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059B1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Google Patents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059B1 KR102080059B1 KR1020180091500A KR20180091500A KR102080059B1 KR 102080059 B1 KR102080059 B1 KR 102080059B1 KR 1020180091500 A KR1020180091500 A KR 1020180091500A KR 20180091500 A KR20180091500 A KR 20180091500A KR 102080059 B1 KR102080059 B1 KR 102080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gasket
- frame
- lens frame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을 제공한다. 더블렌즈 유닛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외부 가스켓에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외부렌즈와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외부 가스켓과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노우 고글, 스키 고글 등의 고지대용 고글에 관한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에 관한 것이다.
스노우 고글 혹은 스키 고글 등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눈을 바람, 자외선, 눈(snow)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공기가 상대적으로 많은 저지대와 공기가 희박한 고지대 모두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 스키 고글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저지대에서 머무르다가 케이블카, 리프트 등을 타고 고지대로 올라간 후 다시 스키 등을 타고 빠른 속도로 저지대로 내려오는 사용패턴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스노우 고글이나 스키 고글은 보통 날씨가 추운 겨울에 주로 사용되는데 겨울에는 고글의 외부 온도와 고글 내부 온도차이가 크기 때문에 김서림, 서리, 성애 등이 자주 끼어 이를 방지하도록 외부렌즈와 내부렌즈로 된 더블렌즈 방식을 사용하고, 내부렌즈 표면에 김서림 방지 처리(Anti-Fog)를 하는 등의 방식으로 김서림 등이 끼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더블렌즈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외부렌즈와 내부렌즈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층 역할을 하여 내부렌즈의 표면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면서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저지대와 고지대에서 상대적인 외부 공기의 양이 달라 기압차에 의해 렌즈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추운 겨울에 김서림 등을 방지하면서도 고지대와 저지대에서 렌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노우 고글이나 스키 고글 등에 있어서 외부 찬 공기에 의한 김서림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저지대와 고지대, 혹은 이들 간의 이동 중에 렌즈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2개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상기 외부렌즈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상기 외부렌즈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2개 이상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공기셀로 구성되는 폼(foam)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과 상기 내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내부 가스켓과 상기 내부렌즈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공기터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공기터널은 내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고, 상기 제 2공기터널은 외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렌즈의 수평단면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의 수평 단면은 모두 커버되고, 상기 내부렌즈의 수평단면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최외각 라인이 형성하는 수평면에 의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렌즈와 이격되고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돌출영역은 상기 외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유닛,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렌즈 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글 프레임은 상기 더블렌즈 유닛의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글 프레임의 개구부 내측에 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프레임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렌즈와 이격되고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돌출영역은 상기 외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글 프레임의 개구부는 상기 외부렌즈에서 상기 내부렌즈 방향으로 향할수록 개구부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가스켓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은, 상기 내부 가스켓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과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은 추운 겨울에 스키장 등에서 고글을 사용하여도 외부 찬 공기에 의해 김서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선명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은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을 이용하여 저지대와 고지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이동하는 중이거나,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이동하는 중에도 렌즈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더블렌즈 유닛을 C-C'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D-D'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E-E'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더블렌즈 유닛을 C-C'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D-D'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E-E'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은 공간적으로 일 방향으로의 면을 의미하고, "타면"은 공간적으로 상기 "일면"과는 반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들 또한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더블렌즈 유닛을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더블렌즈 유닛(100)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20),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40), 상기 외부 가스켓(40)의 일면에 결합된 외부렌즈(10), 상기 외부렌즈(10)와 상기 외부 가스켓(40)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상기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60),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50), 및 상기 내부 가스켓(50)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30)를 포함한다. 비록 도 1 내지 4에는 상기 제 1공기터널(60)이 상기 외부렌즈(10)와 상기 외부 가스켓(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상기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블렌즈 유닛(100) 및 이하에서 설명할 여러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들은 후술할 더블렌즈 고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며, 상기 더블렌즈 고글은 스노우 고글 혹은 스키 고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지대용으로 사용되는 고글 등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렌즈(10)는 더블렌즈 유닛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바람, 자외선, 눈(Snow)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제한적인 예로, 외부렌즈(10)는 선명한 시야확보 등을 위해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차단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므로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향상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외선 차단 처리, 눈부심 방지 처리, 김서림 방지(Anti-Fog)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내부렌즈(30)는 가공성과 함께 김서림 방지 성능(Anti-Fog)을 부여할 수 있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 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cellulose propionate: CP)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렌즈(30)도 필요에 따라 김서림 방지(Anti-Fog) 처리 등의 광학적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내부렌즈(30)는 상기 외부렌즈(10)와 서로 대향하여 구성되면서, 외부 가스켓(40), 렌즈 프레임(20), 내부 가스켓(50)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가 서
로 평평한 경우 뿐만 아니라, 서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경우 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외부 가스켓(40)의 일면과 내부 가스켓(50)의 타면에 각각의 일부면이 접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외부렌즈(10)는 외부 충격에 강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렌즈(30)는 가공성과 함께 김서림 방지 성능(Anti-Fog)을 부여할 수 있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가스켓(40) 및 내부 가스켓(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공기셀로 구성되는 폼(foam)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가스켓(40) 및 내부 가스켓(50) 둘 다 공기셀로 구성되는 폼(foam)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가스켓(40) 및/또는 내부 가스켓(50)은 비제한적인 예로,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EPDM rubber),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가스켓(40) 및/또는 내부 가스켓(50)이 공기셀로 구성되는 폼(foam) 형태로 형성됨에 의해 압축성, 신축성이 우수하여 섬유로 형성된 제 1공기터널(60)이나 후술할 제 2공기터널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 2공기터널을 형성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가스켓(40) 및/또는 내부 가스켓(5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에 손쉽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렌즈(10)의 외곽라인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40)과 이에 접착되고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20), 렌즈 프레임(20)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50) 및 내부 가스켓(50)에 접착된 내부렌즈(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공기층에 의해 단열층이 생성되고, 단열층에 의해 외부의 찬 공기가 내부렌즈(30)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김서림 현상이나 성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가스켓(40)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20)에 접착되고, 외부 가스켓(40)의 일면에는 외부렌즈(10)가 접착된다. 즉, 외부렌즈(10) 타면의 테두리 부분에 외부 가스켓(40)이 접착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에 의해 외부렌즈(10)는 간접적으로 상기 렌즈 프레임(20)에 접착되게 된다. 또한, 렌즈 프레임(20)의 타면에는 내부 가스켓(50)이 접착되고, 내부 가스켓(50)의 타면에는 내부렌즈(30)가 접착된다. 즉, 내부렌즈(30)의 일면의 테두리 부분에 내부 가스켓(50)이 접착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에 의해 내부렌즈(30) 또한 간접적으로 상기 렌즈 프레임(20)에 접착되게 되고, 내부렌즈(30)와 외부렌즈(10) 사이에는 공기층으로 형성되는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공기층에 의해 단열층이 생성되고, 외부의 찬 공기가 내부렌즈(20)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김서림 현상이나 성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으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외부 가스켓(40)의 양면과 내부 가스켓(50)의 양면에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 성분 등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외부렌즈(10), 외부 가스켓(40), 렌즈 프레임(20), 내부 가스켓(50) 및 내부렌즈(30)가 서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외부와 구분되는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외부와의 통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공기터널(60)은 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섬유를 여러 가닥 꼬아서 만든 섬유일 수 있다. 이렇게 꼬아진 섬유의 얀(Yarn)과 얀 사이의 통로를 통해 공기 터널이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와 통기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제 1공기터널(60)을 형성하는 섬유는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필라멘트사, 유리사 등이거나 이들을 1종 또는 2종 혼합한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의 전체 섬도는 50 내지 2000 데니어(Denir)의 범위일 수 있고, 모노 필라멘트 섬도는 0.1 내지 100 데니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공기터널(60)에 의해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이 미세하게 외부와 통기, 통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공기터널(60)은 위와 같이 미세하게 외부와 내부 공기층 사이에 통기,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지대와 고지대에서 기압차에 의해 더블렌즈 유닛(100)이 뒤틀어지거나 다른 소자들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한 김서림 현상이나 성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최소한의 공기만 유입하도록 하여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섬유로 구성되는 제 1공기터널(60)은 평상시에는 외부 가스켓(40)에 눌려져 외부와의 통기를 방지하지만, 기압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압차에 의해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혹은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필요한 정도의 공기만 유입되도록 하여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올라가는 경우 외부의 공기양이 저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외부렌즈(10), 내부렌즈(30) 및 기타 다른 구성들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은 팽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더블렌즈 유닛(100)에 변형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 1공기터널(60)에 의해 공기층 내부의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공기층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려는 힘에 의해 내부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공기터널(60)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방출되어 외부와 내부 간의 공기압 균형을 맞출 수 있고,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내려가는 경우 외부의 공기양이 점차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공기층 내부의 공기압은 줄어들게 되고, 더블렌즈가 수축할 수 있는데 상기 제 1공기터널(6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층으로 유입되어 외부와 내부 간의 공기압 균형을 맞춰줌으로써,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키나 스노우 보드를 타는 사용자의 고글 사용 형태를 감안하면,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빠른 속도로 내려가는 와중에 저절로 공기층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압 차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 1공기터널(60)에 의한 김서림 현상이나 성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더블렌즈 유닛(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후술할 여러 실시예들의 제 1공기터널이나 제 2공기터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공기터널(60)은 외부렌즈(10)와 상기 외부 가스켓(40) 사이에 형성된다. 제 1공기터널(60)이 외부렌즈(10)와 외부 가스켓(4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내부렌즈(3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습한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공기터널(60)이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외부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글은 사용자의 눈에 외부의 공기나 눈(Snow) 등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폼이나 고무 재질 혹은 고분자 재질로 구성된 고글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지므로, 사용자 눈과 내부렌즈(30)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되는 일정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눈을 포함한 안면과 내부렌즈 그리고 고글 프레임 사이에 의해 구획된 일정한 폐쇄된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습기가 많은 공기가 머물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상대적으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유입된다면, 다량의 습기가 상기 공기층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공기층 내부에서 내부렌즈(30)나 외부렌즈(10)에 김서림이 발생하거나 물방울이 맺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에서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고, 사용자가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데, 이때, 제 1공기터널(60)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 근방의 습기가 많은 공기가 상기 공기층으로 유입되게 되면, 김서림이나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블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 1공기터널(60)의 위치를 외부렌즈(10)와 외부 가스켓(4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근방에 습기가 많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김서림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이동할 때,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사용자의 안면 근방의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습기가 적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렌즈(10)의 수평단면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수평 단면은 모두 커버되고, 상기 내부렌즈(30)의 수평단면은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최외각 라인이 형성하는 수평면에 의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부렌즈(10)는 렌즈 프레임(20)의 수평단면을 모두 커버함으로써, 더블렌즈 유닛(100)이 더블렌즈 고글에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 렌즈 프레임(20)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여 더블렌즈 고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더블렌즈 고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먼지, 물 등의 요인들을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렌즈(30)의 수평단면이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최외각 라인이 형성하는 수평면에 의해 모두 커버됨으로써, 후술할 렌즈 프레임(20)에 더블렌즈 유닛(100)이 결합되는 경우 렌즈 프레임(20)과 사용자 안면 사이의 영역과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간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안면 근방의 수분이 많은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공기터널(6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20)은 렌즈 프레임(20)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외부 가스켓(40)과 접하는 영역과, 외부 가스켓(40)과 접하지 않으면서 외부렌즈(10)와 이격되면서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영역에 의해 외부 가스켓(40)의 외부, 즉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가 형성하는 공기층과 구분되는 바깥쪽 부분에서 렌즈 프레임(20)과 외부렌즈(10)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이에 의해 외부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내외부의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더블렌즈 유닛(100)의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후술할 고글 프레임에 더블렌즈 유닛(100)이 결합되는 경우 고글 프레임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고글 프레임과 외부렌즈(10)가 실질적으로 맞닿게 하여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일정 공간을 두어 내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돌출영역은 상기 외부 가스켓(4)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내부렌즈(3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완전히 분리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나 먼지 등이 사용자의 안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폐곡선을 형성한 제 1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고글 프레임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내부렌즈(3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구획하여 외부 요인으로부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프레임(20)은 렌즈 프레임(20)의 내측 개구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50)과 접하는 영역과, 내부 가스켓(50)과 접하지 않으면서 내부 가스켓(50)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더블렌즈 고글에 더블렌즈 유닛(100)이 결합될 경우 렌즈 프레임(20)의 제 2돌출영역 부분의 일부가 고글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렌즈 프레임(20)과 사용자 안면 사이의 영역과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간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안면 근방의 수분이 많은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공기터널(6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20)의 제 2돌출영역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제 2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고글 프레임의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렌즈 프레임(20)과 사용자 안면 근방 사이의 영역을 외부렌즈(10)와 완전히 구분할 수 있다.
다만,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제 1돌출영역과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일부 부분만이 돌출되어 고글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돌출영역과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수평단면이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이들의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고글 프레임의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돌출영역의 효과 및 제 2돌출영역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렌즈 프레임(20)은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내부 가스켓(50)이 접한 부분에서 외부 가스켓(40)과 내부 가스켓(50) 외측으로 외부렌즈(10), 내부렌즈(30)와 접하지 않는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이 고글 프레임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한 더블렌즈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들을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거나, 이들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더블렌즈 유닛을 C-C'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더블렌즈 유닛은 제 1공기터널(61, 62)이 2개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더블렌즈 유닛 양측의 공기압 균형을 맞춰줄 수 있고, 더블렌즈 유닛이 공기압 차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블렌즈 유닛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이 대향하도록 섬유를 배치하고,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접하지 않는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보다 쉽게 더블렌즈 고글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과정상의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더블렌즈 고글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준비된 접착 테이프 등이 접착된 외부 가스켓(40)의 일면에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외부렌즈(10)가 부착되는 면 상의 양 측면에서 고정하거나,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양 측면에서 고정하도록 한 후 외부 가스켓(40) 내부의 개구된 부분 상에 존재하는 섬유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렇게 제 1공기터널(61, 62)이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제조과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으면서 보다 쉽게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절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은 외부렌즈(10)와 외부 가스켓(40) 사이 혹은 외부 가스켓(40)과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존재하면서, 상기 외부렌즈(10)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렌즈(10)의 측면이라 함은 사용자가 더블렌즈 고글을 착용하였을 경우 머리 위쪽을 상부 아래쪽을 하부라 하고, 사용자 눈의 양 옆에 위치하는 부분을 외부렌즈(10)의 측면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상기 제 1공기터널(61, 62)이 외부렌즈(10)의 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적 요인, 즉, 외부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이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제 1공기터널(61, 62)은 외부와 공기 등이 통하는 공기통로로 활용될 수 있는데, 외부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수분도 함께 유입될 수 있다. 고글의 경우 사용 형태나 외부의 환경 요인에 의해 고글 외부의 상측에 눈(Snow)이나 빗물 등이 고일 수 있는데, 제 1공기터널(61, 42)이 외부렌즈(10)의 측면에 위치함으로써, 고이는 수분이 직접적으로 제 1공기터널(61, 42)을 통해 내부 공기층으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렌즈(10)의 하측 맺힐 수 있는 수분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발생된 수분이 많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렌즈(10)를 기준으로 측면 부분은 눈(Snow)이나 빗물이 고이지 않고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거나 흐르는 구조이고, 사용자의 입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에 의한 다량의 수분이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내부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실제 눈(Snow)이 오거나 비가 오는 경우 위와 같이 공기층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매우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공기터널(60)이 1개만 형성되는 경우에도 외부렌즈(10)의 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위 도 5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아도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공기터널(63, 64)은 상기 외부렌즈(10)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2개 이상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3개의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공기터널(63, 64)이 외부렌즈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2개 이상씩 존재하는 경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분산하여 수분에 의한 물방울 응집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외부 공기는 수분을 일부 함유할 수 있는데, 양 측면 각각에 2개 이상의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존재하게 되면 외부 공기의 수분이 분산되어 수분이 응집되는 현상을 느리게 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 1공기터널(63, 64)을 다수개 설치하는 경우 내부 공기층의 공기가 쉽게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외부의 공기가 원하지 않는 수준으로 많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의 섬도를 더 높게 조절하여 수분의 응집 현상은 방지하면서도 제 1공기터널(63, 64)이 적은 경우와 대등한 효과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D-D'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8의 더블렌즈 유닛을 E-E'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 프레임(20)과 상기 내부 가스켓(50) 사이 또는 상기 내부 가스켓(50)과 상기 내부렌즈(20)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공기터널(68, 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공기터널(66, 67)은 내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고, 상기 제 2공기터널(68, 69)은 외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외부렌즈(10)와 외부 가스켓(40) 사이 혹은 외부 가스켓(40)과 렌즈 프레임(20) 사이에는 제 1공기터널(66, 67)이 위치하고, 내부렌즈(30)와 내부 가스켓(50) 사이 혹은 내부 가스켓(50)과 렌즈 프레임(20) 사이에는 제 2공기터널(68, 69)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이들의 위치 별 섬도를 조절하여 제 1공기터널(66, 67)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 방향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고, 제 2공기터널(68, 69)은 상기 공기층에서 외측, 즉 외부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이 형성된 부분과 직접 맞닿는 내측 부분에서 제 1공기터널(66, 67) 섬도는 제 2공기터널(68, 69)의 섬도에 비해 높을 수 있고, 더블렌즈 유닛의 외부 공기와 직접 맞닿는 부분에서의 제 1공기터널(66, 67) 섬도는 제 2공기터널(68, 69)의 섬도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제 1공기터널(66, 67)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과 맞닿는 부분에서만 섬도가 높고, 제 2공기터널(68, 69)은 외부의 공기와 맞닿는 부분에서만 섬도가 높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점차 섬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할 수 있으나, 특정 위치에서만 섬도를 높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제 1공기터널(66, 67)과 제 2공기터널(68, 69)의 섬도를 조절하여 공기층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제 1공기터널(66, 67)에 비해 제 2공기터널(68, 69)을 통하여 보다 많이 외부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제 2공기터널(68, 69)에 비해 제 1공기터널(66, 67)을 통하여 보다 많이 유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렌즈(3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습기가 높은 공기가 상기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은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특정 공기터널에서만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방울 응집, 김서림 현상 발생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은 공기가 이동하기 힘들고, 동일한 압력이 가해진다고 보면, 정지한 공기에 비해 이동하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섬도를 가진 부분을 통과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공기층의 내부 공기압은 높아지고, 외부로 공기를 방출하려 하는데, 내부 공기층과 직접 닿는 부분에서 제 1공기터널(66, 67) 부분은 섬도가 높고, 제 2공기터널(68, 69) 부분은 상대적으로 제 1공기터널(66, 67)에 비해 섬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층의 공기는 제 2공기터널(68, 69) 방향으로 진행하기가 더 쉬울 수 있다. 비록 제 2공기터널(68, 69)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섬도가 높지만, 이동하던 공기는 상대적으로 정지 상태의 공기에 비해 섬도가 높은 부분이라도 통과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는 제 2공기터널(68, 69) 방향으로 진행하기가 용이하다.
반대로,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공기층의 공기압이 낮아져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층으로 유입되려 하고, 외부와 직접 맞닿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섬도를 가진 제 1공기터널(66, 67)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더 쉬워, 내부렌즈(30)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습도 높은 공기가 공기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더블렌즈 고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의 더블렌즈 고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의 더블렌즈 유닛(10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더블렌즈 고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12의 더블렌즈 고글에 사용되는 더블렌즈 유닛(100)은 상기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더블렌즈 유닛(100)이 적용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렌즈 고글은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20),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40), 상기 외부 가스켓(40)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10), 상기 외부렌즈(10)와 상기 외부 가스켓(40)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상기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60),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50), 및 상기 내부 가스켓(50)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미도시)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유닛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렌즈 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글 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고글 프레임(300)은 상기 더블렌즈 유닛의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21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됨에 의해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가스켓(40)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은, 내부 가스켓(50)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과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외부 가스켓(40)과 내부 가스켓(50) 내측 개구부 영역은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공기층 외부 중 상기 고글 프레임(300)의 개구부 내측에 존재하는 영역들은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됨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글 프레임(300)은 양 측면으로 고글 프레임(30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고정부(220)가 형성될 수 있고, 밴드 고정부(220)에는 더블렌즈 고글을 사용자가 착용하기 쉽도록 밴드(40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고글 프레임(300)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눈으로 외부의 눈(Snow)이나 비, 바람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폼(foam) 형태의 프레임 폼(미도시)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프레임 폼은 사람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거나 사용자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 고글 프레임(300) 자체가 탄성재질로 형성되면서 사용자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더블렌즈 고글을 착용하고 밴드(400)로 안면에 밀착시키면, 사용자의 안면부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글 프레임(300)은 상기 외부렌즈(10)와 접하는 위치의 최외각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글 프레임 라인(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외부렌즈(10)는 더블렌즈 유닛 상에서 다른 구성들에 비해 면적이 넓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수분이 사용자의 안구나 내부 소자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최외각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글 프레임 라인(200)에 의해 외부렌즈(10)와 고글 프레임(300) 간의 유격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에 의한 오염이나 수분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 고정부(220), 프레임 폼(미도시) 및 밴드(400) 등과 기타 더블렌즈 고글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홈(210)은 상기 고글 프레임(300)의 개구부 내측에 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프레임(20)이 결합, 고정되도록 하여 고글 프레임(300) 상에 더블렌즈 유닛이 결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10)은 고글 프레임(300)의 개구부 내측에서 폐곡선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더블렌즈 유닛이 결합된 후 렌즈 프레임(20)에 의해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의 영역과 내부렌즈(30)와 렌즈 프레임(20)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20)은 렌즈 프레임(20)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외부 가스켓(40)과 접하지 않으면서 외부렌즈(10)와 이격되고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미 더블렌즈 유닛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1돌출영역에 의해 외부 가스켓(40)의 외부 영역에서 렌즈 프레임(20)과 외부렌즈(10) 사이에 공간이 생겨 외부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외부렌즈(10)와 내부렌즈(30) 사이의 공기층 내외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더블렌즈 유닛(100)의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제 1돌출영역은 외부 가스켓(40)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홈(210)이 고글 프레임(300)의 개구부 내측에서 폐곡선 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돌출영역이 결합홈(210)에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20)은 렌즈 프레임(20)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20)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내부 가스켓(20)과 접하지 않으면서 내부 가스켓(20)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프레임(20)의 제 2돌출영역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고글 프레임(300)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렌즈 프레임(20)과 사용자 안면 사이의 영역과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간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 안면 근방의 수분이 많은 공기가 외부렌즈(10)와 렌즈 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공기터널(6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제 1돌출영역과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일부 부분만이 돌출되어 고글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돌출영역과 상기 제 2돌출영역은 폐곡선의 형상이나 이들 중에서도 상기 결합홈(210)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이 별도로 존재하여 더블렌즈 유닛이 고글 프레임(300)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글 프레임(300)의 개구부(210)는 상기 외부렌즈(10)에서 상기 내부렌즈(30) 방향으로 향할수록 개구부의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수평단면의 형상이면서 점차 축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렌즈(10)가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넓게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미관을 우수하게 할 수 있고, 내측, 즉 사용자의 안면에 가까이 갈수록 보다 조밀하게 되어 외부 오염물질나 수분이 사용자 안구나 안면 근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렌즈(30)와 사용자 안면 근방의 수분을 많이 함유한 공기가 외부렌즈(10) 근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안면 근방의 개구부 면적을 상대적으로 좁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으로 밀착할 수 있는 고글 프레임(300)의 면적을 확보하여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V: 사용자의 눈
10: 외부렌즈
20: 렌즈 프레임
30: 내부렌즈
40: 외부 가스켓
50: 내부 가스켓
60, 61, 62, 63, 64, 66, 67: 제 1공기터널
68, 69: 제 2공기터널
100: 더블렌즈 유닛
200: 고글 프레임 라인
210: 결합홈
220: 밴드 고정부
300: 고글 프레임
400: 밴드
10: 외부렌즈
20: 렌즈 프레임
30: 내부렌즈
40: 외부 가스켓
50: 내부 가스켓
60, 61, 62, 63, 64, 66, 67: 제 1공기터널
68, 69: 제 2공기터널
100: 더블렌즈 유닛
200: 고글 프레임 라인
210: 결합홈
220: 밴드 고정부
300: 고글 프레임
400: 밴드
Claims (17)
-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렌즈와 이격되고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2개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상기 외부렌즈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터널은 상기 외부렌즈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2개 이상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공기셀로 구성되는 폼(foam)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프레임과 상기 내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내부 가스켓과 상기 내부렌즈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공기터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공기터널은 내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고, 상기 제 2공기터널은 외측으로 갈수록 섬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렌즈의 수평단면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의 수평 단면은 모두 커버되고,
상기 내부렌즈의 수평단면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최외각 라인이 형성하는 수평면에 의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출영역은 상기 외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유닛. -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유닛;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렌즈 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글 프레임은 상기 더블렌즈 유닛의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외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렌즈와 이격되고 마주하는 제 1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글 프레임의 개구부 내측에 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프레임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출영역은 상기 외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 내측에 개구가 형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 가스켓, 상기 외부 가스켓의 일면에 접착된 외부렌즈,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외부 가스켓 사이 또는 상기 외부 가스켓과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에 섬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공기터널, 상기 렌즈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 가스켓, 및 상기 내부 가스켓의 타면에 접착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유닛;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렌즈 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글 프레임은 상기 더블렌즈 유닛의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상기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에서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는 영역과, 상기 내부 가스켓과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곡선의 바깥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제 2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돌출영역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글 프레임의 개구부는 상기 외부렌즈에서 상기 내부렌즈 방향으로 향할수록 개구부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외부렌즈와 상기 렌즈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가스켓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은, 상기 내부 가스켓의 내측 개구부 외의 영역과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렌즈 고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500A KR102080059B1 (ko) | 2018-08-06 | 2018-08-06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PCT/KR2018/009145 WO2019107702A1 (ko) | 2017-11-29 | 2018-08-10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500A KR102080059B1 (ko) | 2018-08-06 | 2018-08-06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140A KR20200016140A (ko) | 2020-02-14 |
KR102080059B1 true KR102080059B1 (ko) | 2020-02-21 |
Family
ID=6951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500A KR102080059B1 (ko) | 2017-11-29 | 2018-08-06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059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9489B1 (ko) * | 2000-02-22 | 2006-10-26 |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고글 |
KR100775605B1 (ko) * | 2006-06-27 | 2007-11-13 |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 고지대용 고글 |
US20110258758A1 (en) | 2010-04-22 | 2011-10-27 | Salomon S.A.S. | Protective mask for the practice of outdoor sports |
US20140033408A1 (en) | 2012-08-03 | 2014-02-06 | Dye Precision, Inc. | Sport goggle with quick release lens |
KR101462106B1 (ko) * | 2014-04-14 | 2014-11-17 |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 더블 렌즈프레임 |
WO2016123119A1 (en) | 2015-01-27 | 2016-08-04 | Abominable Labs, Llc | 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
KR101888645B1 (ko) * | 2017-11-29 | 2018-08-14 | 주식회사 스포컴 | 더블렌즈 고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615B1 (ko) | 2015-06-29 | 2017-02-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인서트를 구비한 실린더블록 워터자켓 구조 |
-
2018
- 2018-08-06 KR KR1020180091500A patent/KR1020800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9489B1 (ko) * | 2000-02-22 | 2006-10-26 |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고글 |
KR100775605B1 (ko) * | 2006-06-27 | 2007-11-13 |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 고지대용 고글 |
US20110258758A1 (en) | 2010-04-22 | 2011-10-27 | Salomon S.A.S. | Protective mask for the practice of outdoor sports |
US20140033408A1 (en) | 2012-08-03 | 2014-02-06 | Dye Precision, Inc. | Sport goggle with quick release lens |
KR101462106B1 (ko) * | 2014-04-14 | 2014-11-17 |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 더블 렌즈프레임 |
WO2016123119A1 (en) | 2015-01-27 | 2016-08-04 | Abominable Labs, Llc | 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
KR101888645B1 (ko) * | 2017-11-29 | 2018-08-14 | 주식회사 스포컴 | 더블렌즈 고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140A (ko) | 2020-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20276B1 (en) | Protective eyewear | |
US6119276A (en) | Sport goggle | |
US7182460B2 (en) | Radically shaped lenses and goggle assemblies and glasses employing same | |
US6665885B2 (en) | Goggles | |
US8356895B2 (en) | All weather sport goggle | |
US6601240B2 (en) | Goggles | |
US20120137398A1 (en) | Outer lens for goggles | |
US8303109B2 (en) | Eyewea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1532558B1 (ko) | 김서림방지용 마스크 | |
CZ294971B6 (cs) | Ochranný kryt tváře | |
EP0864113A1 (en) | Sport sunglasses resistant to fogging | |
US20110296596A1 (en) | Skiing goggle frame with ventilation structure | |
US6450639B1 (en) | Fog-free protective glasses, goggles, and non-protective glasses | |
AU2016226531B2 (en) | Eyewear frame having vents | |
TWI717545B (zh) | 保護眼鏡 | |
US5718002A (en) | Hearing protective eyewear | |
US20220082869A1 (en) | Eyewear Having Multidirectional Venting | |
KR102080059B1 (ko) | 압력평형 더블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더블렌즈 고글 | |
KR101888645B1 (ko) | 더블렌즈 고글 | |
US20060059608A1 (en) | Ventilated eyewear | |
KR100775605B1 (ko) | 고지대용 고글 | |
KR102313737B1 (ko) | 통기구를 구비하고 밴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고글 | |
KR102405540B1 (ko) |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 |
CN217181360U (zh) | 具有导水槽的镜框及包括其的滑雪镜 | |
DE102005006087B4 (de) | Sturzhel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