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634B1 -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634B1
KR102081634B1 KR1020170148070A KR20170148070A KR102081634B1 KR 102081634 B1 KR102081634 B1 KR 102081634B1 KR 1020170148070 A KR1020170148070 A KR 1020170148070A KR 20170148070 A KR20170148070 A KR 20170148070A KR 102081634 B1 KR102081634 B1 KR 10208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interworking
interlocking
target devices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404A (ko
Inventor
조제일
김소연
신욱현
박영주
박경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4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56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injecting test signals and analyzing monitored process response, e.g. injecting the test signal while interrup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superimposing the test signal onto a control signal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45Real time simu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39Test sequence time and sequence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여러 복잡한 장치로 구성되는 단일장비 및 다수의 장비로 분산 운용되는 통합 시스템의 각 장치/장비에서 운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통합 시험과정에 모두 이용될 수 있는 다기능 시스템 연동 시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Cooperative Message-Based Hierarchical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ipment and System Integration Test}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여러 복잡한 장치로 구성되는 단일장비 및 다수의 장비로 분산 운용되는 통합 시스템의 각 장치/장비에서 운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통합 시험과정에 모두 이용될 수 있는 다기능 시스템 연동 시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 연동을 위한 시험기술은 개발 장치/장비별로 연동되는 각각의 장치/장비들을 식별한 뒤 이에 관한 연동 모의기/시험치구 등을 개별적으로 구현하여 이루어져 왔다.
때문에 개별 모의기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소모(시간, 예산, 인력 등)가 많았으며, 모의기들이 단일 장치/장비의 연동만을 검증하는데 국한됨으로써, 각 모의기/시험치구들의 결함발생 시 시스템 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동결함 발생 빈도가 매우 높았다.
이와 같은 시스템 통합 단계에서 연동결함을 최소화하고자 시스템 통합 과정에 이용되는 M&S/SILS(Model & Simulation/Software In the Loop System) 개념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의 시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의기 개발보다도 더 큰 추가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험 시스템은 사업 착수 시점에서 예산/인력반영이 필수이며, 인프라 구축과 "관련기술"의 전문가가 미흡할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소요비용에 비해 매우 낮게 된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48000호
1. 신동조외, "M&S 시스템을 활용한 Tac-ELINT 지상운용 SW 개발 방안 연구"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4권 제6호 통권 제55호 (2011년 12월) pp.1058-1066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로는 극복하지 못하였던 시스템 통합 시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모의기를 만들어 개발하던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각 장치/장비들 설계 시 공유된 후 개발완료시 까지 유지. 보완하는 상호 운용 메시지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장치 및 연동장비, 통신망을 모의할 수 있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적인 시험환경이 가능토록 계층적으로 설계되었다. 즉, 장치, 장비, 통신망 모의 시험환경이 운용자의 선택 또는 시험 우선순위에 따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가능토록 계층적인 설계구조를 갖는다. 이런 방식을 통해, 모의기가 장치별로 중복 제작되고 시험환경이 정형화되었던 기존 방식들의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시스템 통합 시험 시 비로소 인지되었던 시스템 인터페이스 구현/연동 오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로는 극복하지 못하였던 시스템 통합 시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한 연동 모의를 위한 모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의 설정 정보에 따라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에 대한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연동 모의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주는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모의해 주는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및 상기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의 통신망을 모의해 주는 통신망 모의 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 메시지들은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연동을 위해 미리 규정되며 상호 공유된 문서, 공통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는, 상기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운용 메시지 목록들을 추출하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해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에 따른 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는,
상기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운용 메시지 목록들을 추출하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해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에 따른 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은 상기 연동 시나리오에 순차적으로 등록되어 대기 및 응답을 반복하여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시나리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 대상 장비가 자체 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한 연동 모의를 위한 모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 시뮬레이터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의 설정 정보에 따라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에 대한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연동 모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공유된 운용 메시지 정보를 문서/공통모듈/DB(Database) 등으로부터 자동 추출하여, 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장치 및 장비, 통신망을 모두 모의 할 수 있도록 다기능 모의기능을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장비단독 또는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이 운용자의 선택/우선순위에 따라 임의로 가능토록 계층적으로 설계됨으로써 종래의 기술이 해결하지 못했던 각종 단일 모의기 및 통합 모의기에 소모되었던 비용(시간, 인력, 예산 등)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과정에서의 인터페이스 연동결함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해당 시뮬레이터의 경우, 장치/장비 개발에 이용된 이후에는 시스템 운용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장비로도 활용될 수 있어, 복합 장치/장비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여러 민, 군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장비모의 계층부(121)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장비단독 내부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장비단독 외부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운용자가 작동, 운용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10) 및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 데이터 등을 통해 모의(simulation)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1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10)는 모의를 위한 데이터를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모의 환경 설정 정보, 모의 실행 결과 정보 등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상으로 제공한다.
시뮬레이터(120)는 시험대상 장비의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주는 "외부 장비모의 계층부(121)", 시험대상 장비의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모의해 주는"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 그리고 시험대상 장비의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의 통신망을 모의해 주는 "통신망모의 계층부(12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121)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121)는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주는 모의부로써, 0~N 개의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먼저, 개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110)를 통해 시험대상 장비 설정을 수행하고, 장비간 운용 메시지 목록을 추출한다(단계 S210,S220).
해당 단계는 시험 대상 장비와 타 장비(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간의 외부 연동을 위해 설계 단계에서 규정되고 상호 공유된 문서/공통모듈/DB(Database) 등을 로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120) 내부에서 이용되는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의 운용 메시지 목록 구조체 포맷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운용 메시지 목록 구조체 포맷이란, 설계단계에서 규정된 장비/장치들 간의 인터페이스 구조체 규약(예> 시리얼통신 규격, 이더넷 규격 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0~N개 선택할 수 있다(단계 S230).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이 선택되면 다음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한다(단계 S240). 부연하면, 통신망 모의 설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망 설정 이후에는 장비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비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한다(단계 S250). 장비연동 시나리오는 "장비간 운용 메시지목록 추출" 단계 S220에서 자동 추출된 장비운용 메시지 목록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1의 110)를 통해 운용자가 취사. 선택하여 구성된다.
이후, 단계 S250에서 생성된 장비 연동 시나리오가 운용자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며, 장비 연동 시나리오에 순차적으로 등록된 운용 메지지 목록들이 순차적으로 대기 및/또는 응답을 반복하며 송/수신된다(단계 S260).
이러한 운용 메시지 목록들이 시험 대상 장비와 타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과의 연동을 모의한다. 이때 연동을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송수신 메시지목록 모니터링부(미도시)를 통해 송수신 시간 및 세부 내용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단계 S27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122)는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모의해 주는 모의부로써, 0~N 개의 연동 장치들을 모의해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먼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시험 대상 장치 설정을 수행하고장치간 운용 메시지 목록을 추출한다(단계 S310,S320).
해당 단계는 시험 대상 장비들과 타 장치(외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간의 내부 연동을 위해 설계단계에서 규정되고 상호 공유된 문서/공통모듈/DB 등을 로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120)에서 이용되는 연동 장치들의 운용 메지시 목록 구조체 포맷을 자동생성해주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0~N개 선택할 수 있다(단계 S330). 연동 모의 대상 장치가 선택되면 다음으로 연동 장치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한다(단계 S340).
통신망 설정 이후에는 장치 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치 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한다. 장치 연동 시나리오는 "장치간 운용 메시지목록 추출" 단계(320)에서 자동 추출된 장치운용 메시지 목록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운용자가 취사. 선택하는 것으로 생성된다.
이후, 단계 S350에서 생성된 장치 연동 시나리오가 운용자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로써 장치 연동 시나리오에 등록된 운용 메지지 목록들이 순차적으로 대기 및/또는 응답을 반복하며 송.수신된다(단계 S360).
이러한 운용 메시지 목록들이 시험 대상 장비와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과의 연동을 모의한다. 이때 연동을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송수신 메시지 목록 모니터링부(미도시)를 통해 송수신 시간 및 세부 내용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단계 S370).
모의 대상 장비와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는 시스템 설계단계에서 규정되며 다수개의 하부/내부 장치들이 조합되어 장비를 구성하며, 다수개의 장비가 조합되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는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 및 하부/내부 연동 모의 장치들간의 통신 상태를 모의해 주는 모의부로써, 0~N개 통신망을 모의해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통신망 모의 계층부(도 1의 123)는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도 1의 121) 및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도 1의 122)의 통신망 모의 설정 단계(S240 또는 S340)를 통해 모의된다.
먼저, 연동 장비모의 설정 단계(도 2의 S230) 및 연동 장치 모의 설정 단계(도 3의 S330)를 통해 선택된 0~N 개의 장비/장치들간의 내.외부 통신망 종류를 설정해 준다(단계 S410). 통신망 종류로서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VPX(virtual path cross-contect), 시리얼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통신망 종류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세팅한다(단계 S420).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 세팅으로는 IP설정, 포트번호,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송수신 지연 시간, 메시지 누락율 등의 통신환경을 모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S43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장비단독 내부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비 단독 내부연동 시험은 운용 SW(Software)(511)가 탑재된 시험 대상 장비(510)의 내부연동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하부장치들이 개발 중이거나, 실제 장치 연동 전에 장치들간의 연동검증을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운용 SW(511)가 탑재된 시험 대상 장비(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내부장치들 간의 내부 통신망연결 규약을 바탕으로 개발된 시뮬레이터(120)의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 및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와 연결되어 도 3의 장치연동 시나리오에 따라 내부연동을 시험 및/또는 검증한다. 즉,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121)는 연결되지 않고,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 및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가 연결된다.
이때,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에는 0개 통신망을 나타내는 무선택 통신망(510), 제 1 내지 제 N 모의 통신망(511-1 내지 511-N)이 구성되며,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121)에는 0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를 나타내는 무선택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520), 제 1 내지 제 N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521-1 내지 521-N)가 구성되며, 하부/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122)에는 0개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를 나타내는 무선택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530), 제 1 내지 제 N 하부/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531-1 내지 531-N)가 구성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장비단독 외부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비단독 외부연동 시험은 운용SW가 탑재된 장비의 외부연동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외부장비들이 개발 중이거나, 실제 장비연동 전에 장비들간의 연동검증을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운용 SW(511)가 탑재된 시험 대상 장비(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간의 외부 통신망 연결 규약을 바탕으로 개발된 시뮬레이터(120)의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 및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121)" 와 연결되어 도2의 장비연동 시나리오에 따라 외부연동을 시험 및/또는 검증한다. 이때, 시험장비의 하부/내부장치가 미개발/미검증 중 인 경우에도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부/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와의 연결설정을 통해 장비단독 외부연동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점선표시 부분들로 나타내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장치(120)를 이용한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은 운용SW가 탑재된 여러 시험장비들의 외부연동을 통합 시험하는 과정으로 연동 통신망이 개발 중이거나, 실제 통신망연동 전에 시험장비들 간의 통신망 설계상태/규약 등을 검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운용 SW들이 탑재된 시험장비들(510-1 내지 510-N)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비들간의 외부 통신망연결 규약을 바탕으로 개발된 시뮬레이터(120)의 통신망 모의 계층부(123)와 연결되어 도4의 통신망 모의내용 설정에 따라 통신망 상태에 따른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을 수행하고 검증한다.
이때, 연동 시험장비 및 하부/내부 장치들이 미개발/미검증 중 인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비모의 계층부(121) 및 하부/내부 장치모의 계층부(122)와의 연결설정을 통해 시스템 통합 연동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도 7에서 점선표시 부분들로 나타내었다.
100: 시뮬레이션 장치
11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120: 시뮬레이터
121: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122: 하부/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123: 통신망 모의 계층부

Claims (8)

  1.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한 연동 모의를 위한 모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의 설정 정보에 따라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에 대한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연동 모의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주는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모의해 주는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및 상기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의 통신망을 모의해 주는 통신망 모의 계층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들은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연동을 위해 미리 규정되며 상호 공유된 문서, 공통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운용 메시지들은 상기 연동을 위해 설계 시 공유된 후 개발완료시 까지 유지, 보완하는 상호 운용 메시지 포맷 정보이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가 자체 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며,
    상기 시험 대상 장비가 내부 통신망 연결 규약을 바탕으로 구성된 상기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및 통신망 모의 계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자체 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내부연동, 외부연동, 및 통합 연동이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는,
    상기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운용 메시지 목록들을 추출하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해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에 따른 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는,
    상기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운용 메시지 목록들을 추출하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해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과의 통신망 모의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에 따른 연동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연동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들은 상기 연동 시나리오에 순차적으로 등록되어 대기 및 응답을 반복하여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시나리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운용 메시지 목록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7. 삭제
  8. (a)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험 대상 장비에 대한 연동 모의를 위한 모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 시뮬레이터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의 설정 정보에 따라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에 대한 운용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연동 모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을 모의해 주는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상기 시험대상 장비에 대한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을 모의해 주는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및 상기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 및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의 통신망을 모의해 주는 통신망 모의 계층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용 메시지들은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외부 연동 모의 대상 장비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하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또는 상기 시험 대상 장비와 내부 연동 모의 대상 장치들간 연동을 위해 미리 규정되며 상호 공유된 문서, 공통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운용 메시지들은 상기 연동을 위해 설계 시 공유된 후 개발완료시 까지 유지, 보완하는 상호 운용 메시지 포맷 정보이고,
    상기 시험 대상 장비가 자체 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며,
    상기 시험 대상 장비가 내부 통신망 연결 규약을 바탕으로 구성된 상기 외부 장비 모의 계층부, 하부 내부 장치 모의 계층부, 및 통신망 모의 계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자체 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내부연동, 외부연동, 및 통합 연동이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70148070A 2017-11-08 2017-11-08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8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70A KR102081634B1 (ko) 2017-11-08 2017-11-08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70A KR102081634B1 (ko) 2017-11-08 2017-11-08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04A KR20190052404A (ko) 2019-05-16
KR102081634B1 true KR102081634B1 (ko) 2020-02-26

Family

ID=6667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070A KR102081634B1 (ko) 2017-11-08 2017-11-08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5099A (ja) 2011-09-15 2013-04-11 Toshiba Corp シミュレータ構築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タ構築方法
KR101690948B1 (ko) * 2015-09-14 2016-12-29 국방과학연구소 타임라인 기반 항공기 장치의 입출력 이벤트 시나리오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검증 방법 및 이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549A (ko) * 2010-11-23 2012-07-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단일 프레임워크 시뮬레이터 및 방법
KR101658563B1 (ko) * 2014-08-14 2016-09-21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의 임베디드 컴퓨터 검증을 위한 외부장치 모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DE102014221552B3 (de) 2014-10-23 2016-01-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s Kommunikationssystems, Simulationssystem für ein Kommunikationssystem und Computerprogram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5099A (ja) 2011-09-15 2013-04-11 Toshiba Corp シミュレータ構築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タ構築方法
KR101690948B1 (ko) * 2015-09-14 2016-12-29 국방과학연구소 타임라인 기반 항공기 장치의 입출력 이벤트 시나리오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검증 방법 및 이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04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6606B2 (ja) 可視化されたネットワーク運用及び保守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726132A (zh) 一种软件测试方法及软件测试自动化管理系统
CN105450476B (zh) 一种回归测试系统及测试方法
JP6594018B2 (ja) ファイル、命令、及び航空機データ転送ツール
KR101520056B1 (ko)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온라인 게임 서버 부하 테스트 자동화 서비스 방법
KR101016812B1 (ko) 비행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를 위한 항공전자 통합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37948B2 (en) Rendering engine component abstraction system
CN113572726B (zh) 一种多模态网络控制-数据平面一致性校验方法及装置
WO2018201615A1 (zh) 一种电池管理单元的测试方法及系统
CN109522228A (zh) 接口自动化测试数据构造方法、装置、平台及存储介质
CN102750401A (zh) 用于生成基于cim的电力系统电路模型的系统和方法
CN104638767B (zh) 一种面向智能变电站测试的间隔层数据源模拟方法及装置
CN109977012A (zh) 系统的联调测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938188A (zh) 船舶机电装备故障信息模拟的维修数据导入方法及系统
KR102081634B1 (ko) 장비 및 시스템 통합 시험을 위한 운용 메시지 기반 계층구조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11960385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integrated test procedures using system test procedures
CN106354930B (zh) 一种空间飞行器的自适应重构方法及系统
US20190213003A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Fierro et al. Notes paper: enabling building application development with simulated digital twins
US11611500B2 (en) Automated network analysis using a sensor
Cherniltsev et al. Review of network modeling and simulation software
US20240012961A1 (en) Cloud-based electrical grid component validation
KR20090065878A (ko)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타겟 센서 노드를 시험하는장치 및 그 방법
US20230385478A1 (en) Digital twin service for a fire system
Silva Filho et al. An integrated model-driven approach for mechatronic systems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