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310B1 -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 Google Patents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8310B1 KR100918310B1 KR1020080000327A KR20080000327A KR100918310B1 KR 100918310 B1 KR100918310 B1 KR 100918310B1 KR 1020080000327 A KR1020080000327 A KR 1020080000327A KR 20080000327 A KR20080000327 A KR 20080000327A KR 100918310 B1 KR100918310 B1 KR 100918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cooking vessel
- insertion groove
- lid
- overf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40 Gas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74 cross-species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하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넘침방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상단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요리시 상기 조리용기 몸체에 구비된 식재료 및 음식물이 상기 뚜껑을 열어 놓지 않아도 조리용기를 끓어 넘치거나, 외부로 세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요리시간을 준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리의 참맛을 느낄 수 있으며, 시간의 절약과 열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used for cooking food in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in a cooking vessel including an open top body and a lid for covering the top of the body,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is inserted and the upper portion includes an overflow prevention port for seating the lid,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body inner or outer circumferential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and the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jections It relates to a cooking vessel provid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when cooking the food and food provided in the body of the cooking vessel boils over the cooking vessel without opening the lid, By not counting outside, you can observe the exact cooking time, so you can feel the true taste of cook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container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that can save time and heat consumption.
요리, 조리용기, 넘침방지구, 국물, 육수, 뚜껑 Cooking, Cooking container, Overflow protection, Broth, Broth, Lid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의 조리용기 사용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상기 조리용기를 넘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having an overflow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food or soup from spilling over the cooking vessel when using the cooking vessel of a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용기의 사용시 음식물 또는 국물이 상기 조리용기를 넘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container used for cooking food in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food or soup from spilling over the cooking container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used. It is about.
우리나라는 서양문화와는 달리 예로부터 밥과 국, 또는 찌개를 함께 즐기는 문화에 익숙해져 있으며, 바쁜 현대사회에서 가장 즐겨 찾는 대중식품 중 하나는 국물과 함께 면을 먹을 수 있는 라면, 칼국수 등이 있다.Unlike western culture, Korea has been accustomed to the culture of enjoying rice, soup, or stew, and one of the most popular foods in busy modern society is ramen and kalguksu, which can be eaten with soup. .
특히, 라면과 함께 전골이나 국, 탕 등의 요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하는 요리중의 하나로 상술한 국, 탕 등의 요리시 냄비 또는 솥에 물 또는 육수를 넣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같은 양념과 함께 내용물을 첨가하게 된다.In particular, a dish such as hot pot, soup, or soup with ramen is one of the most favorite dishes of Korean people. When cooking soup such as soup or soup, put water or broth in a pot or a pot, and seasoning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 contents are added together.
이하, 도 1은 국, 탕 등의 요리에 필요한 일반적인 조리용기를 도시한 것으 로, 물 또는 육수 등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외부로부터 열원을 가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조리용기 몸체(10)와,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한 뚜껑(30)을 포함하는 조리용기를 나타낸다.1 shows a general cooking container required for cooking soup, soup, and the like, and includes a
일반적으로 국 또는 탕의 조리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용물과 육수를 적당량 넣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뚜껑(30)을 덮어 상기 조리용기를 밀폐시켜 외부의 열원을 가하게 된다.Looking at the cooking process of soup or hot water in general, put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contents and broth in the interior of the
이때,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몸체(10) 내부의 육수 및 음식물이 끊어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상기 조리용기의 음식물 및 수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 또는 공기 성분이 동 음식물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기포 발생,거품의 발달 과정을 거쳐서 수용액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용액이 끓는 온도에 도달시 증발현상이 일어나서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서 상기의 거품을 상기 조리용기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a phenomenon in which the broth and food inside the
이와 같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30) 일부분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어 두어서 김이 새어나오게 하여 넘치지 않도록 하는 제품들이 있으나, 이와 같은 조리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구멍을 통한 충분한 압력해소가 일어나지 않아서 그 의도하는 기능이 실현되지 못하며, 상시 조리용기의 내부 수증기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끓는데 시간이 더 소요되므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overflow phenomenon, there is a product to make a small hole in the
상술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요리도중 내용물이 뚜껑을 위로 밀어 제치고 외부로 넘치거나, 수증기에 의해 뚜껑이 들썩거리게 되어 뚜껑을 자주 여닫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 뚜껑을 열어 놓은 채 조리하게 될 경우 요리의 온도가 하강하여 장시간 열원을 가함으로써 에너지의 과소비를 초래하여 소비자에게 물질적 비용의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oking container has a inconvenience that the contents of the cooking container is pushed upwards and overflows to the outside during cooking, or the lid is shaken by water vapor and the lid is frequently opened and closed, and the cooking is performed when the lid is open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op is applied to the heat source for a long time caused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energy,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a material cost burden on the consumer.
그리고 뚜껑을 열어 놓은 채 장시간 열원을 가할 경우 음식물의 맛을 조절하기 힘들 뿐 아니라, 내용물도 쉽게 증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t source is applied for a long time with the lid open, not only the taste of the food is difficult to adjust, but also the contents are easily evaporated,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cooking the food.
또한, 요리 중 내용물이 넘쳐 조리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려 조리용기 뿐 아니라 주변을 더럽히게 되고, 상기 요리를 다 먹은 후 조리용기를 세척할 경우 내용물이 조리용기에 달라붙어 굳어버려 쉽게 세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ooking container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dirty not only the cooking vessel but also the surroundings, and when the cooking vessel is washed after the contents are finished, the contents stick to the cooking vessel and harden and cannot be easily washed.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린 내용물 또는 국물 등이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는 열원으로 흘러들어 갈 경우, 열원이 꺼지면서 가스가 누출되어 집안 또는 건물 내부의 거주자에게 가스중독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유발하게 된다.And when the contents or broth flowed dow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flows into a heat source that heats the cooking vessel, the gas is leaked while the heat source is turned off, causing a casualty due to gas poisoning to residents in the house or inside the building. Don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하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조리용기 몸체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넘침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상단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하여, 조리용기의 내부 음식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body, the upper end includes an overflow prevention port for seating the lid,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Is bent to face the inn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body, the fasten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body,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be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Providing a cooking vessel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inside food of the cooking vessel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Cooking vessel equipped with overflow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에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되어 요리시 음식물 및 국물 등이 조리용기를 넘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준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항상 똑같은 음식의 맛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overflow of the body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the food and broth from spilling over the cooking vessel when cooking, can observe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and therefore always the same food The taste is also effective to maintain.
둘째, 정확한 요리시간을 지킬 수 있어 열원의 소비를 방지하여 소비자의 부담을 완화시키며, 각종 음식물이 조리용기를 넘쳐 흘러내릴 경우 조리용기 뿐 아니라 그 주변도 다시 정리하여야 하는 부담감을 해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keep accurate cooking tim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consumers by preventing the consumption of heat source, and when various foods spill over the cooking containers, it relieves the burden of reorganizing not only the cooking containers but also the surroundings. hav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의 하단은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열에 강한 패킹이 구비되어, 조리용기 몸체와 결합시 소음을 방지하며, 체결강도를 한층 높이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lower end of the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and is provided with a heat-resistant packing such as rubber or silicone therein, to prevent noise when combined with the cooking vessel body,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astening.
넷째,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일정높이 내주연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넘침방지구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를 받치되, 상기 받침돌기의 상부와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가 맞닿아 상기 조리용기의 내용물 또는 국물이 상기 삽입홈으 내부로 스며들거나 상기 조리용기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Fourth,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of the cooking vessel is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overflow pre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abuts the contents of the cooking vessel Alternatively, the soup may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ertion groove or flowing out of the cooking vessel.
그리고 조리용기 몸체 상단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조리용기 몸체와 상기 넘침방지구가 체결가능한 효과가 있다.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ooking vessel body,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has the effect that the cooking vessel body and the overflow prevention device can be fastened without hav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하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가 삽입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넘침방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상단부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used for cooking food in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in a cooking vessel including an open upper body and a li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s inserted, the upper end portion is overflow protection device that is seated on the lid;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body, to be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It relates to a cooking vessel having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는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 일측은 상기 조리용기 몸체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provided with an overflow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is bent to face the inside of the cooking vessel body.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체결도 및 결합상태도이다.Figure 2a and Figure 2b is a fastening and coupling state of the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요리에 필요한 갖은 식재료와 함께 물 또는 육수를 담을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조리용기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 몸체(10) 상단의 개방부에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10)를 밀폐시키도록 뚜껑(30)이 구비된다.First, a
이때, 상기 몸체(10)와 상기 뚜껑(30) 사이에는 원통형의 넘침방지구(2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 cylindrical
상기 넘침방지구(20)는 상기 몸체(10)만큼의 높이로 이루어진 원통으로, 상기 넘침방지구(20)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21a)이 상기 넘침방지구(20)의 벽면 내부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a)에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벽면 상단부가 삽입 체결된다.The
상기 넘침방지구(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21a)의 개방면적은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벽면 두께 정도로 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난 후 잘 분리되지 않고,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The opening area of the
따라서 상기 넘침방지구(20)를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단에 체결하고 상기 넘침방지구(20)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30)을 복개하여 요리를 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 몸체(10) 내부의 수증기 및 음식물이 외부로 세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요리의 시간 및 요리의 맛을 정확하게 지켜준다.Therefore,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20)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넘침방지구(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21b)의 입구를 상기 삽입홈(21b)의 내측으로 절곡시키고, 상기 삽입홈(21b)의 내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 등 열에 강한 패킹(22)을 구비하게 된다.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몸체(10)가 상기 삽입홈(21b)의 절곡된 입구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21b)의 내부에 구비된 패킹(22)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와 상기 넘침방지구(20)의 체결강도를 한층 높여주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삽입홈(21b)의 내부에 패킹(22)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재로 형성 된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와 상기 넘침방지구(20)의 체결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예방하며, 조리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봉쇄하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20)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 몸체(1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21c)의 하단 입구를 상기 삽입홈(21c)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1c)의 내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의 패킹(22)을 구비하여, 상기 조리용기 몸체(10)가 상기 삽입홈(21c)에 삽입시 쉽고, 빠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Next,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즉,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단부가 상기 삽입홈(21c)의 하단 입구를 벌리면서 상기 패킹(22)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21c)에 상기 조리용기 몸체(10)가 삽입된 후에도 상기 삽입홈(21c)의 양측 벽면이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단 벽면을 계속 조여 상기 조리용기 몸체(10)가 상기 삽입홈(21c)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ure 6 and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요리를 하기 위한 식재료 및 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의 상단부에 체결돌기(11)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내주연에 상기 체결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 조리용기몸체(10)의 상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상기 넘침방지구(20)의 삽입홈(21d)에는 상기 체결돌기(11)가 형성된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11)가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홈(23)이 상기 삽입홈(21d)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다. A
또한, 상기 체결돌기(11)는 당업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내주연 전체에 형성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체결홈(23)이 형성된 상기 삽입홈(21d)의 일측면은 그 입구가 상기 삽입홈(21d)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져 벌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단부가 쉽게 상기 삽입홈에(21d)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체결홈(23)가 마주보는 타측면은 일자로 형성하여 상기 넘침방지구(20)가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에 체결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And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1d) formed with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 몸체(10) 내주연의 일정높이에 받침돌기(24)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21a)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돌기(24)의 상부가 맞닿아 상기 넘침방지구(2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조리용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 또는 국물이 상기 삽입홈(21a)의 내부로 스며들거나, 상기 조리용기 본체(10)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20)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요리시 상기 조리용기 몸체(10)에 구비된 식재료 및 음식물이 상기 뚜껑(30)을 열어 놓지 않아도 상기 조리용기 몸체(10)를 끓어 넘치거나, 세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요리시간을 준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리의 참맛을 느낄 수 있으며, 시간의 절약과 열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넘침방지구(20)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container provided with th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조리용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cooking vessel.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체결도 및 사용상태도.Figure 2a and Figure 2b is a fastening and use state of the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체결된 조리용기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vessel fasten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은 보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단면도.4 to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조리용기 몸체 11 : 체결돌기10: cooking vessel body 11: fastening protrusion
20 : 넘침방지구 21a,21b,21c,21d : 삽입홈20:
22 : 패킹 23 : 체결홈22: packing 23: fastening groove
24 : 받침돌기 30 : 뚜껑24: base protrusion 30: li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0327A KR100918310B1 (en) | 2008-01-02 | 2008-01-02 |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0327A KR100918310B1 (en) | 2008-01-02 | 2008-01-02 |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4517A KR20090074517A (en) | 2009-07-07 |
KR100918310B1 true KR100918310B1 (en) | 2009-09-18 |
Family
ID=4133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03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8310B1 (en) | 2008-01-02 | 2008-01-02 |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83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465A (en) * | 2014-08-29 | 2016-03-10 | 오재탁 | Pot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3664B1 (en) * | 2010-08-27 | 2017-03-09 | (주)쿠첸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KR200472073Y1 (en) * | 2011-10-07 | 2014-04-10 | 오재탁 | Pot for preventing overflow |
KR101317382B1 (en) * | 2011-11-01 | 2013-10-14 | 장경남 | Exclusive use cooker set for ramyun |
DE102016123730A1 (en) * | 2016-12-07 | 2018-06-07 | Abubakar Garunov | Preparation aid for the preparation of food in a cookwa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8221U (en) * | 1981-11-04 | 1983-05-10 | 馬「ば」 孝 | bamboo steamer |
KR910003117Y1 (en) * | 1988-04-30 | 1991-05-13 | 전한실업 주식회사 | Over floor device for cocking |
-
2008
- 2008-01-02 KR KR1020080000327A patent/KR1009183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8221U (en) * | 1981-11-04 | 1983-05-10 | 馬「ば」 孝 | bamboo steamer |
KR910003117Y1 (en) * | 1988-04-30 | 1991-05-13 | 전한실업 주식회사 | Over floor device for cock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465A (en) * | 2014-08-29 | 2016-03-10 | 오재탁 | Pot assembly |
KR102080340B1 (en) * | 2014-08-29 | 2020-02-21 | (주)동양나토얀 | Pot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4517A (en) | 2009-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8310B1 (en) | Cooking vessel with overflow protection | |
KR101269219B1 (en) |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 |
KR101252443B1 (en) |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 |
JP2002300966A (en) | Steamer serving also as container | |
KR101343151B1 (en) | A lid for cool pot having overflow preventing function | |
KR20160006331A (en) | Boil cover assembly | |
KR100764027B1 (en) | Instant containers | |
JPH10127490A (en) | Rice cooking container | |
JP3650652B2 (en) | Preserved food heating container | |
KR102547837B1 (en) | Multifunctional frying pan | |
KR100221649B1 (en) | Moisture Collector of Cookware | |
KR101516794B1 (en) | Lid of cooking vessel | |
KR101227248B1 (en) | Multi-purpose Pressure Cooker | |
KR100509980B1 (en) | Ceramic Pressure Rice Cooker | |
KR20090117854A (en) | Portable Cookware | |
KR200442906Y1 (en) | Cooking container overflow steamed lid | |
KR20080025268A (en) | Cup noodles container and cup noodles containers | |
KR200323627Y1 (en) | Food container to prevent food overflow | |
KR20080091532A (en) | Large steamed cooking device using Bulma and its method | |
KR200271839Y1 (en) | Bowl for Instant food | |
JP3144192U (en) | Cooking and warming container | |
KR20100007636U (en) | Heatable instant noodlecase for one time | |
KR200223060Y1 (en) | Vessel for cooking | |
KR20210041750A (en) | Heatable disposable ramen container | |
KR20170090151A (en) | Container with a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