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58B1 -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 Google Patents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58B1
KR102076058B1 KR1020180138102A KR20180138102A KR102076058B1 KR 102076058 B1 KR102076058 B1 KR 102076058B1 KR 1020180138102 A KR1020180138102 A KR 1020180138102A KR 20180138102 A KR20180138102 A KR 20180138102A KR 102076058 B1 KR102076058 B1 KR 10207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umidification
grill
ai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배
Original Assignee
(주)퓨전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전디자인 filed Critical (주)퓨전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13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s of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which can increase air filtering efficiency and humidification evaporation efficiency. The hybrid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s of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comprises: a main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unit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concavely dented downwards; a base unit correspondingly assembled on the opened lower end of the main body unit, and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unit arranged on the sealed bottom surface thereof and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humidification; an actuator module unit having a module casing arranged on the mounting unit, a lower grill on a low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corresponding to an exhaust grill arranged on the mounting unit, an upper grill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corresponding to the lower grill, and a motor having a fan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grill and the lower grill to generate a suction force when the fan is rotated and driven; and a filter unit having a filter for purification arranged in the main body unit to allow air flowing thereinto through the inlet holes to pass therethrough, and a filter for humidification arranged in the filter for purification to bring the lower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water for humidifica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to be immersed to allow air purified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firstly passing through the filter for purification to secondly pass through the filter for humidification to allow water to infiltrate into the purified air. The air firstly filtered and secondly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grill, the lower grill, and the upper gril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Description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본 발명은 공조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실내공간에 수분을 제공하여 가습하는 기능과 실내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형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air condition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moisture to the indoor space and humidifying and removing and purify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of the indoor space. .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가습기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이다. In general, air cleaners and humidifiers are home appliances used to make the interior environment comfortable in homes and offices.

상기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한 후 내장딘 필터에 의해 먼지와 세균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공간으로 여과된 청정한 공기를 재공급하도록 구성된다. The air cleaner is configured to inhale air in the indoor space, remove dust, bacteria or contaminants by the built-in filter, and then resupply the filtered air to the indoor space.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먼지와 세균 또는 오염물질의 제거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air cleane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way of removing dust and bacteria or contaminants.

상기 가습기는 실내공간의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건조해진 실내공간으로 물로부터 증발시킨 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The humidifier is configured to supply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water to the dried indoor space in order to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appropriately to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이러한 가습기는 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일정량씩 이송되어 히터에 의한 가열식과 진동자에 의해 초음파방식으로 되어 물을 입자화하거나 혹은 수증기로 증발시켜 송풍수단에 의해 외부로 증발된 습기를 뿜어내는 장치이다.The humidifier is a device that is transfer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y ultrasonic heating by a heating type and a vibrator by the heater to granulate the water or evaporate it with water vapor to blow out the moisture evaporated to the outside by the blowing means.

최근 기기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수조에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습 및 공기 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 및 공기청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공조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n air conditioner having both a humidifica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in whic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while passing through discs arranged to rotate in a water tank has been developed and used.

(특허문헌 1) KR10-2017-0051276 A (Patent Document 1) KR10-2017-0051276 A

특허문헌 1는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Patent document 1 is a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the filter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body

리, 필터 어셈블리의 상방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및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탈착되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가습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습 어셈블리는 장착상태에서 바디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And a humidifying assembly which is provided above the filter assembly, is detached through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fan and the body forcing the flow of air, and includes a humidifying assembly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humidifying air is discharged. A humidifying air purifier is disclosed,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a top surface of the apparatu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정화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어셈블리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고,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한편, 보수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ir purifier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is complicated in its overall structure,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a humidification assembly for humidifying the purified air, and to replace regularly. This very cumbersome, while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re was a problem that excessive maintenance costs.

또한, 공기유동을 강제로 순환시키는 팬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고장시 이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fan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flow and the motor for driving the failure of the fan to remove it to replace or repair it caused a very cumbersome in use in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장기적인 사용으로 오염되어 여과효율 및 기화효율이 저하되는 필터부품에 대한 주기적이고 정기적인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팬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와 관련된 전장 구성품에 대한 분리 및 재장착이 간편하고, 전제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공기여과 효율 및 가습 기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is contaminated by long-term use, the periodic and regular replacement work for the filter parts that are reduced filtration efficiency and vaporization efficiency is simple, forced air flow It is easy to separate and refit electric components related to the motor which rotates the fan, and the humidifier and air purifying function to increase the air filtration efficiency and humidification vaporization efficiency while simplifying the premise structure. To provid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개의 유입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하부단이 대응조립되고, 밀폐된 바닥면에 가습용 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저수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모듈케이싱을 갖추고,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배기그릴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의 하부에 하부그릴을 갖추고, 상기 하부그릴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의 상부에 상부그릴을 갖추며, 상기 상부그릴과 하부그릴사이에서 위치하는 팬을 갖는 모터를 갖추어 상기 팬의 회전구동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엑추에이터 모듈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정화용 필터를 갖추고, 상기 정화용 필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부의 가습용 물에 하부단이 접하여 침지되는 가습용 필터를 갖추어 상기 정화용 필터를 1차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가습용 필터에서 2차 통과시켜 상기 정화된 공기에 수분을 침습시키는 필터부 ; 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고 2차 가습된 공기가 상기 팬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배기그릴, 하부그릴 및 상부그릴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배출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를 제공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through the outer surface, the recessed recess formed on the top; A base portion having an open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reservoir por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humidification is filled on the sealed bottom surface; A module casing disposed in the seating unit, a lower grille in a low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grill provided in the seating unit, an upper gril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corresponding to the lower grille, and the upper portion An actuator module unit having a motor having a fan positioned between the grill and the lower grill to generate suction power when the fan is rotated; I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has a filter for purification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and a humidification filter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to be immer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in the humidifying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A filter unit configured to infiltrate moisture in the purified air by passing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secondly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filter firstly; Including, the first filtered and the second humidifi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by the suction power of the fan to sequentially discharge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grill, lower grill and upper grill,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Provide a hybrid air conditioner.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하부단과,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일체형 상,하부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n integrated upper and lower support for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일체형 하부지지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저수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바닥리브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바닥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nitary lower support body is disposed in the reservoir portion,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r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rib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servoir portion, the center bottom rib interposed between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It may inclu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바닥리브는 상기 저수부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enter bottom rib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ill or replenish the reservoir and determine the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일체형 상부지지체는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천정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천정리브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천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nitary upper support may include a central ceiling rib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o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iling rib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inter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have.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1상,하부지지체와,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2상,하부지지체 및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separate first upper and lower supporters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a separate second upper and lower supporters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t may include an intermediate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humidification filt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저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형 제2하부지지체와 결합되는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올려지는 다른 바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is disposed in the reservoir of the base portion, and includes another bottom rib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coupled with the separate second lower support member is raised,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bottom rib. It may include a central rib inter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리브는 상기 저수부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entral rib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ill or replenish the reservoir and determine the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수직한 분할조립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는 제1본체케이싱과 제2본체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body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casing and a second body casing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based on a vertical divided assembly line.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부와 대응하는 중앙영역에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배기그릴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그릴은, 상기 팬의 회전중심과 대응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n exhaust grill through which air freely passes through a centr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portion, wherein the exhaust grill is radiated from an airtight plat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an and an outer edge of the airtight plat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케이싱은 상하합형되는 하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기 하부그릴과 대응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하부그릴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상부그릴과 대응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상부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상부그릴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dule casing includes a lower casing and an upper casing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and the lower casing has a lower fixing groove fixed to the outer edge of the lower grill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opening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grill. The upper casing may include an upper fixing groove fixed to the outer edge of the upper grill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upper opening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grill.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그릴은 상기 하부고정홈과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대응하는 하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lower grill includes a lower support r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lower end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wer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ring It may include a connecting rib.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그릴은 상기 상부고정홈과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대응하는 상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pper grill includes an upper support r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upper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upper end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ring It may include a connecting rib.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케이싱은 상,하부 케이싱 중 일측 케이싱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연결홈으로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을 갖추어 상기 모듈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dule casing may include a handle plate body protruding outward of the module casing by having a fixing plate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connec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casing among upper and lower casing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판체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배치고정홈에 위치되어 걸림배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andle plate body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fixed groove that is formed recessed in the upper edge of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케이싱은 하부 외부면에 호형으로 함몰형성된 호형 배치홈에 배치되고, 상기 호형 배치홈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공과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를 양단에 각각 형성한 호형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dule casing is disposed in an arc-shaped mounting groove recessed in the shape of an arc on the lower outer surface, and includes an arc-shaped support formed on each end hinge hinges rotatably coupled to the assembly ho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arc-shaped mounting groove, respectively. can do.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호형 지지체는 바닥면과 접하는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rc support may include a fla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베이스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를 중첩배치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용 필터와 정화된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하는 가습용 필터에 의해서 실내공간에 강제유입되는 공기를 1차 여과하고 2차 가습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되고 가습된 실내 순환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내부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ying filte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base, the purifying filter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humidifying humidifying filter providing moisture to the purified air. Since the air forced into the space can be first filtered and secondly humidified, the indoor space of the room can be maintained in a comfortable state by the filtered and humidified indoor circulation air.

장기적인 사용으로 오염되어 여과효율 및 기화효율이 저하되는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를 일체형 필터부로 통합구성함으로써 오염된 필터부를 주기적이고 정기적으로 새로운 필터부로 교체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replace the contaminated filter part with a new filter part periodically and regularly by consolidating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that are contaminated by long-term use and deteriorat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vaporization efficiency into an integrated filter part.

장기적인 사용으로 오염되어 여과효율 및 기화효율이 저하되는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된 분리형 필터부로 구성함으로써 오염되거나 손상된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를 개별적으로 각각 새로운 필터부품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filter filter and humidification filter, which are contaminated by long-term use and deteriorate in filtration efficiency and vaporization efficiency, are composed of separate filter parts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be done easily and quickly.

모듈케이싱에 구비되는 손잡이판체에 의해서 본체부의 안착부에 올려진 엑추에이터 모듈을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actuator module mounted on the seating part of the main body from the main body by the handle plate provided in the module casing.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엑추에이터 모듈부에 구비되는 팬을 작동시켜 인위적으로 송풍하는 송풍용 선풍기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It can be used as a fan for blowing air by operating a fan provided in the actuator module portio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를 도시한 전체 외관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서 본체부로부터 엑추에이터 모듈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서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엑추에이터 모듈부을 바닥면에서 송풍기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일체형 필터부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적용되는 엑추에이터 모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적용되는 일체형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일체형 필터부가 적용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서 일체형 필터부를 교체하는 작업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분리형 필터부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적용되는 분리형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 분리형 필터부가 적용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공조기기에서 분리형 필터부를 교체하는 작업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n overall external view showing a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tuator module uni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unit in a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module portio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blower on the flo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which the integrated filter unit is applied to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ctuator module unit applied to a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filter unit applied to a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integrated filter unit is applied to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replacing the integrated filter unit in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which the separate filter unit is applied to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filter unit applied to a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o which the separate filter unit is applied to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separate filter unit in the hybri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structural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유입시켜 1차 여과하고, 1차 여과되어 정화된 공기를 2차로 가습시킨 다음, 실내로 순환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부(10), 베이스부(20), 엑추에이터 모듈부(30) 및 필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Hybrid air conditioner 100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primary filtration by forced inflow of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the primary The filtered and purified air may be secondly humidified, and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10, a base portion 20, an actuator module portion 30, and a filter portion 40 so as to circulate and supply the indoor air.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도 2a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한 외부면에 복수개의 유입공(11)을 관통형성하여 관통영역을 포함하고, 상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안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2A, and 3, the main body unit 10 includes a through area by penetrat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11 on a vertical outer surface, and recessed downwar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2 formed.

상기 관통영역은 상기 필터부(40)와 대응하는 본체부(10)의 수직한 외부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관통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관통영역과 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부단 사이에는 유입공이 관통형성되지 않어 공기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비관통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rough area is formed by a plurality of inflow holes that are generally uniformly penetrated through the vertical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corresponding to the filter part 40, and between the through area and the upper end where the seating par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form a non-penetrating area through which the inflow hole is not formed so that air inflow is not made.

이때, 상기 유입공의 형상, 크기 및 갯수는 상기 필터부의 필터효율과 필터성능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inlet hole may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filter efficiency and filter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상기 안착부(12)는 상기 필터부(40)와 대응하는 중앙영역에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배기그릴(13)을 갖추어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30)의 몸체하부가 삽입배치되는 곡선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ting part 12 has an exhaust grill 13 through which air passes freely in a central area corresponding to the filter part 40, and has a curved plate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actuator module part 30 is inserted and disposed. Can be.

여기서, 상기 안착부(12)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한 단면상을 갖도록 함몰형성되는 일정곡률의 일체형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단에 외측테두리가 대응조립되는 일정곡률의 일체형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ating portion 12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made of an integral plate body of a constant curvature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but is limited to the outer edge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orresponding assembly may be made of an integral plate body of a certain curvature.

이러한 안착부의 중앙영역에 구비되는 배기그릴(13)은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30)에 구비되는 팬(35a)의 회전중심과 대응하는 밀폐판(13a)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1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haust grill 13 provid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plate 13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an 35a provided in the actuator module portion 30, and from the outer edge of the sealing plat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13b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opening regions through which air passes.

여기서, 상기 배기그릴(13)은 상기 안착부의 중앙영역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그릴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12)의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분리형 그릴구조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Here, the exhaust grill 13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made of an integrated grill structu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ating portion, but the exhaust grill 13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haust grill 13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assembly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region of the seating portion 12. It may also consist of a detachable grill structure that is possibly assembled.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가 올려지는 안착부에 의해서 상부는 차단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하부는 개방된 대략 원통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과 나란한 수직 분할조립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는 제1본체케이싱(10a)과 제2본체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0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made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tructure, the upper portion is blocked by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actuator module portion is raised and the lower portion coupled with the base por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seating The first main body casing 10a and the second main body casing 10b may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vided assembly line parallel to the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rt.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개방된 하부단 내부면에 걸림홈(15a)과 걸림턱(15b)을 갖는 결합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단테두리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결합리브(21)의 외부면에 걸림턱에 걸림고정되는 피걸림턱을 갖는 피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5 having a locking groove 15a and a locking jaw 15b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upper edge of the base portion 20. It may include a to-be-engaged portion 25 having a caught jaw that is fixed to the engaging ja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rib 21 protruding.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 베이스부를 상호결합하여 일체 구조물로 조립하는 작업은, 베이스부를 바닥면에 올려 놓고, 직상부에 본체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결합부의 걸림홈과 상기 베이스부의 피걸림턱을 일대일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상대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홈에 인접하는 걸림턱에 피걸림턱이 대응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베이스부는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간의 상호결합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서로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assembl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nto an integrated structure may be performed by placing the base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base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portion is disposed directly on the base portion. When the main body portion is relatively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caught jaw of the part is one-to-one corresponded, the caught jaw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jaw adjacent to the engaging groove so that the main body and the base part are mutually coupl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upled portion. It can be assembl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detachably by.

상기 베이스부(20)는 도 1, 도 2a,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하부단과 대응조립되고, 밀폐된 바닥면에 가습용 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저수부(22)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하부 지지구조물이다. As shown in FIGS. 1, 2A, 3, and 6, the base part 20 is assembled correspondingly to an open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a certain amount of humidifying water is filled in the sealed bottom surface. Is a lower support structure having a reservoir 22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베이스부(20)의 상단테두리에는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링형상의 결합리브(21)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리브(21)의 외부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하부단 내부면에 구비되는 결합부(15)와 대응결합하는 피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edge of the bas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coupling rib 21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rib 21,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It may include a to-be-coupled portion 2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5 provided in the.

상기 필터부(40)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밀착되는 링형상의 하부밀착리브(23)를 일정높이 돌출형성할 수 있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on which the filter part 40 is disposed, a ring-shaped lower contact rib 23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part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상기 하부밀착리브(23)는 상기 베이스부(20)의 내부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부의 외부면과의 사이에 구성부품들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영역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부측으로 안내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lower contact rib 23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area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portion.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30)는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안착부(12)에 올려져 배치되는 모듈케이싱(31)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배기그릴(13)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31)의 하부 중앙영역에 하부그릴(3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그릴(33)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31)의 상부 중앙영역에 상부그릴(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tuator module part 30 includes a module casing 31 mounted on a seating part 12 formed in an upper center area of the main body part 10,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a lower grill 33 in a lower central area of the module grill 31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grill 13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grill 33. The upper grill 34 may be included in the central region.

그리고, 상기 모듈케이싱(31)과 상,하부그릴(33,34)로 이루어지는 조립형 독립구조물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상부그릴과 하부그릴사이에 배치되는 팬(35a)을 전원인가시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모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assembled independent structure including the module casing 31 and the upper and lower grills 33 and 34, the fan 35a disposed between the upper grill and the lower grill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power is applied. It may include a motor 35 to.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팬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의 외부에서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필터부의 내부중심으로부터 직상부로 향하는 흐름을 인위적으로 형성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suction force may be generate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outside from the filter uni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artificially forms a flow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filter unit to the upper portion.

상기 모듈케이싱(31)은 상하합형되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31a)과 상부케이싱(31b)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31a)에는 상기 배기그릴(13)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하부개구부(32a)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하부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그릴(33)의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하부고정홈(32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31b)에는 상기 상부그릴(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상부개구부(32c)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상부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그릴(34)의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상부고정홈(32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dule casing 31 includes a lower casing 31a and an upper casing 31b that are vertically join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lower casing 31a ha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grill 13. The lower opening portion 32a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lower open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opening portion includes a lower fixing groove 32b recessed and formed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lower grill 33, wherein the upper casing ( 31b) is formed through the upper opening portion 32c of a predetermined size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ill 34, the upper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upper grill 34 inside the upper opening portion. It may include a fixing groove (32d).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싱(31a)과 상부케이싱(31b)은 서로 마주하는 상,하부단 테두리에 걸림홈과 걸림턱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걸림턱에 걸림고정되는 피걸림턱을 갖는 피결합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간의 상호결합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lower casing (31a) and the upper casing (31b) i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jaw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locking jaw fixed to the locking jaw respectively; By providing it can be detachably assembled by mutual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ed portion.

또한, 상기 상,하부그릴(33,34)과 상,하부 케이싱(31a,31b)은 상기 상,하부그릴의 각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상,하부 고정홈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갖는 피결합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간의 상호결합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grills 33 and 34 and the upper and lower casings 31a and 31b may include coupling portions having engaging grooves formed on out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grills, and the upper and lower fixing grooves. By providing each of the engaging portion having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orm it can be detachably assembled by mutual coupling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upled portion.

이때, 상기 하부케이싱(31a)과 상부케이싱(31b)간의 상하합형과 상기 상,하부그릴과 상,하부 케이싱간의 상호결합을 위해서 구비되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대응결합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다른 체결구조가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type between the lower casing (31a) and the upper casing (31b), and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ed portion provided for mutual coupling between the upper, lower grill and the upper and lower casing various other to generate a fixing force when the corresponding coupling The fastening structure can be selectively and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design.

그리고, 상기 하부그릴(33)은 상기 모터(35)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밀폐판(33a)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부개구부(32a)에 형성된 하부고정홈(32b)과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지지링(33b)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하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리브(33c)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grill 33 includes a lower sealing plate 33a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otor 35,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ixing groove 32b formed in the lower opening 32a of the lower casing.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ng ribs 33c including a lower support ring 33b to be fixed and extending radially from an outer edge of the lower sealing plate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rings.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상부그릴(34)은 상기 모터(35)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밀폐판(34a)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개구부(32c)에 형성된 상부고정홈(32d)과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지지링(34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상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리브(34c)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grill 34 includes an upper sealing plate 34a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otor 35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fixing groove 32d formed in the upper opening 32c of the upper casing.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ribs 34c including fixed upper support rings 34b and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ealing plate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rings. It may include.

이때, 상기 상,하부지지링(33b,34b)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상,하부케이싱의 상,하부 고정홈(32b,32d)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대응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상,하부지지링은 상기 상,하부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rings (33b, 34b),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ixing grooves (32b, 32d)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rings may be assembled by being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grooves.

상기 상,하부 밀폐판(33a,34a)사이에 개재되는 모터(35)는 상기 모터의 구동시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밀폐판 중 일측 밀폐판의 외측테두리에 일정높이 연장형성되는 고정리브에 위치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35)의 상부와 상부밀폐판(34a)사이 그리고 상기 모터의 하부와 하부밀폐판(33a)사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진패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35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aling plates 33a and 34a is fixed to an outer edge of one of the upper and lower sealing plates so as to be firmly positioned while minimizing movement when the motor is driven. It may be fixed to the fixed rib extending in height,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between the upper and upper sealing plate 34a of the motor 35 and between the lower and lower sealing plate 33a of the motor. At least one dustproof pad may be disposed to absorb the dust.

그리고, 상기 하부그릴(33)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리브(33c)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모터와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배치홈(33d)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배치된 케이블 배치홈을 덮는 덮개부재(33e)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ribs 33c provided in the lower grill 33 recesses and forms a cable arrangement groove 33d in which a power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tor. It may include a cover member 33e for covering the cable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cable is arranged.

여기서, 상기 전원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상,하부케이싱(31a,31b)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케이싱(3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메인기판(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기판(37)은 상기 상,하부케이싱 중 어느 일측 케이싱에 구비되는 USB 연결단자와 같은 외부전원 입력단(37a)과 상기 모듈케이싱(3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7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Here,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37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casing 31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s (31a, 31b), the main substrate 37 is th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37a such 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s and at least one battery 37b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casing 31.

상기 배터리(37b)는 상기 상,하부 케이싱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지지리브에 외부면이 접하여 상기 모듈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attery 37b is stably fixed to an inner space of the module casing by contacting an outer surface thereof with support ribs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s.

상기 상부케이싱(31b)에는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36)을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노출공(36a)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판넬(36)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고, 회전수를 제어하고, 작동시간을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버튼을 갖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ing 3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form an exposed hole 36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externally expose the control panel 36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he control panel 36 It may include a control means having a button for manipulating the drive of the motor on and off,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the operation time.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싱이 상하합형되는 모듈케이싱(31)은 상기 상,하부 케이싱 중 일측 케이싱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연결홈(38b)으로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고정판(38a)을 갖추어 상기 모듈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체(38)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asing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 module casing 31 is a fixed angle plate 38a inclined at an angle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ion groove 38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 It may include a handle plate body 38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상기 손잡이판체(38)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배치고정홈(18)에 위치되어 걸림배치됨으로써 공기청정 및 가습작동중 상기 본체부의 안착부에 올려 배치된 엑추에이터 모듈부(30)의 불필요한 회전이동 및 수평방향의 외부충격에 의한 엑추에이터 모듈부(30)의 불필요한 분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배기그릴, 상,하부그릴의 중심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정렬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handle plate 38 is located in the arrangement fixing groove 18 is formed in the top edge of the main body recessed by the latching arrangement of the actuator module 30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during air cleaning and humidification operation Unnecessary separation of the actuator module part 30 due to unnecessary rotational movement and external sh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and stably aligned so that the centers of the exhaust grill, the upper grill and the lower grill ar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t can be.

작업자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판체(38)를 잡고서 들어올림으로써,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의 교체작업과 같은 보수유지 작업시 상기 모터(35)와 더불어 다양한 전장부품이 내장된 엑추에이터 모듈부(30)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As the operator lifts the handle plate body 38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and protrudes outwardly, as shown in FIG. 2A, various maintenance is performed with the motor 35 during maintenance work such as replacement of the filter part. The actuator module unit 30 in which the electric component is buil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unit.

그리고, 상기 모듈케이싱은 상기 하부케이싱의 외부면에 호형으로 함몰형성된 호형 배치홈(39b)에 배치되고, 상기 호형 배치홈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공과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39a)를 양단에 각각 형성한 호형 지지체(39)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ule casing is disposed in an arc-shaped groove 39b recessed in an arc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ing, both ends of the hinge projection (39a) hinged rotatably with the assembly ho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arc-shaped groove. It may include an arc-shaped support 39 formed on each.

상기 호형 배치홈(39b)에 배치되는 호형 지지체(39)의 외부면은 상기 하부케이싱(31a)의 외부면과 동일한 곡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안착부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arc-shaped support 39 disposed in the arc-shaped arrangement groove 39b is formed in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ing 31a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반면에,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30)가 본체부로부터 들어 올려져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호형 지지체(39)를 호형 배치홈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힌지돌기를 회전중심으로 히여 일정각도 외측으로 선회시킨 다음,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와 호형 지지체를 바닥면에 올려 놓게 되면,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시 하부그릴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부그릴측으로 배출하는 송풍하는 선풍기와 같은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actuator module part 30 is lifted up from the main body part, the operator pivots the hinge protrus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so that the operator pulls out the arc-shaped support 39 from the arc-arrangement groov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n, if the actuator module portion and the arc suppor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2b, the same function as the blower fan to discharge to the upper grill side flowing through the lower grill during rotation of the motor It can be done independently.

이때, 상기 호형 지지체(39)의 길이중간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키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평면부(39c)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iddle portion of the arc-shaped support 39 may include a flat portion (39c) to prevent the slip while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필터부(40)는 도 3과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11)을 통하여 강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여과하여 제거하는 정화용 필터(41)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저수부(22)에 채워진 가습용 물에 하부단이 접하여 침지되고, 상기 정화용 필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화된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용 필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3, 5, and 6, the filter unit 4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0 and is included in the air while the air forced through the inlet hole 11 passes. It comprises a purifying filter 41 for primary filtering the removed foreign matter, the lower end is immersed in contact with the humidifying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22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it is disposed inside the purifying filter It may include a humidifying filter 42 for providing moisture to the purified air.

여기서, 상기 정화용 필터(4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정화용 필터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헤파필터와 같은 필터체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필터소재가 채용될 수 있다. Here, the purifying filter 41 is preferably made of a hollow cylind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to replac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made of a cylindrical, such a purifying filter to filter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of the fine size contained in the air. The filter may be provided as a HEPA fil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filter materials may be employed.

또한, 상기 가습용 필터(42)는 중공원통형 정화용 필터(41)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삽입배치될 수 있도록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습용 필터(42)는 흡수성을 갖는 시트를 갖추어 저수부에 침지된 상태에서 모세관 현상으로 가습용 물을 빨아올려 여과되어 청정한 공기를 통풍시킴으로써, 자연기화된 수분을 함침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천연섬유 및 재생섬유가 혼합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친수성 코팅층을 갖는 필테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의 필터체가 채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ying filter 42 is preferably made of a hollow park cylinder so that it can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hollow filter barrel filter for cleaning 41, the humidifying filter 42 is a sheet having absorbency.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mixed with natural fiber and regenerated fiber to suck up the humidifying water by capillary phenomenon in the state of being immersed in the reservoir and ventilate clean air to provide air impregnated with natural vaporized water. , But may be formed of a filter body having a hydrophilic coat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ilter bodies of various materials may be employed.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의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정화용 필터(41)를 1차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상기 가습용 필터(42)를 2차로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된 다음, 상기 배기그릴, 상,하부그릴을 통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배출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main body 10 is purged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filter 41 firstly, and passing moisture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42 secondly. After absorbing and humidifying, it is discharged outside to control the humidity through the exhaust grill, upper and lower grills.

이러한 필터부(40)는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소모품인 필터를 지지하는 형태에 따라 일체형 필터부와 분리형 필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 일체형 필터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 필터(41)의 상,하부단과, 상기 가습용 필터(42)의 상,하부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일체형 상,하부지지체(43.44)를 포함하는바, The filter unit 40 may be formed of an integrated filter unit and a separate filter unit according to a form of supporting a filter, which is a consumable to be replaced periodically, and the dual integrated filter un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It includes an upper and lower ends, and integral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43.44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42 at the same time.

상기 일체형 하부지지체(43)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는 바닥리브(43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하부단과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바닥리브(43a)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의 외측테두리와 내측테두리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와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 내측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내,외측 보조바닥리브(43c,43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itary lower support 4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rib 43b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An inner and outer auxiliary bottom including bottom ribs 43a, and being bent upward from the outer edge and the inner edge of the bottom rib to surround and surround the lower edge outer edge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lower edge inner edge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Ribs 43c and 43d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중앙바닥리브(43a)는 상기 저수부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되고, 인접하는 다른 내,외측 보조바닥리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22)에 채워져 상기 가습용 필터에 제공되는 가습용 물의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enter bottom rib 43a is filled or replenished in the reservoir to extend a predetermined height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immersed, and adjacent other inner and outer auxiliary bottom ribs. It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and filled in the reservoir 22 to ensure a low amount of water for humidification provid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또한, 상기 일체형 상부지지체(44)는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인 안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천정리브(44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부단과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부단사이에 개재되는 중앙천정리브(44a)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리브의 외측테두리와 내측테두리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41)의 상부단 외측테두리와 상기 가습용 필터(42)의 상부단 내측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내,외측 보조천정리브(44c,44d)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tary upper support 44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iling rib 44b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which is the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And a central ceiling rib 44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bent downward from the outer and inner edges of the ceiling ribs, and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filter 41 for purification and the upper edge inner edge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42. It may include inner and outer auxiliary ceiling ribs (44c, 44d) to support while wrapping.

이때, 상기 일체형 상부지지체(44)에 구비되는 중앙천정리브 및 내외측 보조천정리브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에 돌출형성되는 상부밀착리브(24)와 접하여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entral ceiling rib and the inner and outer auxiliary ceiling ribs provided in the integrated upper support 44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length, the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ribs 24 protruding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상,하부 지지체가 상기 정화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에 각각 조립되어 구비되는 필터부(40)의 상,하부단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밀착리브(23)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상부밀착리브(24)에 의해서 본체부의 내부에 정위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part 40 having the integrated upper and lower supports assemb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ying filter, respectively, extend from the base part. And the upper contact ribs 24 formed on the main body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일체형 하부지지체(43)의 바닥리브(43b)는 상기 본체부의 저수부에 접하여 배치되는 독립형 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형 상부지지체(44)의 천정리브(44b)는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천정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저수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천정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체형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ottom rib 43b of the unitary lower support 43 is formed of an independent rib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servoi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eiling rib 44b of the unitary upper support 44 is a horizontal cloth of the body portion.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n integral rib extending from a water storage uni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고, 상기 필터부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가 분리된 본체부를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정화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에 일체형 상,하부 지지체가 각각 조립된 일체형태를 갖는 필터부(40)가 외부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베이스부의 하부밀착리브에 조립된 필터부(40)의 정화용 필터 및 가습용 필터를 동시에 분리하여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nd, as shown in Figure 7,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filter unit with a new component, if the main body portion separated from the actuator module uni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integrated phase, Since the filter unit 40 having an integral form in which the lower supporter is assembled, respectivel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operator can simultaneously remove and replace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of the filter unit 40 assembled in the lower tight rib of the base unit. It can be done.

또한, 상기 분리형 필터부로 이루어지는 필터부(40)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 필터(41)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1상,하부지지체(45,47)와, 상기 가습용 필터(42)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2상,하부지지체(48,49)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지지체(46)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9, and 10, the filter part 40 including the separate filter part includes a separate first upper and lower support body 45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ication filter 41. (47), and an intermediate support body including separate second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48, 49) for suppor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42), and inter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 46).

상기 분리형 제1하부지지체(45)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하부단이 올려지는 바닥리브(45b)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의 양측테두리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하부단을 감싸는 내,외측 보조바닥리브(45a,45c)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제1상부지지체(47)는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인 안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부단과 접해지는 천정리브(47b)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리브의 양측테두리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부단을 감싸는 내,외측 보조천정리브(47a,47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first lower supporter 45 may include a bottom rib 45b dispos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e part to raise the lower end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and bent upwar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rib. Inner and outer auxiliary bottom ribs (45a, 45c) surrounding the lower end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wherein the removable first upper support 47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hat is the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It includes a ceiling rib (47b) in contact with the stage, it may include an inner and outer auxiliary ceiling ribs (47a, 47c)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of the ceiling rib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상기 분리형 제2하부지지체(48)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올려지는 다른 바닥리브(48b)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의 양측테두리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을 감싸는 내,외측 보조바닥리브(48a,48c)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제2상부지지체(49)는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인 안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부단과 접해지는 다른 천정리브(49b)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리브의 양측테두리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부단을 감싸는 내,외측 보조천정리브(49a,49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second lower supporter 48 includes other bottom ribs 48b disposed on the reservoir,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lifted, and bent upward from both edges of the bottom ribs. And inner and outer auxiliary bottom ribs 48a and 48c surrounding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detachable second upper support 49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which is a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the humidification. And other ceiling ribs 49b conta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lter and include inner and outer auxiliary ceiling ribs 49a and 49c that are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of the ceiling ribs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Can be.

이에 따라, 원형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분리형 제1,2상,하부 지지체(45,47,48,49)에 의해서 중공원통형의 필터몸체를 유지하도록 상,하부단이 각각 지지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respectively supported to maintain the hollow body cylindrical filter body by the separated first, second, and lower supports 45, 47, 48, and 49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또한, 상기 중간지지체(46)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형 제2하부지지체와 결합되는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올려지고 가습용 물이 채워지는 다른 바닥리브(46b)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로부터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리브(46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upport 46 is disposed in the reservoir portion,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bottom rib 46b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coupled with the second lower supporter is raised and filled with humidification water. ), And may include a central rib 46a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rib and inter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이때, 상기 중앙리브(46a)는 상기 바닥리브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접하는 다른 내,외측 보조바닥리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22)에 채워져 상기 가습용 필터에 제공되는 가습용 물의 저수량을 확보하고, 상기 저수부에 채워진 가습용 물이 인접하는 정화용 필터로 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central rib 46a is preferably filled or replenished in the bottom rib so as to extend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immersed. It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bottom rib to fill the reservoir 22 to secure a low amount of humidifying water provid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o prevent the humidification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to flow over to the adjacent purification filter. will be.

이에 따라, 상기 분리형 제1상,하부 지지체가 상,하부단에 각각 조립된 정화용 필터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밀착리브(23)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상부밀착리브(24)에 의해서 본체부의 내부에 정위치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분리형 제2상,하부 지지체가 상,하부단에 각각 조립되는 가습용 필터는 상기 중간지지체의 내측에 끼움배치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의 내부공간에 정위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eparation filter of the first filter, the lower supporter is assemb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by the lower contact ribs 23 extending from the base part and the upper contact ribs 24 formed on the main body part.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fixed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paration type second and lower supporters are assemb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humidifying filter is fitted inside the intermediate support to b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urification filter. It is fixed.

여기서, 상기 분리형 제1하부지지체(45) 및 중간지지체(46)의 각 바닥리브(45b,46b)는 상기 본체부의 저수부에 접하여 배치되는 독립형 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형 제1상부지지체(47)의 천정리브(47b)는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천정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저수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천정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체형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each of the bottom ribs 45b and 46b of the detachable first lower support 45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46 is formed of independent rib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servoir of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first upper support 47 Although the ceiling rib 47b of FIG. 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ade of ribs.

그리고, 상기 필터부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엑추에이터 모듈부가 분리된 본체부를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하부단에 분리형 제1상,하부지지체가 조립되고,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에 분리형 제2상,하부 지지체가 조립된 필터부(40)가 외부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베이스부의 하부밀착리브와 접하여 고정된 정화용 필터와, 상기 중간지지체와 접하여 고정된 가습용 필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nd, as shown in Figure 11,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filter unit with a new component, if the main body portion separated from the actuator module unit, the first upper and lower support body of the separation type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Is assembled, and the filter unit 40, in which the separate second upper and lower supports are assemb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umidifying filter fixed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support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individual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본체부
11 : 유입공
12 : 안착부
13 : 배기그릴
20 : 베이스부
22 : 저수부
30 : 엑추에이터 모듈부
31 : 모듈케이싱
31a,31b : 상,하부 케이싱
33 : 하부그릴
34 : 하부그릴
35 : 모터
35a : 팬
36 : 제어판넬
37 : 메인기판
38 : 손잡이판체
39 : 호형 지지체
40 : 필터부
41 : 정화용 필터
42 : 가습용 필터
43 : 일체형 하부지지체
44 : 일체형 상부지지체
45 : 분리형 제1하부지지체
46 : 중간지지체
47 : 분리형 제1상부지지체
48 : 분리형 제2하부지지체
49 : 분리형 제2상부지지체
10: main body
11: inflow hole
12: seating part
13: exhaust grill
20: base part
22: reservoir
30: actuator module
31: module casing
31a, 31b: upper and lower casing
33: lower grill
34: lower grill
35: motor
35a: fan
36: control panel
37: main board
38: handle plate
39: arc support
40: filter part
41: Purification filter
42: humidification filter
43: integral lower support
44: integral upper support
45: detachable first lower support
46: intermediate support
47: detachable first upper support
48: detachable second lower support
49: detachable second upper support

Claims (17)

복수개의 유입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하부단이 대응조립되고, 밀폐된 바닥면에 가습용 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저수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모듈케이싱을 갖추고,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배기그릴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의 하부에 하부그릴을 갖추고, 상기 하부그릴과 대응하는 모듈케이싱의 상부에 상부그릴을 갖추며, 상기 상부그릴과 하부그릴사이에서 위치하는 팬을 갖는 모터를 갖추어 상기 팬의 회전구동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엑추에이터 모듈부 ;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정화용 필터를 갖추고, 상기 정화용 필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부의 가습용 물에 하부단이 접하여 침지되는 가습용 필터를 갖추어 상기 정화용 필터를 1차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가습용 필터에서 2차 통과시켜 상기 정화된 공기에 수분을 침습시키는 필터부 ; 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고 2차 가습된 공기가 상기 팬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배기그릴, 하부그릴 및 상부그릴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배출하며,
상기 모듈케이싱은 상하합형되는 하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기 하부그릴과 대응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하부그릴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상부그릴과 대응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상부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상부그릴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케이싱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지지리브에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의 외부면이 접하여 상기 모듈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모듈케이싱은 상,하부 케이싱 중 일측 케이싱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연결홈으로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을 갖추어 상기 모듈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판체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배치고정홈에 위치되어 걸림배치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therethrough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recessed downwardly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 base portion having an open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reservoir por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humidification is filled on the sealed bottom surface;
A module casing disposed in the seating unit; a lower grille below the module casing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grill provided in the seating unit; An actuator module unit having a motor having a fan positioned between the grill and the lower grill to generate suction power when the fan is rotated;
I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has a filter for purification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and a humidification filter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filter for purification to be immer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in the humidifying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A filter unit configured to infiltrate moisture in the purified air by passing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secondly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filter firstly; Including,
The first filtered and the second humidifi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is sequen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rill, the lower grill and the upper grill by the suction power of the fan, and discharged outside.
The module casing includes an upper casing and a lower casing,
The lower casing includes a lower fixing groove fixed to the outer edge of the lower grill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of the lower opening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grill.
The upper casing includes an upper fixing groove fixed to the outer edge of the upper grill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upper opening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grill.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ib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 is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casing,
The module casing includes a handle plate bod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having a fixing plate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connec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casing of the upper and lower casings.
The handle plate body is located in the arrangement fixing grooves are formed recessed in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disposed, the combine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하부단과,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일체형 상,하부지지체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includes an integrate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ying filter simultaneously to support the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하부지지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인 저수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저수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바닥리브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바닥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lower support comprises a central bottom rib disposed in the reservoir portion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rib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servoir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바닥리브는 상기 저수부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entral bottom rib is filled or replenished in the reservoir portion is extende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to be immersed, the height of the humidifying and air conditioning combined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상부지지체는 상기 본체부의 천정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천정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천정리브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천정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unitary upper support includes a central ceiling rib dispos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iling rib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inter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Hybrid air conditioner with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정화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1상,하부지지체와, 상기 가습용 필터의 상,하부단을 지지하는 분리형 제2상,하부지지체 및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includes a separate first phase and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rifying filter, and a separate second phase and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purify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ying and air purifying function comprising an intermediate support interposed therebetw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저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형 제2하부지지체와 결합되는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올려지는 다른 바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리브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정화용 필터와 가습용 필터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intermediate support is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ncludes another bottom rib which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coupled to the second type of lower support is raised,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bottom rib and the purifying filter and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including a central rib interposed between the humidification filt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리브는 상기 저수부에 채워지거나 보충되어 상기 가습용 필터의 하부단이 침지되는 가습용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entral rib is filled or replenished in the reservoir portion is extended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soak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수직한 분할조립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는 제1본체케이싱과 제2본체케이싱을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main body unit comprises a first body casing and a second body casing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divided assembly line,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부와 대응하는 중앙영역에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배기그릴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그릴은, 상기 팬의 회전중심과 대응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안착부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n exhaust grill through which air freely passes through a centr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portion,
The exhaust grill may include a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a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edge of the sealing plat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taining,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그릴은 상기 하부고정홈과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대응하는 하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grill includes a lower support r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fixing groov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ribs extending radially from an outer edge of the lower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ring. Combination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그릴은 상기 상부고정홈과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대응하는 상부밀폐판의 외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지지링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grill includes an upper support r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upper fixing groov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ribs extending radially from an outer edge of the upper sea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ring. Combination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싱은 하부 외부면에 호형으로 함몰형성된 호형 배치홈에 배치되고, 상기 호형 배치홈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공과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를 양단에 각각 형성한 호형 지지체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module casing is disposed in the arc-shaped groove formed in the arc recess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and includes an arc-shaped support formed on both ends of the hinge projections hinged rotatably with the assembly ho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arc-shaped groove, And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지지체는 바닥면과 접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arc-shaped support includes a fla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 hybrid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ying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KR1020180138102A 2018-11-12 2018-11-12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KR102076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02A KR102076058B1 (en) 2018-11-12 2018-11-12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02A KR102076058B1 (en) 2018-11-12 2018-11-12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58B1 true KR102076058B1 (en) 2020-02-11

Family

ID=6956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02A KR102076058B1 (en) 2018-11-12 2018-11-12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5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3655A (en) * 2020-04-26 2020-08-07 青岛科技大学 Heatable thermos cup with ironing clothes function
CN111998477A (en) * 2020-09-10 2020-11-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Humidifier
CN112556071A (en) * 2020-12-10 2021-03-2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purification assembly thereof
CN112611053A (en) * 2020-12-16 2021-04-06 杭州袖坤物联网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intelligence manufacture equipment based on thing networking is use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4B1 (en) * 2013-12-11 2015-05-07 김보곤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ir ventilation
WO2017074128A1 (en)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fying air-cleaner
CN106705260A (en) * 2017-01-24 2017-05-24 凡成(厦门)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purification equipment
KR20170141395A (en)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063725A (en) * 2016-12-02 201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80082023A (en) * 2017-01-09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tary spray apparatus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4B1 (en) * 2013-12-11 2015-05-07 김보곤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ir ventilation
WO2017074128A1 (en)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fying air-cleaner
KR20170141395A (en)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063725A (en) * 2016-12-02 201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80082023A (en) * 2017-01-09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tary spray apparatus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CN106705260A (en) * 2017-01-24 2017-05-24 凡成(厦门)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purification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3655A (en) * 2020-04-26 2020-08-07 青岛科技大学 Heatable thermos cup with ironing clothes function
CN111998477A (en) * 2020-09-10 2020-11-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Humidifier
CN112556071A (en) * 2020-12-10 2021-03-2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purification assembly thereof
CN112611053A (en) * 2020-12-16 2021-04-06 杭州袖坤物联网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intelligence manufacture equipment based on thing networking is u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58B1 (en)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CN114396651A (en) Vertic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JP4737338B2 (en) Discharge unit for liquid treatment, humidity control device, and water heater
JP6032994B2 (en) Liquid supply device, humidification device and container
KR20120113027A (en)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KR20170124210A (en) Clean air, all-in-one with a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functions
KR20060129677A (en) A dehumidifier
KR20180026525A (en) Humidifier filter and humidifier
JP2016043105A (en) Air cleaner
JP2018044762A (en) Humidification air cleaner
JP5861990B2 (en) Air conditioner
JPH01168315A (en) Air cleaner
JP5900562B1 (en) Air cleaner
KR20120032393A (en)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
KR101856979B1 (en) Air cleaner
WO2016031784A1 (en) Air purifier
KR100431103B1 (en) humidifier function have a air cleaner useing a filter
KR102011743B1 (en) Indo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variable volume structure
KR20130022571A (en) Disk assembly handle of humidifying air cleaner
KR20140074671A (en) Humidifiers
JP6149954B2 (en) Air conditioner
KR102673287B1 (en) A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using natural humidifying air
JP5983801B2 (en) Air conditioner
JP2014031967A (en) Humidification device
KR20080079418A (en) Disk structure of air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