할을 강화하게 하거나, 조절하게 하거나, 보완하게 하는 역할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특정한 굵기를 대표하는 극세선은,
④-1-1, 상기 ①-1의 도체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241Ω(극세선 굵기 0.06721㎟)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150Ω(극세선 굵기 0.014527㎟)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1-2, 상기 ①-2의 중간 역할만(약간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만,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을 더 상당히 많이 함)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텅스텐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5.768Ω(극세선 굵기 0.0095㎟), 8.179Ω(극세선 굵기 0.0067㎟)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백금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0.913Ω(극세선 굵기 0.115㎟), 2.058Ω(극세선 굵기 0.051㎟), 4.565Ω(극세선 굵기 0.023㎟), 14.999Ω(극세선 굵기 0.007㎟)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1-3, 상기 ①-3의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70.5Ω(극세선 굵기 0.005103㎟)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281Ω(극세선 굵기 0.003096㎟)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2-1, 상기 ②-1의 도체 역할만을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0.235Ω(극세선 굵기 0.0718㎟), 1.1123Ω(극세선 굵기 0.015386㎟)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0.0315Ω(극세선 굵기 0.83㎟), 0.356Ω(극세선 굵기 0.0735㎟)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2-2, 상기 ②-2의 중간 역할만(약간의 발열동작을 일으키지만, 안전 저전압의 전류가 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체 역할을 더 상당히 많이 함)을 하게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니켈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6.2727Ω(극세선 굵기 0.011㎟), 8.625Ω(극세선 굵기 0.008㎟)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순철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0.909Ω(극세선 굵기 0.11㎟), 2Ω(극세선 굵기 0.05㎟), 4.347Ω(극세선 굵기 0.023㎟), 12.5Ω(극세선 굵기 0.008㎟)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2-3, 상기 ②-3의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되, 상기 ①항의 재질들과 재질 자체는 다르지만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면서,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170Ω(극세선 굵기 0.004525㎟)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280Ω(극세선 굵기 0.002523㎟)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3-1, 상기 ③-1항의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82Ω(극세선 굵기 0.00785㎟)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 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36Ω(극세선 굵기 0.00785㎟)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7,330Ω(극세선 굵기 0.00004436㎟)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26,375Ω(극세선 굵기 0.00002914㎟)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항값을 17,319Ω(극세선 굵기 0.00005024㎟)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26,239Ω(극세선 굵기 0.00003316㎟)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3-2, 상기 ③-2항의 열에 의한 산화반응을 좀 더 억제하여 열선(극세선) 수명을 좀 더 길게 하기 위한 기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제조되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들 중, 길이 1m당, 저항값을 36.5Ω(극세선 굵기 0.00770㎟)으로 가지는 극세선, 재질을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제조되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83.7Ω(극세선 굵기 0.008785㎟)으로 가지는 극세선,
④-3-3, 상기 ③-3항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급격히 저항값이 떨어지는 역할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들 중 굵기를 다르게 한 대표적인 극세선들은,
재질을 배합비율 규소 20 중량%, 구리 80 중량%으로 만들어진 규소구리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04.8Ω(극세선 굵기 0.477㎟)으로 가지는 극세선이다.
다음,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지게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놓은 것 중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사양으로써, 하기 <실시예 10>에서의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극세선을 만들어 본 결과,
재질이 강섬유(금속섬유)(NASLON)를 아주 가는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자체적으로 1다발, 또는 2다발 이상 다수 다발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극세선 들 중 해당 용도에 적합한 어느 하나 이상의 극세선과 조합 합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복합적 다용도 멀티기능을 동시에 수행해 낼 수 있는 극세선(다발)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이 된다.
또한,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제조되는 것들 중에서, 아래와 같이 묶어지는 다발들이 실질 실험결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으로서 최적의 상태가 된다.
즉, 아래의 자체 실험결과 최적화된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55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1,00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2,00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들이다.
<실시예 8>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제조방법을 좀 더 효과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게 하는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되게 하는 방법은,
즉, 본 발명을 위해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없이 많은 원하는 경우의 수의 사양에 맞추어서, 상기 조합 변경을 해내기 위해서는 내부의 극세선들의 변경이 좀 더 원하는 사양에 최적화되게 변경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최적화 된 변경을 위해서는 극세선을 어떻게 선택하고 어떻게 원하는 사양에 효과적으로 맞추어 선택함을 변경해서 할 것인가 하는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선택함의 변경함방법이 필요한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 중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 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예시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예시 1-1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했을 때,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을 만듦에 있어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재질의 분류군에 있는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극세선 중에서 해당 사양에 적합한 재질의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만들고자 하는 번들(열선)의 내부 극세선 조합을 2가닥 이상으로, 될 수 있으면 다수 가닥으로 해야만 유연성이 증가되는 관계로,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4개의 분류군 중에) 재질의 분류군에 해당하는 대표적 극세선으로써,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을 구하는 수식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로하며,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5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50.5) × (50가닥)] = 1 ÷ 0.99 ≒ 1Ω가 되므로, 상기 선택된 강섬유(금속섬유)(NASLON) 재질의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 1-2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이 열선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되는 게 필요하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예시 1-1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한 극세선의 가닥수를 101가닥으로 증가(변경) 시켜 이들을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고 이를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예시 1-2 조건의 변경된 열선인, 0.5Ω이라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예시 1-1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한 극세선 101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50.5) ×(101가닥)] = 1 ÷ 1.99999 = 0.5Ω이 되므로, 상기 동일 극세선 가닥수를 101가닥으로 변경(증가)시켜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하여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예시 1-1과 1-2를 비교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하여(본 예시 1-1 과 1-2에서는 재질이라는 종류로 한 종류만 선택) 극세선을 선택하되, 선택된 극세선과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증가) 시켜준 결과(50가닥에서 101가닥으로), 상기 <실시예 4> 와 <실시예 5> 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이 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사양(목적)에 좀 더 효과적으로 맞추어내는 변경(본 예시 1-1과 1-2의 원하는 목적 = 저항값의 효과적 변경)을 이루어 낼 수 있었고,
특히, 동일한 극세선인데도 불구하고 가닥수의 증가(2배)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방법은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 중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 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된다.
상기에서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이란,
①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②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③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④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4가지 중 1종류만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종류군에서 다시 선택을 변경하는데, 상기 4가지의 종류 중 선택된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의 종류 중 서로 다른 어느 한 가지로, 다시 극세선을 변경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해 나가는 방법이다.
즉, 상기 제1방법에서의 선택은 4종류군 중 어느 1종류에서만 선택하여 그 극세선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가닥수만 변경하는 방법이라면, 본 제2방법에서의 선택은 상기 제1방법에서의 선택한 종류군에서, 아래와 같은 4가지 방법으로 2차적 선택변경을 하여 한 가지로 최종적 극세선을 선택하게 되면, 그 극세선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가닥수만 변경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4가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①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2-1A를 들어보면, 상기 제1방법의 예시 1-1과 동일한 예시를 들어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2-1A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예시 2-1A 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있는데,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재질의 분류군에 있는 해당 사양에 적합한 재질을 가진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1A 조건을 만족시킨다(상기 제1방법과 동일).
다음 예시 2-1B를 들어보면, 상기 예시 2-1A에 의해 분류군을 재질로 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다시 그 재질로 된 극세선들에서 굵기를 변경 선택하여, 즉 상기 제1방법에서의 것보다 굵기를 더 가는 것으로 선택하면(즉 재질이라는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굵기라는 종목을 다르게 변경하여 선택), 상기 제1방법에서 얻고자 했던 효과(유연성이 증가되어야 하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하되,
굵기를 변경하여, 굵기가 더 가늘어진 길이 1m당 극세선의 굵기가 0.009635㎟(상기 예시 2-1A에서는 재질은 동일하고, 굵기가 0.017229㎟로 더 굵은 것이었음), 1m 길이당, 저항값은 90.3Ω을 가지는 극세선 91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1B를 만족시키게 되고,
특히,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본 예시 2-1A 조건(제1방법 예시 1-1과 동일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결과가 나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며, 길이 1m당 저항값을 90.3Ω(극세선 굵기 0.009635㎟) 가지는 극세선 91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90.3) × (91가닥)] = 1 ÷ 0.99 ≒ 1Ω가 되므로, 상기 선택된 강섬유(금속섬유)(NASLON) 재질의 극세선 굵기 0.009635㎟(저항값은 90.3Ω)를 가지는 극세선 91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1C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이 열선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되는 게 필요하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예시 2-1B를 만족시켰던 동일 열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증가)시켜주면 쉽게 열선 1m 길이당 0.5Ω이라는 원하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예시 2-1B의 조건을 만족시킨 강섬유(금속섬유)(NASLON)라는 재질이 동일하고, 극세선 굵기도 0.009635㎟(저항값은 90.3Ω)로 동일한 상태에서, 본 예시 2-1C에서는 가닥수만을 91가닥에서 180가닥으로 증가(변경)시켜 이들을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고 이를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2-1C 조건을(상기 예시 2-1B에서의 조건보다 더 낮은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변경된) 만족시키는 열선인, 0.5Ω이라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예시 2-1A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한(재질이라는 분류군이 동일하고, 굵기도 0.009635㎟로 동일한), 1m 길이당 90.3Ω의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 18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90.3) × (180가닥)] = 1 ÷ 1.9933 = 0.5Ω이 되므로, 상기 예시 2-1A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 극세선을 가닥수만 91가닥에서 180가닥으로 변경(증가)시켜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이 되게 만들 수 있으며, 이처럼 원하는 저저항값을 동일하게 가지면서도 굵기가 가늘어지고 가닥수가 늘어남에 따라 유연성도 더욱 배가가 되는 열선을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예시 2-1A과 2-1B 및 2-1C를 비교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하여(본 예시 2-1A에서는 재질이라는 종류로 한 종류만 선택) 극세선을 선택하되, 선택된 분류군 내에서 다시 굵기를 변경하여 선택하고(본 예시 2-1B에서는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재질 분류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함에 있어 굵기를 변경함), 여기에 더하여 2차적으로 변경 선택된 굵기를 가진 동일한 극세선에 대한 가닥수만을 변경해(본 예시 2-1C) 나가는 방법으로 조합을 변경한 결과,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사양(목적)에 좀 더 효과적으로 맞추어내는 변경(상기 예시 1-1과 1-2의 원하는 목적 = 저항값의 효과적 변경)을 이룰 수 있었고,
특히, 동일한 대표 분류군(재질이라는)에 있는 극세선인데도 불구하고 그 분류군 내에서 해당 종목만을 제외한 다른 종목인 굵기를 다시 변경(가늘게)하여, 여기에 가닥수의 변경(제1방법 대비 약 1.8배 증가)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적 목적인 열선의 유연성을 더욱 뛰어나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2-2A를 들어보면, 상기 제1방법의 예시 1-1 및 상기 예시 2-1A과 동일한 예시를 들어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2-2A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2-2A에서는 사전에 준비된 극세선이 상기 제1방법의 예시 1-1 및 상기 예시 2-1A에서 선택한 재질 중심으로는 구할 수 없고, 저항값을 중심으로밖에 극세선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제1방법의 예시 1-1 및 상기 예시 2-1A에서 선택한 재질 중심으로는 구할 수가 없고, 저항값 중심으로만 극세선이 준비되어 있으므로,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한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저항값의 분류군에 있는 해당사양에 적합한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2A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5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50) × (50가닥)] = 1 ÷ 1 = 1Ω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1B를 들어보면, 상기 예시 2-1A에 의해, 분류군을 저항값으로 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다시 그 저항값의 분류군 내에 있는 극세선들에서 굵기를 변경 선택하여, 즉 상기 제1방법에서의 것보다 굵기를 더 가는 것으로 선택하면(즉 저항값이라는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굵기라는 종목을 다르게 변경하여 선택), 재질 중심으로는 구할 수가 없고 저항값 중심으로 만이 극세선이 준비되어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방법에서 얻고자 했던 효과(유연성이 향상하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저항값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상기 예시 2-1A에서 선택한 재질인 강섬유(금속섬유)(NASLON)(굵기는 0.009635㎟이며, 1m 길이당, 저항값은 90.3Ω을 가지는 극세선)와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값 분류군에 있는 극세선을 선택하면 되는 데,
이러한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으로는,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을 90Ω(극세선 굵기 0.00785㎟)을 가지는 극세선이 가장 유사하므로, 이 극세선으로 동일한 90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2B를 만족시키게 되고,
특히, 재질 중심으로는 구할 수가 없고 저항값 중심으로만 극세선이 준비되어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본 예시 2-2A 조건(제1방법 예시 1-1과 동일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결과가 나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을 90Ω을 가지는 극세선(극세선 굵기 0.009635㎟) 9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90) × (90가닥)] = 1 ÷ 0.9999 ≒ 1Ω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을 90Ω을 가지는 극세선(극세선 굵기 0.009635㎟) 9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2C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이 열선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되는 게 필요하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예시 2-2B를 만족시켰던 동일 열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증가)시켜주면 쉽게 열선 1m 길이당 0.5Ω이라는 원하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예시 2-2B의 조건을 만족시킨 재질이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으로서 SUS 316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90Ω을 가지는 극세선(극세선 굵기 0.009635㎟)의 재질, 굵기, 저항값이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본 예시 2-2C에서는 가닥수만을 90가닥에서 180가닥으로 증가(변경)시켜 이들을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고 이를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2-2C 조건(본 예시 2-2B에서의 조건보다 더 낮은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변경된)을 만족시키는 열선인, 0.5Ω이라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예시 2-2B의 조건을 만족시킨 1m 길이당 90Ω으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 18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90) × (180가닥)] = 1 ÷ 1.9999 = 0.5Ω이 되므로, 상기 예시 2-2B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 극세선을 가닥수만 90가닥에서 180가닥으로 변경(증가)시켜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이 되게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처럼 원하는 저저항값을 동일하게 가지면서도 굵기가 가늘어지고 가닥수가 늘어남에 따라 유연성도 더욱 배가가 되는 열선을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예시 2-2A과 2-2B 및 2-2C를 비교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하여(예시 2-2A에서는 저항값이라는 종류로 한 종류만 선택) 극세선을 선택하되, 선택된 분류군 내에서 다시 굵기를 변경하여 선택하고(예시 2-2B에서는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저항값 분류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함에 있어 굵기를 변경함), 여기에 더하여 2차적으로 변경 선택된 굵기를 가진 동일한 극세선에 대한 가닥수만을 변경해(본 예시 2-2C) 나가는 방법으로 조합을 변경한 결과,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사양(목적)에 좀 더 효과적으로 맞추어내는 변경(상기 예시 1-1과 1-2의 원하는 목적 = 저항값의 효과적 변경)을 이루어 낼 수 있고,
특히, 동일한 대표 분류군(저항값이라는)에 있는 극세선인데도 불구하고 그 분류군 내에서 해당 종목만을 제외한 다른 종목인 굵기를 다시 변경(가늘게)하여, 여기에 가닥수의 변경(상기 예시 2-2A 대비 약 3.6배 증가)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좀 더 쉽게 만들어낼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적 목적인 열선의 유연성을 더욱 뛰어나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③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2-3A를 들어보면, 상기 제1방법의 예시 1-1과 동일한 예시를 들어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2-3A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본 예시 2-3A 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있는데,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기능의 분류군에 있는 해당 사양에 적합한 기능을 가진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11Ω을 가진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11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3A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11Ω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11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11) × (11가닥)] = 1 ÷ 0.9999 ≒ 1Ω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11Ω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11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3B를 들어보면, 상기 예시 2-3A에 의해, 분류군을 기능으로 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다시 그 기능분류군에서 선택된 극세선들에서 재질을 변경 선택하여, 즉 상기 예시 2-3A에서의 것보다 재질을 다른 것으로 선택하면(즉 기능이라는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재질이라는 종목을 다르게 변경하여 선택하면), 상기 제1방법에서 얻고자 했던 효과(유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기능을 대표하는 극세선 중, 상기 예시 2-3A와 다른 재질(재질을 변경)의 극세선인,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48Ω(극세선 굵기 0.015386㎟)을 가지는(상기 예시 2-3A에서와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은 동일하고, 재질이 다른 것임) 극세선 48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3B를 만족시키게 되고,
특히,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예시 2-3A 조건(제1방법 예시 1-1과 동일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결과가 나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48Ω(극세선 굵기 0.015386㎟)을 가지는 극세선 48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 48) × (48가닥)] = 1 ÷ 0.99 ≒ 1Ω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을 48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48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3C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이 열선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되는 게 필요하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예시 2-3B를 만족시켰던 동일 열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증가) 시켜주면 쉽게 열선 1m 길이당 0.5Ω이라는 원하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예시 2-3B의 조건을 만족시킨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48Ω(극세선 굵기 0.015386㎟)을 가지는 극세선으로 모든 것이 동일한 상태에서, 본 예시 2-3C에서는 가닥수만을 48가닥에서 96가닥으로 증가(변경)시켜 이들을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고 이를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2-3C 조건을(예시 2-3B에서의 조건보다 더 낮은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변경된) 만족시키는 열선인, 0.5Ω이라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예시 2-3B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한(기능이라는 분류군이 동일하고, 재질도 동일한),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길이 1m당 저항값을 48Ω(극세선 굵기 0.015386㎟) 가지는 극세선 96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48) × (96가닥)] = 1 ÷ 1.9999 ≒ 0.5Ω이 되므로, 상기 예시 2-3B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 극세선을 가닥수만 48가닥에서 96가닥으로 변경(증가)시켜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이 되게 만들 수 있게 되며,
이처럼 원하는 극저저항값을 동일하게 가지면서도 굵기가 가늘어지고 가닥수가 늘어남에 따라 유연성도 더욱 배가가 되는 열선을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예시 2-3A과 2-3B 및 2-3C를 비교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하여(예시 2-3A에서는 기능이라는 종류로 한 종류만 선택) 극세선을 선택하되, 선택된 분류군 내에서 다시 재질을 변경하여 선택하고(예시 2-3B에서는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기능 분류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재질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함에 있어 재질을 변경함), 여기에 더하여 2차적으로 변경 선택된 재질을 가진 동일한 극세선에 대한 가닥수만을 변경해(본 예시 2-3C) 가는 방법으로 조합을 변경한 결과,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 와 <실시예 5> 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사양(목적)에 좀 더 효과적으로 맞추어내는 변경(상기 예시 1-1과 1-2의 원하는 목적 = 저항값의 효과적 변경)을 이루어 낼 수 있고,
특히, 동일한 대표 분류군(기능이라는)에 있는 극세선인데도 불구하고 그 분류군 내에서 해당 종목만을 제외한 다른 종목인 재질을 다시 변경하여, 여기에 가닥수의 변경(본 예시 2-3B 대비 약 2배 증가)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좀 더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적 목적인 열선의 유연성을 더욱 뛰어나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④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2-4A를 들어보면, 상기 제1방법의 예시 1-1과 동일한 예시를 들어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2-4A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본 예시 2-4A 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있는데,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굵기를 대표하는 극세선인, 굵기의 분류군에 있는 해당 사양에 적합한 굵기를 가진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36Ω)으로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36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4A 조건을 만족 시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굵기 0.00785㎟ (길이 1m당, 저항값 36Ω) 으로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36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36) × (36가닥)] = 1 ÷ 0.9999 ≒ 1Ω이 되므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굵기 0.00785㎟ (길이 1m당, 저항값 36Ω) 으로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36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4A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4B를 들어보면, 상기 예시 2-4A에 의해, 분류군을 굵기로 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다시 그 굵기 분류군에서 선택된 극세선들에서 저항값을 변경 선택하여, 즉 상기 예시 2-4A에서의 것보다 저항값을 다른 것으로 선택하면(즉 극세선 굵기가 상기 예시 2-4A에서도 0.00785㎟이고 본 예시 2-4B에서도 0.00785㎟로 동일한, 굵기라는 동일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저항값이라는 종목을 다르게 변경하여 선택), 상기 제1방법에서 얻고자 했던 효과(유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변경 가능을 쉽게 하기 위한, 직류(DC) 안전 저전압(특히, 직류(DC) 24V 이하의 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특정 굵기를 대표하는 극세선 중, 상기 예시 2-4A와 굵기는 동일한데 저항값을 다르게 가지는(저항값을 변경) 극세선인,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82Ω)인(상기 예시 2-4A와 굵기는 동일하고, 저항값이 다른 것임) 극세선 82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2-4B를 만족시키게 되는 것이고,
특히,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예시 2-4A 조건(제1방법 예시 1-1과 동일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결과가 나온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82Ω)인 극세선 82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82) × (82가닥)] = 1 ÷ 0.9999 ≒ 1Ω이 되므로, 상기 선택된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82Ω)인 극세선 82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예시 2-4C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이 열선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되는 게 필요하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예시 2-4B를 만족시켰던 동일 열선으로 가닥수만을 변경(증가)시켜주면 쉽게 열선 1m 길이당 0.5Ω이라는 원하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예시 2-4B의 조건을 만족시킨, 재질을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82Ω) 인 극세선을, 모든 것이 동일한 상태에서, 본 예시 2-4C에서는 가닥수만을 82가닥에서 164가닥으로 증가(변경)시켜 이들을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고 이를 합성 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2-4C 조건(예시 2-4B에서의 조건보다 더 낮은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변경된)을 만족시키는 열선인, 0.5Ω이라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예시 2-4B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한(굵기라는 분류군과 실제 굵기까지 동일하고, 재질과 저항값도 모두 동일한),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굵기 0.00785㎟(길이 1m당, 저항값 82Ω) 인 극세선 164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82) × (164가닥)] = 1 ÷ 1.9999 ≒ 0.5Ω이 되므로, 상기 예시 2-4B의 조건을 만족시킨 동일 극세선을 가닥수만 82가닥에서 164가닥으로 변경(증가)시켜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변경이 되게 만들 수 있게 되어 본 예시 2-4C 조건을 만족시킨 것이며,
이처럼 원하는 저저항값을 동일하게 가지면서도 굵기가 가늘어지고 가닥수가 늘어남에 따라 유연성도 더욱 배가가 되는 열선을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예시 2-4A과 2-4B 및 2-4C를 비교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하나의 분류종류만을 선택하여(예시 2-4A에서는 굵기라는 종류로 한 종류만 선택) 극세선을 선택하되, 선택된 분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을 변경하여 선택하고(예시 2-4B에서는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굵기 분류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기능과 재질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함에 있어 저항값을 변경함), 여기에 더하여 2차적으로 변경 선택된 저항값을 가진 동일한 극세선에 대한 가닥수만을 변경해(본 예시 2-4C) 나가는 방법으로 조합을 변경한 결과,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 와 <실시예 5> 의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사양(목적)에 좀 더 효과적으로 맞추어내는 변경(상기 예시 1-1과 1-2의 원하는 목적 = 저항값의 효과적 변경)을 이루어 낼 수 있고,
특히, 동일한 대표 분류군(굵기라는)에 있는 극세선인데도 불구하고 그 분류군 내에서 해당 종목만을 제외한 다른 종목인 저항값을 다시 변경하여, 여기에 가닥수의 변경(본 예시 2-3B 대비 약 2배 증가)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상기 제1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 좀 더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적 목적인 열선의 유연성을 더욱 뛰어나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3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 중 극세선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어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 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첫 번째 예시 3-1을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데,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3-1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3-1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4가지 분류군 중 기능과 저항값 2종류의 분류군에서 각각 1가지씩을 선택한 극세선을 조합하는데, 기능 분류군에서는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저항값 분류군에서는 최대한 쉽게 저저항값을 맞추어낼 수 있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2종류 분류군에 있는 극세선을 조합을 이루게 하여 이를 합성 조립하여 번들로 만들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제 제2, 본 예시 3-1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로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극세선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제1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 10가닥을 선택하고, 다른 나머지 제2종류로는 저항값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98Ω(극세선 굵기 0.1538㎟) 가지는 극세선 1가닥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 총 11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3-1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하나의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이다.
그 다음 선택된 분류군은 저항값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98Ω(극세선 굵기 0.1538㎟) 가지는 극세선이다.
따라서 상기 분류군 2종류로 각각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되, 각각의 가닥수를 조절하여 선택하면 되는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10가닥을 선택하고, 구리로 만든 극세선은 1가닥만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시키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11×10가닥) + (1/0.1098×1가닥) = 1 ÷ (0.9090 + 9.1074) = 1 ÷ 10.0164 ≒ 0.1Ω이 되므로,
예시 3-1 조건에서 원하는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이(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 된다.
두 번째, 예시 3-2를 설명하면, 예를 들어, 상기 예시 3-1과 목표는 동일하되 약간의 조건만 다른 예시로 본 예시 3-2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데,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되, 사전 준비된 극세선이 저항값 분류군에 속한 구리로 된 극세선은 없고, 이와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되 재질이 다른 극세선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이, 본 예시 3-2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3-2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4가지 분류군 중 기능과 재질 2종류의 분류군에서 각각 1가지씩을 선택한 극세선을 조합하는데, 기능 분류군에서는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재질 분류군에서는 상기 예시 3-1에서 저항값 분류군에서 선택된 극세선과 가장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는 재질 분류군에서 최대한 쉽게 저저항값을 맞추어낼 수 있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2종류 분류군에 있는 극세선을 조합을 이루게 하여 이를 합성 조립하여 번들로 만들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제 구현하면, 본 예시 3-2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로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극세선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제1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 6가닥을 선택하고,
다른 나머지 제2종류로는 재질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상기 예시 3-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에서 선택된 저항값 분류군에 있는 구리 극세선과 재질은 다르되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는,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1가닥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 총 7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3-2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하나의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이다.
다음 선택된 분류군은 재질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이다.
따라서 상기 분류군 2종류로 각각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되, 각각의 가닥수를 조절하여 선택하면 되는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6가닥을 선택하고, 은으로 만든 극세선은 1가닥만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시키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11×6가닥) + (1/0.1058×1가닥) = 1 ÷ (0.5454 + 9.4517) = 1 ÷ 9.9971 ≒ 0.1Ω이 되므로,
본 예시 3-2 조건에서 원하는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된다.
세 번째, 예시 3-3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상기 예시 3-1과 목표는 동일하되 약간의 조건만 다른 예시로 본 예시 3-3을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되,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 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3-3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3-3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4가지 분류군 중 기능과 굵기 2종류의 분류군에서 각각 1가지씩을 선택한 극세선을 조합하는데, 기능 분류군에서는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굵기 분류군에서는 상기 예시 3-1에서 조건을 만족시킨 극세선과 재질은 동일하지만, 굵기 분류군에 속하는 굵기가 다른(더 가늘어지면서 가닥수가 늘어나서 유연성이 증가되게)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2종류 분류군에 있는 극세선을 조합을 이루게 하여 이를 합성 조립하여 번들로 만들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제 구현하면, 본 예시 3-3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로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극세선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제1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 16가닥을 선택하고,
다른 나머지 제2종류로는 굵기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늘어나게 해서 유연성을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상기 예시 3-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에서 선택된 저항값 분류군에 있는 구리 극세선과 재질은 동일하되, 굵기 분류군에 속하는 굵기가 다른(더 가늘어진) 극세선으로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들 중, 극세선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 0.235Ω) 인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 총 18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3-3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하나의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극세선이다.
다음 선택된 분류군은 굵기의 분류군으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으로, 굵기가 0.0718㎟ (길이 1m당 저항값 0.235Ω) 인 극세선이다.
따라서 상기 분류군 2종류로 각각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되, 각각의 가닥수를 조절하여 선택하면 되는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16가닥을 선택하고, 구리로 만든 극세선으로 굵기가 0.0718㎟인 극세선은 2가닥만을 선택하여 이들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시키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11×16가닥) + (1/0.235×2가닥) = 1 ÷ (1.45454 + 8.5106) = 1 ÷ 9.9651 ≒ 0.1Ω이 되므로,
본 예시 3-2 조건에서 원하는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제3방법은, 상기 첫 번째 ~ 세 번째 예시에서 모두 살펴본 바와 같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4가지 종류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에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분류종류별로 1가닥 이상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된 극세선을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써,
극세선의 가닥수량을,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작게 한 상태에서도, 저저항값을 쉽게 이루어내고 여기에 더하여, 특정한 기능까지를 동시에 병행 구현할 수 있는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4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어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상기 제3방법과는 또 다른 방법인데,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1가지 각각의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 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이란,
①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고,
②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고,
③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고,
④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선택(4가지 중 2종류 이상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분류종류군에서 다시 선택을 변경하는데, 상기에서 선택된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 중에서는 또 1가지 분류군 각각의 입장에서는 선택된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의 종류 중 서로 다른 어느 한가지로, 다시 극세선을 변경 선택하는 방법인데,
즉, 상기 제3방법에서의 선택은 4가지 분류종류군 중 어느 2종류 이상에서 선택하고 그 선택의 변경을 4종류군에서 분류종류군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이라면,
본 제4방법에서의 선택은, 상기 제3방법에서의 선택한 어느 2종류 이상의 분류종류군들의 각각종류군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각각의 선택된 분류종류군 자체에서는 다시 아래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으로 2차적 선택변경을 추가로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각각의 분류군 자체에서 최소 1가닥 이상의 극세선이 선택되게 하고, 하나의 번들(한 가닥의 열선)을 만드는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전체로 볼 때는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4가지 ①~④항의 방법이 활용되는 것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첫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②방법과 ③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 4-1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방법의 예시 3-1과 목표는 동일하되 약간의 조건만 다른 예시로 예시 4-1을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데,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4-1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3방법의 첫째 예시에서는 한 가지 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했고,
다른 나머지 한 가지 종류로는 저항값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제4방법의 첫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3방법에서 첫 번째 예시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2차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처음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첫째 예시에 의해 분류군이 기능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③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기능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기능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완료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첫째 예시에 의해 분류군이 저항값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②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선택된 분류군이 저항값의 분류군이므로 저항값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 완료하여,
이렇게 본 제4방법 중 ③방법과 ②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4-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제1종류에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첫 번째 예시에서는,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중 굵기가 0.025434㎟(길이 1m당 저항값은 11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10가닥으로 선택한데 비해,
본 제4방법 첫째 예시에서는, 상기 ③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1의 조건인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이되,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상기 제3방법 첫 번째 예시에 비해 굵기를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하여, 즉 동일한 기능 분류군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54가닥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저항값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첫째 예시에서는, 저항값 분류군에 속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 중 굵기를 0.1538㎟(길이 1m당 저항값은 0.1098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1가닥으로 선택한 데 비해,
본 제4의 방법 첫째 예시에서는, 상기 ③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1의 조건인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상기 제3방법 첫째 예시에 비해 굵기를 변경하여, 즉 동일한 기능 분류군인 구리 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된 0.0718㎟(길이 1m당 저항값은 0.235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2가닥으로 선택하여,
상기 제1종류와 제2종류 극세선 총 56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4-1을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54가닥을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저항값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은 0.235Ω)인 구리 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 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54가닥) + (1/0.235×2가닥) = 1 ÷ (1.49999 + 8.5106) = 1 ÷ 10.01 ≒ 0.1Ω 이 되므로,
본 예시 4-1 조건에서 원하는,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된다.
두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①방법과 ③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 4-2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방법의 예시 3-2와 목표는 동일하되 약간의 조건만 다른 예시로 본 예시 4-2를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데,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되, 사전 준비된 극세선이 저항값 분류군에 속한 구리로 된 극세선은 없고, 이와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되 재질이 다른 은으로 된 극세선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이, 본 예시 4-2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서 한 가지 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했고,
다른 나머지 한 가지 종류로는 재질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재질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제4방법의 둘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2차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처음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 의해 선택된 분류군이 기능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③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기능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기능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완료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 의해 선택된 분류군이 재질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①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선택된 분류군이 재질의 분류군이므로 재질을 제외한, 저항값과 굵기와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 완료하여,
이렇게 본 제4방법 중 ③방법과 ①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처음 제1종류에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서는,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동일 극세선을 6가닥으로 선택한데 비해,
본 제4의 방법의 둘째 예시에서는, 상기 ③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2의 조건인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이되,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상기 제3방법 둘째 예시에 비해 굵기를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하여, 즉 동일한 기능 분류군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61가닥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재질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둘째 예시에서는, 저항값 분류군에 있는 구리 극세선과 재질은 다르되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는,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1가닥을 선택한데 비해,
본 제4방법의 둘째 예시에서는, 상기 ①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2의 조건인,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방법 둘째 예시에 비해 굵기를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하여, 즉 동일한 재질 분류군인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로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2가닥으로 선택하여,
상기 제1종류와 제2종류 극세선 63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4-2를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재질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재질 분류군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으로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61가닥) + (1/0.241×2가닥) = 1 ÷ (1.6944+ 8.2987) = 1 ÷ 9.9931 ≒ 0.1Ω 이 되므로,
본 예시 4-2 조건에서 원하는,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약간 증가시켜 유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된다.
세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③방법과 ④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 4-3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방법의 예시 3-3과 목표는 동일하되 약간의 조건만 다른 예시로 본 예시 4-3을 들어보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열선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되,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상기 제3방법 예시 3-1 조건보다 좀 더 많은 가닥수를 가지게)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4-3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서는 한 가지 종류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했고,
다른 나머지 한 가지 종류로는 굵기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굵기의 분류군에 속한 극세선을 선택하였던 것에 비교하여,
본 제4방법의 셋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2차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 의해 선택된 분류군이 기능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③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기능 분류군 내부에서 다시 기능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완료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 의해 선택된 분류군이 굵기의 분류군이므로, 본 제4방법 중 ④방법에 의거하여, 다시 2차적 선택의 변경을 함에 있어, 선택된 분류군이 굵기의 분류군이므로 굵기를 제외한, 저항값과 재질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 최종적으로 극세선을 1가닥 이상으로 선택 완료하여,
이렇게 본 제4방법 중 ③방법과 ④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예시 4-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선택하면 되는데,
처음 제1종류에서는, 기능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서는,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11Ω(극세선 굵기 0.025434㎟) 가지는, 동일 극세선을 16가닥으로 선택한데 비해,
본 제4의 방법의 셋째 예시에서는, 상기 ③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3의 조건인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 분류군에 속하는 극세선이되,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상기 제3방법 예시 3-1 조건보다 좀 더 많은 가닥수를 가지게)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방법 셋째 예시에 비해, 다시 2차적으로 굵기를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하여, 즉 동일한 기능 분류군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된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61가닥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굵기 분류군에서 선택하는데, 상기 제3방법의 셋째 예시에서는,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상기 제3방법 예시 3-1 조건보다 좀 더 많은 가닥수를 가지게)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므로, 여기에 적합한 극세선으로서는, 상기 예시 3-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에서 선택된 저항값 분류군에 있는 구리 극세선과 재질은 동일하되, 굵기 분류군에 속하는 극세선으로서 재질을 구리로 만든 극세선들 중, 극세선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 0.235Ω)인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한데 비해,
본 제4의 방법의 셋째 예시에서는, 상기 ④방법에 의거해서, 즉, 본 예시 4-3의 조건인,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는 극세선이되,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상기 제3방법 예시 3-1 조건보다 좀 더 많은 가닥수를 가지게)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적합한 극세선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방법 셋째 예시에 비해, 다시 2차적으로 재질을 변경하여, 즉 재질 분류군인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 0.241Ω(굵기는 0.06721㎟)로 재질이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2가닥으로 선택하여,
상기 제1종류와 제2종류 극세선 63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4-2를 만족시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가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된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선택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굵기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재질을 변경한, 재질 분류군인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 0.241Ω(굵기는 0.06721㎟)로 재질이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을 2가닥으로 선택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선택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61가닥) + (1/0.241×2가닥) = 1 ÷ (1.6944+ 8.2987) = 1 ÷ 9.9931 ≒ 0.1Ω 이 되므로,
본 예시 4-2 조건에서 원하는, 극세선 가닥수를 될 수 있으면 많게(상기 제3방법 예시 3-1 조건보다 좀 더 많은 가닥수를 가지게)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상태에서, 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제4방법은 상기 제3방법에 의거해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4가지 종류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에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각 분류종류별로 1가닥 이상을 선택한 것을,
본 제4방법에서는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1가지 각각의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인 것이다.
제5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원하는 사양 중 하나의 번들(열선) 내부의 극세선 총 가닥수를 상기 제4방법보다는 극세선 총 가닥수를 증가시켜 유연성을 크게 확보한 상태에서, 어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상기 제4방법과는 또 다른 방법인데,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1가지 각각의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상기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이란,
①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저항값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②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재질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③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굵기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고,
④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기능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4방법에 의해서, 상기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으로 선택한 극세선들에 대해서 이들 각자에게 본 제5방법의 아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으로 다시 가닥수를 추가 변경해주는 방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각각의 분류군 자체에서 최소 1가닥 이상의 극세선이 선택되게 하고, 하나의 번들(한 가닥의 열선)을 만드는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전체로 볼 때는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4가지 ①~④항의 방법이 활용되는 것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첫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②방법과 ③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예시 5-1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1과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5-1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1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은 처음 제1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54가닥을 선택했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저항값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은 0.235Ω)인 구리 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여, 극세선을 선택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제5방법의 첫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1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동일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시켜 본 5-1 예시 조건의 저항값인 0.05Ω의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추가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처음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1의 조건을 만족시킨,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54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07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사기 제4방법의 예시 4-1의 조건을 만족시킨,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은 0.235Ω)인 구리 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이렇게 상기 제4방법 중 ③방법과 ②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에 각각 해당되는 극세선의 가닥수만을 변경시켜 이들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제5방법의 예시 5-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54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07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굵기가 0.0718㎟(길이 1m당 저항값은 0.235Ω)인 구리 금속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가닥수가 변경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107가닥) + (1/0.235×4가닥) = 1 ÷ (2.9722 + 17.0212) = 1 ÷ 19.9934 ≒ 0.05Ω이 되므로,
본 예시 5-1 조건에서 원하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1과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되어, 본 예시 5-1 조건에서 원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열선이 된다.
두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①방법과 ③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예시 5-2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와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5-2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은 처음 제1종류에서는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선택했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재질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재질 분류군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 으로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제5방법의 둘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동일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시켜 본 5-2 예시조건의 저항값인 0.05Ω의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추가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처음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22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재질 분류군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인,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이렇게 상기 제4방법 중 ③방법과 ①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에 각각 해당되는 극세선의 가닥수만을 변경시켜 이들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제5방법의 예시 5-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22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가닥수가 변경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122가닥) + (1/0.241×4가닥) = 1 ÷ (3.3888 + 16.5975) = 1 ÷ 19.9863 ≒ 0.05Ω이 되므로,
본 예시 5-2 조건에서 원하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와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되어, 본 예시 5-2 조건에서 원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열선이 된다.
세 번째 예시를 들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상기 ③방법과 ④방법의 활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군에서 다시 2차 변경을 하여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예시 5-3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3과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서,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임과 동시에 병행하여 특정한 기능(다양한 특정한 기능 중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예시 5-3의 조건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3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은 처음 제1종류에서는 기능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굵기를 변경한, 굵기가 더 가늘어진 것으로 변경된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선택을 선택했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분류군은 굵기의 분류군이고, 2차로 다시 재질을 변경한, 재질 분류군인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 0.241Ω(굵기는 0.06721㎟)로 재질이 변경된 것으로,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선택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제5방법의 둘째 예시에서의, ①~④항과 같은 4가지 방법의 활용방법은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2종류 극세선 각각을, 다시 동일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시켜 본 5-2 예시 조건의 저항값인 0.05Ω의 저저항값을 가지도록 추가 변경 선택하는 방법으로,
처음 제1종류에서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22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2의 조건을 만족시킨, 재질 분류군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이되, 굵기가 0.06721㎟ 인(길이 1m당 저항값 0.241Ω),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이렇게 상기 제4의 방법 중 ③방법과 ④방법에 의거하여 최종 선택 완료된 2가닥의 극세선에 각각 해당되는 극세선의 가닥수만을 변경시켜 이들을 조합하여 합성조립방식으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본 제5방법의 예시 5-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다시 증명하면, 상기 선택된 극세선 중 처음 제1종류에서는 굵기가 0.00785㎟(길이 1m당 저항값은 36Ω)인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인 것의, 동일 극세선 61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122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고,
나머지 제2종류에서는, 굵기가 0.06721㎟(길이 1m당 저항값 0.241Ω)인 은으로 만든 극세선인 것의, 동일 극세선 2가닥을 사용했던 것에서 4가닥으로 가닥수를 변경(증가)하여,
상기 분류군 2종류 각각에서 최종 가닥수가 변경된 극세선들을 조합하면 되는데,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36×122가닥) + (1/0.241×4가닥) = 1 ÷ (3.3888 + 16.5975) = 1 ÷ 19.9863 ≒ 0.05Ω이 되므로,
본 예시 5-3 조건에서 원하는, 상기 제4방법의 예시 4-3과 동일한 극세선을 사용하되 가닥수만을 변경하여,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원하는 발열동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상기 니켈구리 합금금속은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원하는 발열동작이 되는 극세선임이 입증된 것이므로)이 되어, 본 예시 5-3 조건에서 원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열선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제5방법은, 상기 제3방법에 의거해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4가지 종류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에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각 분류종류별로 1가닥 이상을 선택하였으며,
다시 상기 제4방법에 의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1가지 각각의 동일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한 것을,
본 제5방법에서는, 이렇게 2차 변경 선택된 극세선을 다시 추가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인 것이다.
제6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극세선의 굵기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가늘게 한 상태에서도,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를 가진 열선이면서 동시에,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 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에서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6을 들어보면, 준비된 극세선이 재질 분류군의 것들밖에 없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재질 분류군에 속한 극세선만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에서,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되,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열선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게 본 예시 6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6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방법을 적용했을 때에 비해, 본 제6방법을 사용하면 열선 굵기는 훨씬 가늘어지거나 길어지면서도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좀 더 쉽게 만들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방법으로, 본 예시 6의 조건인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면, 사전 준비된 재질 분류군의 극세선 중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 1종류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증가시켜서만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재질 분류군에 있는 도체 역할만 하는 극세선을 사용할 경우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으로 떨어뜨리기는 너무 쉬우나 문제는 이렇게 만들어진 열선을 열선이 아니라 도체가 되어 열이 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열이 잘 나는 즉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 1종류를 선택하여 그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증가시켜서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면, 즉,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준비된 극세선 중에서 재질 분류군에 속하는 것들 중에서, 완전 발열동작만을 하는 역할만을 하는, 특정 재질을 대표하는 극세선인,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으로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을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1,010가닥을 조합을 이루게 하여 이를 합성 조립하여 번들로 만들면 된다.
이를 수식으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50.5×1,010가닥) = 1 ÷ (0.0198 × 1,010) = 1 ÷ 19.9999 ≒ 0.05Ω 이 되어, 본 예시 6 조건의 일부만(저저항값을 가지게 제조되는 부분) 만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열선의 굵기(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가닥수에 1가닥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 되므로 상기 제1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단면적 = 0.017229㎟ × 1,010가닥 = 17.40㎟가 되어 본 예시 6의 다른 부분조건인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를 만족시키지 못 한다.
이에 대비하여 실제 본 제6방법으로, 본 예시 6의 조건인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려면, 사전 준비된 재질 분류군의 극세선 중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 1종류를 선택하고, 동일한 재질 분류군에 속해있는 도체 역할만 하는 다른 극세선 1종류를 선택하여, 즉, 동일분류군속에 속해 있되, 서로 다른 극세선 2종류를 선택하여 이들의 조합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들이 바로 본 예시 6을 모두 만족시키는 열선이 된다.
이렇게 하게 되면 재질 분류군에 있는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 1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열이 잘나게 하면서도, 동시에 도체 역할만 하는 극세선을 동시 사용하므로, 열선의 굵기가 굵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저항값을 손쉽게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으로 떨어뜨릴 수가 있게 되므로, 본 예시 6의 조건을 완전 만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제6방법을 실제 구현하면, 동일한 재질분류군에 속한 내부에서 서로 다른 극세선 2종류를 선택하는데, 처음 1종류로는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써,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532가닥을 선택하고,
다음 2종류로는 도체 역할만 하는 극세선으로써,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1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의 조합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들이 바로 본 예시 6을 모두 만족시키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50.5×532가닥) + (1/ 0.1058×1가닥) = 1 ÷ (10.5346 + 9.4517) = 1 ÷ 19.9863 ≒ 0.05Ω이 되어, 본 예시 6 조건의 저저항값을 가지게 제조되는 부분을 만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열선의 굵기(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가닥수에 1가닥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 되므로 본 제6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단면적 = (0.017229㎟ × 532가닥) + (0.1531㎟ × 1가닥) = 9.1658㎟ + 0.1531㎟ = 9.3189㎟ 가 되어,
상기 제1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17.40㎟에 비해 훨씬 가늘게 만들어지게 되어, 본 예시 6의 다른 부분조건인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도 모두 만족시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제6방법은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 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써,
극세선의 굵기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가늘게 한 상태에서도,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를 가진 열선이면서 동시에, 저저항값을 쉽게 이루어 낼 수 있는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7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고자 하는 열선을, 극세선의 굵기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가늘게 한 상태에서도,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를 가진 열선이면서 동시에, 저항값을 저저항값으로 낮추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의 조합방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로,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 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이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해 나가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곧, 상기 <실시예 5>와, 실시예 6>의 선택함의 변경함이 되어 상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 7을 들어보면, 준비된 극세선이 재질 분류군의 것들밖에 없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재질 분류군에 속한 극세선만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에서, 열선 1m 길이당 0.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되,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열선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게 본 예시 7 조건이라고 했을 때,
본 예시 7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6방법을 적용하여 초기의 극세선 선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초기 선택된 극세선과 동일한 극세선으로 극세선 가닥수만을 변경(감소, 또는 증가)하는 방법으로 하면, 열선 1m 길이당 0.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좀 더 쉽게 만들 수가 있다.
이를 실제 실시하면, 상기 제6방법에서는, 예시 6의 조건인 열선 1m 길이당 0.05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서, 처음 1종류로는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극세선으로써,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532가닥을 선택하고,
다음 2종류로는 도체 역할만 하는 극세선으로써,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1가닥을 선택하여 이들의 조합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었다.
따라서 본 제7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본 예시 7의 조건인 열선 1m 길이당 0.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을 좀 더 쉽게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제6방법의 처음 1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532가닥을,
본 제7방법에 의해서는,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만을 추가로 변경해주어 즉, 동일 극세선 532가닥을 277가닥으로 추가 변경(감소)하고,
상기 제6방법의 다음 2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여, 이렇게 선택된 동일 극세선 1가닥을,
본 제7방법에 의해서는,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만을 추가로 변경하여 즉, 동일 극세선 1가닥을 10가닥으로 추가 변경(증가)하여,
이렇게 최종 확정 선택된 서로 다른 2종류의 극세선 총 287가닥의 조합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들이 바로 본 예시 7을 모두 만족시키는 열선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증명하면, 본 제7방법에 의해서 처음 1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277가닥과, 본 제7방법에 의해서 다음 2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10가닥을, 서로 합친 총 287가닥을 조합하여 하나의 합성저항값을 산출해보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50.5×277가닥) + (1/ 0.1058×10가닥) = 1 ÷ (5.4851 + 94.5179) = 1 ÷ 100.003 = 0.01Ω이 되어,
본 예시 7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열선의 굵기(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가닥수에 1가닥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 되므로, 본 제7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단면적 = (0.017229㎟ × 277가닥) + (0.1531㎟ × 10가닥) = 4.7724㎟ + 1.531㎟ = 6.3034㎟가 되어, 상기 제1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17.40㎟ 및 상기 제6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9.3189㎟ 에 비해 훨씬 가늘게 만들어지게 되어,
본 예시 7의 다른 부분조건인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도 모두 만족시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제7방법은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 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이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해 나가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써,
극세선의 굵기를, 상기 제1방법이나 제2방법 및 제6방법에 비해서 획기적으로 가늘게 한 상태에서도,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를 가진 열선이면서 동시에, 저저항값을 쉽게 이루어 낼 수 있는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극세선들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을 기준으로 상술된 것이나, 상기 1가닥의 극세선들 대신, 해당 재질이나 기능, 성질 등이 모두 동일하게 하되, 굵기만을 아주 가늘게 만든 극세선을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다발로 만든 극세선그룹으로 대체시켜 사용하면 여러 가지 면에서 더욱 뛰어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서,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적외선을 좀 더 잘 방출되게 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하학적 구조(동일 저항값을 가지거나, 동일 굵기이거나, 동일 재질이거나, 동일 기능을 가지는 극세선의 경우 1가닥보다는 다수 가닥으로 쪼개서(더욱 가늘게 할수록 효과가 좋아짐) 이를 합성시켜 사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를 좀 더 효과적으로 가지게 하는 경우이거나,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순간고온 발열을 하기 위해서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이 되게 하는 데 좀 더 효과적이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을, 극세선그룹으로 대체시켜 사용하여야만 해당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는, 이렇게 극세선그룹을 사용하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러한 방법은,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을, 해당 극세선을 대신해서, 동일 분류군에서 동일 성질을 가지게 하되 굵기만을 더욱 가늘게 만든, 해당 극세선 보다는 더욱 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을 합성한 극세선그룹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극세선그룹은 해당 극세선 보다는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이 되게 합성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인 다수 종류 다수 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지게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들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데이터를 만들어 놓은 것들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별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에 있어서, 해당 극세선과 동일하되 굵기만 더욱 가늘어진 극세선을 만들고, 이러한 극세선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을 통전 접촉 합성이 되게 합성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극세선 다발을 상기 해당 극세선 대신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드는 것을 실제 구현하면, 예시 9를 들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것이 본 예시 9의 조건인 경우,
상기 <실시예 8> 에서의 제1방법으로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어 보면,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1가닥의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게 하였던 것이라면(상기 <실시예 8> 의 제1방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음),
이에 비해, 본 <실시예 9> 방법으로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어 보면, 상기 해당 극세선인 강섬유(금속섬유)(NASLON)를 재질로 하되, 상기 해당 극세선 굵기 0.017229㎟보다 훨씬 가는 극세선을 만들어서, 즉, 강섬유(금속섬유)(NASLON)를 재질로 한 굵기가 0.000113㎟인 극세선을 만든 후, 이러한 극세선 550가닥을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쳐서 1개의 다발(1개의 그룹)로 만들고, 이렇게 만든 해당 극세선그룹을, 다시 1그룹으로 서로 합쳐서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합쳐서 1개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어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또한, 이렇게 본 <실시예 9> 방법으로 해당 열선을 만들게 되면, 해당 열선은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로 제조되는 열선들에 비해서, 좀 더 효과적인,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적외선을 좀 더 잘 방출되게 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게 되거나,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순간고온발열을 하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이 되게 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좀 더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열선이 된다.
이를 실제 수식을 통해 다시 증명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상기 <실시예 8> 에서의 제1방법으로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을 사용하여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었을 때는, 상기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로하며,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50가닥의 합성저항값 = 1 ÷ [(1/50.5) × (50가닥)] = 1 ÷ 0.99 ≒ 1Ω 가 되었지만,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 9> 방법으로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면, 재질은 강섬유(NASLON)이며, 굵기(직경)는 0.000113㎟인 극세선 550가닥(이러한 극세선 550가닥의 합성저항값은 길이 1m당 14Ω인 것을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을 통전 접촉 합성되게 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고, 이러한 그룹 14그룹을 합성하면, 합성저항값 = 1 ÷ (1/14 × 14그룹) = 1 ÷ (0.07142857× 14) = 1 ÷ 0.999999 ≒ 1Ω 이 되므로,
본 <실시예 9> 방법으로도 본 예시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필요한 열선을 만드는 데 있어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게 하거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하게 하거나, 유연성을 증가시킨 열선이 되게 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열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모든 극세선들에 있어서, 해당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 대신, 동일 분류군에서 동일 성질을 가지게 하되 굵기만을 더욱 가늘게 만든, 해당 극세선 보다는 더욱 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을 합성한 극세선그룹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극세선그룹은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해당 극세선 보다는 굵기를 더욱 가늘게 한, 동일한 분류군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극세선을,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을 합쳐서, 이러한 2가닥 이상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 합성이 되게 합성조합하여 하나의다발로 만든 것을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써,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에,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들과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혼용하거나, 상기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열선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멀티기능이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①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에서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
② 상기 ①항의 열선으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병행하여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해 내는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
③ 상기 ①항 또는 ②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으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병행하여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으로 만드는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는 기능인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정리하자면, 상기에서 멀티기능이란,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에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는 저저항값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게 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이 되게 하는, 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동시에 복합적으로 동시 발현되는 기능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이란, 상기 <실시예 1> ~ <실시예 4>에서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동시에 병행하여 구현하는 복합적 기능으로써, 상기 <실시예 3>의 ②항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발현해 내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 발현되어야 하는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추가기능은, 본 발명을 위해 필요한 열선으로써 반드시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들을 뜻하는 것이며, 이를 세부적으로 다시 정리하자면,
①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
②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
③ 정온유지기능,
④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
⑤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인 것을 뜻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 10>의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 4>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인 다수 종류 다수 가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극세선을 만들되,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지게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놓고,
또는,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들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데이터를 만들어 놓은 것들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별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을,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드는 방법을 말하나.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드는 것을 실제 구현해 보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 10-1을 들어 이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으로써, 준비된 극세선이 재질 분류군의 것들밖에 없다고 가정하고,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에서,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원하는 발열동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 본 열선이 가져야 하는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0.0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되, 완전발열동작이 잘 이루어지는 열선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본 예시 10-1의 조건이라고 가정하면, 본 예시 10-1의 조건은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서의 예시 7의 조건과 동일한 예시 조건이다.
본 예시 10-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으로 만들어보는 것을 실제 구현해 보면,
먼저,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 구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처음 1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277가닥과,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다음 2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10가닥을,
서로 합친 총 287가닥을 조합하여 하나의 합성저항값을 산출해본 결과,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50.5×277가닥) + (1/ 0.1058×10가닥) = 1 ÷ (5.4851 + 94.5179) = 1 ÷ 100.003 ≒ 0.01Ω이 되어,
본 예시 10-1의 조건인 저저항값을 가지게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것이고,
그리고 이때, 열선의 굵기(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가닥수에 1가닥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 되므로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단면적 = (0.017229㎟ × 277가닥) + (0.1531㎟ × 10가닥) = 4.7724㎟ + 1.531㎟ = 6.3034㎟가 되어,
상기 제1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17.40㎟ 및 상기 제6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9.3189㎟에 비해 훨씬 가늘게 만들어지게 되어,
본 예시 10-1의 다른 부분조건인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도 모두 만족시키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본 예시 10-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을 구현하면,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처음 1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 277가닥 대신에,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서는, 상기 극세선 277가닥을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으로 대체시켜 사용하는데, 즉, 재질은 강섬유(NASLON)이며, 굵기(직경)는 0.000113㎟인 극세선 550가닥(이러한 극세선 550가닥의 합성저항값은 길이 1m당 14Ω인 것을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이 1개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 76그룹을 상기 277가닥의 극세선 대신에 그 자리에 대체시켜서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다음 2종류로 선택된, 재질을 은으로 만든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0.1058Ω(극세선 굵기 0.1531㎟) 가지는 극세선 10가닥을,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서는, 그대로 사용(극세선 10가닥)하여,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그룹 76그룹과,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서 선택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10가닥 극세선, 이 모두를 총 합쳐서 하나의 합성조합으로 만든, 즉 이렇게 만들어진 하나의 번들(열선)의 합성저항값을 산출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14×76그룹) + (1/ 0.1058×10가닥) = 1 ÷ (5.4285 + 94.5179) = 1 ÷ 99.9464 ≒ 0.01Ω 이 되어,
본 예시 10-1의 조건인 저저항값을 가지게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것이고,
그리고 이때, 열선의 굵기(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가닥수에 1가닥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 되므로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의해서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는, 상기 극세선 총 단면적 = [(0.000113㎟ × 550가닥)× 76그룹] + [0.1531㎟ × 10가닥] = (0.06215㎟ × 76그룹) + 1.531㎟ = 4.723㎟ + 1.531㎟ = 6.254㎟가 되어,
상기 <실시예 8>의 제7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선 굵기(극세선 총 단면적) 6.3034㎟ 와 거의 비슷한 굵기가 되어,
본 예시 10-1의 다른 부분조건인 될 수 있으면 열선 굵기가 가는 상태도 모두 만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즉,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과 좀 더 가는 동일 극세선 다수 가닥을 그룹화시켜 1가닥의 극세선처럼 사용하는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이들을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열선은,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로 제조되는 열선에 비해 멀티기능을 수행하는 극세선그룹(멀티기능을 수행하는 극세선그룹이 되는 이유는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이 혼용의 방법으로 포함되어 멀티기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도 된다.
두 번째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 10-2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의 저항값을, 열선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으로 만드는 것이 본 예시 10-2의 조건이라고 가정하면, 본 예시 10-1의 조건은 상기 <실시예 8>에서의 제1방법에서의 예시 1-1의 조건과 동일한 예시 조건인데,
본 예시 10-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으로 만들어보는 것을 실제 구현해 보면, 먼저, 상기 <실시예 8> 에서의 제1방법으로, 본 예시 10-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을 만들어 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1가닥의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50가닥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합성조립(길이 방향으로 통전 합성되게 밀착조립)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1m 길이당 1Ω의 저저항값을 갖는 열선이 되게 하였던 것이라면(상기 <실시예 8>의 제1방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음),
이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본 예시 10-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선으로 만드는 방법을 구현하면,
상기 <실시예 8>에서의 제1방법에 의해서 선택된 극세선 47가닥에 추가로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 1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50가닥의 극세선 대신에 그 자리에 대체시켜서 사용하면 된다.
이를 수식으로 증명하면, 상기 <실시예 8>의 제1방법에 의해서 선택된, 재질을 강섬유(금속섬유)(NASLON)로 하는 극세선(1가닥의 극세선으로, 길이 1m당 저항값을 50.5Ω(극세선 굵기 0.017229㎟) 가지는 극세선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을 동일한 것으로 47가닥에(50가닥에서 47가닥으로 3가닥만 감소시킴),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 즉, 재질은 강섬유(NASLON)이며, 굵기(직경)는 0.000113㎟인 극세선 550가닥(이러한 극세선 550가닥의 합성저항값은 길이 1m당 14Ω인 것을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이 1개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들어진 극세선그룹 1그룹을 추가하여,
이렇게 선택된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 47가닥과, 극세선그룹 1그룹을, 이 모두를 총 합쳐서 하나의 합성조합으로 만든, 즉 이렇게 만들어진 하나의 번들(열선)의 합성저항값을 산출하면, 합성저항값 구하는 수식은 합성저항값 = 1 ÷ (1/R1 + 1/R2 + 1/R3 …)이 되므로, 합성저항값 = 1 ÷ (1/50.5×47가닥) + (1/14×1그룹) = 1 ÷ (0.93 + 0.0714) = 1 ÷ 1.0020 ≒ 1Ω이 되어,
본 예시 10-2의 조건인 저저항값을 가지게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는 것이고,
그리고 이렇게 본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즉,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에다가 좀 더 가는 동일 극세선 다수 가닥을 그룹화시켜 1가닥의 극세선처럼 사용하는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이들을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열선은,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로 제조되는 열선에 비해 멀티기능을 수행하는 극세선그룹(멀티기능을 수행하는 극세선그룹이 되는 이유는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음)이 추가되는 방법으로 포함되어 멀티기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도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필요한 열선을 만드는 데 있어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방법으로써,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에,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게 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있어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극세선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열선을 만드는 것이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 11>에서는, 상기 <실시예 10>과 또 다른 방법으로 멀티기능을 구현해 내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실제 열선을 만드는 과정에서 멀티기능이 좀 더 손쉽게 수행되기 위해서,
어떤 특정한 극세선그룹을 만들어서, 이러한 특정한 극세선그룹만 포함시키면, 자동으로 원하는 멀티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찾아내고자 실제로 실험실에서 수많은 실험을 통해서 자체 실험 및 확인해 본 결과,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재질이 강섬유(금속섬유)(NASLON)를 아주 가는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자체적으로 1다발, 또는 2다발 이상 다수 다발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극세선들 중 해당 용도에 적합한 어느 하나 이상의 극세선과 조합 합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복합적 다용도 멀티기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 낼 수 있는 극세선(다발)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이 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제조되는 것들 중에서, 아래와 같이 묶어지는 다발들이 실질 실험결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으로서는 최적의 상태가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즉, 아래의 자체 실험결과 최적화된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55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1,00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2,000가닥을 묶어서 하나의 극세선그룹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자체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듦에 있어서, 상기에서 실험결과로 얻어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 자체로만 만들거나 또는 다른 극세선과 혼용하여 만들거나, 또는 추가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여, 이러한 조합을 하나의 번들로 만들고, 이러한 번들이 곧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이 되게 하면 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열선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있어서, 해당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 대신에,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상기 실험으로 알아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다가 상기 실험으로 알아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실험으로 알아낸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 자체만을 사용하여,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으로 대체 사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만들면 된다
상기 결과를 실제 구현해 보이는 것은 상기 <실시예 9>와 <실시예 10>에서 구현해 본 결과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은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①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
②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
③ 정온유지기능,
④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
⑤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인 것을 뜻한다.
하기 <실시예 13-1 > ~ <실시예 13-5 >에서는 상기 5가지 기능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중 ①항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상에 모든 열을 얻고자 하는 모든 곳에서 획기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한다면 그 사용하고자 하는 열은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복사열이 되어야 한다.
모든 난방방식은 대류열과 전도열, 복사열 3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대류열이나 전도열 난방방식은 비슷한 난방 효율을 가지며 에너지소모량에 비해 난방효과가 떨어지는 에너지 저효율 특성이 있는 데 비해,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열 난방방식은 열을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의 난방으로서 에너지소모량에 비해 난방효과가 뛰어난 에너지 고효율 특성이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 열선에 의한 복사열 난방은 대류나 송풍을 통해 열을 전달하지 않고, 태양이 지구를 가열하는 원리와 같이 열을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의 난방으로서, 에너지를 30~50% 줄일 수 있으며 소음과 냄새,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매일경제용어사전 참조).
또한, 원적외선은 인간의 건강 증진에 여러 가지 이로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반드시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하는 즉, 복사열 기술이 잘 구사되는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실시예 13-1>
그런데 이러한 복사열 기술은 발열체(열선)에 1kw의 전기를 소모시키면 이 전기에너지가 빛의 파장(원적외선)으로 변경되면서 발열체 밖으로 빛의 속도로 날아가 물질 내부로 흡수된 후, 해당 물질 내부에서 진동(공진, 공명)을 일으켜 다시 열로 환원되는 방식의 열 발생 및 전달 기술이므로, 전기에너지가 빛의 파장(원적외선)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변경되는 가(정도, 효율)와, 이러한 변경된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얼마나 멀리 날아갈 수 있는 가(정도, 효율)와, 이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얼마나 물질에 흡수되는 가(정도, 효율)와, 이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된 후 얼마나 열로 다시 환원되는 가(정도, 효율)에 따라서 그 열 효과가 크게 달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빛의 파장(원적외선) 작용들(정도, 효율)을 가장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것을 원적외선의 활성화 정도라고 하는데, 이러한 원적외선의 활성화가 가장 큰 빛의 파장은 태양에서 직접 오는 원적외선들이고, 이러한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복사열 난방을 하게 되면 열을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의 난방으로서 더 큰 열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에서 직접 오는 원적외선과 같이, 원적외선의 활성화가 가장 크게 이루어지는 상태의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열선을 만들기 위해서 본 발명을 위해서 자체적으로 실험을 수없이 해본 결과,
일반적 방식으로 발생시키는 원적외선들은(예를 들어, 기존 탄소발열체와 같은 전기발열체에서 발생된다고 주장하는 원적외선 등) 그 효과가 태양에서 오는 원적외선 효과보다 훨씬 미치지 못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원적외선 방출이 태양에서 오는 원적외선 효과와 같이 실제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태양이 지구를 가열하는 원리와 같이 열을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의 난방으로서, 에너지를 30~50% 줄일 수 있으며 소음과 냄새,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발휘되게 하며, 또한 건강증진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원적외선 효과가 발생되는 원적외선으로 활성화가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하려면,
① 열선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電氣雙極子輻射, electric dipole radiation)가 좀 더 크게 잘 방사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② 상기 열선은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재질(소재)로 만들어져야 한다 (특히,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이어야 한다).
<실시예 13-1-1>
상기 <실시예 13-1>의 ① 열선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電氣雙極子輻射, electric dipole radiation)가 좀 더 크게 잘 방사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기 쌍극자 복사란 시간에 따라 크기가 바뀌는 전기 쌍극자가 방출하는 복사 전자기파를 말하는 것인데, 이러한 복사 전자기파가 바로 원적외선이며 복사가 더욱 커질 때 원적외선으로 바뀌며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순간순간에 전기 쌍극자 모멘트 변화를 인위적으로 지속시켜줘야 하고 이러한 방법 중에 효과적인 방법이, 실제 실험실에서 샘플을 만들어 수없이 실행해본 결과, 열선을 구성하는 재료들 서로에게 △T 시간에 온도 변화 작용을 끊임없이 반복되며 지속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열선의 기하학적 구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10개의 열선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쳐 놓았다고 가정하면, 10개의 열선에 동시에 전기가 흘러 열이 발생하더라도 열선 각각은 자기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대에게 전달하고 상대에서 발생되는 열은 자기가 전달받으며 열평형을 이루고 있지만, 그 내부적인 미세한 상태를 보게 되면 지속적으로 미세한 온도 차이가 있다, 없다를 반복하면서 열평형 상태로 수렴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좀 더 미시적으로 관찰해보면,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10개의 열선은 동일한 온도로 발열하고 있지만 순간순간적으로 서로에게 열을 주기도 하지만, 거꾸로 열을 받기도 하기 때문에 열을 줄 때 본인 발열온도 이하로 식었다가, 열을 받을 때 본인 발열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기를 1초에도 수천 번 이상 아주 미세한 온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T 시간에 온도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열선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이 전기가 흐르게 되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는 재질로 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러한 재질은 순간순간에 온도 변화가 일어나면, 특히 미세하게 자주 일어나면 전자흐름이 한 방향으로 일그러짐(편향)이 커졌다/작아졌다/사라졌다를 반복하며, 이때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 변화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이때 전기 쌍극자 복사가 일어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된다.
이러한 온도 변화 작용이 더 심화될 때 복사가 더욱 커지며 이때 원적외선으로 바뀌면서 열선 밖으로 좀 더 강력하게 그리고 다량 방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열선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이러한 미세한 열변화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 즉,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열선을 1단면적을 가지는 1개의 통으로 만들었을 때 여기에 전류를 흘려 열을 발생시키면 열선 자체가 1개의 한 몸이므로 열이 상대방에게 줄 일도 없고 받을 일도 없으므로 미세한 아주 잦은 열 변화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열선을 내부적으로 다수개의 극세선으로 쪼개서 다수개의 극세 단면적을 가진 것들로 만든 후 이를 합쳐 놓아서 다시 1단면적과 같은 합성저항값을 가지게 하면, 저항값 차이는 없으나 내부 열선 몸통은 1개의 몸통이 아닌 다수개의 몸통이 되어, 상기에서 상술한 원리로 열선 소재 자체에서 △T 시간에 온도 변화 작용을 끊임없이 지속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열선 자체에서 순간순간에 지속적 미세 온도 변화를 수없이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열선의 기하학적 구조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며 전기를 흘려주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전체 면적이 서로 접촉되게 하는 병렬구조로 합성시켜, 합성 저항값은 1단면적일 때와 동일하되, 각 가닥은 소정의 저항값을 가져야 하고 각 가닥의 단면적은 작을수록(쪼개진 극세선의 가닥수가 많아질수록) 더욱 효과적으로 좋은 구조가 된다.
결론적으로, 원적외선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려면,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 변화를 지속적으로 일으켜서 전기 쌍극자 복사를 발생시키고 이를 더욱더 크게 해주어 원적외선이 효과적이면서 다량으로 방출되게 하는 열선의 기하학적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기술)으로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며,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를 흘려주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만든 후, 상기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게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실시예 13-1-2>
상기 <실시예 13-1>의 ② 열선은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재질(소재)로 만들어져야 한다(특히,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이여야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실제 실험실에서 샘플을 만들어 실험해본 결과 열선의 소재로써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데 좀 더 효과적인 소재(재질)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 중에서도 특히,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모멘트(dipole moment)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잘 방출되는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는,
재질 자체를 50℃의 온도로 가열시 원적외선이 3 ~ 200 미크론(㎛) 범위의 파장 길이로, 방사율 60% 이상으로 방출되는 금속 또는 합금금속,
순철이 들어가는 합금금속,
탄소가 들어가는 합금금속,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로 하여 만든 니켈과 구리 합금금속,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로 하여 만든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실시예 13-2>
상기 <실시예 13-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변화 작용이 더 심화될 때 복사가 더욱 커지며 이때 원적외선으로 바뀌면서 열선 밖으로 좀 더 강력하게 그리고 다량 방출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좀 더 △T 시간에 온도 변화 작용을 심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극세선 다수 가닥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이를 1가닥의 열선(번들)으로 사용하면서,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2개 이상의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으로 구성되게 하여 2개 이상의 그룹 전체를 한 몸의 번들로 합성시켜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번들 1가닥 내부를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제1그룹은 고저항값을 가지는 재질(소재)의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만들고, 제2그룹은 중저항값을 가지는 재질(소재)의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만들며, 제3그룹은 저저항값을 갖는 재질(소재)의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만들어, 이들 제1,2,3그룹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든 하나의 번들에 전기를 공급하면, 제1그룹은 저항값이 높음으로 전류가 조금 흘러 미열이 발생하고 제2그룹은 저항값이 중간인 만큼 중온이 발생하며 제3그룹은 저항값이 낮음으로 많은 전류량이 흐르게 되어 고열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각 그룹별로 온도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어 각 그룹별 온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서로 열을 주었다 받았다를 더욱 심하게 반복하면서 열평형 상태로 지속적 수렴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1개의 번들 내부에 다수 가닥의 극세선이 동일한 열을 발생시키는 재질(소재)들로만 구성되었을 때보다 더 3개 그룹별 열차이의 심화로 △T 시간에 열 변화가 일어나는 속도와 효과는 더 심화된다.
결론적으로 하나의 번들(열선)이 다수 가닥의 극세선으로 합성되는 열선에서 하나의 번들(열선)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는 내부적으로는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이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만들면, 온도 변화 작용을 더 심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그룹별 저항값을 다르게 하는 좀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 해당 그룹 내부는 동일한 극세선이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만들면, 각 그룹별 저항값을 좀 더 효과적으로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온도 변화 작용을 더 심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온도 변화작용이 더 심화될 때, 원적외선 복사가 더욱 커지지는 것이고, 원적외선으로 바뀌면서 열선 밖으로 좀 더 강력하게 그리고 더 다량으로 방출이 일어나게 된다.
<실시예 13-3>
상기 <실시예 13-1> 및 <실시예 13-2>의 방법에 의해 번들(열선)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데, 이때 이러한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원적외선 방출량과 보유하는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를 조절하는 좀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①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그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해 주는 방법과,
②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번들(열선) 자체의 발열온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과,
③ 상기 ①의 방법과 ②의 방법을 조합한 방법으로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하면서 동시에 하나의 번들(열선) 자체의 발열온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이 있다.
<실시예 13-3-1>
상기 <실시예 13-3>의 ①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그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해 주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며 전기가 흐르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이 있다고 가정하고,
제1방법으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 열선 10개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쳐놓았다고 가정하고,
제2방법으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 열선 20개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쳐놓았다고 가정하되,
제1방법의 10개의 극세 열선 합성저항값과 제2방법의 20개의 극세 열선 합성저항값이 동일하게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10개의 극세 열선과 20개의 극세 열선에 동시에 전기가 흘러 열이 발생하더라도 열선 각각은 자기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대에게 전달하고 상대에서 발생되는 열은 자기가 전달받으며 열평형을 이루고 있지만, 그 내부적인 미세한 상태를 보게 되면 지속적으로 미세한 온도 차이가 있다 없다를 반복하면서 열평형 상태로 수렴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좀 더 미시적으로 관찰해보면, 제1방법의 10개의 극세 열선과 제2방법의 20개 극세 열선은 동일한 온도로 발열하고 있지만 순간 순간적으로 서로에게 열을 주기도 하지만 거꾸로 열을 받기도 하기 때문에 열을 줄 때 본인 발열온도 이하로 식었다가, 열을 받을 때 본인 발열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기를 1초에도 수천 번 이상 아주 미세한 온도 변화가 일어난다.
이를 더 면밀히 관찰해보면 △T 시간에 온도 변화수량은 제1방법의 10개의 극세 열선보다 제2방법의 20개 극세 열선일 때가 더 많은 온도 변화를 일으킨다.
왜냐하면, 열선 10개일 때보다 20개일 때가 각자 열을 내는 개체수가 2배로 많아짐으로써, △T 시간에 열선끼리 서로 열을 주고받는 횟수(수량)도 많아지게 되고, 이는 △T 시간 내에 더 많은 온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T 시간 내에 더 많은 온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면 상기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온도 변화 작용이 더 심화될 때 복사가 더욱 커지며 이때 원적외선으로 바뀌면서 열선 밖으로 좀 더 다량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제1방법의 극세 열선 10개를 합성했을 때보다 제2방법의 극세 열선 20개를 합성했을 때 원적외선 방사량(방출량)이 더 커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를 조절하는 방법(기술)은 동일조건을 가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번들화시켜 만든 하나의 열선에서, 그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해 줌으로써 해당 열선에서의 원적외선 방사량을 조절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조건을 가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그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해 주는 방법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설명하면,
① 동일조건을 가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그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를 조절하는 방법과,
② 동일조건 중에 동일한 재질이나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이 2개 이상의 다수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각자의 해당 그룹 내부에서는 그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를 각자 조절(그룹별 동일 또는 그룹별 다르게)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극세선의 동일조건은 저항값 또는 재질 또는 극세선의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동일한 것을 말한다.
<실시예 13-3-2>
상기 <실시예 13-3>의 ②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에서, 번들(열선) 자체의 발열온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물질의 분자(원자)들은 항상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각자 고유의 진동 폭(반경)을 가지고 고유 진동을 하고 있는데, 열이 높아지면 이러한 분자들의 고유 진동폭은 커지게 된다.
또 한편으로는 모든 원자는 내부 소립자, 미립자, 중성자, 양성자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핵자들은 각자 고유 주기를 가지고 일정한 방향으로 항상 자전을 하고 있으며 일정한 운동량을 가지고 있다.
이 핵자들의 운동량 합을 핵-스핀(核(Nuclear)-Spin)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핵-스핀은 원자들의 고유 진동 폭이 커질 때 비례해서 증가한다.
그리고 실험실에서 샘플을 만들어 실험해본 결과, 상기 실시예 1 ~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열선에서 보유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이러한 핵-스핀의 크기를 커지게 할 때 더 커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번들(열선) 내부 다수 가닥 극세선의 재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의 핵-스핀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태양에서 오는 원적외선과 같이 강력한 효과(얼마나 효율적으로 변경되는 가(정도, 효율)와, 이러한 변경된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얼마나 멀리 날아갈 수 있는 가(정도, 효율)와, 이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얼마나 물질에 흡수되는 가(정도, 효율)와, 이 빛의 파장(원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된 후 얼마나 열로 다시 환원되는 가(정도, 효율)의 차이)를 내게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1 ~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하나의 번들에서 자체 발열되는 온도를 상승시켜 주면, 이에 따라 열선 소재의 원자 핵-스핀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곧 열선에서 방출하는 원적외선에서 보유하게 되는 에너지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고 해당 번들(열선) 자체 발열온도 상승이 곧 에너지 크기의 상승을 초래하며, 이러한 해당 번들(열선) 자체 발열온도 조절이 곧 에너지 크기의 조절 방법(기술)이 된다.
여기서 해당 번들(열선) 자체 발열온도 상승 정도가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보유하는 에너지 크기에 단순 정비례하지 않고, 해당 번들(열선) 자체 발열온도가 80℃ ~ 600℃일 때 가장 효과적으로 온도 상승에 따른 에너지 크기 정도가 어느 정도 비례하여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80℃ 이하에서나, 600℃ 이상에서는 에너지 보유 정도가 현격히 감소하거나 아예 보유하지 않게 되는 사실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며 전기를 흘려주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만든 후, 상기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한 가닥의 열선으로 제조되는 번들(열선)에서, 해당 번들(열선)의 자체 발열온도를 조절하여 여기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보유하게 되는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하되, 그 조절 온도는 80℃ ~ 600℃일 때 가장 효과적이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중 ②항의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발열체에서 발생시키는 발열량 Q = 0.24 × I2 × R × T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I는 발열체에 공급하는 전류이고, R은 발열체의 저항값이며, T는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한 시간이다.
상기 수식에서 발열체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저항값(R)과 전류공급시간(T)에 비례하고 전류량(I)의 제곱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열선을 효율적으로 발열시키기 위해서는 고저항체인 동시에 △T 동안에 전류가 더 많이 흘러갈 수 있는 구조여야 하고, 그 저항체의 표피효과를 줄여야 한다.
상기 표피효과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저항체도 시험을 해보면 도체에서와같이 표피효과가 발생한다.
즉, 저항체의 전류를 흘려주는 단면적이 커질수록 표피효과로 저항의 표면은 저항 역할을 적게 하여 극단적으로 그냥 도체가 되고, 그러한 표피를 흐르는 전류는 일(발열)을 하지 않고 그냥 흘려보내져 전류를 허비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표피효과는 저항체로서의 발열 효율을 크게 떨어뜨려, 전력을 소비한 만큼 주울 법칙(Joule's Low)에 훨씬 못 미치는 열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표피효과에 의한 비효율 구조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저항체 표면적이 작아져야 한다.
예를 들어 1m에 1Ω의 저항값을 가지는 열선을 만든다고 했을 때, 전류를 흘려주는 단면적이 1의 굵기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1단면적을 1개의 통으로 만들었을 때보다, 단면적을 쪼개 극세화시킨 다수 개를 합성하여 1개의 통으로 만들었을 때가 훨씬 표피효과를 없앨 수 있어 좀 더 효율적 발열 구조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효율 발열 구조를 가지는 열선(발열체)의 구조는, 고저항값을 가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전체 면적이 서로 접촉되게 하는 병렬구조로 합성시켜, 합성 저항값은 떨어뜨리면서도 각 가닥의 고저항값을 가져야 하고 단면적은 작을수록 좋은 구조가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열선(발열체)을 만들면 고저항체인 다수 가닥들의 극세선 집합에 순간적으로 더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를 수 있고 동시에 표피효과를 가장 최소화시킬 수 있어, 이러한 구조의 열선(발열체)은 결국 전력량을 작게(효율적으로) 소모하면서도 많은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고효율 구조가 된다.
따라서 고효율(작은 전력소모로 많은 양의 열량을 발생시키는) 열선 또는 발열체가 제조되는 원리는, 저항값이 높은 극세선 다수 가닥을 겹쳐서 번들화(합성화) 시키면, 실제 극세선 하나하나의 저항값은 높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다수 가닥 극세선이 병렬구조로 합쳐지면서 합성 저항값이 떨어져 전체적 열선에서는 저항값이 낮아지게 되어, 고저항값을 가지면서 동시에 많은 양의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구조가 되면서 고효율의 발열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실제 극세선 1가닥, 1가닥 각자들에서 전류량이 많은 상태로 고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 순간적으로 하나의 가닥에서 모두 고열량(고온)을 발생시키고, 또한, 워낙 극세해서 표피효과가 없어져 고효율 발열구조를 갖추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이 각자 순간적으로 초고속, 초고온 발열동작을 하게 되고 이는 다시 번들 전체에서 순간적으로 발열한 발열량이 합쳐져 고효율 발열 상태로 귀결되며, 이러한 구조를 강화시킬수록 초고효율의 발열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순간적 순간적으로 초고속, 초고온 발열동작을 하게 되고, 고효율 발열구조를 가진 열선(발열체)을 만들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먼저,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한 굵기로 길이를 가지는 선(실)으로 다수 가닥을 만든다.
이러한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을 극세 굵기의 선으로 만들면 극세선의 저항값은 자연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런 후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하나의 번들(bundle)로 합쳐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 가닥의 실과 같은 굵기와 형태를 가지는 열선(발열체)이 제조된다.
그리고 난 후 이렇게 만들어진 양 끝단의 전선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순간적으로 초고속 초고효율의 발열을 일으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을 일으키게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열선을 만들려면,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있어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을 될 수 있으면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을 하나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이 번들이 바로 원하는 순간고온발열 기능을 가지며, 고효율 발열을 하는 열선이 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을 실제 자체적 실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있어서,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을 아주 가는 1가닥의 굵기가(극세선 지름을 기준으로) 20㎛ 이하인 극세선으로 만든 후, 이러한 동일 극세선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 다수 가닥으로 묶어서 통전접촉 되게 합성시켜서 1개의 다발로 만든 것을 자체적으로 1다발, 또는 2다발 이상 다수 다발을 합성시켜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 중 해당 용도에 적합한 어느 하나 이상의 극세선과 조합 합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원하는 순간고온발열 기능을 가지며, 고효율 발열을 하는 열선이 되게 된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중 ③항의 정온유지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발열체(열선)는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의 유무 여부가 아주 중요한 기술력의 차이가 된다.
왜냐하면, 발열체(열선) 소재 자체적으로 정온유지 기능이 없으면, 과열위험의 상황에 놓일 경우(온도조절기가 고장이 나서 전기가 계속공급 될 경우, 열선이 접히거나, 단열되는 물질로 덮어져 있게 되는 경우 등) 끊임없는 온도 상승으로 화재로 이어짐으로써 궁극적으로 발열체(열선)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종래 이를 위해 고분자 도전성 가루(카본 등)를 액상 바인더에 섞어서 잉크화하여 실에 코팅하거나 면에 코팅하여 여러 조합으로 사용하는 종류의 발열체들은 그 가루에 의해 PTC 원리가 동작하며 일부는 정온유지 기능이 동작하나, 장기적 사용 시 액상 성분과 가루 성분의 신축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가루가 떨어져 나오거나 국부 파손을 일으켜 전류 쏠림현상(우물효과)을 일으키며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열선 자체의 정온유지 기능을 위해 열선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으로 구성하되, 2종의 발열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으로 구성하여 제1종 그룹은 무조건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게 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는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하여, 이 2가지 기능을 가진 극세선 열선 그룹을 합성시켜 한 몸의 번들 1가닥이 되도록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소개하면 예를 들어, 제1종 그룹은 합금을 사용하는데 강섬유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여도 저항값의 변화가 적은 합금 소재를 극세선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합금 중 강섬유는 온도가 상승하여도 저항값의 변화가 작게 나타나(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조금 증가), 전기가 흐르면 열을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온도가 끊임없이 상승하는 특성을 가진다.
왜냐하면, 열선에서 발생시키는 발열량은 Q = 0.24 × I2 × R × T에 의해 결정되는데(여기서 I는 발열체에 공급하는 전류이고, R은 발열체의 저항값이며, T는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한 시간이다), 상기 수식에서 열선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저항값(R)과 전류공급시간(T)에 비례하고 전류량(I)의 제곱에 비례하며, 전류와 저항값의 관계는 V(전압) = I(전류) × R(저항값)이므로 반비례 한다.
따라서, 공급전압이 일정하다고 볼 때, 제1종 그룹의 강섬유 극세선들은 온도가 올라가도 저항값이 조금만 상승하므로 전류값도 조금만 줄어들게 될 것이고, 온도가 상승하면서도 전류량이 꾸준히 흐르게 됨으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제1종 그룹의 강섬유 극세선들은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엄밀히 보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저항값이 약간씩은 상승하므로 전류량도 약간씩은 줄어들 것이고, 이렇게 전류량이 줄어든 만큼 온도상승률은 조금씩 줄어들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이때 주변으로 열을 빼앗기는 열량과, 온도를 지속 상승시키는 열량(제1종 그룹 강섬유 극세선들로부터 지속 발열되는 열량)이 평형 상태를 이룰 때까지는 온도가 꾸준히 상승하게 될 것이다(온도 상승률은 주변에 빼앗기는 열량의 정도에 비례하며 점점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 다음, 제2종 그룹도 합금 소재로 극세선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여기에 사용하는 합금은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온도가 상승할수록 상기 제1종 그룹과는 전혀 다르게 저항값이 크게 떨어지는 특성이 있는) 합금 소재를 사용한다.
이처럼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크게 떨어지는 합금으로는 진성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를 일정비율 포함하는 규소구리(silicon copper) 합금을 사용한다.
상기 진성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데,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크게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어느 일정온도 영역 대에서는 온도와 저항값이 완전한 반비례가 일어나며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되는 순간 저항값은 급격히 줄어들어 도체화 된다.
이러한 진성반도체 특성을 잘 살려주는 소재로는 규소(silicon)가 대표적인데, 규소만으로는 금속으로 만들기 어려우므로(특히 극세선으로 만들기 어려우므로)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이를 구리(copper)와 합금으로 만든 규소구리 합금속을 사용하여 극세선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렇게 만든 규소구리 합금 극세선은 구리의 본질인 도체성분이 많은 상태에서 일정 부분만 진성반도체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전류가 처음에 흐르기 시작하면 열이 발생하며 일정온도 이하로 있을 때는 도체성질보다는 저항(발열체, 열선) 성질을 띠며 열을 지속 발생시킨다.
그러다가 온도가 상승하면서 규소 성분이 저항값을 떨어뜨리기 시작하고,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저항값을 급속히 떨어뜨려 도체화(저항값이 도체처럼 떨어짐) 된다.
예를 들면, 주변 온도 20℃에서 규소구리 합금(규소 20% 함량, 구리 80% 함량의 합금)의 저항값은 50(Ω.mm2/m) 정도이며 온도가 100℃로 상승하면 저항값이 구리와 거의 같아지게 되며, 구리는 도체이며 온도 20℃일 때 고유 저항값이 0.0169(Ω.mm2/m)이 된다.
이렇게 도체화된 2그룹은 이때부터는 열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전류를 그냥 흘려주는 도체 역할을 대부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저항값의 떨어지는 정도는 제2종 그룹의 규소구리 합금 극세선들 속에 섞인 규소 함량 총합에 의거한 종합적인 규소함량의 비율에 의거하여 저항값이 떨어지며 일정온도에 도달되면 완전히 도체화 된다.
또 한편으로 저항값의 떨어지는 정도를 결정하는 변수는 규소 결정체를 구성하는 결정 속 내부의 불순물이 섞인 상태 정도인데, 이처럼 규소 결정체를 형성시키며 내부에 불순물을 얼마나 섞어주느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어느 온도 대에서 얼마나 많이 저항값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는가 하는 특성은 수없이 달라진다.
따라서 제2종 그룹을 형성하는 극세선 전체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어느 온도 대에서 얼마나 많이 저항값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는가 하는 정도는 규소 종합 함량이 어느 정도 되느냐와 규소 자체 결정체 속에 불순물을 어떻게 얼마나 포함하느냐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온도가 상승하면서 어느 온도 값에 도달될 때부터 저항값이 어떠한 비율로 급속히 떨어지느냐의 정도, 즉 도체화 시키는 정도를 이와 같이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열선에 전류를 흘려주면 일정온도까지는 제1종 그룹과 제2종 그룹 모두 열을 발생시키며 급상승을 이룬 후, 어느 온도 구간에서 먼저 제2종 그룹은 발열을 멈추고 도체 역할로 전환, 전류를 그냥 흘러가게 해버려서, 빠른 시간 내에 본 열선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을 급격히 줄여주면서 주변에 빼앗기는 열량과 열평형 상태를 이루게 하는 방법으로 본 열선(발열체) 소재 자체에서 조절기 없이도 지속적 정온이 유지된다.
결론적으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발열침구에 구비시켰을 때, 마구 구기고 접히며 인장력도 가해지게 되며, 과열위험의 상황에 놓일 경우가 많아 화재사고 위험이 상존하게 되므로,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는 항상 소재 자체에서 정온 유지 기능이 발현되어서, 별도의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열선(변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이 상기와 같이 정온유지 기능을 가지게 하려면,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을 만듦에 있어서,
사전에 만들어져 준비되어 있거나, 상기 <실시예 7>에서 본 발명을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것들이거나, 기존 유통되고 있는 극세선들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수많은 다양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극세선 종류 중, 재질의 분류군에 있는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극세선 중에서 해당 사양에 적합한 재질의 극세선을 고른다(선택한다).
즉, 만들고자 하는 번들(열선)의 내부 극세선 조합을, 상기에서 준비된 극세선을 사용하되,
상기에서 선택하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을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을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곧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이 되게 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가닥의 극세선은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으로 만들어서, 제1종 그룹은 전류가 흐르면 열을 계속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종 그룹은 소정의 온도에 도달된 뒤로부터는 열을 덜 발생시키며 도체화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보다 전류를 도체처럼 그냥 흘러가게 해주는 기능을 더 크게 수행하게 해주게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2종의 발열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의 재질은, 제1종 그룹은 강섬유이고, 제2종 그룹은 규소구리 합금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 필요한 정온유지 기능을 가지게 만드는 데 좀 더 효과적이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중 ④항의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발열침구에 구비시켰을 때 사람이 이불을 덮고 자거나 덮고 쉴 때, 이불이 마구 구겨지고 접히며 인장력도 가해지게 되어, 내부의 열선이 단선 되거나, 열선 소재 자체에서 저항값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 쇼트나 국부과열에 의한 화재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발열침구에 구비시켰을 때, 함부로 접거나, 구부리고, 마구 사용하여도 손쉽게 저항값 변화나 단선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이, 이러한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구현 내기 위해서는, 해당 열선을 구성하는 극세선의 소재(재질) 자체의 인장강도, 유연성 등의 성질과, 극세선의 굵기 정도, 해당 열선을 구성하는 극세선의 가닥수 등이 변수로 작용하며, 이러한 변수는 계산이나 추정으로는 그 실효성 측정이 불가능하고, 오로지 실제 실험을 통한 결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체 실험을 해본 결과,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최소한의 극세선의 재질과 굵기와 가닥수를 알아내게(발견) 되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실제로 실험실에서 자체 실험(실험 1)결과, 재질이 강섬유인(NASLON) 이고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통전 합성조합으로 하나의 번들을 만든 후,
쉽게 단선되는 지 여부를 실험하기 위하여 접었다 폈다 시험(fold test)을 자체 시행결과 10만 회를 접었다 폈다 해도 단선되지 않았으며, 일체의 저항값 변화도 없었다.
두 번째, 실제로 실험실에서 자체 실험(실험 2)결과,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을, 1개 그룹 이상으로 합쳐서, 통전 합성조합으로 하나의 번들을 만든 후,
쉽게 단선되는 지 여부를 실험하기 위하여 접었다 폈다 시험(fold test)을 자체 시행결과 70만 회를 접었다 폈다 해도 단선되지 않았으며, 일체의 저항값 변화도 없었다.
세 번째, 실제로 실험실에서 자체 실험(실험 3)결과, 제1그룹인,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그룹을, 1개 그룹 이상으로 합친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인, 금속 또는 합금속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니켈구리 합금금속(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만든 합금)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8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이거나,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금속(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만든 합금) 으로 만든 극세선 1가닥의 굵기가 140㎛(해당 극세선 지름) 이하이고,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인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상기 제1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그룹과, 제2그룹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극세선 또는 극세선그룹을 합쳐서, 통전 합성조합으로 하나의 번들을 만든 후,
쉽게 단선되는 지 여부를 실험하기 위하여 접었다 폈다 시험(fold test)을 자체 시행결과 10만 회를 접었다 폈다 해도 단선되지 않았으며, 일체의 저항값 변화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실제로 실험실에서 자체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거의 없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열선을 만드는 방법은, 상기 실험 1 ~ 3에서 알게 된 결과에 의한 방법으로 열선을 만들 때만이 확실히 그 기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3>의 ②항과 상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이상의 기능 중 ⑤항의,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발열침구에 구비시켜 사용하면 일반 이불과 같이 오랜 기간 고장 없이 사용되어져야 한다.
그런데 열선은 보통 열이 났다 식었다를 반복하면, 산화반응을 일으켜서 사용기간이 경과 할수록 열선 소재 자체가 경화되게 되며, 이러한 경화작용이 심화되면, 즉 좀 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열선 소재 자체가 경화정도가 심화되어 쉽게 부러지거나, 바스러져서 단선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열선의 산화반응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열선의 소재(재질) 자체를 좀 더 산화반응을 덜 일으키는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산화반응이 억제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만든 소재(재질)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춘 소재(재질)를 찾아내거나, 실제 만들어 내는 것은, 이것도 계산이나 추정으로는 그 실효성 측정이 불가능하고, 오로지 실제 실험을 통한 결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하여 자체 실험을 해본 결과,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최소한의 극세선의 재질(소재)과 일부는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게(발견) 되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모두 금속 또는 합금속의 극세선으로 만들어 사용하되 반드시 피복을 입혀서 사용하여야 한다.
자체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하는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모든 극세선들에 있어서, 피복을 해서 사용할 때와 피복을 하지 않고 사용할 때를 랜덤 샘플로 실제 실험(샘플 열선에 열을 냈다 식었다를 수 없이 반복)해본 결과 피복을 한 상태가 피복을 하지 않은 상태보다 경화되어 열선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기간이 무려 100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열선에 사용하는 극세선의 재질(소재)을 아래의 것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극세선을 만든 것들은, 산화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상당히 뛰어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극세선으로,
재질이 SUS 316, SUS 304, 스테인리스 계열의 합금금속,
강섬유(금속섬유)(NASLON),
재질을 배합비율 니켈 20~25 중량%, 구리 75~80 중량%으로 제조되는 니켈구리 합금에, 몰리브덴을 미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재질을 배합비율 철 68~73 중량%, 크롬 18~22 중량%, 알루미나 5~6 중량%, 몰리브덴 3~4 중량%으로 제조되는 철 크롬 알루미나 몰리브덴 합금에, 망간,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든 극세선을 사용하여,
본 별명에 필요한 열선을 만들면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열선이 된다.
<실시예 18>
또한, 상기 <실시예 10>에서의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열침구는 잠자리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침구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
발명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발열침구는 상기에서 상술한 넷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깔거나 덮고 잘 때 유연성이 뛰어나서 그 유연함 때문에 포근함을 느끼며 더욱 잠이 잘 오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 여기에 적용되는 열선은 사람의 피부에 접촉되어도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부드럽고 유연한 열선으로 만들어야 한다.
상기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이 되게 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 가지는 저항값과 동일하게 하면서도, 좀 더 가는 극세선 다수 가닥을 합성하여 만들게 되면,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면서도 유연성은 뛰어나게 되며,
특히,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도,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며 가닥수를 더욱 증가시키면 시킬수록 더욱 유연성은 뛰어나게 된다.
<실시예 19>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열선(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32a)을 합쳐서 피복(32b)이나 코팅을 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서 이루어진다. 그러다 보니 이러한 극세선들이 서로 통전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접촉부위에서 접촉저항이 발생하며 저항값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는 국부과열사고(국부 과열부위의 그을림 발생, 화재사고 등)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열선은,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그 번들을, 통전 합성되게 쪼여지게 감싸는 피복을 씌우거나 꽉 쪼여지는 코팅을 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번들화 작업 방법을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꽉 쪼여주게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번들화 작업을 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열선들인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온 섬유로 중첩되게 랩핑(Wrapping)하여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고온 섬유로 피복하는 제1방법,
합연기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꼬아서 한 몸이 되게 하여 번들화하는 제2방법,
코팅기에 투입하여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3방법,
상기 제3방법을 2회 이상 하면서 번들화하는 제4방법,
상기 제4방법으로 하면서 코팅 횟수별 코팅 재질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제5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6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하되, 코팅 재질을 횟수별 동일하게, 또는 횟수별 일부는 동일 일부는 다르게, 횟수별 모두 다르게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7방법,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 하는 제8방법
상기 제1 ~8방법으로 만들어진 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 하는 제9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번들화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1, 6, 7방법에 있어서 고온 섬유 피복재로는, 아라미드, 또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또는 자이론, 또는 그래핀으로 만든 섬유(탄소섬유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0>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발열침구는 배터리 전기를 사용해야 하고, 이러한 배터리 전기는 직류(DC) 24V 이하의 전기를 뜻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열침구는 사람의 몸에 직접 접촉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유해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는 배터리 전기(직류(DC)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고, 동시에 사용도중 신체에 전선이나 열선의 충전부가 직접 접촉되어도 감전되지 않고 안전할 수 있는 안전전압의 전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 법정 안전전압은 24V 이하의 전압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전 세계 모든 국가들도 24V 이하의 전압이면 모두 안전전압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발열침구는 모두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기로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만들어져야 하고, 이러한 상기 배터리 전기란, 바로 직류(DC) 안전 저전압(또는 안전 저전압대)의 전기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직류(DC) 안전 저전압(또는 안전 저전압대)의 전기를 사용하는 열선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모든 발열침구는 수많은 경우의 수로 다양한 전압대에서 동작되는 각종 배터리나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팩,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어댑터, 직류전원공급장치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직류 안전 저전압 공급장치들은 각자가 자기들이 출력하는 전압대가 특정한 전압대로 고정이 되어(특정한 전압대로 고정화) 있는 것이므로, 상기 직류(DC) 안전 저전압(또는 안전 저전압대)의 전기는, 직류(DC)전기를 사용하되,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또는 특정한 전압대)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기 배터리 전기는 직류(DC) 안전 저전압(또는 안전 저전압대) 전기인 것이고, 상기 직류(DC) 안전 저전압(또는 안전 저전압대)은 직류(DC)전기를 사용하되,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또는 특정한 전압대)인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를 무엇으로 구성하는가 이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발열침구들은 배터리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배터리 전기를 안전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여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를, 상기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로 직접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발열침구를 소비자가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로 직접 사용되는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여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들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라도 사용 전기 규격(사용전압, 사용 전류 등)은 어떤 제품을 사용해도 다 사용이 가능하도록 규격화되어 있는 것으로써, 서로 호환성을 갖춘 것이어야 좀 더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여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인 것 중, 좀 더 사용상 편리성과 호환성을 높인 것으로는,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이 사용상 편리성과 호환성을 높인 것 중 가장 최적화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상기 제품들 중에서도 지금 시중에 유통되는 가장 흔하게 규격화된 것들로서, 아무 제품이나 사용하여도 서로 호환이 가능한, 좀 더 호환성이 뛰어난 제품들로는,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압을 직류(DC) 5V, 직류(DC) 9V, 직류(DC) 12V, 직류(DC) 24V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규격화시킨 제품이거나,
출력전압을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또는 특정한 전압대)으로 규격화시킨 제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들이 손쉽게 구할 수 있고 호환성이 높다.
다음 상기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로, 일정한 곳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장치, 설비, 물품 중 배터리 전기가 출력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것으로는 고정식 에너지저장장치(ESS), 고정식 직류전원공급 장치, 어댑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인 것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호환성이 높다.
<실시예 22>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열선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기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로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대로, 본 발명에서 필요한 열선은 배터리 전기인 직류(DC) 안전 저전압 전기(아주 낮은 전압 또는 24V 이하의 안전 저전압)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해당 열선은 아주 낮은 저항값을 자지는 열선이 되어야만 원하는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해당 전류량이 그 열선(발열체)에 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열침구는 전원부가 배터리 전기를 공급해주는 전원부이어야 하고, 본 발명에서의 전원부는 상기 <실시예 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여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고, 특히 호환성을 위해서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 들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저저항값이란,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여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 또는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출력되는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로 원하는 발열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저저항값인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발열침구는, 일반 이불과 같이 사이즈를 크게 만들어야 하므로 이불사이즈가 아주 커지게 되어, 이러한 발열침구에 구비(내장)시켜야 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그 길이가 1회로 기준으로 어느 정도 길어야만 좀 더 넓은 면적(이불 기준)이 따뜻해지고 상품가치가 있게 되며,
열선의 굵기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로 가늘고 유연해야만 열선이 느껴지지 않고 포근한 잠을 잘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발열침구 속에 내장시켜야 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굵기와 길이의 최적상태를 실험하여 데이터를 취득해본 결과,
해당 열선의 굵기는 코팅을 포함 6mm(직경) 이하인 것이 최적의 상태로 열선이 느껴지지 않고 포근한 잠을 잘 수 있다는 데이터를 얻게 되었으며, 해당 열선의 길이는 1회로가 최소 2m 이상의 길이는 되어야만, 해당 발열침구의 좀 더 넓은 면적(이불 기준)이 따뜻해지며 상품가치가 있다는 데이터도 얻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당 발열침구에 공급되는 전기는 전원부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직류(DC) 5V대 전기를 출력하는 보조배터리나 배터리팩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보조배터리나 배터리팩의 출력전류는 최대 2.1A로 규격화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류(DC) 5V 전기로 해당 열선의 길이 2m에 2.1A의 전류를 흘러가게 해 주려면, 해당 열선의 저항값은 약 2.4Ω이 되어야 한다(R(저항값) = V(전압) ÷ I(전류) = 5V ÷ 2.1A ≒ 2.4Ω).
따라서 해당 열선의 저항값은 1회로가 1m 길이당 1.2Ω 이하의 저저항값을 가지게 되어야 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자체 실험결과 얻게 된 본 발명의 발열침구에 사용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굵기와 저항값, 길이의 최적상태는,
길이는 최소 1회로가 2m 이상은 되어야 하고,
굵기는 최소 코팅을 포함 6mm(직경) 이하이어야 하며,
저항값은 1회로가 1m 길이당 1.2Ω 이하의 저저항값을 가지게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원하는 발열동작이란, 상기 <실시예 3>의 ①항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발열침구에 사용하는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서, 원하는 시간 내에 원하는 발열량 또는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그 발열량에 비례한 전력량이 상기 열선에서 해당 시간 이내에 소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해당 전력값(전력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전압으로 나누어 산출된 전류값(전류량)이, 해당 전압으로 해당 시간 내에 그 열선에 모두 흘러가 주는 발열동작인 것을 뜻하는 것이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은 상기 <실시예 1>에서 발열침구는 덮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이불, 담요, 야외용 담요, 모포, 덮고 자는 침구, 덮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이고,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매트, 매트리스, 침대, 침대커버, 패드, 침대패드, 담요, 요, 보료, 소파, 전기요, 전기장판,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장판, 전자파 없는 전기요, 깔고 자는 침구, 깔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20)와 발열부(30) 사이에 컨트롤부(40)를 더 첨가할 수 있고, 이때 컨트롤부(40)는 상기 전원부(20)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30)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컨트롤(제어) 및 ON과 OFF를 해준다.
또한, 컨트롤부(40)는 전원부(30)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40)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조립식 열선(32)으로 공급되는 것을,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이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배터리 전기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42)일 수 있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1>에서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회로 구성방법은,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거나,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컨트롤부를 더 첨가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하여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은,
제1방법으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방법,
제2방법으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는 다시 상기 전원부를 독립적으로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가 상기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컨트롤부를 더 첨가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 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은,
제1방법으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각각의 독립회로를 병렬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방법,
제2방법으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 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는 1개로 구성한 후, 상기 2개 이상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이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후,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전원부 1개에 모두 병렬연결하는 방법,
제3방법으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 구성한 후, 상기 2개 이상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이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이 되게 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후,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에 각각 나누어 병렬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전원부가 연결하거나, 1개의 전원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가 연결하는 방법 중 어느 한가지의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원부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전원을 공급해 줌에 있어서, 그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해당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에 전원공급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제어효과를 낼 수 있는 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일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상기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해 주는 방법으로, 해당 전원이 지속적 자동 반복 단속되도록 하는 제1방법,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상기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해 주는 방법으로, 해당 전원이 지속적 자동 반복 단속되도록 하는 제2방법,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을 프로그램상에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구역별로 묶어서, 이렇게 묶인 2개 이상의 회로들에게는 상기 제1방법과 같이 일시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진 회로들에게는 묶임 별로 상기 제2방법과 같이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상기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해 주는 방법으로, 해당 전원이 지속적 자동 반복 단속되도록 하는 제3방법,
상기 제3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지는 독립회로들의 수량과 특정 구역위치와 특정구역위치별 수량이 수시로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게 제4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회로 구성 방법을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들을 상기 발열침구에 좀 더 효과적으로 배치시키는 있는 바,
발열침구를, 좌측과 우측 구역으로 나누거나, 상, 하 구역으로 나누거나, 기타 원하는 2개 이상의 다수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각 나뉜 구역별로는 상기 열선을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배치시켜, 각각의 열선이 독립적으로 전원공급과 전원공급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에서 각 구역별로 설치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이 하나로 통합되어 1개의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각 구역별로 설치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 각각은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각 구역별로 설치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구역별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여기에 다시 추가로 메인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구역별 온도조절장치에서 각각의 구역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다시 통괄하여 모든 구역을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통괄조절 또는 구역별 각자 조절을 할 수 있게 하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 각각은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메인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유선상의 컨트롤러로 만들어 사용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온도조절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 등)의 앱(app)으로 제작 후 휴대용 전화기에 앱을 탑재시켜 블루투스기능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조절하거나, 일부 컨트롤만을 유선상의 컨트롤러에서 연결하고 다시 전체 컨트롤을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 등)에 앱을 탑재시켜 앱(app)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여 무선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는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게, 휴대용 전화기의 앱을 탑재시켜 앱(app)에서 블루투스기능을 사용 무선 조절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각 구열별로 또는 열선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별 각각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상태를 차이를 두어 온도가 조절되게 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또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상태를 실제 수행하는 방법으로 내장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의거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발열침구 12: 발열침구 본체
20: 전원부 22: 배터리
30: 발열부 32: 조립식 열선
40: 컨트롤부 42: 컨트롤러
20: 전원부 22: 배터리
30: 발열부 32: 조립식 열선
40: 컨트롤부 42: 컨트롤러
Claims (116)
- (a)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발열부를 구비시킨 발열침구 본체를 구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에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고,
상기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은,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들만을 사용해서 만들며,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만든 것이며,
상기 저저항값과 밀터기능을 동시에 갖는 열선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임과 동시에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이며,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으로서,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으로 만들어, 제1종 그룹은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상승하는 강섬유(NASLON)로 하고, 제2종 그룹은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떨어지는 진성반도체인 규소와 구리의 합금으로 만든 규소구리 합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여 만들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를 다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을,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모두를 각각 정밀하게 맞춘 맞춤형 열선, 상기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열선을,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법 중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1가지로만 선택한 분류종류군이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해서, 이렇게 하여 최종 선택된 극세선에서는 다시 동일한 극세선으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은,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재질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재질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군 중 어느 하나가 저항값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저항값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 군 중 어느 하나가 기능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기능으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선택한 분류종류 군 중 어느 하나가 굵기 종류로 선택된 경우, 이 굵기로 선택된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방법 중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저항값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저항값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재질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재질 변경만을 제외한 굵기와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굵기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굵기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기능과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동일한 분류종류군을 기능 종류로 선택한 경우, 극세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기능 변경만을 제외한 재질과 굵기와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면서 이들에 대한 가닥수를 추가로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을,
상기 준비된 모든 극세선들 중에서,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한 가닥의 열선으로 만들고,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을,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과,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변경(조절)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극세선 가닥수를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의 극세선의 가닥수를 변경(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극세선의 저항값 또는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지고 극세선이 2개 이상의 다수 그룹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나의 번들(열선) 전체의 단위 길이당 합성저항값은 동일하게 하되, 각 해당 그룹에서 극세선 가닥수를 각자 조절(그룹별 동일 또는 그룹별 다르게)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의 자체 발열온도를 80℃ ~ 600℃의 범위 내에서 변경(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을,
준비된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하나의 번들로 만들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화 작업을,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이 통전 합성되도록 쪼여지게 감싸는 피복을 씌우거나, 쪼여지는 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화 작업을,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온 섬유로 중첩되게 랩핑(Wrapping)하여 다수 가닥의 극세선을 고온 섬유로 피복하는 제1방법,
합연기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꼬아서 한 몸이 되게 하여 번들화하는 제2방법,
코팅기에 투입하여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3방법,
상기 제3방법을 2회 이상 하면서 번들화하는 제4방법,
상기 제4방법으로 하면서 코팅 횟수별 코팅 재질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제5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6방법,
상기 제1방법 또는 제2방법으로 만든 것을 코팅기에 투입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하되, 코팅 재질을 횟수별 동일하게, 또는 횟수별 일부는 동일 일부는 다르게, 횟수별 모두 다르게 코팅을 하면서 뽑아내어 번들화하는 제7방법,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하는 제8방법,
상기의 제1방법 내지 제8방법으로 만들어진 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판형으로 된 재질의 상부와 하부 판 사이에 넣고 접착제를 투입한 다음 접착제를 용융시켜 번들화 하는 제9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6, 7방법의 고온 섬유 피복재로,
아라미드,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자이론, 그래핀으로 만든 섬유(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 중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의 회로 구성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거나,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1개 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는 다시 상기 전원부를 독립적으로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가 상기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컨트롤부를 더 개재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여, 이를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에 각각의 독립회로를 병렬연결하고, 이러한 컨트롤러(온도제어기) 1개는 다시 상기 전원부 1개에 연결하는 제1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는 1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후,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전원부 1개에 모두 병렬연결하는 제2방법,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온도제어기)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하며, 상기 전원부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한 후,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 각각의 독립회로를 2그룹 이상으로 나누되, 1그룹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회로가 들어가게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그룹을 다시, 상기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각각 나누어서 연결시키되, 그룹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그룹을 각각의 컨트롤러에 연결하되, 1개의 컨트롤러에는 1개 이상 다수개의 그룹이 연결하고, 각각의 그룹 내의 독립회로별로는 각각이 연결되는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병렬연결되게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렇게 회로가 구성된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상기 2개 이상의 독립된 전원부에 각각 나누어 병렬연결 하되,
1개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전원부를 연결하거나, 1개의 전원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연결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하여 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에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첫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일시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둘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에게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셋째 상기 2개 이상의 독립회로들을 내장 프로그램에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구역별로 묶어서, 이렇게 묶인 2개 이상의 회로들에게는 상기 첫째 방법과 같이 일시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진 회로들에게는 묶임별로 상기 둘째 방법과 같이 순차적(독립회로별로 일정한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또는 순차에 관계없이 필요한 만큼 공급대상 회로와 공급 횟수를 각각의 독립회로별도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되,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넷째 상기 셋째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으로 묶거나 또는 특정 구역별로 2개 이상으로 묶어지는 독립회로들의 수량과 특정 구역위치와 특정구역 위치별 수량이 수시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게 전원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 다수개의 독립회로로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발열침구를 좌우 구역으로 나누거나, 상하 구역으로 나누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다수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각 나뉜 구역별로 상기 열선을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배치시키되, 각각의 열선이 독립적으로 전원공급과 전원공급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배치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이 하나로 통합되어 1개의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역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각 구역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로 설치된 조립식 열선에 대한 발열온도 조절 방법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나누어진 구역별로, 각각 온도조절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여 각 구역별 해당 온도조절장치로 온도조절을 하되,
여기에 다시 추가로 메인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구역별 온도조절장치에서 각각의 구역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다시 통괄하여 모든 구역을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통괄조절 또는 구역별 각자 조절을 할 수 있게 하되, 각 구역별로 또는 열선 1개 독립회로별로 각각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유선상의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거나,
일부 컨트롤은 유선상의 컨트롤러에서 하고 전체 컨트롤은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장치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조절신호만 보내고 실제 온도조절은 별도의 메인온도조절장치에서 하게 하는 신호조절장치를 무선으로 할 수 있게,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에 탑재된 앱(app)의 무선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을 차이를 두게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2개 이상의 다수개의 각 구역별로 또는 열선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개의 독립회로별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상태를 차이를 두어 온도가 조절되게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 배터리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
상기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이 구비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가 구비된 발열침구 본체; 및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으로 공급되게 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서로 다른 가닥 수와, 굵기, 재질, 기능을 가지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이고,
상기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은,
어느 특정된 저항값을 가지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굵기를 가지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재질을 가지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어느 특정된 기능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극세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갖는 단일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별도로 만들어서 이러한 단일금속, 합금금속으로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극세선들을 만들되,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만들어 준비하거나,
원하는 어떠한 특정된 저항값이나 재질, 굵기, 기능을 가진 단일금속이나 합금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에 기제조되고 있거나 유통되는 다양한 극세선들에 대하여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데이터 값을 취합하여 빅 데이터를 만들어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과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준비된 극세선들 중 1가닥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들에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들만을 사용해서 만들며,
상기 멀티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극세선그룹은,
강섬유인 NASLON의 1가닥의 굵기가 20㎛ 이하인 것을, 동일한 굵기로 100가닥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다수 가닥의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서로 전기적 합성이 이루어지는 통전 접촉되게 합성 조합하여 하나의 다발로 만든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12㎛(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55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8㎛(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1,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이거나,
강섬유인 NASLON 1가닥의 굵기가 6,5㎛(해당 극세선 지름)로서, 동일 굵기로 가닥수는 2,000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만든 것이며,
상기 저저항값과 밀터기능을 동시에 갖는 열선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
인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단선되거나 저항값 변화가 적은 열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선임과 동시에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이며,
상기 정온유지기능을 갖는 열선은, 발열동작을 시작하여 전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소재 자체에서 정온유지기능이 발현되어 별도의 온도조절장치 없이도, 열선(번들) 소재 자체에서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가 없는 한, 한번 일정온도까지 상승한 후 상승이 멈춘 온도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선으로서,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가진 2종의 기능을 가진 극세선그룹으로 만들어, 제1종 그룹은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상승하는 강섬유(NASLON)로 하고, 제2종 그룹은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떨어지는 진성반도체인 규소와 구리의 합금으로 만든 규소구리 합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극세선을 2가닥 이상의 다수 가닥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들고, 이러한 하나의 조합이 한 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것으로,
상기 하나의 조합은,
내부의 극세선 전체를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로 합성 조립하되, 상기 번들 내부를 이루고 있는 모든 극세선들을 서로 밀착 접촉되게 하고, 길이방향으로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번들 내부의 모든 극세선들의 전체 면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전류가 접촉면 전체적으로 모든 극세선들 서로에게 흐를 수 있게 통전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합성 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과 멀티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열선은,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 다양한 경우의 수대로 맞춘 맞춤형 열선, 상기 맞춤형 열선으로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제품으로 언제든지 경제성 있고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열선은,
극세선들의 조합을 변경해서 번들화 작업을 통해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이루어진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은,
극세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러한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르게 선택함의 변경함이 상기 극세선들의 조합 변경이 되게 하되,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합성시켜서 하나의 조합으로 만드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어느 1가지의 극세선으로 선택하는 경우, 어느 1가지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의 선택을 변경하되, 선택한 동일한 극세선을 2가닥 이상으로 가닥수를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거나,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으로 선택한 경우, 어느 2가지 이상의 극세선 중 어느 1가지 이상의 극세선을 서로 다른 극세선으로 선택하며 극세선들의 선택을 변경하되, 변경 선택되거나 기존에 선택된 극세선의 가닥수까지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고, 상기 하나의 조합 내부의 극세선 가닥수는 2가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62항 또는 6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함의 변경함이,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만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동일한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가닥수를 변경하는 제1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 분류종류군 내에서의 극세선은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변경)되는 극세선을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2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여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3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4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2가지 이상의 분류종류 군에서 각각의 극세선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각 분류종류별로는 1가닥 이상이 각각 선택되게 하면서,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이, 각각의 동일분류종류군 내에서는 다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 종류 중 선택된 해당 분류종류군에 해당되는 종류를 제외한 분류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다시 변경한 극세선이 되게 한 후, 이렇게 선택되는 극세선을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추가 선택(변경)되게 하여, 이렇게 최종 선택되는 극세선을 서로 다른 분류종류별에서 선택된 극세선이 최소 2종류 이상으로 조합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5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 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6방법,
상기 극세선들 중에서 저항값, 굵기, 재질, 기능으로 분류되는 종류군 중 어느 1가지만으로 분류종류군을 선택하되, 이렇게 선택된 1가지의 분류종류군 내에서는 서로 다른 극세선이 2가닥 이상으로 되게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들은 다시 가닥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게 함을 통하여 하나의 조합을 이루게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하나의 조합은 총 극세선 수량이 최소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제7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열선은,
전기를 흘려주면 저항값에 의해 발열하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극세선을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택된 극세선 다수 가닥을 서로 접촉되게 합쳐서 하나의 번들이 되게 하여 만든 한 가닥의 열선으로,
상기 번들 내부의 극세선들의 합성 조합을, 다수 가닥의 극세선의 저항값이나 재질 또는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조건을 가진 상태에서 동일 극세선의 가닥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만들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서로 저항값이 다른 각 그룹별로 동일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만들어, 상기 번들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 쌍극자 복사가 잘 방사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선은,
전기가 흐르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다른 발열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 만들되,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만들고, 이때 서로 다른 각 그룹별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극세선을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고온발열, 고효율 발열 기능을 갖는 열선은,
극세선들을 더욱 가늘게 다수 가닥으로 쪼개거나, 상기 극세선들의 굵기를 더욱 가늘게 만들면서, 그 가닥수는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서, 이들 극세선을 조립식으로 합성시켜서 번들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하나의 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선은,
피복된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이 뛰어난 열선은,
극세선들에 있어서 열선을 1가닥으로 만들었을 때와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하면서, 극세선을 좀 더 가늘게 하고, 가닥수는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극세선을 만들어, 이 극세선으로 만든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무선 방식으로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는 물품, 설비, 장치는,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는,
입력 전압을 직류(DC) 5V, 직류(DC) 9V, 직류(DC) 12V, 직류(DC) 24V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규격화시킨 제품이거나,
출력 전압을 24V 이하의 전압 중 어느 특정한 전압(전압대)으로 규격화시킨 제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고정 방식으로 고정식 에너지저장장치(ESS), 고정식 직류전원공급 장치, 어댑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은,
무선 직류전원공급 장치이거나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직류 전기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물품, 설비, 장치나,
배터리,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배터리팩, 에너지저장장치(ESS), 이동식 직류전원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출력되는 직류(DC) 안전 저전압의 전기로 발열동작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은,
조립식 열선의 길이 1m당 1.2Ω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조립식 열선의 직경이 코팅을 포함해서 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은,
상기 조립식 열선의 1회로 길이가 2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동작은,
조립식 열선에서 원하는 시간 내에 원하는 발열량이나 온도를 얻기 위해서 그 발열량에 비례한 전력량이 상기 조립식 열선에서 해당 시간 이내에 소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해당 전력값(전력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전압으로 나누어 산출된 전류값(전류량)이, 해당 전압으로 해당 시간 내에 그 조립식 열선에 모두 흘러가는 발열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침구는,
덮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이불, 담요, 야외용 담요, 모포, 덮고 자는 침구, 덮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매트리스, 침대, 침대커버, 보료, 소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발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컨트롤(제어) 및 ON/OFF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서 방전되는 배터리 전기가 상기 발열부에 구비된 배터리 전기에 동작되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온도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프로그램은,
저저항값의 조립식 열선에 전원을 공급해 줌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ON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1방법,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시간이 일정한 지속시간과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2방법,
전원이 공급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와 주기와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 반복 자동 동작되게 하는 제3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해당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사용하는 종류로서 패드, 침대패드, 담요, 요, 보료, 소파, 전기요, 전기장판,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매트, 전자파 없는 전기장판, 전자파 없는 전기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침구는,
깔고 자는 침구, 깔고 사용하는 침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발열침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408A KR102082656B1 (ko) | 2017-11-20 | 2017-11-20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
PCT/KR2018/014197 WO2019098789A1 (ko) | 2017-11-20 | 2018-11-19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발열침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408A KR102082656B1 (ko) | 2017-11-20 | 2017-11-20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470A KR20190057470A (ko) | 2019-05-29 |
KR102082656B1 true KR102082656B1 (ko) | 2020-02-28 |
Family
ID=6653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4408A KR102082656B1 (ko) | 2017-11-20 | 2017-11-20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2656B1 (ko) |
WO (1) | WO2019098789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070B1 (ko) * | 2010-04-06 | 2010-05-20 | 주식회사 우석 | 맞춤형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
KR101658392B1 (ko) * | 2015-08-13 | 2016-09-21 | 김세영 | 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2160A (ko) * | 2008-12-01 | 2010-06-10 | 주식회사 온스톤 | 온열매트용 발열선 |
KR20110048415A (ko) * | 2009-11-02 | 2011-05-11 | 김수호 |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
KR20110053870A (ko) | 2009-11-16 | 2011-05-24 | 김수호 |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이불 |
KR101481885B1 (ko) * | 2013-03-18 | 2015-01-21 | 박덕배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기열선 제어장치 |
-
2017
- 2017-11-20 KR KR1020170154408A patent/KR1020826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1-19 WO PCT/KR2018/014197 patent/WO201909878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070B1 (ko) * | 2010-04-06 | 2010-05-20 | 주식회사 우석 | 맞춤형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
KR101658392B1 (ko) * | 2015-08-13 | 2016-09-21 | 김세영 | 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470A (ko) | 2019-05-29 |
WO2019098789A1 (ko) | 2019-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90216B1 (en) | Fine heating filament, and heating element using same | |
US20120273475A1 (en) | Automatic mattress heating apparatus | |
CN102740516B (zh) | 用于复杂造型表面的加热装置 | |
AU2019208221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element, heating element manufactured thereby, and use method thereof | |
CN107110572A (zh) | 功能性的和耐久的热电装置和系统 | |
JP6503092B2 (ja) | 家具用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および方法 | |
EP2156705A1 (en) | Heating pad for use with animals | |
KR20110053870A (ko) |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이불 | |
KR102082656B1 (ko) | 배터리 발열침구 제조방법 및 그 배터리 발열침구 | |
KR101266668B1 (ko) | 탄소나노튜브 파우더가 첨가된 직류식 다용도 찜찔 시트 | |
KR100996301B1 (ko) | 면상 발열체, 면상 발열판, 및 열풍기 | |
CN101731891B (zh) | 无辐射、双螺旋超柔纤维电热线的安全电热毯 | |
KR20190056617A (ko) | 배터리 발열이불 제조방법 및 그 발열이불 | |
KR20110053863A (ko) |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 |
US20040035854A1 (en) | Electric heating wire and applications thereof | |
KR200463287Y1 (ko) | 단위돌조각판 별 쿠션력을 가진 돌침대 | |
CN107809811B (zh) | 一种无金属发热元件及发热垫 | |
CN202340319U (zh) | 一种电热片 | |
KR20180027746A (ko) | 자동차 원적외선 난방장치 제조방법 및 그 난방장치 | |
CN101026909A (zh) | 挠性电热组件 | |
CN210930628U (zh) | 一种毯子 | |
KR20170001924U (ko) | 휴대용 발열 장치 | |
CN2574328Y (zh) | 电热线 | |
KR102597651B1 (ko) | 매립형 조절기로 전자파를 저감한 매트리스 또는 침대 | |
KR102115264B1 (ko) | 저저항 멀티열선 태양광발전 발열시스템 구현방법 및 그 태양광발전 발열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