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30B1 -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830B1
KR102081830B1 KR1020190109445A KR20190109445A KR102081830B1 KR 102081830 B1 KR102081830 B1 KR 102081830B1 KR 1020190109445 A KR1020190109445 A KR 1020190109445A KR 20190109445 A KR20190109445 A KR 20190109445A KR 102081830 B1 KR102081830 B1 KR 102081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copolymer
formula
represent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100A (ko
Inventor
강민혁
이수미
김명임
김태우
박승원
시에레이
강나나
문봉진
방준하
우상훈
이진영
정현중
허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22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1 블록 그리고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23

여기서, COM1 및 COM2는 각각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이며, x는 10 내지 500이고, a는 1 내지 50이며,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이며, y는 10 내지 500이고, b는 1 내지 50이다.

Description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BLOCK COPOLYMER,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은 미세 선폭을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하고 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은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비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고분자 재료의 한 종류로서,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가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의 끝을 연결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블록 공중합체의 가장 간단한 구조인 이중 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는 서로 다른 성향을 갖는 두 고분자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고분자를 형성한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고분자들은 상이한 재료적 성질로 인해 쉽게 상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자기 조립되어 나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선형 블록 공중합체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패턴에 대해서는 짧은 공정 시간 내 자기 조립에 의해 상발현이 가능하지만, 주기 100nm 이상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발현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공정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분자간 얽힘(entanglement) 현상을 최소화하여 상발현 속도가 증가된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1 블록 그리고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형성 방법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개시제 또는 중간 물질을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2
화학식 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은 블록 공중합체를 모패턴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도포하여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박막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이 제거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마스크로 상기 모패턴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A로 표현되는 제1 블록,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B로 표현되는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하기 구조식 A에서 RBC로 표현되는 랜덤 블록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3
구조식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형성 방법은 하기 반응식 A에 기초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4
반응식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은 블록 공중합체를 모패턴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도포하여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박막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이 제거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마스크로 상기 모패턴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측쇄에 의해 고분자의 얽힘(entanglement) 현상을 최소화시켜 상발현 속도가 증가하고 주쇄가 펴지게 된다. 따라서, 공정 시간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의 수직 라멜라 구조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블록 공중합체를 기판 위에 도포한 후에 경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수직 라멜라 구조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XII-X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1 블록 그리고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5
여기서, COM1 및 COM2는 각각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이며, x는 10 내지 500이고, a는 1 내지 50이며,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이며, y는 10 내지 500 이고, b는 1 내지 50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주쇄(main chain) 및 주쇄에 연결된 측쇄(side chain)를 포함하는 구조인 병솔형 공중합체(bottle brush block copolymer)이다. 따라서, 측쇄에 의해 고분자 간 얽힘(entanglement) 현상을 최소화 시켜주기 때문에 상발현 속도가 증가하고 주쇄가 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처럼 주쇄가 펴지는 효과로 인하여 선형 블록 공중합체 대비하여 주쇄의 길이가 짧아도 주기가 큰 상발현 구현이 가능하며 얽힘 현상의 최소화로 인해 짧은 공정 시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에서 COM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에서 COM2는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6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7
화학식 3 화학식 4
여기서, n은 10 내지 1000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Ph는 페놀기,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8
화학식 5
여기서, n은 10 내지 1000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Ph는 페놀기,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 공중합체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개시제 또는 중간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09
화학식 6
여기서, a는 1 내지 10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개시제 또는 중간 물질은 화학식 6에서 말단부에 -OTBS와 같은 작용기(GOH)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후 설명하는 마크로머를 합성할 때 하이드록실기를 생성 또는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시제 또는 중간 물질은 하기 반응식 1에 기초하여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0
반응식 1
여기서, TBSCl은 tert-butyldimethylsilyl chloride이고, THF는 tetrahydrofuran이며, OTBS는 tert-butyldimethylsilyl oxy group이고, DEAD는 diethyl azodicarboxylate이며, PPh3는 triphenylphosphine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제1 마크로머(Macromer)와 하기 화학식 8로 표현되는 제2 마크로머가 롬프(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ROMP) 방법에 의해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1
화학식 7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2
화학식 8,
여기서, a는 1 내지 10이고, n은 10 내지 1000이며, b는 1 내지 10 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Ph는 페놀기,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제1 마크로머와 상기 제2 마크로머를 중합하는 단계에서 그럽스 촉매(Grubbs Catalyst)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럽스 촉매는 하기와 같은 3세대 그럽스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3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마크로머 및 제2 마크로머는 각각 하기 반응식 2 및 하기 반응식 3에 기초하여 합성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2 또는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마크로머는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중간 물질로 작용하고, 제2 마크로머는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개시제로 작용한다. 개시제 또는 중간 물질은 음이온 중합을 이용하여 제1 마크로머 또는 제2 마크로머를 합성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4
반응식 2
여기서, THF는 tetrahydrofuran이고, TBAF는 tetrabutylammonium fluoride이며, DCC는 dicyclohexylcarbodiimid이고, DPTS는 pyridinium p-toluenesulfonate이며, n은 10 내지 1000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5
반응식 3
여기서, THF는 tetrahydrofuran이고, TBAF는 tetrabutylammonium fluoride이며, DCC는 dicyclohexylcarbodiimid이고, DPTS는 pyridinium p-toluenesulfonate이며, n은 10 내지 1000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제1 마스크로는 하기 반응식 4에 기초하여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6
반응식 4
여기서, DCC는 dicyclohexylcarbodiimid이고, DPTS는 pyridinium p-toluenesulfonate이며, n은 10 내지 1000이고, m은 10 내지 1000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5에 기초하여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7
반응식 5
여기서, x는 10 내지 500이고, y는 10 내지 500 이며, m은 10 내지 1000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의 수직 라멜라 구조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험예 1
도 1은 랜덤한 방향성을 갖는 수직 라멜라 구조를 나타낸다.
실리콘 기판 위에 중성층을 형성하고, PGMEA 용액에 대략 5wt%의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중성층 위에 코팅한다. 이후 섭씨 21도에서 40분 정도 용매 어닐링(solvent annealing)을 한다. 그 다음, 섭씨 240도에서 60분 정도 열처리(thermal annealing)를 진행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블록 공중합체의 상분리가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도 2는 가이드 패턴 내 정렬되어 있는 나노 선 형태의 수직 라멜라 구조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실험예 1에서 중성층을 형성한 이후에 폭이 대략 1.5um인 가이드 패턴을 형성하고, 가이드 패턴 사이에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를 코팅한다. 나머지 공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블록 공중합체의 상분리가 이루어져 선형의 패턴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A로 표현되는 제1 블록,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B로 표현되는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하기 구조식 A에서 RBC로 표현되는 랜덤 블록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8
구조식 A
여기서, COM A 및 COM B는 각각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RBC는 적어도 2개의 단위 블록이 랜덤하게 공중합되어 있는 그룹이다.
구조식 A에서 COM A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룹이고, COM B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제1 블록(NB1)과 제2 블록(NB2) 사이에 랜덤 블록(RBC)이 삽입된 선형 블록 공중합체이다. 랜덤 블록(RBC)이 얽혀 있는 사슬을 펴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과 제2 블록으로 연결된 공중합체에서 상분리가 일어나는 이유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 간의 척력(repulsive force)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랜덤 블록(RBC) 내에서는 제1 블록을 이루는 모노머와 제2 블록을 이루는 모노머가 랜덤하게 섞여 있기 때문에 랜덤 블록(RBC) 내에서는 서로 싫어하는 모노머끼리는 서로 섞이지 않도록 펼쳐지려고 할 것이다. 또한, 제1 블록 및 제2 블록도 랜덤 블록(RBC)과 섞이지 않기 위해 펼쳐지려고 할 것이다. 이로 인해, 블록 공중합체의 상분리 패턴에서의 주기가 증가될 수 있고 빠른 상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블록 공중합체를 기판 위에 도포한 후에 경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열처리 등으로 경화하면 상분리가 진행되어 대략 100nm이하인 주기(T)를 갖는 구조체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19
화학식 B
여기서, 화학식 B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0이며, l과 n은 10 내지 10,000이고, m은 5 내지 2,000이며, RBC에서 x가 나타내는 단위 블록과 y가 나타내는 단위 블록은 서로 랜덤하게 공중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랜덤 블록을 포함하는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 공중합체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A에 기초하여 합성된다.
Figure 112019091098540-pat00020
반응식 A
여기서, AIBN은 2,2'-Azobis(2-methylpropionitrile)이고, RAFT는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in transfer polymerization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수직 라멜라 구조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험예 3
도 5는 랜덤한 방향성을 갖는 수직 라멜라 구조를 나타낸다.
실리콘 기판 위에 중성층을 형성하고, PGMEA 용액에 랜덤 블록의 볼륨비율(volumn fraction)이 각각 8%, 12%, 15%인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중성층 위에 코팅한다. 이후 섭씨 250도에서 대략 12시간 정도 열처리(thermal annealing)를 진행한다. 그 결과, 랜덤 블록이 포함되지 않은 선형 블록 공중합체 대비하여 주기가 각각 28%, 67%, 70% 증가하였다.
도 1은 랜덤 블록의 볼륨비율이 8%인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열처리한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며, 블록 공중합체의 상분리가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도 6은 가이드 패턴 내 정렬되어 있는 나노 선 형태의 수직 라멜라 구조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실험예 3에서 중성층을 형성한 이후에 폭이 대략 0.8um인 가이드 패턴을 형성하고, 가이드 패턴 사이에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코팅한다. 나머지 공정은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블록 공중합체의 상분리가 이루어져 선형의 패턴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블록을 포함하는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패턴의 형성 방법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기판(110) 위에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인 모패턴층(200)을 형성한다. 모패턴층(200) 위에 중성층(120)을 형성한다. 기판(110)은 유리 기판을 포함한다. 중성층(120)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도 갖지 않는 화학적으로 중성을 나타내는 층이고, 자기조립 단분자층(Self-assembled Monolayer: SAM), 폴리머 브러쉬(Polymer Brush) 및 MAT(cross-linked random copolymer mat) 또는 MAT(cross-linked random copolymer mat) 등을 포함하는 유기 단분자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패턴층(200)을 형성하기 이전에 기판(110)에 불산(Hydrofluoric acid, HF)과 같은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기판(110)의 표면을 전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 중성층(120) 위에 가이드 패턴(GP)을 형성한다. 가이드 패턴(GP)은 포토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중성층(120) 위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한 후, 마스크의 상부에서 광을 조사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현상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 물질로 형성된 가이드 패턴(GP)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패턴(GP)은 사진 식각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나노 임프린트 공정 등 다른 방법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가이드 패턴(GP)은 이후 형성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방향성을 조절한다. 가이트 패턴(GP) 사이의 거리는 약 1.5um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 패턴(GP)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형성시 포토 장비의 해상도의 한계를 고려하여 1.5um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가이드 패턴(GP) 사이에 스핀 코팅법 등으로 앞에서 설명한 병솔형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블록을 포함하는 선형 블록 공중합체를 도포하여 고분자 박막(140)을 형성한다. 고분자 박막(140)은 서로 다른 2 종류의 단량체들이 공유 결합한 폴리머이다. 서로 다른 2 종류의 단량체들은 서로 다른 물성 및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 단량체는 다른 하나의 제2 단량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수성을 갖고, 제2 단량체는 제1 단량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성을 갖는다.
도 9를 참고하면, 고분자 박막(140)을 포함하는 기판(110)을 열처리한다. 열처리 공정은 약 섭씨 200도 이상 약 섭씨 300도 이하, N2 또는 진공 조건에서 약 2시간 이상 동안 행해질 수 있다. 열처리 대신 자외선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열처리 이후에 고분자 박막(140)이 제1 블록(NB1) 및 제2 블록(NB2)으로 상분리된다.
제1 블록(NB1)은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블록(NB1)과 상분리되어 제1 블록(NB1)에 이웃하여 제2 블록(NB2)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NB1)은 PS를 포함하고, 제2 블록(NB2)은 PMM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블록(NB1)과 제2 블록(NB2)이 반복되는 단위의 주기(T)는 대략 100nm이하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블록(NB2)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중성층(120) 위에는 가이드 패턴(GP)이 잔류한다.
제2 블록(NB2)은 습식 식각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NB1) 및 제2 블록(NB2)을 포함하는 기판(110)을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용액에 담근 후에 초음파 분해(sonication)하면 제2 블록(NB2)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블록(NB2)은 건식 식각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NB1) 및 제2 블록(NB2)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선택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을 통해서 식각 선택성(ethcing selectivity) 차이에 의해서 제2 블록(NB2)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블록(NB1)을 마스크로 하여 중성층(120) 및 모패턴층(200)을 식각함으로써 모패턴층(200)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블록(NB1) 및 가이드 패턴(GP)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1 블록(NB1) 및 가이드 패턴(GP)을 포함하는 기판(110)을 톨루엔 등을 포함하는 용액에 담군 후, 초음파 분해하여 제1 블록(NB1) 및 가이드 패턴(GP)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XII-X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패턴은 편광판을 구성하는 금속 패턴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모패턴층(200)이 패터닝됨으로써,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1 라인(210a) 및 제2 라인(210b)을 포함하는 선격자 패턴(210)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라인들(210a, 210b)은 기판(110)의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2 라인(210b)은 제1 라인(210a)의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라인들(210a, 210b)은 알루미늄, 은, 백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기판 120 중성층
200 모패턴층 210 선격자 패턴
NB1 제1 블록 NB2 제2 블록

Claims (5)

  1.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A로 표현되는 제1 블록,
    하기 구조식 A에서 COM B로 표현되는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하기 구조식 A에서 RBC로 표현되는 랜덤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Figure 112019091098540-pat00021
    구조식 A
    (여기서, COM A 및 COM B는 각각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페로세닐디메틸실란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RBC는 상기 제1 블록의 일부 및 상기 제2 블록의 일부인 적어도 2개의 단위 블록이 랜덤하게 공중합되어 있는 그룹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구조식 A에서 COM A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룹이고, COM B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그룹인 블록 공중합체.
  3. 제2항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B로 표현되는 블록 공중합체:
    Figure 112019091098540-pat00022
    화학식 B
    (여기서, 화학식 B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0이며, l과 n은 10 내지 10,000이고, m은 5 내지 2,000이며, RBC에서 x가 나타내는 단위 블록과 y가 나타내는 단위 블록은 서로 랜덤하게 공중합되어 있다).
  4. 제1항의 블록 공중합체를 모패턴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도포하여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박막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이 제거된 상기 고분자 박막을 마스크로 상기 모패턴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고분자 박막을 자외선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1020190109445A 2019-09-04 2019-09-04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KR10208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45A KR102081830B1 (ko) 2019-09-04 2019-09-04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45A KR102081830B1 (ko) 2019-09-04 2019-09-04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439A Division KR102020485B1 (ko) 2013-01-11 2013-01-11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00A KR20190120100A (ko) 2019-10-23
KR102081830B1 true KR102081830B1 (ko) 2020-02-27

Family

ID=6846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445A KR102081830B1 (ko) 2019-09-04 2019-09-04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12A (ko) * 2021-02-10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폭시 접착제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용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372A (ja) 2003-10-23 2005-05-19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架橋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系化合物及びそれに誘導される重合体
JP2009024147A (ja) 2007-07-19 2009-02-05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フルオレン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単量体およびその重合体
JP2009040985A (ja) 2007-08-08 2009-02-26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エポキシ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単量体およびその重合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300B1 (ko) * 2007-06-08 2011-0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가교 및 열가교성 표면개질용 랜덤공중합체를 이용한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922182B1 (ko) * 2007-10-29 2009-10-2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빙 개환 복분해 중합을 이용한 다면체 올리고머릭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노보넨계 블록 공중합체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517B1 (ko) * 2010-09-30 2017-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372A (ja) 2003-10-23 2005-05-19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架橋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系化合物及びそれに誘導される重合体
JP2009024147A (ja) 2007-07-19 2009-02-05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フルオレン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単量体およびその重合体
JP2009040985A (ja) 2007-08-08 2009-02-26 National Taiwan Univ Of Science & Technology エポキシ基を有するノルボルネン単量体およびその重合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12A (ko) * 2021-02-10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폭시 접착제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용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KR102452429B1 (ko) 2021-02-10 2022-10-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폭시 접착제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용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00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485B1 (ko)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Von Werne et al. A versatile method for tuning the chemistry and size of nanoscopic features by living free radical polymerization
US20130209755A1 (en) Self-assembled structures,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Zhao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tethered polystyrene-b-polyacrylate brushes on flat silicate substrates
KR102018932B1 (ko) 박막 블록 공중합체의 배향 조절을 위한 무수물 공중합체 톱 코트
US8609238B2 (en) Method and material for a thermally crosslinkable random copolymer
US7365103B2 (en) Compositions for dark-field polymeriz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imprint lithography processes
US9738814B2 (en) Method of controlling block copolymer characteristic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US20040112862A1 (en) Planariz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patterning a substrate using the same
JP2015507065A (ja) 高度xジ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精製及び使用
KR102017205B1 (ko)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JP2015513788A (ja) 高度xジ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精製及び使用
KR20050085286A (ko) 임프린트 온도 및 압력을 낮추기 위한 나노프린트리쏘그래피용 중합체 용액
US20170226379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block copolymer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JP6211007B2 (ja) 高度xジ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精製及び使用
KR102160791B1 (ko)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사용한 패턴 형성 방법
US9417520B2 (en) Methods of patterning block copolymer layers and patterned structures
KR102081830B1 (ko) 블록 공중합체, 그 형성 방법 및 패턴 형성 방법
WO2006023297A1 (en) Method and composition to provide a layer with uniform etch characteristics
US10047182B2 (en)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using block copolymer
An et al. Photoinduced Modulation of Polymeric Interfacial Behavior Controlling Thin-Film Block Copolymer Wetting
Maher et al. Interfacial layers with photoswitching surface energy for block copolymer alignment and directed self-assembly
KR101721127B1 (ko)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조립에 의해 기판에 이격된 리소그래피 피처들을 제공하는 방법들
Hayakawa Development of Ultra‐microfabricating Polymeric Materials and Its Self‐assembly Technology
Schwartz et al. Phase‐Selective Chemistry in Block Copolym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