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12B1 - 광고용 면발광 채널 - Google Patents

광고용 면발광 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12B1
KR102078612B1 KR1020180120509A KR20180120509A KR102078612B1 KR 102078612 B1 KR102078612 B1 KR 102078612B1 KR 1020180120509 A KR1020180120509 A KR 1020180120509A KR 20180120509 A KR20180120509 A KR 20180120509A KR 102078612 B1 KR102078612 B1 KR 10207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rging
light
light emitting
advertis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8012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09F2013/044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채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 기능 향상 및 상기 발광부를 수용하는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발광 채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고용 면발광 채널{LUMINESCENCE CHANNEL OF PLANE TYPE FOR ADVERTISING}
본 발명은 광고용 면발광 채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 기능 향상 및 상기 발광부를 수용하는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광고용 면발광 채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lighting ; 照明)은 여러 종류의 광원을 사용해 시각적 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기술을 총칭하며, 그 중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엘이디 조명(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 發光-照明)은 전기로 빛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를 이용한 조명으로서, LED의 발광 원리를 이용하여 색의 기본 요소인 적색, 녹색, 청색에 백색까지 다양한 색의 빛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엘이디는 백색의 개발로 인해 일반 조명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 조명 기구보다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수명도 길며 형광등처럼 수은 등 유해 물질이 전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조명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엘이디 조명은 조명 그 자체는 물론이고 시인성이 우수하여 광고용 발광 채널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광고용 발광 채널은 평면 또는 입체 문자 또는 문양을 통해 상호나 상품명 등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물들은 평면에 인쇄된 시트형태의 배면에서 엘이디 빛을 조사하는 것보다 다양한 문양이나 글자 형태의 입체형 금속 또는 합성수지 채널의 내부에 배치되어 엘이디 빛을 조사하면 전면에 배치된 표식판에 그 빛이 전달되어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용 입체 다면발광 채널에 관한 기술은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분야와 관련한 연구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9,791호 '입체형 광고문자'에서는 한글, 영문 등 하나의 형태를 갖는 배면판넬과, 이 배면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는 격벽판넬과, 이 격벽판넬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배면판넬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전면판넬과, 상기 배면판넬의 중앙에 장착되어 전면판넬에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 발광부 및 상기 전면판넬에 부착되는 시트지 또는 인쇄로 이루어지는 표시층을 테두리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69,097호에서는 한글, 영문 등 하나의 형태를 갖는 배면판넬과, 이 배면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는 격벽판넬과, 이 격벽판넬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배면판넬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아크릴 소재의 전면판넬과, 상기 배면판넬의 중앙에 장착되어 전면판넬에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광고용 입체 문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의 내측면에 접하여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빛 확산용 확산판을 마련하고, 상기 전면판넬의 내측면 테두리 내외측 부분에 근접한 위치에 문자의 형태를 나타내는 라인홈을 관통되지 않고 표면에 근접하도록 가공 형성하여 상기 확산판으로부터 고르게 전달된 빛이 라인홈으로 더 밝게 투과되어 명암이 발생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면발광 채널은 내부의 조명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선전 또는 광고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광고용 문자 또는 문양의 전면으로만 대부분 발산시키는 것이어서, 다양한 색상으로 입체적인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선된 엘이디 조명장치의 종래기술을 예로 들자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9005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7864호(이하 문헌2이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문헌1은 한쪽 면이 시공 면에 부착되는 배면패널,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한 커버부재 및 상기 배면패널의 다른 쪽 면의 일 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 빈 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면발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고용 입체 면발광 채널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 공간 중 수분이 고일 수 있는 부분인 커버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배면패널의 하부 지점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패널은 광원부가 부착되어 있는 면의 가장자리와 광원부 사이에 면발광 채널 내부의 수분이 응집된 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라인의 말단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패널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라인은 높이가 적어도 광원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패널은 시공 면에 고정나사에 의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되, 원활한 배수를 위해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광고용 입체 면발광 채널이다.
한편, 상기 문헌2는 광원부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 및 측방으로 면발광을 발생시키는 전면 LED 모듈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상기 배면패널 방향으로 면발광을 발생시키는 후면 LED 모듈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은 지지판을 경계로 분획된 채널 내부 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지지판을 통과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패널은 커버부재와 결합되는 쪽 면에 내측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의 후면 LED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 공간의 내부 측벽에 상기 돌출부가 밀착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 중 광원부의 후면 LED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의 바닥면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패널의 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의 사이에 상기 광원부의 지지판의 가장자리부분이 밀착 삽입되어 고정되는 광고용 입체 다면 발광 채널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1은 커버부재 방향으로만 광원부의 빛이 발산되므로 빛의 발산의 다각화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1은 배면패널과 커버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환턱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라인을 타고 흘러내려 하방의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급격하게 많은 양이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가이드라인을 넘어 광원부로 유입되어 전기적 회로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러하지 않더라도 내외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습기가 광원부의 전기적 회로 부분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문헌2는 LED 모듈이 지지판 전면과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부재 전면과 배면패널 후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양방향으로 빛을 발산함에 있어 지지판 양측에 LED 모듈이 배치됨으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열 발생이 많아 고열에 의해 LED 모듈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통기공이 배면패널 후방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승하게 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열 방출 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문헌1,2는 배면패널과 커버부재를 접착제로 접착 고정시키게 되므로 광원부(LED 모듈)가 손상된 경우 배면패널과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면발광 채널 전체를 교체함으로 인해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광고용 면발광 채널과 관련된 선행 문헌의 예는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9005호(명칭 : 광고용 입체 면발광 채널 ; 출원일 : 2014년 05월 28일)
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7864호(명칭 : 광고용 입체 다면발광 채널 ; 출원일 : 2015년 03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 기능 향상 및 상기 발광부를 수용하는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발광 채널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고정된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를 포함한 발광 채널에 있어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이 마련된 제1발산부; 내부공간 형성용 환턱이 외곽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환턱이 상기 제1발산부와 면 밀착되며,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이 마련된 제2발산부; 전원공급패턴이 형성된 라인 타입의 PCB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는 투명체이거나 반투명체이거나 동일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산부 또는 제2발산부의 측면 부분에 발광부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키는 광차단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발산부에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배출경로 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산부의 발광부와 대응되는 내측 면 또는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외측 면 모두에 온도 변화 또는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변색되면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변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결합은 제2발산부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의 면에 끼워지는 나사, 볼트, 고정핀을 포함한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표면에 방수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발산부의 외부면에 방열수단이 더 마련되거나, 상기 제2발산부의 면이 천공되고 일측 면에 발광부가 면접된 방열수단이 상기 천공된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산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재질 또는 투명도 또는 색상 또는 돌출/함몰 높이를 달리하는 광발산부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가 접하는 부위의 구조가 홈과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평면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아크릴 또는 기타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에 홈과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가공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종래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를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또는 동일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 중 어느 하나로 제조함으로써,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조합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산 표출시키도록 하는 호환성 내지 선택의 폭 확장성과 관련하여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 또는 제2발산부에 마련된 광차단수단을 통해, 측면 부분에서 발광부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킴으로써,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 또는 제2발산부에 마련된 광차단수단을 통해, 측면 부분에서 발광부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킴으로써, 제1발산부의 전면으로 빛이 집중 발산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저전력으로 조도를 증대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발산부에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배출경로 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통공을 형성하되, 높이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제2발산부의 면 또는 테두리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면과 테두리 부분 모두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내부의 온도 편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내/외부로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열교환 내지 열방출 효율을 증대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의 발광부와 대응되는 내측 면 또는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외측 면 모두에 변색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온도 변화 또는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변색되면서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이들을 통과하면서 주위 환경에 따라 다채롭게 변화되도록 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결합을 제2발산부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의 면에 끼워지는 나사, 볼트, 고정핀을 포함한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겉이 접착 고정하는 구조에 비해 발광부의 손상이 있을 경우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 표면에 방수부재가 도포 또는 코팅 또는 적층 고정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내지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에 의해 발광부 내지 전기적 회로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재질 또는 투명도 또는 색상 또는 돌출/함몰 높이를 달리하는 광발산부재를 더 마련함으로써, 제1발산부 전면에서 발산되는 빛의 다양성 내지 입체적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상기 제2발산부의 외부면에 방열수단을 더 마련하거나, 특히 상기 제2발산부의 면을 천공하고 일측 면에 발광부가 면접된 방열수단을 상기 천공된 부분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제1,2발산부가 동일한 색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제1,2발산부가 상이한 색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형적 구성(제1발산부에 광차단수단 적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다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또 다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또 다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다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광고용 면발광 채널(10)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정된 발광부(13)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를 포함한 발광 채널(10)에 있어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14)이 마련된 제1발산부(11); 내부공간 형성용 환턱(12a)이 외곽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환턱(12a)이 상기 제1발산부(11)와 면 밀착되며, 상기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14)이 마련된 제2발산부(12); 전원공급패턴이 형성된 라인 타입의 PCB(13a)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13b)을 포함하는 발광부(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체이거나 반투명체이거나 동일한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이 부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색상을 동일한 노란색 반투명체로 하여 발산되는 빛이 기본적으로 노란색을 띠도록 할 수 있고,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산부(11)의 색상은 노란색 반투명체로 하고 제2발산부(12)의 색상은 빨간색 반투명체러 하여 발산되는 빛이 노란색이 주된 빛을 발산하면서 빨간색이 테두리를 이루며 보조적인 빛을 발산하도록 하며,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색상을 동일한 노란색 반투명체로 하여 발산되는 빛이 기본적으로 노란색을 띠도록 하되, 제1발산부(11)의 면을 제외한 측면 부분을 검정색의 광차단수단(15)으로 차단하여, 상기 광차단수단(15)을 경계로 하여 제1발산부(11)의 면과 제2발산부(12)의 측면에서 발산되는 노란 빛이 마치 독립적이면서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를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또는 동일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 중 어느 하나로 제조함으로써, 발광부(13)에서 발생된 빛을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조합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산 표출시키도록 하는 호환성 내지 선택의 폭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 또는 제2발산부(12)에 마련된 광차단수단(15)을 통해, 측면 부분에서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킴으로써,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발광부는 표면에 방수부재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부재는 방수제가 도포 또는 코팅 또는 적층 고정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방수제는 방수도료 또는 방수필름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13) 표면에 방수부재가 도포 또는 코팅 또는 적층 고정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내지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에 의해 발광부 내지 전기적 회로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1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7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1발산부(11)의 측면 부분에는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 또는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키는 광차단수단(15)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차단수단(15)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 광차단 도료 또는 테이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산부(11) 또는 제2발산부(12)에 마련된 광차단수단(15)을 통해, 측면 부분에서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킴으로써, 직접/간접 조명은 물론 빛의 투과 여부 내지 정도에 따라 다채로우면서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 또는 제2발산부(12)에 마련된 광차단수단(15)을 통해, 측면 부분에서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킴으로써, 제1발산부(11)의 전면으로 빛이 집중 발산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저전력으로 조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발산부(11)의 측면은 양측에 위치한 면과 직각(미도시)을 이루거나 경사각(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빛의 발산 방향과 각도를 다각화하여 하나의 발산체에서 다채로운 빛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발산부(12)의 환턱(12a)에도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키는 광차단수단(15)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발산부(12)의 환턱(12a) 역시 면과 직각을 이루거나 경사각(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수단(15)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 광차단 도료 또는 테이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발산부(11)의 기능 및 작용을 동일하게 얻어낼 수 있으며, 복합적으로 더욱 입체적인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발산부(12)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배출경로 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통공(12b)이 더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12d)은 발광부(13)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내부의 온도 편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높이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제2발산부(12)의 면 또는 테두리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면과 테두리 부분 모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발산부(12)에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배출경로 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통공을 형성하되, 높이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제2발산부(12)의 면 또는 테두리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면과 테두리 부분 모두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형성함으로써,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13)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내부의 온도 편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내/외부로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열교환 내지 열방출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인 발광 채널(10)의 좌측 부분의 발광부(13)에서 발생된 열의온도가 더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해당부분에 압력이 증대하여 좌측 부분에 위치한 통공(12b)을 통해 열이 방출되고, 이에 따라 우측 부분에 위치한 통공(12b)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좌측 방향의 통공(12b)으로 배출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되면서 열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열 방출은 상기 통공(12b)의 위치 및 높이가 좌측과 우측이 상이하게 형성되었을 경우 더욱 효율이 증대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6은 상기 제2발산부(12)에 형성된 통공(12b)이 제1발산부(11)에 별도 형성된 통공(11b)과 연통되어, 상기 제1발산부(11)의 배면 방향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제1발산부(11)가 두꺼운 것일 수 있으나, 반듯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산부(12)의 두께가 제1발산부(11)와 동일하거나 더 두꺼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발산부(12)로 빛이 발산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2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8 내지 도 10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1발산부(11)의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내측 면(도 8) 또는 외측 면(도 9) 또는 내측 면과 외측 면 모두(도 10)에 온도 변화 또는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변색되면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변색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변색수단(16)은 온도 또는 자외선의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도료가 도포되거나 필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의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내측 면 또는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외측 면 모두에 변색수단(16)을 마련함으로써, 발광부(13)에서 발산되는 빛이 온도 변화 또는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수단(16)을 통과하면서 다채롭게 변화되면서 발산된다.
참고로, 상기 변색수단(16)의 예로 감온안료를 들 수 있으며, 감온안료의 색상은 상온(즉, 현재의 외기온도)를 중심으로 색 변환이 발생한다.
현재 온도가 25℃ 이고 색소의 표시 색상이 [25℃ 레드]라면,
레드 ← 25℃ 보다 낮은 온도 25℃ 25℃보다 높은 온도 → 투명
과 같이 된다.
따라서 색소에 정해진 온도가 상온보다 높게(즉 40℃, 50℃ 등)이면 대기의 상온에서는 색이 보이다가 40℃ 또는 50℃로 가열되면 색이 없어지며, 저온용인 경우에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색 변환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온에서는 무색으로 보이다가 색소에 정해진 온도(즉 0℃, 5℃ 등)만큼 냉각이 되면 색이 나타나게 된다.
예컨대, 31℃의 레드를 예를 들 경우, 현재 외기가 25℃ 라면 색소는 31℃ 레드 색소는 그대로 레드로 나타나고, 온도가 올라가서 31℃가 되면 레드 색소는 무색으로 변한다.
상기와 같이 변화하는 변색수단(16)의 색상에 따라 발광부(13)에서 발생된 빛의 발산 색이 다채롭게 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실시예3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11 및 도 12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결합은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산부(12)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11)의 면에 끼워지는 나사, 볼트, 고정핀을 포함한 고정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의 결합을 제2발산부(12)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11)의 면에 끼워지는 나사, 볼트, 고정핀을 포함한 고정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13)의 손상이 있을 경우 용이한 해체 작업을 통해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7)은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산부(12)의 면을 관통하거나 제2발산부(12)의 외곽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턱(12a)을 관통하여 제1발산부(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고정수단(17)이 제1발산부(11)의 면 부분에 끼워질 경우, 빛의 투과 깊이 차이 내지 그림자 현상으로 인해 발산되는 빛에 음영(어둡고 밟은 편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7)은 제2발산부(12)의 면을 관통하여 발광부(13)를 거쳐 제1발산부(11)의 면에 끼워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발광부(13)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구조 내지 조립작업이 간소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4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13 및 도 14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2발산부(12)의 외부면에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면에 방열핀 또는 방열 리브가 형성된 방열수단(18)이 더 마련된 것(도 13)일 수도 있으며,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산부(12)의 면이 천공되고 일측 면에 발광부(13)가 면접된 방열수단(18)이 상기 천공된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 것(도 14)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열수단(18)의 제2발산부(12)에 대한 고정은 관통하는 고정수단(17)이 제1발산부(11)에 끼워짐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발산부(12)의 외부면에 방열수단(18)을 더 마련하거나, 특히 상기 제2발산부(12)의 면을 천공하고 일측 면에 발광부(13)가 면접된 방열수단을 상기 천공된 부분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7)은 광원부(1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수단(18)으로 직접 열전도를 통해 유도하여 신속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5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15 내지 도 17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1발산부(11)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재질 또는 투명도 또는 색상 또는 돌출/함몰 높이를 달리하는 광발산부재(19)가 더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발산부재(19)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도형을 포함한 캐릭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발산부재(19)는 제1발산부(11)의 외부면 중앙에 마련(도 16)될 수도 있고 제1발산부(11)의 외부면 전체에 마련(도 17)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발산부(11)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재질 또는 투명도 또는 색상 또는 돌출/함몰 높이를 달리하는 광발산부재(19)를 더 마련함으로써, 제1발산부(11) 전면에서 발산되는 빛의 다양성 내지 입체적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광발산부재(19)가 제1발산부(11)의 면 중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중앙에 마련될 경우, 테두리 부분에서 직접 발산되는 빛과 사익 광발산부재(19)를 거쳐 발산되는 빛의 조도 차이 내지 색상 차이로 더욱 입체적인 조명 내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실시예6에 따르면(첨부 도면 도 18 참조),
본 발명 중 상기 제2발산부(12)의 면에는 첨부 도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O)과 간격을 두고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스(1)가 더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스(1)는 설치대상(O)과 간격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2발산부(12)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11)에 끼워지는 수나사1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대상(O)에 결합되는 수나사2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1)는 설치대상(O)과 간격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2발산부(12)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11)에 끼워지는 수나사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대상(O)에서 돌출된 수나사가 끼워져 결합되는 암나사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발산부(11)에서 발산되는 직접 조명과 제2발산부(12)의 측면에서 발산되는 직접 조명(제1발산부와 조도차이) 및 제2발산부(12)의 후면에서 발산되는 빛이 설치대상(O)에 반사되어 비추는 간접 조명이 다채로운 빛을 연출시켜 시각적 미각적 미감을 더욱 증대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광고용 면발광 채널 11 : 제1발산부
12 : 제2발산부 13 : 광원부
14 : 광확산수단 15 : 광차단수단
16 : 변색수단 17 : 고정수단
18 : 방열수단 19 : 광발산부재
1 : 보스

Claims (17)

  1. 내부에 고정된 발광부(13)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발산부(11)와 제2발산부(12)를 포함한 발광 채널(10)에 있어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14)이 마련된 제1발산부(11); 내부공간 형성용 환턱(12a)이 외곽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환턱(12a)이 상기 제1발산부(11)와 면 밀착되며, 상기 발광부(13)와 대응되는 면에 광확산수단(14)이 마련된 제2발산부(12); 전원공급패턴이 형성된 라인 타입의 PCB(13a)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13b)을 포함하는 발광부(13);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발산부(11) 또는 제2발산부(12)의 측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1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발산량을 제한하고 내부로 반사 확산시키는 광차단 도료 또는 테이프를 포함한 광차단수단(15); 및
    상기 제2발산부(12)의 면이 천공되고, 상기 천공된 부분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면에 발광부(13)가 면접된 방열수단(18); 을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는 투명체이거나 반투명체이거나 동일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이 부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발산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배출경로 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내부의 온도 편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높이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제2발산부의 면 또는 테두리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면과 테두리 부분 모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산부의 발광부와 대응되는 내측 면 또는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외측 면 모두에 온도 변화 또는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변색되면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변색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산부와 제2발산부의 결합은 제2발산부를 관통하여 제1발산부의 면에 끼워지는 나사, 볼트 또는 고정핀을 포함한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제2발산부의 면을 관통하거나 제2발산부의 외곽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턱을 관통하여 제1발산부에 끼워져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제2발산부의 면을 관통하여 발광부를 거쳐 제1발산부의 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표면에 방수부재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방수제가 도포 또는 코팅 또는 적층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방수도료 또는 방수필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의 제2발산부에 대한 고정은 관통하는 고정수단이 제1발산부(11)에 끼워짐에 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산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재질 또는 투명도 또는 색상 또는 돌출/함몰 높이를 달리하는 광발산부재가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면발광 채널.
  17. 삭제
KR1020180120509A 2018-10-10 2018-10-10 광고용 면발광 채널 KR10207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09A KR102078612B1 (ko) 2018-10-10 2018-10-10 광고용 면발광 채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09A KR102078612B1 (ko) 2018-10-10 2018-10-10 광고용 면발광 채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12B1 true KR102078612B1 (ko) 2020-02-18

Family

ID=6963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509A KR102078612B1 (ko) 2018-10-10 2018-10-10 광고용 면발광 채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12B1 (ko) * 2021-05-27 2022-10-27 이병철 광고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640A (ko) * 2013-12-03 2015-06-11 주은만 블랙 라이트 광고문자
KR101626724B1 (ko) * 2015-10-06 2016-06-01 안의선 입체형 엘이디 간판용 조명수단
KR101686383B1 (ko) * 2016-06-10 2016-12-29 주식회사 우리은행 간판용 조명장치
JP6379185B2 (ja) * 2014-05-14 2018-08-22 株式会社ダイカン 意匠性発光装置
KR20180103774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가온커뮤니케이션 조명 간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640A (ko) * 2013-12-03 2015-06-11 주은만 블랙 라이트 광고문자
JP6379185B2 (ja) * 2014-05-14 2018-08-22 株式会社ダイカン 意匠性発光装置
KR101626724B1 (ko) * 2015-10-06 2016-06-01 안의선 입체형 엘이디 간판용 조명수단
KR101686383B1 (ko) * 2016-06-10 2016-12-29 주식회사 우리은행 간판용 조명장치
KR20180103774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가온커뮤니케이션 조명 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12B1 (ko) * 2021-05-27 2022-10-27 이병철 광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4526A1 (en) Integrated sign illumination system
TWI427341B (zh) 顯示裝置、其製造方法、圖案顯示方法、遮蔽裝置及遮蔽方法
JP6590935B2 (ja) エンブレムを照明するための光アセンブリ
KR101480423B1 (ko) 엘이디(led)를 이용한 광고 패널
JP2010525541A (ja) 導光板照明装置
KR102078612B1 (ko) 광고용 면발광 채널
KR101867372B1 (ko) 입체형 엘이디 간판
CN109506165A (zh) 画相铺光装置
KR20120118534A (ko) 측면 발광 광고장치
KR200449250Y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KR20070051079A (ko) 스크래치보드 광고판
JP2016061931A (ja) 切り文字led看板
KR101757864B1 (ko) 광고용 입체 다면발광 채널
KR101026412B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KR20170001886U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KR200315268Y1 (ko) 풀 컬러 싸인 보드의 패널구조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KR102459812B1 (ko) 광고판
KR102235879B1 (ko) 광고용 면 발광 채널
KR20070076790A (ko) 엘이디의 조도 향상을 위한 렌즈
CN211858037U (zh) 一体式夹层发光标识
KR200230937Y1 (ko) 발광다이오드와 아크릴을 이용한 광고장치
CN103672725A (zh) 照明用罩以及照明装置
KR101357080B1 (ko) 용적발광형 조명장치
KR200290835Y1 (ko) 발광수단이 매립된 광고용 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