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64B1 -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 Google Patents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64B1
KR102077764B1 KR1020180129214A KR20180129214A KR102077764B1 KR 102077764 B1 KR102077764 B1 KR 102077764B1 KR 1020180129214 A KR1020180129214 A KR 1020180129214A KR 20180129214 A KR20180129214 A KR 20180129214A KR 102077764 B1 KR102077764 B1 KR 10207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protrusion
cushion
finishing pan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 코엑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엑시온 filed Critical (주) 코엑시온
Priority to KR102018012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는 모발을 압착 가열하여 모발에 웨이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컬을 연출하는 한 쌍의 발열판이 각각의 본체에 상하동작 가능하게 내장되되, 쿠션을 통해 상기 발열판을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쿠션을 통해 각각의 발열판을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고데기의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고데기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HEATING PLATE WITH CURLING IRON}
본 발명은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을 압착 가열하여 모발에 웨이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컬을 연출할 때 사용하기 위한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고데기는 고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감거나 집은 상태로 모발을 펴거나 굽혀서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대기는 예컨대,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판을 구비하는 집게모양의 전기식 고데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기식 고데기는 한 쌍의 발열판(Heating Plate)을 집게모양으로 구성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각기 설치하여 상기 발열판 사이로 머리카락을 집어넣고 잡아당김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컬(Curl)을 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헤어 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이의 종래기술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힌지(Hinge)를 통해 서로 V자 형태로 연결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부공간에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한 쌍의 발열판을 각기 구비하고, 이를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모발에 열을 가하여 스트레이트나 웨이브 등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아이론은 금속재질의 발열판을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하되, 각각의 발열판과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사이에 쿠션(Cushion)을 개재하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아이론은 쿠션을 통해 각각의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지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아이론은 발열판을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 결합하여 구비토록 하기 위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개별 구성하고, 상기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쿠션을 개별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구성하기 위한 구조설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35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개선을 통한 부품 수를 줄여 간소화된 구조설계가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는 힌지(Hinge)를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제1,2 본체(Body);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며, 제1 본체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기판에 등 간격으로 실장되어 제1 본체의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노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스위치와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전원연결장치;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제1 본체에 내장시키며, 일단에 한 쌍의 제1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제1 마감패널(Panel);
상기 제1 돌기부를 통해 제1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제1 발열판(Heating Plate);
상기 제1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1 발열판과 제1 본체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제1 쿠션(Cushion);
상기 제1 발열판에 설치되고, 제1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완충부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1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일단에 형성된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발열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쿠션;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제1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 마감캡(Cap);
상기 제1 마감패널과 마주보도록 제2 본체에 설치되며, 일단에 한 쌍의 제2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제2 마감패널;
상기 제2 마감패널에 형성되고, 제1 마감패널을 향해 돌출된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
상기 제1 마감패널에 돌출 형성되어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를 내측에 수용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블록;
상기 제1 발열판과 마주보도록 제2 돌기부를 통해 제2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제2 발열판;
상기 제2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2 발열판과 제2 본체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작용을 통해 상기 제2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제3 쿠션;
상기 제2 발열판에 설치되고, 제2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완충부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2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일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발열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4 쿠션;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제2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마감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본체는 제1,2 발열판을 각기 방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헤드부에 타원형의 방열구멍이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타원형의 방열구멍은 구간별로 끊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에 있어서, 상기 제1,2 본체의 표면에는 각각의 제1,2 본체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요철부가 배열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2,4 쿠션을 통해 제1,2 발열판을 제1,2 본체에 결합함과 동시에 이를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토록 함으로써, 고데기의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용이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1)는 크게 손잡이부(110a)(210a)와 헤드부(110b)(210b)로 구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2 본체(110)(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본체(110)(210)는 힌지(10)를 통해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예컨대, 각각의 손잡이부(110a)(210a)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나란히 평행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손잡이부(110a)(210a)를 가압시 V자 형태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본체(110)는 도면상 손잡이부(110a)의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일측, 즉 헤드부(110b) 방향으로 복수의 노출구멍(113)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2 본체(110)(210)는 예컨대, 모발에 웨이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컬을 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헤드부(110b)(210b)에 타원형의 방열구멍(112)(212)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방열구멍(112)(212)은 구간별로 끊어진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방열구멍(112)(212)이 형성되는 헤드부(110b)(210b)와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손잡이부(110a)(210a)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제1,2 본체(110)(210)의 표면,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상 상면과 하면에는 열 차단이 용이한 고무 또는 라텍스소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1,2 본체(110)(210)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요철부(221)가 배열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널(22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방지패널(220)을 통해서는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1)의 사용 미숙으로 인한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발생으로 인해 손에서 놓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등의 취급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본체(110)(210)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10)는 제1,2 본체(110)(210)의 일측에 각기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축 연결되는 제1,2 회동판(1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동판(11)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와 축 연결되는 제2 회동판(12)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동판(12)은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되고, 바깥쪽에 제1 회동판(11)이 배치되며, 상기 제1 회동판(11)의 외측에 원형의 마감판(13)이 조립되어 힌지(10)의 내부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1)는 제1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제1 본체(110)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스위치(12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120) 및 제1 본체(110)를 구성하는 손잡이부(110a)의 후단 측에 설치되며,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전원연결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120)은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으로 실시되며, 도면상 상부에 실장되는 전원스위치(121)가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본체(110)에 조립되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20)은 노출구멍(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스위치(121)와 연동하여 발광하되,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122)가 실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를 통해 전원의 공급 여부 및 발열 온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장치(130)는 회로기판(120)과 전원부, 예컨대 전원선이나 배터리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일종의 매개체로서, 상기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인입시켜 구비토록 하거나 배터리 등을 내부에 구비하여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토록 함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장치(130)에 구비되는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회로기판(120)을 통해 후술하는 제1,2 발열판(150)(250)을 발열시킴으로써,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2 발열판(150)(250)을 통해 모발을 압착 가열하여 웨이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컬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 발열판(150)(250)은 발열체로 지칭 가능하며, 발열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제공된다.
상기 회로기판(120)은 제1 본체(110)에 설치되는 제1 마감패널(140)에 의해 상기 제1 본체(110)에 내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1 마감패널(140)은 회로기판(120)이 내장되는 제1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마감함과 동시에 제1 발열판(150)을 상기 제1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단에 한 쌍의 제1 돌기부(14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발열판(150)은 제1 돌기부(141)를 통해 제1 본체(110)에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덮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2 발열판(150)(250)은 상하동작하면서 모발을 압착 가열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총 4개의 쿠션이 제1,2 본체(110)(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이를 제1,2,3,4 쿠션(160)(170)(260)(270)으로 지칭하게 된다.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자체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실시되는 제1 쿠션(160)은 제1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본체(110)와 제1 발열판(15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탄성 작용을 상기 제1 발열판(1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쿠션(160)과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실시되는 제2 쿠션(170)은 제1 발열판(1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발열판(150)을 제1 본체(1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2 쿠션(170)은 제1 본체(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완충부(171)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1 발열판(1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172)가 상기 제1 발열판(1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제1 발열판(15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쿠션(170)의 설치 및 제1 돌기부(141)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발열판(150)은 제1 본체(110)를 향해 ㄱ자 형상의 제1 후크부(151)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후크부(151) 사이에 제2 쿠션(170)을 삽입하여 설치토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쿠션(170)의 제1 돌출부(172)를 수용하도록 제1 수용공간(181)이 내측에 형성된 제1 마감캡(180)이 제1 본체(110)를 구성하는 헤드부(110b)(210b)의 선단에 구비되며, 이때의 제1 마감캡(180)은 상기 제1 본체(110)와 일체 또는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감캡(180)이 제1 본체(110)와 일체형이면, 제1 후크부(151)를 통해 제1 발열판(150)에 설치된 제2 쿠션(170)의 제1 돌출부(172)를 상기 제1 마감캡(18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181)에 삽입한 후 제1 마감패널(140)을 상기 제1 본체(110)에 설치하여 마감토록 하게 된다.
상기 제1 마감캡(180)이 제1 본체(110)와 분리형으로 구성되면, 제1 마감패널(140)을 제1 본체(110)에 설치한 후 제1 발열판(150)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본체(110)에 제1 마감캡(180)을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제1 수용공간(181)에 제2 쿠션(170)의 제1 돌출부(172)를 수용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쿠션(160)(170)을 통해 제1 발열판(1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여 용이한 모발의 압착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쿠션(170)을 통해 제1 발열판(150)의 탄성 지지와 동시에 제1 본체(110)에 결합시킴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1)는 제1 마감패널(140)과 마주보도록 제2 본체(210)에 설치되며, 일단에 한 쌍의 제2 돌기부(241)가 돌출 형성된 제2 마감패널(240), 제2 발열판(250)을 탄성 지지하는 제3,4 쿠션(260)(270) 및 제2 본체(210)를 구성하는 헤드부(210b)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 마감캡(28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제1 쿠션(160)과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실시되는 제3 쿠션(260)은 제2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본체(210)와 제2 발열판(25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탄성 작용을 상기 제2 발열판(2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4 쿠션(270) 역시 탄성 재질로 실시되며, 제2 쿠션(170)과 마찬가지로 제2 발열판(2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발열판(250)을 제2 본체(2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4 쿠션(270)은 제2 본체(2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완충부(270)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2 발열판(2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272)가 상기 제2 발열판(2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제2 발열판(25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쿠션(270)의 설치 및 제2 돌기부(241)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2 발열판(250)은 제2 본체(210)를 향해 ㄱ자 형상의 제2 후크부(251)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후크부(251) 사이에 제4 쿠션(270)을 삽입하여 설치토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쿠션(270)의 제2 돌출부(272)를 수용하도록 제2 수용공간(281)이 내측에 형성된 제2 마감캡(280)이 제2 본체(210)를 구성하는 헤드부(110b)(210b)의 선단에 구비되며, 이때의 제2 마감캡(280)은 상기 제2 본체(210)와 일체 또는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마감캡(280)이 제2 본체(210)와 일체형이면, 제2 후크부(251)를 통해 제2 발열판(250)에 설치된 제4 쿠션(270)의 제2 돌출부(272)를 상기 제2 마감캡(28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281)에 삽입한 후 제2 마감패널(240)을 상기 제2 본체(210)에 설치하여 마감토록 게 된다.
상기 제2 마감캡(280)이 제2 본체(210)와 분리형으로 구성되면, 제2 마감패널(240)을 제2 본체(210)에 설치한 후 제2 발열판(250)을 설치하고, 상기 제2 본체(210)에 제2 마감캡(280)을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제2 수용공간(281)에 제4 쿠션(270)의 제2 돌출부(272)를 수용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3,4 쿠션(260)(270)을 통해 제2 발열판(250)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여 용이한 모발의 압착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4 쿠션(270)을 통해 제2 발열판(250)의 탄성 지지와 동시에 제2 본체(210)에 결합시킴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마감패널(240)은 힌지(10)를 통해 회동하는 제1,2 본체(110)(210)의 닫힌 위치가 정확해지도록 제1 마감패널(140)을 향해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2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242)를 내측에 수용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블록(142)이 상기 제1 마감패널(140)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242)와 이를 내측에 수용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블록(142)을 통해 제1,2 본체(110)(210)의 닫힌 위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1)의 동작 관련 신뢰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고데기 10 - 힌지
11 - 제1 회동판 12 - 제2 회동판
13 - 마감판 110 - 제1 본체
110a, 210a - 손잡이부 110b, 210b - 헤드부
111 - 개구부 112, 212 - 방열구멍
113 - 노출구멍 120 - 회로기판
121 - 전원스위치 122 - LED
130 - 전원연결장치 140 - 제1 마감패널
141 - 제1 돌기부 142 - 가이드블록
150 - 제1 발열판 151 - 제1 후크부
160 - 제1 쿠션 170 - 제2 쿠션
171 - 제1 완충부 172 - 제1 돌출부
180 - 제1 마감캡 181 - 제1 수용공간
210 - 제2 본체 220 - 미끄럼방지패널
221 - 요철부 240 - 제2 마감패널
241 - 제2 돌기부 242 - 가이드돌기
250 - 제2 발열판 251 - 제2 후크부
260 - 제3 쿠션 270 - 제4 쿠션
271 - 제2 완충부 272 - 제2 돌출부
280 - 제2 마감캡 281 - 제2 수용공간

Claims (5)

  1. 힌지를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제1,2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며, 제1 본체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등 간격으로 실장되어 제1 본체의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노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스위치와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된 전원연결장치;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제1 본체에 내장시키며, 일단에 한 쌍의 제1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제1 마감패널;
    상기 제1 돌기부를 통해 제1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제1 발열판;
    상기 제1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1 발열판과 제1 본체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제1 쿠션;
    상기 제1 발열판에 설치되고, 제1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완충부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1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일단에 형성된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발열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쿠션;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제1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 마감캡;
    상기 제1 마감패널과 마주보도록 제2 본체에 설치되며, 일단에 한 쌍의 제2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제2 마감패널;
    상기 제2 마감패널에 형성되고, 제1 마감패널을 향해 돌출된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
    상기 제1 마감패널에 돌출 형성되어 위치안내용 가이드돌기를 내측에 수용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블록;
    상기 제1 발열판과 마주보도록 제2 돌기부를 통해 제2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제2 발열판;
    상기 제2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2 발열판과 제2 본체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작용을 통해 상기 제2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제3 쿠션;
    상기 제2 발열판에 설치되고, 제2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완충부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제2 발열판의 상하동작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일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발열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4 쿠션;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제2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마감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본체는 제1,2 발열판을 각기 방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헤드부에 타원형의 방열구멍이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타원형의 방열구멍은 구간별로 끊어진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본체의 표면에는 각각의 제1,2 본체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요철부가 배열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9214A 2018-10-26 2018-10-26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KR10207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14A KR102077764B1 (ko) 2018-10-26 2018-10-26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14A KR102077764B1 (ko) 2018-10-26 2018-10-26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764B1 true KR102077764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214A KR102077764B1 (ko) 2018-10-26 2018-10-26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64B1 (ko) 2021-03-03 2021-12-14 발라 주식회사 헤어 아이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616B1 (ko) * 2001-01-29 2003-11-05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20030085158A (ko) * 2002-04-29 2003-11-05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200419929Y1 (ko) * 2006-04-11 2006-06-26 이흥복 고대기
KR20120095208A (ko) * 2011-02-18 2012-08-28 이승수 헤어아이론
KR20160123505A (ko)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명성 2차 전지를 구비한 휴대용 헤어 아이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616B1 (ko) * 2001-01-29 2003-11-05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20030085158A (ko) * 2002-04-29 2003-11-05 이만택 헤어 아이론
KR200419929Y1 (ko) * 2006-04-11 2006-06-26 이흥복 고대기
KR20120095208A (ko) * 2011-02-18 2012-08-28 이승수 헤어아이론
KR20160123505A (ko)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명성 2차 전지를 구비한 휴대용 헤어 아이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64B1 (ko) 2021-03-03 2021-12-14 발라 주식회사 헤어 아이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764B1 (ko) 롤형 속눈썹 성형구
KR100858147B1 (ko) 듀얼타입 모발성형기
JP4152974B2 (ja) 緩衝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ヘアーアイロン
CN108136607A (zh) 用于个人护理产品的电子子组件
KR102077764B1 (ko) 발열판을 구비하는 고데기
US20110094528A1 (en) Vented cushion brush
KR101327160B1 (ko) 손톱 건조기
EP2769639B1 (en) Dryer for curling eyelashes
KR101785569B1 (ko) 전기 고데기
KR100919325B1 (ko) 유에스비 전원 롤형 속눈썹 성형구
KR102121024B1 (ko) 발열판을 구비하는 헤어 아이론
KR200429731Y1 (ko) 속눈썹 고대기
KR200367439Y1 (ko) 열전달 저감을 위한 헤어용 아이롱의 발열 구조체
EP2076151B1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CN103932475B (zh) 一种自动夹发卷发器
KR102577693B1 (ko) 고데기
KR200419908Y1 (ko) 고데기
KR20170001816U (ko) 전열 헤어브러시
CN217906672U (zh) 一种烫发夹板
KR200394534Y1 (ko) 헤어 아이론의 열판 보호장치
KR101621460B1 (ko) 마스카라 고데기
KR200437601Y1 (ko) 헤어 아이롱의 히터 고정을 위한 구조
CN220308608U (zh) 一种负离子热风梳
CN211632105U (zh) 一种负离子卷发器
CN215271014U (zh) 一种新型美发造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