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42B1 -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42B1
KR102078242B1 KR1020190087918A KR20190087918A KR102078242B1 KR 102078242 B1 KR102078242 B1 KR 102078242B1 KR 1020190087918 A KR1020190087918 A KR 1020190087918A KR 20190087918 A KR20190087918 A KR 20190087918A KR 102078242 B1 KR102078242 B1 KR 10207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exhaust gas
nitrogen oxide
blower
nitrogen ox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화
김종훈
김치관
Original Assignee
대림로얄이앤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로얄이앤피(주) filed Critical 대림로얄이앤피(주)
Priority to KR102019008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42B1/ko
Priority to CN202010685431.1A priority patent/CN11224056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6Flue or fire tubes; Accessories therefor, e.g. fire-tube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37NO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 G01P5/1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using Pitot tubes, e.g. Machmeter
    • G01P5/165Arrangements or constructions of Pito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3Measuring NOx content in flue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산업용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회전하는 송풍기,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모터, 연소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연도, 및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포함하며,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는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된 저장부, 배출연도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녹스 센서부, 및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보일러의 부하량을 결정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부하별 배기가스의 유량 중 결정된 보일러의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의 유량 및 녹스 센서부에서 감지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Industrial bioler having auto measuring apparatus to measure exhaust amount of introgen oxides}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보일러의 용량 및 부하량에 따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나 초 미세먼지와 같이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대기 오염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국가에서는 사업장 총량관리제를 시행하여 대기 오염물질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사업장 총량관리제는 오염물질 별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량을 산정한 후 사업장 별로 배출량을 할당하여 그 범위 내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하지만, 총량관리제는 질소산화물 뿐만 아니라 황산화물이나 먼지 등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오염물질을 다량으로 배출하는 대규모 사업장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사업장들은 굴뚝에 자동측정장치(TMS;Tele-Monitoring System)를 설치하여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측정하고 있다.
자동측정장치는 먼지,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암모니아 등 7개 오염물질을 각각의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해 이를 관제센터의 주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24시간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부착대상이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일정용량 이상의 배출시설이고 데이터 링크 등의 전산화가 필요하며 비용이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그 사용은 극히 제한적이다.
대기 오염물질 중 질소산화물은 그 자체로서 독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햇빛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 등을 생성하여 초 미세먼지의 원인이 됨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2020년부터 환경부는 질소산화물에 대해 일정 이상 배출할 경우 대기배출 부과금을 도입하는 등 관리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대규모 사업장뿐만 아니라 그간 규제에서 제외된 중소사업장에 대한 질소산화물 배출량 파악 및 배출 기준도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측정은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측정에 따른 고가 장비의 설치나 계측기계 운영 등의 문제점 때문에 일부 대규모 사업장과 연구실 등에서나 이루어져 왔을 뿐 산업현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까지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하거나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이 일부 연구단계에서만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강화되는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기준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산업용 보일러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산업현장에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361호(2018. 07. 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및 질소산화물 자동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산업용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회전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모터;
연소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연도; 및
상기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과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배출연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녹스 센서부;
상기 배출연도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는 외부 유속 측정장치가 연결되는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로 보고서 형태로 표시되는 터치 패널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부하별 배기가스의 유량 중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 배기가스의 유량 또는 상기 외부 유속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산출된 배기가스 유량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기가스 유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기가스 유량, 상기 녹스 센서부에서 감지된 질소산화물의 농도 및 상기 산업용 보일러의 가동시간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및 질소산화물 자동 측정방법에 의하면,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배기가스 유량 및 측정된 질소산화물 농도를 이용하여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여 배기가스 유량을 산출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필요에 따라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하여 강화되는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기준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및 질소산화물 자동 측정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는 연료 공급관(10), 버너부(20), 송풍기(30), 모터(40), 보일러부(50), 배출연도(60), 및 컨트롤 장치(100)를 포함한다. 컨트롤 장치(100)는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 녹스 센서부(120), 저장부(130), 터치 패널부(170), 통신부(190), 및 컨트롤부(150)를 포함하며, 컨트롤 박스(70) 내부에 설치되어 산업용 보일러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산업용 보일러의 구조를 살펴보면,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가 연료 공급관(10)을 통해 버너부(20)로 공급되며, 버너부(20)에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회전하는 송풍기(30) 및 컨트롤부(150)의 제어에 따라 송풍기(30)를 회전시키는 모터(40)가 설치된다. 버너부(20)에 의해 생성된 화기는 보일러부(50)에 형성되는 화기 이송 경로로 이동하면서 보일러부(50) 내에 수용되는 물 등의 열교환 매질로 열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열교환을 수행한 화기는 배출연도(60)를 통해 배기가스로 배출된다.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는 배출연도(60)의 최말단 내측에 설치되는 15A(여기서, A는 내경) 사이즈의 노즐이다.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에는 피토관(Pitot tube)(미도시)이 연결되며, 피토관에 의해 배출연도(6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이 측정된다. 이렇게 측정된 유속 데이터는 후술되는 컨트롤부(150)에 전송되며, 컨트롤부(150)는 유속을 측정한 지점에서의 단면적을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에 곱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산출한다.
녹스 센서부(120)는 배출연도(6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연도(6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부(15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녹스 센서부(120)는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세라믹(Zirconium dioxide ceramic) 방식의 녹스 센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녹스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부(130)에는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배기가스의 유량 및 질소산화물 평균 농도가 저장된다. 산업용 보일러의 배기가스 유량은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송풍기(30)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평균 배기가스 유량이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보일러의 부하량은 송풍기(30)의 회전속도로 결정되며, 송풍기(3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 부하량이 높고 송풍기(30)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 부하량이 낮다.
시운전 시 입력 사항 가동 시 실시간 자동 입력
보일러 부하량 배기가스 유량(Sm3/hr) 질소산화물 평균 농도(ppm) 가동시간(hr)
10% 38 20 0.5
~ ~ ~ ~
50% 120 15 0.5
~ ~ ~ ~
100% 300 10 1
[표 1]에는 5톤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따른 배기가스 유량과 질소산화물 평균 농도를 일실시예로 나타내었다.
산업용 보일러의 시운전 시,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에 연결된 피토관에 의해 배기가스의 유속이 측정되어 컨트롤부(150)에 전송되면, 컨트롤부(150)는 부하량별로 배기가스 유량을 산출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즉,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부(150)는 부하량이 10%인 경우 배기가스 유량은 38Sm3/hr, 부하량이 50%인 경우 배기가스 유량은 120Sm3/hr, 부하량이 100%인 경우 배기가스 유량은 300Sm3/hr으로 연산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산업용 보일러 가동 시 녹스 센서부(1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컨트롤부(150)에 의해 가동시간에 따른 질소산화물의 평균 농도로 연산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즉,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부(150)는 부하량이 10%인 경우, 30분 동안 녹스 센서부(120)를 통해 측정된 녹스 농도를 평균하여 20ppm의 질소산화물 평균 농도로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은 전체 스팀 배출량에 의해 조정되며, 컨트롤부(150)는 스팀 배출량이 많이 필요할 경우 부하량을 높이고, 스팀 배출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부하량을 낮추도록 송풍기(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스팀 배출량은 후술되는 터치 패널부(170)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후술되는 컨트롤부(150)에서 연산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더 저장되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 보고서를 생성하는 기본 데이터로 사용된다.
터치 패널부(170)에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로 보고서 형태로 표시된다.
통신부(190)는 모바일 장치(미도시)와 같은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외부장치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보고서 형태로 생성된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 질소산화물 배출량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컨트롤부(150)는 시운전 시 저장부(130)에 저장된 배기가스 유량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파악된 질수산화물의 평균 농도와 배출시간을 이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연산한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컨트롤부(150)는 송풍기(30)의 회전속도에 따라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부하별 배기가스의 유량 중 결정된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의 유량과 녹스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연산한다.
[표 1]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보일러의 부하량이 10%로 결정되는 경우, 컨트롤부(150)는 배기가스 유량을 38Sm3/hr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이렇게 선택된 배기가스 유량 및 가동시간에 따른 질소산화물 평균 농도를 아래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한다. [수학식 1]은 환경부에서 공고한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에 따른 자가측정 결과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배출량 산정 방법이다.
Figure 112019074550331-pat00001
여기서, 측정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질소산화물 평균농도에는 30분 동안 배출연도(6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평균 농도가 대입된다.
[표 1]을 참고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송풍기(30)의 회전속도에 따라 보일러의 부하량이 50%로 결정되면, 배기가스의 유량은 120Sm3/hr으로 결정되어 [수학식 1]에 적용된다. 그리고 녹스 센서부(120)를 통해 30분 동안 감지된 질소산화물의 평균 농도가 [수학식 1]에 적용되어 30분 동안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산출된다.
한편, 컨트롤부(150)는 필요시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를 통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산출된 배기가스의 유량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송풍기(3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부하량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현장 여건에 따라 배기가스 유량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를 통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배기가스의 유량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한다. 따라서, 측정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수학식 1]의 배기가스 유량에는 30분 동안 배출연도(6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적산유량이 대입되고 가동시간은 30분으로 대입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장치(100)를 통해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 보고서를 생성하는 기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먼저 컨트롤부(150)는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을 감지하여(S100),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20). 즉, 컨트롤부(150)는 송풍기(30)의 회전속도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의 부하량을 결정한 후, 결정된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저장부(130)에 감지된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S120-Y), 녹스 센서부(120)를 통해 측정된 질소 산화물 농도의 평균을 산출한 후(S140), 해당 배기가스 유량을 저장부(130)에서 선택하여 [수학식 1]의 시간단위의 배기가스 유량으로 대입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한다(S160).
저장부(130)에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120-N), 컨트롤부(150)는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를 통해 배기가스 유속을 측정하여 배기가스 유량을 산출한다(S130).
단계 S120에서, 산업용 보일러 부하량에 따른 배기가스 유량이 저장부(130)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현장 여건에 따라 배기가스 유량을 측정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터치 패널부(170)에 입력되면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110)에 연결된 피토관을 통해 배기가스 유속이 측정되고 컨트롤부(150)에서 배기가스 유량이 산출된다.
단계 S130에서, 측정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부(150)는 보일러 가동 후 30분 동안의 배기가스 적산유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부(150)는 녹스 센서부(120)를 통해 측정된 질소산화물 농도의 평균을 산출한다(S140). 이때, 가동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부(150)는 보일러 가동 후 30분 동안 녹스 센서부(120)를 통해 측정된 질소산화물 농도의 평균을 산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부(150)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160). 즉, 컨트롤부(150)는 단계 S120에서 결정된 배기가스 유량이나 단계 S130에서 산출된 배기가스 유량 및 단계 S140에서 산출된 질소산화물 농도의 평균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30분 동안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컨트롤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보고서 형태로 출력한다(S180).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터치 패널부(170)를 통해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 보고서를 표시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 보고서로 생성하여 터치 패널부(170)를 통해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개별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산출하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0 : 연료 공급관 20 : 버너부
30 : 송풍기 40 : 모터
50 : 보일러부 60 : 배출연도
70 : 컨트롤 박스 100 :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
110 :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 120 : 녹스 센서부
130 : 저장부 150 : 컨트롤부
170 : 터치 패널부 190 : 통신부

Claims (6)

  1.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회전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모터;
    연소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연도; 및
    상기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부하량에 대응되는 배기가스 유량과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배출연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녹스 센서부;
    상기 배출연도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는 외부 유속 측정장치가 연결되는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시간별, 일별, 월별, 및 연도별로 보고서 형태로 표시되는 터치 패널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부하별 배기가스의 유량 중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 배기가스의 유량 또는 상기 외부 유속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산출된 배기가스 유량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기가스 유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기가스 유량, 상기 녹스 센서부에서 감지된 질소산화물의 농도 및 산업용 보일러의 가동시간을 이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측정장치 연결부는 피토관(Pitot tube)이 연결되는 15A 사이즈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7918A 2019-07-19 2019-07-19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KR10207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18A KR102078242B1 (ko) 2019-07-19 2019-07-19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CN202010685431.1A CN112240567A (zh) 2019-07-19 2020-07-16 具有氮氧化物排放量自动测量装置的工业锅炉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18A KR102078242B1 (ko) 2019-07-19 2019-07-19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42B1 true KR102078242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918A KR102078242B1 (ko) 2019-07-19 2019-07-19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8242B1 (ko)
CN (1) CN112240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07B1 (ko) 2020-10-22 2022-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 연속자동측정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674A (ja) * 1996-09-19 1998-04-10 Noritz Corp ターボ送風機の送風量制御装置
JP2003269142A (ja) * 2002-03-12 2003-09-25 Babcock Hitachi Kk 排ガス浄化方法および装置
KR101738091B1 (ko) * 2016-08-02 2017-05-19 대림로얄이앤피(주) 실시간 보일러 배기가스 분석을 통한 공연비 및 질소산화물 제어 시스템
KR101751188B1 (ko) * 2016-10-24 2017-07-11 신국호 무동력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한 초저녹스 보일러 및 그 연소 제어 방법
JP2018115997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排ガス流量測定ユニット及び排ガス分析装置
KR101882361B1 (ko) 2018-04-17 2018-07-26 주식회사 한신비텍 배기가스 재순환과 산소 농도 제어를 이용한 능동 제어식 초 저녹스형 수관식 보일러
JP6505578B2 (ja) * 2015-10-28 2019-04-24 株式会社Soken フィルタの故障検出装置、粒子状物質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3450B2 (en) * 2014-06-09 2016-09-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estimating engine-out NOx mass flow rate
CN104102842B (zh) * 2014-07-17 2017-02-15 烟台龙源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经济性指标参数的氮氧化物排放预测方法和装置
KR101799227B1 (ko) * 2017-02-23 2017-11-17 신국호 무동력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한 초저녹스 보일러 및 그 연소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674A (ja) * 1996-09-19 1998-04-10 Noritz Corp ターボ送風機の送風量制御装置
JP2003269142A (ja) * 2002-03-12 2003-09-25 Babcock Hitachi Kk 排ガス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6505578B2 (ja) * 2015-10-28 2019-04-24 株式会社Soken フィルタの故障検出装置、粒子状物質検出装置
KR101738091B1 (ko) * 2016-08-02 2017-05-19 대림로얄이앤피(주) 실시간 보일러 배기가스 분석을 통한 공연비 및 질소산화물 제어 시스템
KR101751188B1 (ko) * 2016-10-24 2017-07-11 신국호 무동력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한 초저녹스 보일러 및 그 연소 제어 방법
JP2018115997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排ガス流量測定ユニット及び排ガス分析装置
KR101882361B1 (ko) 2018-04-17 2018-07-26 주식회사 한신비텍 배기가스 재순환과 산소 농도 제어를 이용한 능동 제어식 초 저녹스형 수관식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07B1 (ko) 2020-10-22 2022-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 연속자동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40567A (zh)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306B2 (en) Dynamic control of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system for semi-batch-fed stoker-based municipal solid waste combustion
CN102466238B (zh) 用于分析燃烧系统的运行的方法和系统
CN107152695B (zh) 基于多参量检测的加热炉可视化燃烧控制系统及控制方法
Higgins et al. Systematic measurements of OH chemiluminescence for fuel-lean, high-pressure, premixed, laminar flames
CN102103047B (zh) 一种用于烟气脱硝催化剂活性检测的方法和装置
CN107676813B (zh) 通过实时分析锅炉废气来控制空燃比和氮氧化物的系统
JP5462067B2 (ja) 廃棄物焼却プラントの運転方法
KR102078242B1 (ko) 질소산화물 배출량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보일러
WO2017085941A1 (ja) 廃棄物の燃焼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燃焼制御装置
CN204903507U (zh) 多管路切换水冷壁壁面氛围监视测量系统
JP5915849B2 (ja) Ldガスブロワーの除塵水量制御方法および除塵水量制御装置
WO2019235377A1 (ja) 燃焼設備の状態量推定方法、燃焼制御方法、及び燃焼制御装置
CN109464900A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炉内sncr脱硝的喷枪控制方法
KR20100078286A (ko) 보일러 최적 연소조정 시스템
US63613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mbustion plant
JP2006064291A (ja) ボイラ内ガスの無触媒脱硝方法および無触媒脱硝装置
Bujak et al. Reduction of NOx and CO emission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incineration parameters in a rotary kiln
JP2000249334A (ja) 硫黄含有燃料の燃焼方法
JP2021139552A (ja) 燃焼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52872A (zh) 选择性非催化还原脱硝精准喷射装置及脱硝装置
Šulc et al. Control for ecological improvement of small biomass boilers
CN110645592A (zh) 一种基于多相分区耦合的燃烧系统改进方法
RU274518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котлоагрегата, работающего на газообразном топливе
CN221005081U (zh) 一种垃圾焚烧炉炉内氨枪测温装置
JP7264372B2 (ja) 廃棄物焼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