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40B1 - Pot assembly - Google Patents

Po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40B1
KR102080340B1 KR1020140114400A KR20140114400A KR102080340B1 KR 102080340 B1 KR102080340 B1 KR 102080340B1 KR 1020140114400 A KR1020140114400 A KR 1020140114400A KR 20140114400 A KR20140114400 A KR 20140114400A KR 102080340 B1 KR102080340 B1 KR 10208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bent
main body
bent portion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7465A (en
Inventor
오재탁
오진훈
Original Assignee
(주)동양나토얀
오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나토얀, 오진훈 filed Critical (주)동양나토얀
Priority to KR102014011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40B1/en
Publication of KR2016002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4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adjustable volume; Tier pressure-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와,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적층수단을 통하여 본체와 냄비를 결합하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의 하부가 개방되어 냄비의 수용용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적층수단을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제2 절곡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제2 절곡부와 제3 절곡부 사이에 패킹이 결합되는 패킹홈이 구비되어, 결합 시 패킹이 제2 절곡부를 따라 밀려올라가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a pot and a po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tacking mean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rovided at the top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pot. To increase the lamination means is made of a plurality of first to third bent portion, the second bent portion forms an inclined form inward, the packing groove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ability, wherein the packing is pushed along the second bent portion to improve sealability upon joining.

Description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POT ASSEMBLY}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ing {POT ASSEMBLY}

본 발명은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와,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적층수단을 통하여 본체와 냄비를 결합하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의 하부가 개방되어 냄비의 수용용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적층수단을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제2 절곡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제2 절곡부와 제3 절곡부 사이에 패킹이 결합되는 패킹홈이 구비되어, 결합 시 패킹이 제2 절곡부를 따라 밀려올라가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ing, and more particularly, a pot and a pot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stacking mean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rovided at the upper side opens the capacity of the pot. To increase the lamination means is made of a plurality of first to third bent portion, the second bent portion forms an inclined form inward, the packing groove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ability, wherein the packing is pushed along the second bent portion to improve sealability upon joining.

일반적으로 냄비, 조리용기 등의 용량을 상황에 따라 증가시키기 위하여 냄비 또는 용기를 적층시키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적층시키기 위한 결합구조에 관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In general, a variety of techniques for stacking pots or containers are propos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pots, cooking vessels, etc.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techniques for coupling structures for stacking are proposed.

이러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5-0015741호 『이중결합구조의 진공용기』가 있는데,There is a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5741 "vacuum vessel of the double bond structure,"

상기 종래기술은 커버와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본체의 결합구조가 이중 결합구조로 되어 진공챔버의 진공도를 높게 하더라도 용기가 잘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진공용기를 대형화할 수 있고, 또 비교적 강도가 낮은 저렴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더라도 진공챔버의 진공도를 유지함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 진공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a vacuum container including a cover and a main body,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is a double coupling structure so that the container is not deformed well even if the vacuum degree of the vacuum chamber is increased, and the vacuum container can be enlarg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suggests a vacuum container that can be made of a low-cost p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maintaining the vacuum degree of the vacuum chamb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용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relates to a vacuum container having a double bond structure, but provided with a bond structure to ensure the sealing property,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apacity can not be increa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용량을 늘리기 위하여 중첩으로 다단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용기 등의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특2002-0025139호 『다단 적층이 가능한 컵 형태의 용기』가 있는데,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conventional container such as a cooking vessel that enables multi-stage coupling to overlap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상기 종래기술은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사출되는 용기는 본체와 마개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마개부는 옥근형으로 접어져 밀폐가 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한 본체의 하단부가 좁고 접어지기전 마개부의 상단부가 넓은 형태로 되어 있되, 상기 본체와 마개부는 수평접힘선으로 경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이 가능한 컵 형태의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is a container that is molded integrally molded with synthetic resin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stopper, the stopper is folded in an octagonal shape to be sealed,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narrow and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is wide form However, the main body and the stopper is presented in a cup-shaped container capable of multi-stage stacking, characterized in that bounded by a horizontal fold lin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접힘선을 통하여 접었다 펼침으로서 용기를 다단 적층하는 것으로서, 적층한다는 점에서 본원 발명과 유사하나 단순 적층으로서 용기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a multi-stage stacking of the container by folding and unfolding through the fold line,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lamin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as a simple lamination.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15613호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가 있는데,Furthermore, there is a conventional utility model No. 20-0415613 `` Multi-stage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

상기 종래기술은 특정 소정 용적을 갖고 상면이 트여진 속이 빈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외주연에 형성되어 그 상부로 적층되게 결합되는 본체의 하부 결합수단이나 뚜껑체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결착수단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주연부에서 하방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그 하부로 결합되는 본체의 상부 결착수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과, 주연부에서 하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편 내측에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로 구성하여 본체들을 다단으로 적층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binds a hollow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volume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coupling means or a lid body of the main body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be stacked thereon. And a coupling mean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binding means of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coupling piec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ed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tage stacked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having a means and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ies can b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단 적층에 있어서, 본체와 본체 사이의 밀폐성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없음에 따라 용기내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경우 내용불이 각 본체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새어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n the multi-stage stacking,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container because the sealabilit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cannot be secured completely, the contents may leak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main bodies.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43346호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conventional utility model No. 20-0343346 `` Multi-stage stacked container with a middle cover '',

상기 종래기술은 연부로부터 외향 돌출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걸림돌기를 갖는 덮개와, 개구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제1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덮개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결합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의 잠금날개와, 바닥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잠금날개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타 잠금날개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2걸림돌기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용기본체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판상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연부에 하향 개구된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용기본체의 연부에 안착되는 결합슬롯과, 상기 용기본체의 제2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슬롯의 일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와 함께 동일한 잠금날개에 걸림결합되는 제3걸림돌기를 갖는 중간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has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jections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edge and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upling position coupled to the li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ening; A plurality of lock wings formed to be rotatably extended between the release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and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first catching protrusion is engaged, and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lock wing in an area adjacent to the bottom to form another lock wing; A multi-stage stacked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 bod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projec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plate-shaped blocking plate and the edge of the blocking plate A coupling slot formed in a downwardly open channel shape and seated on an edge of each of the container bodies, and the container body. Multi-stage stacking with an intermediate cover comprising a middle cover having a third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wall of the coupling slo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and engaging with the same locking wing with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Presenting a food contain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에 잠금날개를 통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잠금날개를 외부에 구비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압력에 의하여 잠금날개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through the locking blades in the container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y having a separate locking blade on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ing blade can be damaged by the pressing force.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에 있어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improved sealing assembly pot,

냄비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냄비와의 결합 시 밀착력을 확보하여 내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수단 및 패킹을 구비하되, 상기 적층수단은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하부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절곡부로 이루어진 절곡부로 이루어져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냄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 main body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pot, and a lamination means and a packing provided at the main body to prevent adhesion of the contents by securing an adhesive force when the main body is engaged with the pot, wherein the laminating means has a protrus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assembly, which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consisting of first to third bent portions, to completely prevent leakage of contents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절곡부 사이에 패킹이 결합되는 패킹홈을 구비하여 패킹에 의하여 냄비와 본체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본체를 냄비 상부에 끼는 경우에 제2 절곡부를 경사진 형태로 구비하여 패킹이 밀려올라감에 따라 더욱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냄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cking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nd the third b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cking groove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pot and the main body by the packing, the second bent portion in the inclined form when the main body is sandwiched in the upper po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t assembly that can secure more adhesion as the packing is pushed up.

아울러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적층수단과 패킹, 패킹과 냄비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밀폐력을 향상시켜 구조가 간단하고,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작이 용이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does not have a separate fixing device, and improves the sealing forc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amination means, the packing, the pack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t,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so that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t is another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본체;A main body having an open portion with an open lower portion;

상기 본체 하부에 성형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하부에 구비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냄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층수단;Stacking mean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t,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bent portion formed under the protrusion and bent;

상기 적층수단에 구비되어 다단으로 구비된 냄비와 본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packing provided to the laminating means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pot and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multi-stage;

상기 적층수단의 절곡부는The bending portion of the lamination means

돌출부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하부로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rst bent portion bent in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otrusion, a second bent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outwardly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냄비 상부에 결합되는 적층수단 및 상기 적층수단에 구비되어 냄비와 본체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냄비의 체적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As described above, the pot assembly with improved seal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lamination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 packing provided on the lamination means and a packing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pot and the main body. Can increase the volume of the pot,

상기 적층수단에 복수번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절곡부에 구비되는 패킹을 통하여 냄비와 본체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냄비 사용 시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packing provided in th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bent in the stacking means a plurality of times, the gap between the pot and the body can be completely block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n the pot is use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또한 상기 패킹은 제2 절곡부와 제3 절곡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홈에 안착되고, 제2 절곡부에 경사를 형성하여 본체를 냄비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패킹이 패킹홈으로부터 제2 절곡부를 따라 말려 올라가 변형됨으로서 냄비와 적층수단 사이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켜 안정성 및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In addition, the packing is seated in a packing groov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when the inclined to form the second bent portion to connect the main body to the pot, the packing is the second bent portion from the packing groove By rolling up and deforming,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pot and the lamination means can be further improved, which further improves stability and sealability.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본체와 패킹, 패킹과 냄비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와 냄비가 억지끼움 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does not have a separate fixing mean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njection molding is possible because the main body and the pot are sandwiched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packing, the packing and the pot, so that the mass production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의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mbodiment of the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a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tens, ones and digits, refer to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member in the figures The member referred to by the reference numeral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 in size (or thick) in size (or thin) or simpl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n this way.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suns, aspects, and embodiments) (o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consists”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A)는 냄비(S)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적층수단(20) 및 상기 적층수단(20)에 구비되는 패킹(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ot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sealing property, the main body 10 provided on the upper pot S, and the stack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 20) and the packing 30 is provided in the lamination means (20).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S)의 체적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냄비(S)에 본체(10)가 결합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냄비(S)는 하부가 막혀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냄비(S)에 결합되는 본체(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냄비(S)와 연통되기 위하여 하부에 개방부(11)를 구비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상부 또한 개방되어 냄비(S)에 구비되는 뚜껑(S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손잡이부(13)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들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손잡이부(13), 냄비(S) 뚜껑(S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뚜껑(S2)과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pot S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capacity of the pot S. In general, the pot 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is blocked, and thus the pot S The main body 1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11 at the bottom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ot S, and also has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Opened so that the lid (S2) provided in the pot (S) can be combined. In additi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1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such a handle portion 13, pot (S) lid (S2) is a commonly used lid ( S2) and the handl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A)에 있어서, 냄비(S) 상부에는 본체(10)가 결합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냄비(S)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층수단(20)이 구비되며, 상기 적층수단(20)은 본체(10) 하부에 성형되어 구비되는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 하부에 구비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적층수단(20)에는 냄비(S)와 본체(1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패킹(30)이 더 구비되어 있다.
1 and 2, in the pot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pot (S),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stacking means 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is provided, the lamination means 2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protrusion 2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 It comprises a bent portion 23 is provided and bent. In addition, the lamination means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cking 30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pot (S) and the main body 10.

상기 적층수단(2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적층수단(20)은 본체(10)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0)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하부방향으로 복수번으로 절곡된 절곡부(23)가 구비되게 된다.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lamination means 20, the lamination means 2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the protruding portion ( A bent portion 23 bent a plurality of times in the lower direction of 21) is provided.

다시 상기 절곡부(23)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 하부에 구비되어, 돌출부(21)로부터 본체(10)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231)와, 상기 제1 절곡부(231)에서 하부로 절곡된 제2 절곡부(233) 및 상기 제2 절곡부(233)에서 다시 본체(10) 외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체(10)가 냄비(S)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23)는 냄비(S) 상부에 내삽되게 되고, 냄비(S)의 상부 단부가 상기 돌출부(21) 하부에 밀착되어 본체(10)와 냄비(S)가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 23 is provided below the protrusion 21, and the first bent portion 231 bent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protrusion 21. Including the second bent portion 233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bent portion 231 and the third bent portion 237 bent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233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gain. consist of. 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the bent portion 23 is interpol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the upper end of the pot (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 The main body 10 and the pot S can be combined.

이 때 상기 적층수단(20)과 냄비(S)와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적층수단(20)에는 패킹(3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절곡부(233)와 제3 절곡부(237) 사이에는 상기 제2 절곡부(233)보다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들어간 패킹홈(235)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패킹홈(235)에 상기 패킹(30)이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패킹(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플론,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링형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secure the adhesion between the lamination means 20 and the pot (S), the lamination means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cking 3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A packing groove 235 is provided between the three bent portions 237 into the body 10 than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the packing 30 is coupled to the packing groove 235. Will be. The packing 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eflon, rubber, silicone,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used,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 ring shape to be combined.

따라서 상기 패킹(3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가 냄비(S)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 그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233)는 상기 돌출부(21) 하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절곡부(237)는 제2 절곡부(233)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233)와 제3 절곡부(237) 사이에는 패킹홈(235)이 구비되어 패킹(30)이 제2 절곡부(233)와 제3 절곡부(23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by the packing 30, the gap may be seal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bent portion 233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 and the third bent portion 237 is formed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233. It is made in the form inclined outward.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a packing groove 235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the third bent portion 237 so that the packing 30 may have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the third bent portion ( 237).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냄비(S)에 결합하는 경우, 패킹홈(235)에 위치하는 패킹(30)이 냄비(S)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되고, 본체(10)를 냄비(S)에 점차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패킹(30)은 냄비(S)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2 절곡부(233)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절곡부(233)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패킹(30)이 제2 절곡부(233)를 따라 올라가는 경우, 패킹(30)이 변형되어(찌그러져) 패킹(30)과 냄비(S)와의 밀착력이 강해지게 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본체(10)와 냄비(S)를 억지끼움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다시 일정한 힘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냄비(S)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패킹(30)과 냄비(S)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패킹(30)이 다시 제2 절곡부(233)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 패킹홈(235)에 안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3 절곡부(237)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패킹(30)이 패킹홈(235)을 지나 제3 절곡부(237)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킹(30)이 적층수단(20)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pot S, the packing 30 located in the packing groove 23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S, and the main body 10 ) Is gradually coupled to the pot (S)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ing 30 is moved upward along the second bent portion 233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pot (S). At this time, the packing 30 is deformed when the packing 30 rises along the second bent part 233 as the second bent part 233 is formed to be gradually inwardly inclined downward. Crushed) The adhesion between the packing 30 and the pot (S) becomes stronger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to firmly fix the body 10 and the pot (S), and again by a constant force When the main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pot S, the packing 30 is lower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bent portion 233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acking 30 and the pot S, and the packing groove ( 235). At this time, the third bent portion 237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packing 30 from passing through the packing groove 235 through the third bent portion 237, so that the packing 30 is laminated. The problem of separation from the means 20 can be solved.

아울러 상기 본체(10)와 냄비(S)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고정수단(4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40)은 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 구비되는 고정레버(43) 및 상기 고정레버(43)에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걸림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4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further solidify the coupling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t S.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ans 40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ans 40 is provided on the fixing portion 4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xing portion 41 It comprises a fixed lever 43 and the locking portion 45 is provided on the fixed lever 43 to rotat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고정부(4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41)에는 힌지돌기(411)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돌기(411)에 결합되는 힌지공(431)을 구비한 고정레버(43)가 결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레버(43)에는 걸림부(45)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레버(43)의 힌지공(431) 상부에는 결합공(43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433)에 상기 걸림부(45)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45)의 단부에는 냄비(S)에 결속되는 결속부(451)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부(451)가 냄비(S)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측돌기(S1)에 걸리게 되고, 이 때 상기 고정레버(43)를 접게 되면, 상기 결합공(433)이 힌지공(431)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부쪽으로 힘이 부여됨에 따라 본체(10)와 냄비(S)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4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41, the fix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hinge protrusion 411, the hinge hole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411) The fixing lever 43 having the 431 is to be coupled. In addition, the locking lever 43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45, a coupling hole 433 is provided on the hinge hole 431 of the fixing lever 43, the locking hole 433 The unit 45 is hinged to allow the rotational movement.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5, the binding portion 451 is formed to be bent to the pot (S) is bent, the binding portion 45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outer projection (S1)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lever 43 is folded, the coupling hole 433 is located above the hinge hole 431, the body 10 and the pot (S) as the force is applied upwards It can be fixed firmly.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4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by the user, this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

다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A)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는 냄비(S)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냄비(S)의 체적량을 다양하게 변경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제3 절곡부(237)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S)의 저면을 향하여 더욱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망, 채 등(M)으로 이루어 찜기, 채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4 again shows an embodiment of the pot assembly A with improved s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S), thereby In order to be able to change the volume amount in various ways, as shown in FIG. 4, the third bent portion 237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s formed longer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 S, and the main body The bottom of (10) is made of nets, swabs, etc. (M) can be used for the use of steamers, swabs,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밀폐성이 향상된 냄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aling assembly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with a focus on improved seal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냄비 어셈블리 S : 냄비
S1 : 외측돌기 S2 : 뚜껑
10 : 본체 11 : 개방부
13 : 손잡이부 20 : 적층수단
21 : 돌출부 23 : 절곡부
231 : 제1 절곡부 233 : 제2 절곡부
235 : 패킹홈 237 : 제3 절곡부
30 : 패킹 40 : 고정수단
41 : 고정부 411 : 힌지돌기
43 : 고정레버 431 : 힌지공
433 : 결합공 45 : 걸림부
451 : 결속부
A: pot assembly S: pot
S1: outside protrusion S2: lid
10: main body 11: opening part
13: handle portion 20: lamination means
21: protrusion 23: bend
231: first bent portion 233: second bent portion
235: packing groove 237: third bent portion
30 packing 40 fixing means
41: fixed portion 411: hinge protrusion
43: fixed lever 431: hinge ball
433: coupling hole 45: locking part
451: binding unit

Claims (4)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11)를 구비한 본체(10);
상기 본체(10) 하부에 성형되는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 하부에 구비되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3)를 포함하여, 냄비(S)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층수단(20);
상기 적층수단(20)에 구비되어 냄비(S)와 본체(1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패킹(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층수단(20)의 절곡부(23)는
돌출부(21)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231)와, 상기 제1 절곡부(231)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절곡부(233) 및 상기 제2 절곡부(233)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3 절곡부(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30)은 상기 제2 절곡부(233)와 제3 절곡부(23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냄비(S)에 결합하면, 상기 패킹(30)은 냄비(S)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2 절곡부(233)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절곡부(233)가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패킹(30)이 제2 절곡부(233)를 따라 올라가면 패킹(30)이 가압되어 변형됨에 따라 냄비(S)와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어셈블리.
A main body 10 having an open portion 11 with a lower portion open;
Including a protrusion 2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bent portion 2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 to be bent, the stacking means 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n (S) ;
A packing 30 provided in the lamination means 20 to seal a gap between the pot S and the main body 10;
The bent portion 23 of the lamination means 20
The first bent part 231 bent in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otrusion 21, the second bent part 233 and the second bent bent downwardly from the first bent part 231 and inclined inwardly. It is bent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233, and comprises a third bent portion 237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packing 30 is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the third bent portion 237 Between)
When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pot S, the packing 30 moves upward along the second bent portion 233 by frictional force with the pot S, and the second bent portion 233 When the packing 30 is raised along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s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as the packing 30 is pressed and deformed, adhesion to the pot S is improved to increase sealing force. Characterized by a pot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233)와 제3 절곡부(237) 사이에는 상기 패킹(30)이 구비되는 패킹홈(23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233 and the third bent portion 237 is provided with a packing groove 235 is provided with the packing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외면에 구비되며, 힌지돌기(411)가 구비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 구비되는 것으로, 힌지돌기(411)가 결합되는 힌지공(43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공(431) 상부에 결합공(433)이 구비된 고정레버(43)와,
상기 고정레버(43)의 결합공(43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냄비(S)에 형성되는 외측돌기(S1)에 걸릴 수 있도록 결속부(451)가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fixing part 41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ed with a hinge protrusion 411;
The fixing part 41 is provided with a hinge hole 431 to which the hinge protrusion 411 is coupled, and a fixing lever 43 having a coupling hole 433 on the hinge hole 431. ,
A locking portion (451)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coupling hole (433) of the fixing lever (43), and the binding portion (451) is bent at the end to be caught by the outer protrusion (S1) formed in the pot (S). 45)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50 further comprises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망(M)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net (M).
KR1020140114400A 2014-08-29 2014-08-29 Pot assembly KR102080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00A KR102080340B1 (en) 2014-08-29 2014-08-29 Po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00A KR102080340B1 (en) 2014-08-29 2014-08-29 Po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65A KR20160027465A (en) 2016-03-10
KR102080340B1 true KR102080340B1 (en) 2020-02-21

Family

ID=5553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00A KR102080340B1 (en) 2014-08-29 2014-08-29 Po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4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10B1 (en) * 2008-01-02 2009-09-18 김상운 Overflow preventer for cooking p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117Y1 (en) * 1988-04-30 1991-05-13 전한실업 주식회사 Over floor device for cocking
KR20100010006U (en) * 2009-04-02 2010-10-12 이동우 A Cooking Container Lid Shaped a Packing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10B1 (en) * 2008-01-02 2009-09-18 김상운 Overflow preventer for cooking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65A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968B1 (en) Cosmetic vessel having airless pumping type
RU2540390C1 (en) Combined design of container lid for food products, consisting of transparent lid and frame
US20140048549A1 (en) Reclosable Container
US11180290B2 (en) Container with multiple covers
EP3152123B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KR102044036B1 (en) A stackable lids close sealed staffed
KR20160002245U (en) The cosmic case
KR102080340B1 (en) Pot assembly
US20130200112A1 (en) Sealing member and fluid-product dispenser including such a member
KR200472089Y1 (en) Airtight container
KR20140002817U (en) Container
CN208360856U (en) A kind of fastening structure of packaging cup
JP5142104B2 (en) Cup-shaped container with lid and food and beverage packaging
CN210175541U (en) Fresh-keeping box
KR20150016656A (en) Lid for airtight container
KR101392394B1 (en) Vessel for airtighting
KR200469248Y1 (en) Lunch package with meal plate
US20160174682A1 (en) Automatic Openable/Closable Dispensing Structure Of Easy-Filling Powder Compact
KR101859941B1 (en) Airtight container
JP5875828B2 (en) Packaging container
EP2535283A1 (en) A two lid box
KR101607513B1 (en) Cosmetic vessel
US20160145013A1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3151130U (en) Lunch box structure
KR200476971Y1 (en) folding type container with one-touch type rid with 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