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853B1 -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853B1
KR102077853B1 KR1020120059059A KR20120059059A KR102077853B1 KR 102077853 B1 KR102077853 B1 KR 102077853B1 KR 1020120059059 A KR1020120059059 A KR 1020120059059A KR 20120059059 A KR20120059059 A KR 20120059059A KR 102077853 B1 KR102077853 B1 KR 10207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membrane
actuator
camera modu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475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8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폴리머; 상기 렌즈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실리콘 프레임; 상기 실리콘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글래스 멤브레인; 및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을 형태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AF apparatus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구동원을 설치하여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를 오토 포커싱 유닛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보이스 코일 모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한 제어에 한계가 있어,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에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형태 변형 가능한 글래스 멤브레인을 변형시켜, 글래스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낮은 전압으로도 오토 포커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폴리머; 상기 렌즈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실리콘 프레임; 상기 실리콘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글래스 멤브레인; 및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을 형태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피에조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내부 공간부에 광 경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렌즈모듈과 폴리머 사이에 개재되는 백 글래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을 동일한 방향으로 형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설치되는 실리콘 프레임; 상기 실리콘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실리콘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글래스 멤브레인;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을 개별적으로 형태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 사이의 상기 렌즈모듈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링 형상의 피에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부에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설치되는 실리콘 프레임; 상기 실리콘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실리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글래스 멤브레인;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을 개별적으로 형태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렌즈모듈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링 형상의 피에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부에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모듈과 폴리머 사이에 개재되는 백 글래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에 부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의 변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글래스 멤브레인을 피에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형태 변형시켜, 글래스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무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경우, 각각의 글래스 멤브레인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점을 반드시 원거리 또는 무한대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피에조를 액츄에이터로 사용하면, 낮은 전압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낮은 전압으로 사용할 경우, 글래스 멤브레인의 곡률변화가 기존에 비해 작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글래스 멤브레인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슈퍼 매크로 오토 포커싱(Super macro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동일한 방향으로 변형시킬 경우에는, 글래스 멤브레인을 볼록렌즈로 구성하여, 렌즈파워를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3 cm 이내의 물체로 선명하게 오토 포커싱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를 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배치할 경우, 글래스 멤브레인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높이 상승 우려가 없으며, 백 글래스(Black glass)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글래스 멤브레인에 한 쌍의 액츄에이터가 상측 및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글래스 멤브레인에 한 쌍의 액츄에이터가 상측 및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의 개략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구성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은 렌즈모듈(10), 실리콘 프레임(20), 글래스 멤브레인(30) 및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10)은 복수 매의 렌즈들이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미도시된 이미지 센서에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을 통과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설치되는 렌즈의 개수는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10)의 상측에는 백 글래스(11)와 광 투과성 재질의 폴리머(12)가 중심이 광축과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백 글래스(11)는 상기 폴리머(12)를 지지하여, 상기 폴리머(12)가 형태 변형하여 광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 프레임(20)은 상기 렌즈모듈(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상하 오픈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프레임(20)은 필요할 경우, 통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표면에 MID 기술 등을 이용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40)에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의 실리콘 프레임(20)은 음극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기능에 추가적으로, 상기 액츄에이터(40)에 양극 전압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패턴을 추가할 수 있다.
글래스 멤브레인(30)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빛이 투과하는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내측 공간부과 대응되는 부분만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0)의 가압에 의해 형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은 형태 변형 시에도, 상기 폴리머(12)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의 광 경로와 대응되는 부분에 홀이 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1)(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츄에이터(40)는 피에조(Piezo)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의 상측면에 설치된 제 1 액츄에이터(41)는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 표면에 형성된 전극이나,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1)에 형성된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4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프레임(20)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과 연결되어, 양(+)극의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1)(42)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30)을 형태변형 시키기 때문에, 1개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낮은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1)(132)으로 글래스 멤브레인(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130)은 상기 폴리머(12)를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폴리머(12)는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1)(132)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1)(132)의 형태 변형에 따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1)는 제 1 글래스 멤브레인(131)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42)는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2)의 하측면으로서, 상기 렌즈모듈(10)을 바라보는 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한 쌍으로 구성하면서, 복수 개의 글래스 멤브레인(130)을 구성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131)과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2)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글래스 멤브레인(131)과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2)을 순차적 및/또는 동시 제어하여, 글래스 멤브레인(130)의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렌즈를 항상 무한대 초점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무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무한대 초점에서 10 cm 초점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전원이 소요되지만,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절반 이하의 전압만으로도 글래스 멤브레인(130)의 형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싱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1)(42)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1)(132)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여 볼록렌즈와 같이 구성하면, 3cm 이내의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이른바 슈퍼 매크로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1)(232)으로 글래스 멤브레인(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제 2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글래스 멤브레인(230)은 상기 폴리머(12)의 상측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1)(232)이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1)(232)을 소정 간격 이격 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1)(23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태 변형되도록 제어될 경우, 다른 부재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1)는 제 1 글래스 멤브레인(231)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42)는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2)의 하측면으로서, 상기 폴리머(12) 바라보는 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한 쌍으로 구성하면서, 복수 개의 글래스 멤브레인(230)을 구성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글래스 멤브레인(231)과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2)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글래스 멤브레인(231)과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2)을 순차적 및/또는 동시 제어하여, 글래스 멤브레인(230)의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렌즈를 항상 무한대 초점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무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무한대 초점에서 10 cm 초점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전원이 소요되지만,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절반 이하의 전압만으로도 글래스 멤브레인(230)의 형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싱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1)(42)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231)(232)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여 볼록렌즈와 같이 구성하면, 3cm 이내의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이른바 슈퍼 매크로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와 같은 별도의 오토 포커싱 유닛을 구성하면서, 추가적으로 자동 초점기능의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글래스 멤브레인(30)(130)(230) 단독으로만 오토 포커싱 유닛을 구성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글래스 멤브레인(30)(130)(230) 단독으로 오토 포커싱 유닛을 구성할 경우, 보이스 코일 모터 등을 이용한 오토 포커싱 유닛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제 1 글래스 멤브레인(131)(23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2)(232)을 제어하여, 3cm 이내의 물체에 대한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131)(132) 사이에 폴리머(12)를 개재하면, 별도의 백 글래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렌즈모듈 11; 백 글래스
12; 광 투과성 폴리머 20; 실리콘 프레임
30, 130, 230; 글래스 멤브레인
131, 231; 제 1 글래스 멤브레인 부재
132, 232; 제 2 글래스 멤브레인 부재
40; 액츄에이터 41; 제 1 액츄에이터
42; 제 2 액츄에이터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 상측에 설치되는 실리콘 프레임;
    상기 실리콘 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는 제1글래스 멤브레인;
    상기 제1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실리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글래스 멤브레인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글래스 멤브레인;
    상기 제1글래스 멤브레인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글래스 멤브레인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렌즈모듈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을 개별적으로 형태 변형시키고,
    상기 제1글래스 멤브레인과 상기 제2글래스 멤브레인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글래스 멤브레인은 상기 폴리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리콘 프레임의 상단은 상기 제2글래스 멤브레인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폴리머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중심에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overlab)되게 배치되고,
    상기 폴리머는, 상기 제 2 글래스 멤브레인과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액츄에이터는,
    피에조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폴리머 사이에 개재되는 백 글래스가 더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와 상기 백 글래스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중심에 배치되어 광 경로를 형성하는 홀과,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15. 삭제
  16.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에 부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글래스 멤브레인의 변위가 조절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KR1020120059059A 2012-06-01 2012-06-01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KR10207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59A KR102077853B1 (ko) 2012-06-01 2012-06-01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59A KR102077853B1 (ko) 2012-06-01 2012-06-01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75A KR20130135475A (ko) 2013-12-11
KR102077853B1 true KR102077853B1 (ko) 2020-02-14

Family

ID=4998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59A KR102077853B1 (ko) 2012-06-01 2012-06-01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19B1 (ko) * 2014-07-09 2021-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504A (ja) * 1998-09-04 2000-03-21 Denso Corp 可変焦点レンズ
JP2006201639A (ja) * 2005-01-24 2006-08-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カメラ用ズームユニット及びカメラ
JP2006246656A (ja) * 2005-03-04 2006-09-14 Seiko Precision Inc アクチュエータ、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6372B1 (no) * 2006-09-21 2008-11-17 Polight As Polymerlinse
KR101360455B1 (ko) * 2006-10-11 2014-02-07 포라이트 에이에스 소형의 조정 가능한 렌즈의 설계
KR101452011B1 (ko) * 2007-02-12 2014-10-21 포라이트 에이에스 렌즈 조립체
KR20090009039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10064156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504A (ja) * 1998-09-04 2000-03-21 Denso Corp 可変焦点レンズ
JP2006201639A (ja) * 2005-01-24 2006-08-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カメラ用ズームユニット及びカメラ
JP2006246656A (ja) * 2005-03-04 2006-09-14 Seiko Precision Inc アクチュエータ、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75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8806B (zh) 纤薄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US8325265B2 (en) Camera module having extended depth of focus mode and autofocus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439489B (zh) 透镜系统
US9661196B2 (en) Camera module
CN210246879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5331838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5037149B2 (ja) 撮像レンズ装置
KR20220084447A (ko) 광학 장치, 특히, 자동초점, 이미지 흔들림 방지 및 초-고해상도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US20110038057A1 (en) Optical Imaging Lens Systems
US9025068B2 (en) Adjustable lens array with variable optical power
US11212450B2 (en) Camera module for both normal photography and infrared photography
US20210364728A1 (en) Zoom Assembly,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8064350A (zh) 光学镜头、摄像头模组及终端
CN114096910A (zh) 用于具有动态视场的增强现实显示器的方法和系统
KR20200072256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9884740A (zh) 一种柔性可变焦镜头、成像装置
US895324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podizer, and optical module
US10795136B2 (en) Wafer level lens stack, optica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102141690B1 (ko) 카메라 모듈
US7777975B2 (en) Lens module
KR20150000180A (ko) 카메라 모듈
KR102077853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유닛
KR101298454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151464A (ko) 카메라 모듈
WO2023236486A1 (zh) 摄像头和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