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00B1 -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00B1
KR102076700B1 KR1020120070777A KR20120070777A KR102076700B1 KR 102076700 B1 KR102076700 B1 KR 102076700B1 KR 1020120070777 A KR1020120070777 A KR 1020120070777A KR 20120070777 A KR20120070777 A KR 20120070777A KR 102076700 B1 KR102076700 B1 KR 10207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mode
prediction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159A (ko
Inventor
정순흥
전동산
김연희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9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스트림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HEVC 기술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분석하여 특정 부호화 옵션을 만족시키는 CU(Coding Unit), PU(Prediction Unit), TU(Transform Unit)를 검색하여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Bitstream}
본 발명은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U-T/ISO/IEC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에서는 AVC/H.264 대비 동일한 화질에서 2배 이상의 압축율 달성을 목표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비디오 부호화 표준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HEVH 비디오 부호화 기술에 대한 표준 제정은 2010년 4월에 시작되었으며, 2013년 상반기에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EVC 비디오 부호화 기술에서는 높은 부호화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많은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전통적인 비디오 부호화 기술과 비교해보면,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지만 부호화 단위의 변화가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AVC/H.264를 포함한 기존의 비디오 부호화에서는 16x16(픽셀)로 이루어진 매크로블록(Macroblock)을 기본 부호화 단위로 사용하였다. 즉, AVC/H.264에서는 매크로블록을 기반으로 예측과 변환이 이루어진데 반해 HEVC에서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를 각각 정의하여 해당 단위에서 각각의 처리가 수행된다.
이런 큰 변화들은 비디오 서비스의 수요가 늘어나고, 서비스되는 비디오의 품질이 향상됨에 따른 것이다. 고품질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서, 대용량 고속 비디오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부호화기에서는 높은 효율의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부호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기에 전송한다. 복호화기는 부호화기가 전송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비디오 정보를 복호화한다.
따라서, 고품질 대용량의 비디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비트스트림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HEVC 기술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분석하여 분석된 부호화 정보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트스트림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HEVC 기술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분석하여 특정 부호화 옵션을 만족시키는 CU(Coding Unit), PU(Prediction Unit), TU(Transform Unit)를 검색하여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HEVC 기술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분석하여, 부호화 정보를 GUI를 통해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HEVC 기술은 기존의 비트스트림 분석기와는 부호화 구조에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의 비트스트림 분석기를 사용해서는 부호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비트스트림 분석기를 이용하여 HEVC 기술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부호화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부호화/복호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동작 화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 중 CU 그리드(grid)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 중 CU 부호화 모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P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P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T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CU의 부호화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검색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화면 내 부호화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에서 부호화 정보가 출력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은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부(110),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25), 감산기(130), 변환부(135),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인코딩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픽처 버퍼(190)를 포함한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125)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125)가 인터로 전환된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인터 예측부(110)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픽처 버퍼(1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입력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을 찾아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10)는 움직임 벡터와 픽처 버퍼(1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감산기(130)는 입력 블록과 생성된 예측 블록의 차분에 의해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35)는 레지듀얼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양자화부(140)는 입력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부(140)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값 등을 기초로, 양자화된 계수를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16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17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역양자화,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1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더해지고 복원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복원 블록은 필터부(180)를 거치고, 필터부(18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SAO(Sample Adaptive Offset), ALF(Adaptive Loop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80)에서는 SAO가 적용된 경우에 ALF를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복원 블록은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인터 예측부(250), 필터부(260) 및 픽처 버퍼(270)를 포함한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장치에서 출력된 비트스트림을 입력 받아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 받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을 얻고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재구성된 블록, 즉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한다. 엔트로피 디코딩에 의해, 양자화된 (변환)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되며, 양자화된 계수가 역양자화/역변환된 결과,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이 생성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인터 예측부(250)는 움직임 벡터 및 픽처 버퍼(2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과 예측 블록은 가산기(255)를 통해 더해지고, 더해진 블록은 필터부(260)를 거친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SAO, ALF 중 적어도 하나를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60)에서는 SAO가 적용된 경우에 ALF를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필터부(260)는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한다. 복원 영상은 픽처 버퍼(270)에 저장되어 화면 간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부호화/복호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부호화/복호화는 소정 크기(예컨대, 64x64 픽셀)의 LCU(Largest Coding Unit)를 기본 단위로 하는 쿼드트리(Quadtree) 구조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이런 부호화/복호화 구조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LCU로부터 쿼드트리 형태로 나뉘어진 CU(coding Unit)를 기반으로 예측을 위한 기본 단위인 PU(Prediction Unit)와 변환을 위한 기본 단위인 TU(Transform Unit)가 각각 구성된다.
PU의 경우에는 스킵(skip) 모드, 인터 모드, 인트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부호화되며, 각 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구조로 파티셔닝(partitioning)될 수 있다.
TU의 경우, CU 내에서 또다시 쿼드트리 형태로 분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소정 크기(예컨대, 32x32 픽셀부터 4x4 픽셀까지)의 변환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LCU는 CU, PU, TU의 다양한 조합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경우의 수만큼의 다양한 부호화/복호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비디오 부호화기/복호화기의 성능 및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400)는 비디오 디코더(410), GUI(Graphic User Interface, 410), 부호화 정보 DB(Data Base)(420)를 포함한다.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400)는 부호화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비디오 디코더(410)에서 복호화한 후 GUI(430)으로 출력한다. GUI(430)는 부호화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부호화 정보로서 CUI(430) 상으로 출력되는 복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는 루마 성분에 대한 데이터(Y)와 크로마 성분에 대한 데이터(U, V)를 포함할 수 있다.
GUI(430)을 통해 제공되는 부호화 정보로는, 전체 비디오에 적용되는 정보, 픽처(Picture) 수준에서 적용되는 정보, 슬라이스(slice) 수준에서 적용되는 정보, CU 수준에서 적용되는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있다.
부호화 정보 DB(420)는 부호화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서, 비디오 디코더(410)에서 복호화 과정을 거쳐 확인되는 부호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GUI(430)과 부호화 정보 DB(420)는 상호 연결되어 부호화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동작 화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동작 화면의 좌상단 부분에 복호화된 화면이 출력되며, 해당 화면의 부호화 정보가 텍스트로서 제공된다.
또한, 복호화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고, 비디오 비트스트림 분석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한다.
한편, HEVC의 경우는, 기존의 비트스트림 분석기가 분석하는 부호화 구조와는 상이한 부호화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HEVC의 부호화 구조 및 부호화 방법이 반영된 비트스트림 분석기를 통해서 비트스트림을 분석하여야 부호화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에서 좌측 영역(610)에서는 영상의 부호화 파라미터와 통계적 정보가 제공된다. 예컨대, POC(Picture Order Count), 슬라이스 인덱스 등과 같은 프레임 정보, 슬라이스 타입, 비트 수, 전체 CU 개수 등과 같은 통계 프레임 정보(stat frame info)가 제공된다.
화면 아래의 섬네일(thumbnail, 620)을 통해서 복호화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복호화된 영상(630)을 통해서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친화적으로 부호화 정보가 제공된다.
화면 우측 영역(640)을 통해서는, 화면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CU에 관한 부호화 정보(CU info) 및 부호화 옵션을 만족시키는 CU 검색(search) 기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는 HEVC가 가지는 특징적인 부호화 기술, 예컨대 부호화 처리 단위인 CU, PU, TU 등의 구조에 기인하는 영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비디오의 부호화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HEVC와 구별되는 종래 영상만을 처리하는 비트스트림 분석기 또는 종래 영상만을 처리하는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서는 확인할 수 없는 HEVC 영상의 부호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 중 CU 그리드(grid)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은 복호화된 영상 내에서 CU 그리드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을 통해, CU 그리드를 보여달라는 명령을 입력하면(710), GUI의 복호화된 영상(720) 내에서 CU 그리드가 표시된다.
기존의 비디오 인코더/디코더가 16x16 단위의 매크로블록 단위로 영상을 부호화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에서는 8x8 ~ 64x64의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CU 단위로 부호화가 진행된다. 도 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호화된 영상 내 CU 그리드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 화면 중 CU 부호화 모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 GUI의 복호화된 영상(820)은 영상 내 각 CU에서 부호화된 예측 모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CU, PU, TU 중 어떤 단위의 그리드를 도시할 것인지가 GUI 상에 표시된다. 도 8의 예에서는 CU의 그리드를 표시한다는 것이 GUI 상에 나타나 있다(810).
상술한 바와 같이, CU 내의 PU는 스킵 모드, 인터 모드, 인트라 모드 등의 예측 모드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는 각 예측 모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CU의 예측 모드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어떤 예측 모드가 어떤 색깔로 나타나는지는 GUI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83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P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 GUI의 복호화된 영상(920)은 영상 내 각 CU에서 PU의 분할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CU, PU, TU 중 어떤 단위의 그리드를 도시할 것인지가 GUI 상에 표시된다. 도 9의 예에서는 CU와 PU의 그리드를 표시한다는 것이 GUI 상에 나타나 있다(91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P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 GUI의 복호화된 영상(1020)은 영상 내 각 CU에서 PU의 분할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CU, PU, TU 중 어떤 단위의 그리드를 도시할 것인지가 GUI 상에 표시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CU와 PU의 그리드를 표시한다는 것이 GUI 상에 나타나 있다(1010).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는 어떤 처리 단위에 대한 분할인지를 GU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930, 1030). 아울러, 어떤 예측 모드인지가 GUI 상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의 예에서는 PU 영역들 중에서 머지(merge) 모드가 적용된 부분이 ‘M’으로 표시된다. 머지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움직임 벡터값을 이미 부호화된 영역에서 가져와 사용하는 모드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TU 분할 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 GUI의 복호화된 영상(1120)은 영상 내 각 CU에서 TU의 분할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CU, PU, TU 중 어떤 단위의 그리드를 도시할 것인지가 GUI 상에 표시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CU와 PU 뿐만 아니라 TU까지 해당 처리 단위의 그리드를 표시한다는 것이 GUI 상에 나타나 있다(1110). PU와 TU의 분할되는 선이 겹치는 경우에는 복호화된 영상(1020) 내에서 분할 선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며, GUI 상에서 이에 관한 정보를 확일할 수 있다(113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CU의 부호화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호화된 영상(1220)에서 선택된CU(1230)의 부호화 정보(1210)가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 GUI 상에 표시된다. 부호화된 정보는 CU, PU, TU 레벨로 구분하여 표시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CU, PU, TU 중 어떤 단위의 그리드를 도시할 것인지가 GUI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검색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호화된 영상(1320)에서 특정 부호화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찾는 검색(1310)을 통해, 원하는 조건의 영역이 CUI 화면상에 표시된다. 도 13의 예에서, 복호화된 영상(1320)의 붉게 표시된 영역은 검색(1310)을 통해 제시된 부호화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화면 내 부호화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호화된 화면 내에서 부호화된 통계 정보가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를 통해 표시된다.
도 14의 예에서는, 통계 정보는 최상위 수준에서 CU의 개수를 보여준다(Total_CU Num). 이어서, 도 14의 통계 정보는 PU의 세 가지 예측 모드인 스킵 모드, 인터 모드,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각 CU의 개수를 보여준다(SKIP Num, INTER Num, INTRA Num).
도 14의 예에서는, 다음으로 각 예측 모드에서 CU의 크기별 개수를 보여주며(64x64, 32x32, 16x16, 8x8, 4x4), 크기별 CU 내에서 PU의 모양(2Nx2N, 2NxN, Nx2N, NxN, 2NxnU, 2NxnD, nLx2N, nRx2N)에 따른 개수(PU Distribution)과 TU의 크기(64x64, 32x32, 16x16, 8x8, 4x4)에 따른 개수(TU Distribution)을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HEVC 비트스트림 분석기의 GUI에서 부호화 정보가 출력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트스트림 분석기는 인코딩 장치로부터 영상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S1510).
비트스트림 분석기는 수신한 비트스트림을 기반으로 비디오를 복호화한다(S1520).
비트스트림 분석기는 복호화한 비디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1530). 저장하는 데이터는 복호화한 비디오와 그에 관한 부호화 정보를 포함한다.
비트스트림 분석기는 복호화된 데이터 및 저장된 데이터를 GUI 상으로 출력한다(S1540).

Claims (10)

  1.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호화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공하는 비디오 복호화기와,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가 복원한 상기 부호화 정보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호화 정보 저장부와,
    상기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복원된 비디오에서 상기 부호화 정보에 관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역을 GUI 화면 상에 표시하는 GUI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GUI 처리부는,
    부호화 단위(CU, Coding Unit), 예측 단위(PU, Prediction Unit), 및 변환 단위(TU, Transform Unit)를 포함하는 표시단위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상기 표시단위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위 처리부는,
    상기 부호화 단위를 선택받음에 대응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CU 예측 모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는, 스킵 모드,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단위 처리부는,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에 포함된 각 예측 모드 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처리부는,
    상기 부호화 정보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부호화 정보를 선택하는 부호화 정보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부호화 정보 선택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부호화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위 처리부는,
    상기 예측 단위를 선택받음에 대응하여, 스킵 모드,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를 포함하는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기 부호화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값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병합 모드(Merge mode)인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정보는 전체 비디오에 적용되는 정보, 픽처 단위에서 적용되는 정보, 슬라이스 단위에서 적용되는 정보, 및 부호화 단위에 적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처리부는,
    상기 부호화 정보에 포함된 통계정보의 표시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상기 통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계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 처리부는,
    전체 부호화 단위의 개수, 예측 모드의 종류별로 분류된 상기 부호화 단위의 개수, 각 예측 모드에 포함된 부호화 크기 단위의 개수, 상기 부호화 크기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패턴별 개수, 상기 부호화 크기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의 크기별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장치.
  10.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호화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부호화 정보를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복원한 상기 부호화 정보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되,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서 상기 부호화 정보에 관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부호화 단위(CU, Coding Unit), 예측 단위(PU, Prediction Unit), 및 변환 단위(TU, Transform Unit)를 포함하는 표시단위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상기 표시단위에 대응되는 그리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부호화 단위를 선택받음에 대응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CU 예측 모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는, 스킵 모드,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에 포함된 각 예측 모드 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 제공방법.
KR1020120070777A 2012-02-17 2012-06-29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076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39 2012-02-17
KR20120016239 2012-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159A KR20130095159A (ko) 2013-08-27
KR102076700B1 true KR102076700B1 (ko) 2020-02-13

Family

ID=4921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77A KR102076700B1 (ko) 2012-02-17 2012-06-29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75B1 (ko) * 2001-06-21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트 스트림 분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en McCann, "Samsung's Response to the Call for Proposals on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JCTVC-A124, 15 April, 2010.*
Tektronix, "차세대 압축 비디오 테스트 시스템", https://kr.tek.com/datasheet/mpeg-software/mts4cc-0.2011.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159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443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462009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410482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20080062A (ko) 채널들 간의 선택적인 정보 공유를 사용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03101B1 (ko)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602614B1 (ko) 변환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87418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CN106170092B (zh) 用于无损编码的快速编码方法
KR20220132504A (ko) 화면내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3035684A1 (en) Quantization parameter prediction in video coding
KR102387909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US110708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20170058837A (ko) 화면내 예측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3092802A1 (en) Intra prediction from a predictive block
KR20160023729A (ko) 변위 벡터들을 이용한 예측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KR102445899B1 (ko) 서브-블록 단위 화면 내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CN107409212B (zh) 使用变换系数的逐渐更新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及设备
CN111052741A (zh) 基于有效传送的差分量化参数的影像编码/解码方法及装置
US111404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20150048637A (ko) 색 성분 간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076700B1 (ko) 비트스트림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601017B1 (ko)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23177810A1 (en) Intra prediction for video coding
KR101601008B1 (ko)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데이터 단위 레벨의 독립적 파싱 또는 복호화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