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98B1 -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 Google Patents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98B1
KR102082398B1 KR1020190155075A KR20190155075A KR102082398B1 KR 102082398 B1 KR102082398 B1 KR 102082398B1 KR 1020190155075 A KR1020190155075 A KR 1020190155075A KR 20190155075 A KR20190155075 A KR 20190155075A KR 102082398 B1 KR102082398 B1 KR 10208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vehicle
handl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7758A (en
Inventor
문광성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67Door handles; Hand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차량이 운행 중에는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에 무드 조명을 조사하여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lidable handle cover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on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to slide the handle co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y covering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safety, and the interior of the auto-opening inside handle cover that can make the exterior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lluminating mood lighting on the handle cover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will be.

Description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본 발명은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차량이 운행 중에는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에 무드 조명을 조사하여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lidable handle cover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on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to slide the handle co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y covering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safety, and the interior of the auto-opening inside handle cover that can make the exterior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lluminating mood lighting on the handle cover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will b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의 필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아웃터 패널 및 도어트림에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및 도어 인사이드 핸들이 각각 도어래치를 작동하게 구성되어 자동차 밖이나 자동차 내에서 자유로이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the door of the car is hinged to the pillar of the side panel constituting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to be pivotally rotatable, and the door outside handle and the door inside handle on the outer panel and the door trim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to operate the door latch,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from outside the car or in the car.

이러한 도어 인사이드 핸들은 록노브와 함께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록, 언록 및 개방을 수행하게 된다.The door inside handle is provided inside the door together with the lock knob to perform door lock, unlock and open.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side handl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vehicle door tri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사이드 핸들(4)은 차량 도어트림(1) 상단의 가니쉬(2)에 형성된 핸들 하우징(3)의 내측에 록노브(5)와 함께 구비되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nside handle 4 is provided with the lock knob 5 inside the handle housing 3 formed in the garnish 2 on the top of the vehicle door trim 1.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4)은 인사이드 핸들(4)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3)의 전면이 개방되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차량에 아이들이 함께 탑승해 있을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한 아이들이 장난으로 인사이드 핸들(4)을 당길 경우 도어가 열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Since the inside handle 4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open and exposed as i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4 is unstable to the driver and the occupant when children are in the vehicle. It may cause, if the children in the vehicle pull the inside handle (4) as a joke could open the door and a safety accident could occur.

또한, 인사이드 핸들(4)이 차량마다 정형화된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 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side handle 4 adopts a standardized design for each vehicle, there is a limit in securing a variety of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한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124782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inside handle for a vehicle door is 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Room No. 20-012478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차량이 운행 중에는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에 무드 조명을 조사하여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handle cover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on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to be slidable by sliding the handle co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handle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y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to provide a self-closing inside handle cover that illuminate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by illuminating mood lights on a handle cover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hav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는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가 형성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무드 조명;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핸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커버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le housing formed inside handle and lock knob; Mood lighting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And a handle cov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wherein the handle cover is slidably formed.

이때,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핸들 커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덮여지거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handl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vered or opened by sliding of the handle cover.

또한, 상기 핸들 커버는 프레임 및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전면에 자동차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cover is composed of a frame and a cover, a pattern such as a car logo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frame.

이에 더하여, 상기 핸들 커버가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면 가니쉬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가니쉬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cover is formed in a tambour door (Tambour Door)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andle cover is slid inward to the inside of the garnish along the guide portion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bent into the garnish.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는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차량 운행 중에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아이들에게 인사이드 핸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lidable handle cover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on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to slide the handle cover while driving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provided with the inside handle. By covering the inside handle is not exposed to the children in the vehicle is effective to ensure the stability.

또한, 핸들 커버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 커버가 핸들 하우징을 덮은 상태에서 무드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on the steering wheel cover,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can be beautiful by irradiating mood lighting while the steering wheel cover covers the steering wheel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lock knob.

또한,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커버가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복수개의 커버를 기호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ver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covers formed with various patterns while replac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ence.

또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을 형성하여,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자동으로 무드 조명이 핸들 커버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that the contact is closed,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od light is automatically irradiated to the handle cover. .

또한, 핸들 커버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걸면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주행 중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가 노출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을 끄면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cover,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steering wheel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cover the front of the steering wheel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the lock knob are not exposed while driving, thereby ensuring stability.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handle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open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lock knob can be used.

또한, 핸들 커버를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핸들 커버가 직선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비해 공간을 더욱 적게 사용하며, 가니쉬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cover has a tambour door structure, which uses less space than when the handle cover slides in a straight line and maximizes space utilization because the space inside the garnish can be used efficiently.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effect is increased.

이에 더하여,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인사이드 핸들이 차량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In addition,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can increase the simple design aesthetic because the inside handle is not exposed to the vehicle interior spa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가 도어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ide handl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vehicle door trim.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is installed on the door tri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well-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brevity of descrip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가 도어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단면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oor trim,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이하 '핸들 커버'라 함)는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프레임(61) 및 커버(6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housing having an inside handle 40 and a lock knob 50 It is formed to be slidable to the 30, and is formed including the frame 61 and the cover 62.

록노브(50) 및 인사이드 핸들(40)은 핸들 하우징(30)의 내측에 구비되며, 록노브(50)는 차량의 도어를 록 또는 언록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인사이드 핸들(40)은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록노브(50) 및 인사이드 핸들(40)은 이미 공지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lock knob 50 and the inside handle 40 are provided inside the handle housing 30, the lock knob 50 performs an oper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the inside handle 40 of the vehicle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is performed. Since the lock knob 50 and the inside handle 40 are already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핸들 커버(60)는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에 형성되며, 핸들 하우징(30)의 하단과 가니쉬(20)를 연통하여 형성된 가이드부(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핸들 커버(60)를 핸들 하우징(30)의 상단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도록 하면 핸들 하우징(30)의 내측에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차량의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으며,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를 사용하고 자 할 경우, 핸들 커버(60)를 핸들 하우징(30)의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가이드부(21)에 인입시키면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이 개방되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노출됨으로써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handle cover 6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and is form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ortion 21 formed by communicating the lower end of the handle housing 30 with the garnish 20. When the cover 60 is sli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andle housing 30 so as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formed inside the handle housing 30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It can be cover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and if you want to use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the handle cover 60 by sliding the lower direction of the handle housing 30 guide portion 21 When pull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is opened, and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are exposed to be in a usable state.

이러한 핸들 커버(60)는 프레임(61)과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커버(6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커버(62)가 프레임(6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복수개의 커버(62)를 기호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andle cover 60 is formed to include a cover 62 is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frame 61 and a vehicle logo, the cover 62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frame 61,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a variety of patterns It is possible to use the cover 62 while replacing it according to preference.

이때, 커버(6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은 높은 강성을 갖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62)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rame 61 is preferably formed of a rigid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so that the cover 62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cover 62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

도 2 내지 도 5에서는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2 to 5 illustrate that the handle cover 60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andle housing 30, but the handle cover 60 may be sli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handle housing 30. Do.

또한, 프레임(61)의 상단에는 수동으로 핸들 커버(6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 하우징(30)의 하단에는 핸들 커버(60)를 하단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인사이드 핸들(40)을 사용할 때 손잡이부(63)와 인사이드 핸들(40)이 저촉되지 않도록 손잡이부(6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6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handle 63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rame 61 to manually slide the handle cover 60, an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housing 30, the handle cover 60 is slid to the bottom. When using the inside handle 40, the receiving groove 64 that can accommodate the handle 63 is formed so that the handle 63 and the inside handle 40 is not in contact.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의 제어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핸들 커버(60)를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도록 잠글 수 있는 록킹장치(미도시)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locking device (not shown) that can be locked so as not to slide the handle cover 60 manually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certain speed or mo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separately.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핸들 커버(60)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무드 조명(70)이 형성되어 있으며, 무드 조명(70)의 광원은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백열전구, 형광 관, 할로겐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ED 광원의 경우 발광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LED 소자(예를 들면, R(적색), G(녹색), B(청색))를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nd 5,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the mood light 7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handle cover 60 is formed, the mood light 70 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an LED light sou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light sources such as an incandescent lamp, a fluorescent tube, and a halogen lamp.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ED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irradiate light of various color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D elements (for example, R (red), G (green), B (blue)) having different emission colors.

이에 따라,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무드 조명(70)을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60)에 조사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도 탑승자가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by illuminating the mood light 70 to the steering wheel cover 60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while the steering wheel cover 6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housing 30,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can be made beautiful. In addition, the occupant may easily identify the positions of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even in a dark vehicle interior.

또한, 차량의 제어부(미도시)가 네비게이션(미도시)과 연동되어,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무드 조명(70)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12km인 경우 목적지까지 8km이상이 남았을 경우에는 적색 무드 조명(70)을 조사하고, 목적지까지 4km이상 8km미만이 남았을 경우에는 청색 무드 조명(70)을 조사하고, 목적지까지 4km미만이 남았을 경우에는 녹색 무드 조명(70)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미도시)이 잘 보이지 않는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도 자신이 탑승한 좌석의 측면 도어의 핸들 커버(60)에 조사되는 무드 조명(70)의 색상을 통해 목적지 까지 남은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vehicle may be linked to the navigation (not shown) to irradiate mood lights 70 hav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distance remaining to the destination. For example, if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is 12km, if more than 8km to the destination is irradiated with the red mood light 70, if more than 4km to less than 8km to the destination irradiates the blue mood light (70), If less than 4km to the destination can be irradiated with the green mood light (70). Accordingly, passengers boarding in the rear seats where navigation (not shown) is difficult to see can check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color of the mood light 70 irradiated to the handle cover 60 of the side door of the seat in which they are seated. Can be.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5,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운행 중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커버(60)를 핸들 하우징(30)의 상단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도록 하여 핸들 하우징(30)의 내측에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차량의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림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아이들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을 조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do not need to be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he handle cover 6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handle housing 30 as shown in FIG. Sliding in the direction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30 to cover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housing 3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ereby boarding the vehicle One child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by operating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in advance.

또한, 핸들 커버(60)의 전면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을 덮은 상태에서 핸들 하우징(30) 내측면에 형성된 무드 조명(70)을 핸들 커버(60)에 조사하면 차량 내부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도 탑승자가 무드 조명(70)에 의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Also, since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cover 60, the mood light 7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while the handle cover 60 covers the handle housing 30 is removed. When irradiated to the steering wheel cover 60 not only can create a luxurious atmosphere inside the vehicle, but also the passengers facilitate the position of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by the mood lighting 70 even in a dark interior of the vehicle. Can be identified.

이때, 1가지 문양의 핸들 커버(60)만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핸들 커버(60)는 프레임(61)과 커버(62)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커버(62)를 프레임(6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복수개의 커버(62)를 기호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river and passengers may feel bored when using only one handle cover 60 of one pattern, the handle cov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dividing the frame 61 and the cover 62, By forming the cover 62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61, it is possible to use the plurality of covers 62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formed while replac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ence.

이후, 차량이 운행을 멈추고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손잡이부(63)를 이용하여 핸들 커버(60)를 핸들 하우징(30)의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가이드부(21)에 인입시키면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이 개방되어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노출됨으로써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vehicle stops driving and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are to be used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the handle cover 60 is handled by the handle 63 to the handle housing 30. Sli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21 is opened,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is opened to expose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is in a usable state.

이때, 핸들 커버(60)가 슬라이딩되어 가이드부(21)에 인입되면 프레임(61)에 형성된 손잡이부(63)가 핸들 하우징(30)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홈(64)에 인입되기 때문에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인사이드 핸들(40)을 당길 때 인사이드 핸들(40)과 손잡이부(63)가 저촉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andle cover 60 is slid and drawn into the guide part 21, the handle part 63 formed on the frame 6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6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housing 30. When the inside handle 40 is pulled to open the door,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handle 63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더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핸들 커버(60)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으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미도시)을 형성하여, 핸들 커버(60)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으면 자동으로 무드 조명(70)이 핸들 커버(60)에 조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핸들 커버(60)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걸면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의 상단방향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주행 중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을 끄면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의 하단방향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개방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40) 및 록노브(5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핸들 커버(60)를 수동으로 열 수 없도록 하는 록킹장치(미도시)를 별도로 형성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핸들 커버(60)를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cover 60 is sli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30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not shown) in which the contact is closed, and the handle cover 60 is slid to handle the housing. It is also possible to cover the front of the 30 so that the mood light 70 is automatically irradiated to the steering wheel cover 60, the steering wheel cover 60 when the vehicle is started by automat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cover 60 It automatically slides toward the top of the steering wheel housing 30 to cover the front of the steering wheel housing 30 so that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are not exposed while driving, an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steering wheel cover ( 60 may automatically slide toward the bottom of the handle housing 30 to open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30 so that the inside handle 40 and the lock knob 50 can be used. It is.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locking device (not shown) to prevent the handle cover 60 to be opened manually so that the handle cover 60 cannot be manually sli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의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는 핸들 커버(60)를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하고 가이드부(21)를 가니쉬(20)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하여 핸들 커버(60)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30)의 전면을 개방하는 경우 핸들 커버(60)가 가이드부(21)를 따라 가니쉬(20)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게 된다. 탬부어도어(Tambour Door)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the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handle cover 60 as a tambour door structure and the guide portion 21 to the garnish 20. When the front cover of the handle housing 30 is opened by sliding the handle cover 60 so as to be bent inwardly, the handle cover 60 may be bent into the garnish 20 along the guide portion 21. do. Since the structure of the tambour door (Tambour Door) is already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따라, 핸들 커버(60)를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핸들 커버(60)가 직선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비해 공간을 더욱 적게 사용하며, 가니쉬(2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ly, by forming the handle cover 60 in a tambour door structure, the handle cover 60 uses less space than the case in which the handle cover 60 slides in a straight line, and efficiently uses the space inside the garnish 20. It can be used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increase design freedom.

이때, 도 6에서는 탬부어도어(Tambour Door)로 형성한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핸들 커버(60)가 핸들 하우징(3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6, the handle cover 60 formed of a tambour door is slid up and down in the handle housing 30, but the handle cover 60 is formed on the handle housing 3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so as to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는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차량 운행 중에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아이들에게 인사이드 핸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inside handle cover may include a handle cover having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formed on the handle housing having the inside handle so as to be slidable, thereby sliding the handle co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handle having the inside handle. By covering the front of the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stability by preventing the inside handle is exposed to children in the vehicle.

또한, 핸들 커버에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 커버가 핸들 하우징을 덮은 상태에서 무드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on the steering wheel cover,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can be beautiful by irradiating mood lighting while the steering wheel cover covers the steering wheel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lock knob.

또한, 차량 로고 등의 문양이 형성된 커버가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복수개의 커버를 기호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ver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a vehicle logo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covers formed with various patterns while replac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ence.

또한,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을 형성하여,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자동으로 무드 조명이 핸들 커버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that the contact is closed,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od light is automatically irradiated to the handle cover. .

또한, 핸들 커버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걸면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주행 중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가 노출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을 끄면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cover,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steering wheel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cover the front of the steering wheel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the lock knob are not exposed while driving, thereby ensuring stability.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handle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open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lock knob can be used.

또한, 핸들 커버를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핸들 커버가 직선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비해 공간을 더욱 적게 사용하며, 가니쉬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cover has a tambour door structure, which uses less space than when the handle cover slides in a straight line and maximizes space utilization because the space inside the garnish can be used efficiently.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effect is increased.

이에 더하여,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으면 인사이드 핸들이 차량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In addition, by sliding the handle cover to cover the front of the handle housing can increase the simple design aesthetic because the inside handle is not exposed to the vehicle interior spac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 : 도어트림
20 : 가니쉬
21 : 가이드부
30 : 핸들 하우징
40 : 인사이드 핸들
50 : 록노브
60 : 핸들 커버
61 : 프레임
62 : 커버
63 : 손잡이
64 : 수용홈
70 : 무드 조명
<종래기술>
1 : 도어트림
2 : 가니쉬
3 : 핸들 하우징
4 : 인사이드 핸들
5 : 록노브
10: door trim
20: garnish
21: guide part
30: handle housing
40: inside handle
50: lock knob
60: handle cover
61: frame
62: cover
63 handle
64: accommodation home
70: mood lighting
<Private Technology>
1: door trim
2: garnish
3: handle housing
4: Inside Handle
5: lockknob

Claims (1)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가 형성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무드 조명;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핸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커버가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면 가니쉬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가니쉬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고,
차량의 시동을 걸면 상기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주행 중 상기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을 끄면 상기 핸들 커버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인사이드 핸들 및 록노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형 인사이드 핸들 커버.
A handle housing having an inside handle and a lock knob;
Mood lighting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And
And a handle cover slidab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The handle cover is formed in a tambour door structure, and when the handle cover is slid, the handle cover is bent into the garnish while being guided to the inside of the garnish.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handle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the lock knob are not exposed while driving, an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handle cover automatically slides to turn the handle.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handle cover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inside handle and the lock knob can be used.
KR1020190155075A 2019-11-28 2019-11-28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KR102082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75A KR102082398B1 (en) 2019-11-28 2019-11-28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75A KR102082398B1 (en) 2019-11-28 2019-11-28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221A Division KR102053040B1 (en) 2018-07-12 2018-07-12 Functional inside handle cover for vehicle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58A KR20200007758A (en) 2020-01-22
KR102082398B1 true KR102082398B1 (en) 2020-02-27

Family

ID=6936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075A KR102082398B1 (en) 2019-11-28 2019-11-28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9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44B1 (en) * 2016-11-28 2018-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Mood Lighting for Door Inside Handle of Vehicle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ness Using Cover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44B1 (en) * 2016-11-28 2018-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Mood Lighting for Door Inside Handle of Vehicle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ness Using Cove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58A (en)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5240B2 (en) Removable seat for vehicle
CN102774317B (en) Top light of vehicle and reading lamp
JP2011105163A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
KR20100053864A (en) Handle structure of door outside
JP2020069932A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KR102082398B1 (e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inside handle cover
KR102082399B1 (en) Inside handle cover having locking device
CN105398416A (en) Seatbelt And Adjustable Buckle Presenter Assembly
KR102053040B1 (en) Functional inside handle cover for vehicle door
JP2012153224A (en) Door for vehicle
JP6751813B2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4055078B2 (en) Lighting device for rear trunk of convertible car
JPH0635800Y2 (en) Knob for opening the vehicle door
JP4656043B2 (en) Door pocket lighting structure
JP4590691B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5783534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4265441B2 (en) Interior lighting device
KR100820606B1 (en) Mood lamp of a console for an automobile
KR101404676B1 (en) Double injection type door lever for vehicle
JP4893599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2017095045A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vehicle
JP4780090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WO2018167977A1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5003199B2 (en) Sliding door operation member for vehicle
CN212890092U (en) Threshold atmosphere lamp and car in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