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135B1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135B1 KR102080135B1 KR1020180014007A KR20180014007A KR102080135B1 KR 102080135 B1 KR102080135 B1 KR 102080135B1 KR 1020180014007 A KR1020180014007 A KR 1020180014007A KR 20180014007 A KR20180014007 A KR 20180014007A KR 102080135 B1 KR102080135 B1 KR 102080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menu
- lift
- input
- touch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25—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related to comfort of drivers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first display being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control panel to display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age, information, a menu, and a button for a user to intuitively know a function. A touch screen unit; An elevating button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for elevating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n elevating driver for elevat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elevating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according to a menu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detecting at least one input of a user's touch, pressing, and scrolling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elevating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automatic control of a vehicle control panel corresponding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to enable manual control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It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이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may further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for user convenience, such as audio function, video function, navigation func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seat control, and lighting control, in addition to basic driving functions.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에는 메뉴 화면 또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드 키(hard key) 방식,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제스처 인식 방식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뉴의 선택을 입력 받거나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such a function,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or a control screen, and a desired menu from the user according to various input methods such as a hard key method, a touch screen method, or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You can receive a selection of or a control command for the selected menu.
다만 상기 하드 키 방식은 다수의 하드 키를 구비하는 방식인 경우 물리적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소수의 하드 키를 구비하는 방식인 경우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부하(즉, 조작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은 종래의 하드 키 방식 차량용 제어 패널(또는 차량용 공조 제어 패널)의 부착 위치와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However, the hard key method requires a physically large space in the case of a method having a plurality of hard keys, and the operation load of the user (that is, the number of manipulations) to input a desired control command in the case of a method having a few hard keys. ) May be increased (see FIG. 1).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ttachment position and shape of a conventional hard key type vehicle control panel (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panel).
또한 터치스크린 방식은 운전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대시 보드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일일이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하드 키 방식에 비해 안전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method affects safe driving compared to the hard key method because the driver has to touch the screen to enter a desired control command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provided on the dashboard.
하지만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이 증가할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은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progresses, it is obvious that the touch screen method will increase in order to enabl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o improve convenience and to output various informa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uch screen method is inferior in safety, a technology for improving safety is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61941호(2016.06.01. 공개, 차량의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1941 (2016.06.01. Publ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enabling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for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o enable manual control, safety and convenie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panel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he first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mage, information, menus, and buttons to enable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e function part; An elevating button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for elevating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n elevating driver for elevat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elevating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according to a menu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detecting at least one input of a user's touch, pressing, and scrolling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elevating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를 구성하는 각 승강 버튼은,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lift button constituting the lift button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aille protrusion or a general button form, when the lift butt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aille protrus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ombin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protrude in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버튼을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button portion, by changing the button or menu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portion in softw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physically the same button can act as a button of a different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 승강 버튼부의 각 승강 버튼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에 해당 승강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ouch screen unit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menu, and button icon indicating the function of the elevating button on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are included. At least one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directly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된 제1 터치스크린부에 제어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panel, including: displaying, by a controller, a control main menu on a first touch screen installed at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control panel; Raising, by the controller, a lift butt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main menu selectable by a user among control main menus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Sensing, by the controller, a user's input to the raised lift button; Check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function or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for a menu is set in a lift button that senses the user's input;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of a menu 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lift button in which the input is sensed, if there is no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after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of a menu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first step again, displays a main menu, and initializes a lift position of the lif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제어 서브 메뉴나 제어 세부 기능을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이나 서브 메뉴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eck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the first touch screen displays a control sub-menu or a control detailed function for a function or a menu set to a lift button that the control unit senses the user's input. Marking on the part; Raising, by the control unit, a lift butt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user selectable submenu among control submenus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sensing, by the control unit, a user's input to the raised lift butt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 detailed function or a sub menu set to the sensed lift button.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을 올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명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은 내리고, 상기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aising the lift button to which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is ad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in menu or sub menu, the control unit displays an icon or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on the second touch screen of the raised lift button. Outputting; And lowering, by the control unit, a lift butt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menu or the sub menu, and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to the second touch screen of the lift butt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스크롤되는 손가락의 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a function set in the elevating button sensing the user's input or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for the menu is set,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to the elevating button in which the input is sensed. Checking whether the menu is the last selected menu; If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is the last selected menu, the control unit lowering all the lift buttons except the input lift button; When the user scrolls the finger pressing the input lift button in a specific direction design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par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he control unit detecting scroll informati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input lift button; Outputting, by the controller,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adjusting a corresponding menu of the input elevating button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when an input of a finger scroll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is released; And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adjusting the corresponding menu of the elevating button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and then returning to the first step of the control unit again, displaying a main menu and adjusting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elevating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Initializ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for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vehicle, and also enables the manual control,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하드 키 방식 차량용 제어 패널(또는 차량용 공조 제어 패널)의 부착 위치와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제어 패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승강 버튼의 상부에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경우에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ttachment position and shape of a conventional hard key type vehicle control panel (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panel).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form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pane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when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 button in FIG. 5.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adjusting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vehicl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제1 터치스크린부(110), 승강 버튼부(120), 승강 구동부(130), 제어부(150), 및 공조신호 출력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조 제어에 관련된, 예를 들면, 좌석별 에어컨 작동 버튼, 풍향 선택 버튼, 풍량 조절 버튼, 온도 조절 버튼, 좌석 발열/냉각 버튼 등의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The first
이때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는, 기본적으로 터치 방식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 button or a menu displayed on the first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에 의한 메뉴(또는 버튼) 선택 방식은 사용자(즉, 운전자)가 화면을 직접 보면서 메뉴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하드 키 방식은 각 키 별로 기능이 지정되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 이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menu (or button) selection method by touch has a problem in that safety is inferior because the user (ie, the driver) needs to select a menu while looking directly at the screen. In addition, the existing hard key method is assigned a function for each ke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respond to this if you want to add a new func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승강 버튼부(120)를 구비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safety and convenience correspondingly, the
상기 승강 버튼부(120)는 상기 제어부(140)가 자동으로 버튼을 올리거나(즉, 상승시키거나) 내릴 수(즉,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버튼이다.The elevating
여기서 상기 승강 버튼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버튼(미도시)은,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Here, at least one button (not shown) constituting the elevating
또한 상기 승강 버튼부(12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하나의 버튼을 상황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승강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미도시)을 승강시킨다.The
상기 승강 구동부(130)는 상기 버튼(미도시)의 승강을 위해서, 모터(미도시)와 래크(rack)(미도시), 압축기(미도시)와 실린더(미도시), 또는 솔레노이드(미도시)와 로드 부재(미도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요지는,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승강 방식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 the elevating method itself of th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메뉴(또는 공조 제어 메인 메뉴, 공조 제어 서브 메뉴 등)에 따라 승강 버튼부(120)의 해당 버튼을 승강시킨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승시킨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이 감지된 후, 상기 입력(예 : 터치)된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예 :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 및 상기 입력(예 : 터치)된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예 : 이동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공조신호(또는 공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공조신호 출력부(160)는 상기 공조신호(또는 공조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기(미도시)를 구동한다.The air condition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에 있어서, 제2 터치스크린부(14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140)는,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 2에서의 승강 버튼은 표시 기능이 부가되지 않은 버튼을 의미하지만, 도 3에서의 승강 버튼은 표시 기능이 부가된 버튼을 의미한다.The second
따라서 도 2에서는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배경으로 표시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주변에 해당 승강 버튼(미도시)의 기능을 표시하지만, 도 3에서는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상부에 부착된 제2 터치스크린부(140)에 해당 승강 버튼(미도시)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한다.Therefore, in FIG. 2, the function of the lift button (not shown) is displayed around each lift button (not shown) of the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제어 패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복수의 승강 버튼이 포함된 승강 버튼부(120)와 제1 터치스크린부(110)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form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illustrated in FIG. 2. The
이때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의 좌우 양측 상부에는 노브(knob) 삽입부가 구현되어 익숙한 기존 방식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노브(knob)도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다른 승강 버튼들과 마찬가지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노브(knob) 자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또는 센터페시아)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a knob insertion part may be implement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in a familiar conventional manner, but the knob may also lift other lifting buttons of the elevat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공조 제어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S101).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된 공조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린다(S102).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한다(S103).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또는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104).In addition, the
상기 체크(S104) 결과,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없을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105).As a result of the check (S104), if there is no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NO in S104), the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처음 단계(S101)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위치(즉, 승강)를 초기화시킨다.After outputting the air conditioning signal of the menu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the
한편, 상기 체크(S104) 결과,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있을 경우(S104의 예),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또는 메뉴)에 대한 공조 제어 서브 메뉴(또는 공조 제어 세부 기능)를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한다(S106).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S104) (YES in S104),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sub-menu (or air conditioning) for the function (or menu) set in the lift button that senses the user's input Detailed control functions) are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110 (S106).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된 공조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린다(S107).In addition, the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하여(S103),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또는 서브 메뉴)에 대한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105). Thereafter, the
물론 추가적인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과정(S103 ~ S107)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re are additional sub-menus (or detailed functions), the processes S103 to S107 may be repeated.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승강 버튼의 상부에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경우에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when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 butt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승강 버튼(즉,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을 올리는 경우(S201의 예), 상기 제어부(150)는 올려진 승강 버튼의 터치스크린(즉, 제2 터치스크린)(140)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예 : 아이콘, 명칭 등)를 출력한다(S202).As shown in FIG. 6, when the lifting button (that is, the lifting button to which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is added)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or the sub menu is raised (YES in S201), the
한편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즉,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은 내려지고(즉, 하강시키고), 내려진 승강 버튼의 터치스크린(즉, 제2 터치스크린)(140)에 배경 영상(즉, 배경 이미지)을 출력한다(S203).Meanwhile, a lift button (that is, a lift button to which a second touch screen part is added)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menu or sub menu is lowered (that is, lowered) and the touch screen of the lowered lift button (that is, the second touch screen). A background image (that is, a background image) is output to 140 (S203).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adjusting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in FIG.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입력(예 : 터치)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고(S301),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S301의 예),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린다(S302).As shown in FIG. 7, the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 버튼에 대한 입력(예 : 터치)을 유지한 상태이고,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은 걸림이 없는 평평한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the user is in a state of maintaining an input (for example, a touch)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button, and the control pan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cause all of the elevating buttons except for the input (for example, touch) are lowered. (Ie, the first touch screen part) is in a flat state without a catch.
이에 따라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110)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예 : 좌우측, 또는 상하측)으로 스크롤(또는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S303).Accordingly, in this state, the user presses a finger pressing the input (for example, touch) lift button in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left, right, or up and down) designat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ie, the first touch screen part) 110. Scroll (or move), and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110) 표면에서 스크롤(또는 이동)되는 손가락의 입력(예 : 터치)이 해지되면(S304의 예),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즉, 기능)를 상기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305).In addition, when the input (eg, touch) of a finger scrolled (or mov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ie, the first touch screen part) 110 is terminated (Yes of S304), the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즉, 기능)를 상기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처음 단계(S101)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위치(즉, 승강)를 초기화시킨다(S306).After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tuning the menu (i.e. function) of the lift button according to the scroll (i.e., moving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th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vehicle and also the manual control,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 공조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조 제어 관련 정보뿐 아니라 차량 제어 관련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However,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vehicle control related information, navigation information, and multimedia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one display unit. Note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devices that can be selected.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10 : 제1 터치스크린부
120 : 승강 버튼부
130 : 승강 구동부
140 : 제2 터치스크린부
150 : 제어부
160 : 공조신호 출력부110: first touch screen unit
120: lift button portion
130: lifting drive unit
140: second touch screen unit
150: control unit
160: air conditioning signal output unit
Claims (8)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며,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스크롤되는 손가락의 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며, 또한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는 배경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할 수 있게 구현된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A first touch screen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formation, a menu, and a button for a user to intuitively know;
An elevating button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for elevating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n elevating driver for elevating at least one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ccording to a menu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the corresponding lift button of the lift button unit is lifted and controlled, and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press, and scroll is sensed with respect to the lift button.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Check whether the sub menu or detailed function for the function or menu set on the lift button that detects the user's input is set.
Check whether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in which the input is detected is the last selected menu,
If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is the last selected menu, all the lift buttons except for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detected are lowered,
When the user scrolls the finger pressing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in a specific direction design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detecting scroll informati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detected,
When the input of the finger scroll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is released,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adjusting a corresponding menu of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After outputting the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tuning the corresponding menu of the lift button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the display returns to the first step, displays the main menu, and initializes the lift position of the lif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Also
A background image is output on the second touch screen of the other lift buttons except for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And control knob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o move up and dow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The lift button of claim 1, wherein each lift button constituting the lift button unit i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aille protrusion or in the form of a general button,
When the lifting butt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aille protrusion, a control pane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ombined to be implemented to protrude in a variety of shapes.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버튼을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fting button unit,
And controlling the buttons or menus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part in software so that the same physical buttons can act as buttons having different functions.
상기 승강 버튼부의 각 승강 버튼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에 해당 승강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touch screen unit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elevating button of the elevating button unit.
And at least one of an image, information, a menu, and a button icon indicating a function of a corresponding lift button are directly displayed on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스크롤되는 손가락의 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는 배경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할 수 있게 구현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Displaying, by the control unit, a control main menu on a first touch screen unit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Raising, by the controller, a lift butt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main menu selectable by a user among control main menus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Sensing, by the controller, a user's input to the raised lift button;
Check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function or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for a menu is set in a lift button that senses the user's input;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of a menu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a lift button in which the input is sensed, if there is no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After outputting an air conditioning signal of a menu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first step again, displays a main menu, and initializes a lift position of the lif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Including,
After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a function or a sub-menu or a detailed function for a menu is set to a lift button that senses the user's input,
Check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menu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on which an input is sensed is a finally selected menu;
If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is the last selected menu, the control unit lowering all the lift buttons except for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detected;
When the user scrolls the finger pressing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in a specific direction design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he control unit senses scroll informati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Making;
Outputting, by the controller,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adjusting a corresponding menu of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sensed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when the input of the finger scroll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screen unit is released; And
After the control unit outputs an air conditioning signal for fine-tuning the corresponding menu of the lift button according to the scroll information, the controller returns to the first step again to display the main menu, and adjusts the lift position of the lif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Initializing;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on a second touch screen of the other lift buttons except the lift button except the lift button after the input of the lift button except the lift button on which the input is detected;
And control knob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control panel to move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제어 서브 메뉴나 제어 세부 기능을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이나 서브 메뉴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f there is a sub menu or a detailed func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check,
Displaying, by the control unit, a control submenu or a control detailed function for a function or a menu set on a lift button sensing the user input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Raising, by the control unit, a lift butt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user selectable submenu among control submenus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unit; And
And detecting, by the control unit, a user's input to the raised lift butt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 detailed function or a sub menu set to the detected lift button. Control metho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명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은 내리고, 상기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lifting button to which the second touch screen unit is added corresponds to a main menu or a sub menu,
Outputting icon or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menu on a second touch screen of the raised elevator button by the controller; And
And lowering, by the controller, a lift butt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menu or sub menu, and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to a second touch screen of the lift butt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en) | 2018-02-05 | 2018-02-05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en) | 2018-02-05 | 2018-02-05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0491A KR20190100491A (en) | 2019-08-29 |
KR102080135B1 true KR102080135B1 (en) | 2020-02-24 |
Family
ID=6777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en) | 2018-02-05 | 2018-02-05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13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2561A (en) * | 2004-04-13 | 2005-10-27 | Yazaki Corp | Operation switch for vehicle |
KR101166895B1 (en) * | 2011-01-10 | 2012-07-18 |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ntegrated control device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617B1 (en) * | 2009-09-02 | 2013-09-12 | 주식회사 만도 | Control Method of Integration Display Button Module for HMI in Vehicle |
KR20160004043A (en) * | 2014-07-02 | 2016-01-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
2018
- 2018-02-05 KR KR1020180014007A patent/KR1020801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2561A (en) * | 2004-04-13 | 2005-10-27 | Yazaki Corp | Operation switch for vehicle |
KR101166895B1 (en) * | 2011-01-10 | 2012-07-18 |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ntegrated control devic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0491A (en) | 2019-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0175B2 (en) | Morphable pad for tactile control | |
KR101087479B1 (en) |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176634B2 (en) | Operation device | |
JP2014102660A (en) | Manipulation assistance system, manipul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CN102811881A (en) | Device for controlling different functions of a motor vehicle | |
US11351862B2 (en) | Assembl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ransportation vehicle | |
JP6230851B2 (en) | Input device | |
JP6590726B2 (en) | Programmable display and programmable system including the same, programmable display design apparatus, programmable display design method, programmable display operation method, programmable display design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tored device | |
JP2019169128A (en) | Method for operating man-machine interface and man-machine interface | |
JP2012243073A (en) | Display system | |
KR102377998B1 (en) | Means of transportatio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defining a tile on a display device | |
JP2014102656A (en) | Manipulation assistance system, manipul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KR102080135B1 (en) | 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88488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10423326B2 (en) |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20160124460A (en) | Controll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
KR20060008089A (en) | The electric equipment possessing the touch screen function | |
JP2014102658A (en) | Operation support system,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KR20160063451A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display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80127042A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of driver information system | |
CN112166403A (en) | In-vehicle device operation apparatus and in-vehicle device operation system | |
JP2014102657A (en) | Manipulation assistance system, manipul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6018855B2 (en) | Steering switch, steering wheel | |
EP1717672A1 (en) |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to a user of an appliance system in a vehicle | |
KR20210084827A (en) | The user interface method of customizing dial function on car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