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73B1 -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73B1
KR102075573B1 KR1020180021737A KR20180021737A KR102075573B1 KR 102075573 B1 KR102075573 B1 KR 102075573B1 KR 1020180021737 A KR1020180021737 A KR 1020180021737A KR 20180021737 A KR20180021737 A KR 20180021737A KR 102075573 B1 KR102075573 B1 KR 10207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oparan
peptide
vaccine
salmonell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1581A (en
Inventor
방우영
허진
문성철
정호경
김삼웅
김일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미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미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to KR102018002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7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75Salmon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과, 상기 면역보조 성분으로서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와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는 아주번트로서 작용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 효과를 증가시키고, 특정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매우 우수한 면역촉진 효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안전하면서도 면역유도 능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사균백신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축산 농가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uno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V1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muno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V1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stoparan as the immunoadjuvant component. A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a -V1 peptide and an antigen.
The mastoparan MP-V1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as an adjuvant to increase the vaccine effe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exerts very good immunostimulatory efficacy against certain pathogenic bacteria. Since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conomically produce bactericidal vaccines which are safe and have dramatically improved immune induction ability, it is thought that they can substantially help livestock farms.

Description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과, 상기 면역보조 성분으로서 마스토파란-V1 펩타이드와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uno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V1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muno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V1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stoparan as the immunoadjuvant component. A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a -V1 peptide and an antigen.

면역보조성분(adjuvant)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면역보조성분은 면역반응의 조절(강화, 억제) 활성을 하는 물질 및 방법을 총칭하며, 항원의 투여 형태에 대한 방법과 면역담당세포에 작용하여 항원특이적 또는 비특이적으로 면역응답을 증강 또는 억제시키는 물질을 일컫는다. 면역반응의 강화를 중심으로 한 조절활성이 있는 물질로서 BCG, Propionibacterium acnes 등의 균체, 세포벽, 트레할로오스다이마이코레트(TDM) 등의 균체성분, 그람음성균의 내독소인 리포다당체(LPS)나 리피드A 분획, β-글루칸(다당체), N-아세틸뮤라밀디펩티드(MDP), 베스타틴, 레바미졸 등의 합성화합물 등 외에 흉선호르몬, 흉선인자, 타프트신 등의 생체성분 유래의 단백질 및 펩티드성 물질이 알려져 있다.Adjuva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by activating immune cells. In general, an adjuvant is a generic term for substances and methods that regulate (enhances, inhibits) the immune response, and acts on the dosage form of the antigen and acts on immunoreactive cells to augment an immune response in an antigen-specific or non-specific manner. Refers to a substance to inhibit. As a substance with regulatory activity centered on strengthening the immune response, cell components such as BCG and Propionibacterium acnes, cell wall, cell constituents such as trehalose dimycolette (TDM), lipopolysaccharide (LPS) which is endotoxin of gram-negative bacteria B) proteins derived from biological components such as thymic hormones, thymic factors, and taftins, as well as synthetic compounds such as lipid A fraction, β-glucan (polysaccharide), N-acetyl muramyldipeptide (MDP), bestatin, and levamizole; Peptide materials are known.

또한, 림포카인, 모노카인이나 인터페론, 또한 억제성 T 세포, 억제성 대식세포의 제거에 의한 면역응답의 증강 등의 조절활성을 하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등도 넓은 뜻의 면역보조성분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그리고, 항원 투여 형태에 관한 보강제로서 알라셀 A(Arlacel A)를 포함한 광물유과 항원수용액을 등량, 혼합하여 유중수적형 유제로 제형화한 프로인트불완전보강제(FIA)가 면역보조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lymphokine, monocaine or interferon, cyclophosphamide, which regulates the immune response by removing inhibitory T cells, inhibitory macrophages, and the like, may also be treated as broad immune supporters. . As an adjuvant for the antigen dosage form, Freund's incomplete adjuvant (FIA) formulated with a water-in-oil emulsion containing an equal amount of mineral oil including Alacel A and an aqueous solution of an antigen is used as an immunoadjuvant.

이들 면역보조성분들은 투여경로, 투여량, 투여시기 등에 따라 면역 응답의 증강뿐만 아니라, 억제의 효과도 일으키며, 또한 보강제의 종류에 따라 항원에 대한 혈중항체 생산, 세포성 면역의 유도, 면역 글로불린의 클래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se adjuvants not only enhance the immune response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dose, and timing of administration, but also cause the effects of inhibition. Also, depending on the type of adjuvant, the production of blood antibodies against antigen, induction of cellular immunity, and immunoglobulin It is kn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lass.

한편, 최근 병원성 세균에 대한 동물의 자체방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기능식품, 사료 및 사료첨가제의 개발, 면역증강제의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을 포함한 동물 질병 치료를 위하여 과량의 항생제 투여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이 발생하였으며, 항생제에 대한 내성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현재 반코마이신을 대체할 새로운 항생제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며, 항생제 사용을 규제하여 내성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국제기구가 만들어져 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On the other han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dietary supplements, feed and feed additives, and the development of immunostimula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improve the animal's self-defense abil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However,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have arisen due to the administration of an excessive amount of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animal diseases including humans, and the problem of resistance to antibiotics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Currently, new antibiotics to replace vancomycin have not yet been developed,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been working to try to reduce their resistance by regulating the use of antibiotics.

또한, 가축에 과량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식품으로서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고, 이는 곧 상품저하를 가져오므로 축산 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동물용 의약품 중 항생제와 항균제를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2012년부터 전면 금지되고 있다. 해외에서도 세계보건기구(WHO)가 가축사료용 항생제 사용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고, 유럽연합(EU)도 치료목적 외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an excess of antibiotics to livestock can threaten the stability as food,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commodity, which causes a large economic loss to the livestock farms. In addition, the use of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s in animal feed mixed with compounded feeds has been banned since 2012. Overse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arns of the dangers of using antibiotics for livestock feed, and the European Union (EU) has also restricted the use of antibiotics for therapeutic purposes.

이와 같이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폐해로 세균성 질병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항생제의 사용 없이 동물의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백신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As suc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explosive increase in bacterial diseases due to the abuse caused by the abuse of antibiotics,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prevent animal diseases without the use of antibiotics, and the role of preventive vaccines to increase. It is becoming.

기존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전통적인 백신들은 주로 사균 백신(killed vaccine) 또는 서브유닛 백신(subunit vaccine)들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균 백신은 포르말린, 베타프로프리오락톤(BPL), 이성분 에틸렌이민(BEI) 등의 화학 약품을 처리하거나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되므로, 세포 외 부속기관들이 이탈되거나 자연적인 에피톱(epitope)을 유지하지 못하여 면역원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존재하며, 사균 백신을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발할 경우에 면역유도 능력의 저하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 예로, Shuai-Cheng Wu등의 연구에 따르면, 포르말린 처리에 의해 제조된 사균 백신(formalin-inactivated Salmonella typhimurium, FIST)을 접종한 마우스는 치사량(1 × 1010 CFU/mouse, n = 10)의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을 복강 내 주입시, 생존율이 3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Shuai-Cheng Wu,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5, 2015).Traditional vaccines against existing pathogenic bacteria are mainly killed vaccines or subunit vaccines. However, conventional vaccines are produced by treatment or heat treatment of chemicals such as formalin, betapropriolactone (BPL) and binary ethyleneimine (BEI), so that extracellular appendages are released or natural epitopes are remov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mmunogenicity is lowered due to failure to maintain), and a decrease in immuno-induced ability is often caused when the bacterial vaccine is treated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For example, according to a study by Shuai-Cheng Wu et al., Mice inoculated with formalin-inactivated Salmonella typhimurium (FIST) had a lethal dose (1 × 10 10 CFU / mouse, n = 10).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showed only a 30% survival rate (Shuai-Cheng Wu,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5, 2015).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특허등록 제10-1797276호, 특허공개 제10-2017-0102095호, 특허등록 제10-1774863호, 특허공개 제10-2017-0081569호 등을 참조하면, 강독성 균주를 약독화시켜 생약독화 백신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생약독화 백신은 병원성 균주를 약독화하지만, 생균을 사용하기 때문에 혐오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생약독화를 위해 소실시킨 유전자가 자연 상태에서 회복되면 원래의 강독성 균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Lin and He, 2012, Avila-Calderon et al., 2013; Langemann et al., 2010). 따라서, 생약독화 백신과 같은 면역유도 능력을 보유하면서도, 사균 백신처럼 안정한 백신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such drawbacks, referr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797276,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2095, Patent Registration No. 10-1774863,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1569, etc. Attenuated highly virulent strains have been prepared for attenuated vaccines. However, the live attenuated vaccine attenuates pathogenic strains, but because of the use of live bacteria,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version, and if the gene lost for live attenuation is recovered in the natural state, it may be converted into the original strongly toxic strain. (Lin and He, 2012, Avila-Calderon et al., 2013; Langemann et al., 2010). Therefore,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vaccine that is as stable as a bacteriophage vaccine while retaining the ability to induce immunity such as a live attenuated vaccine.

이러한 배경 하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르말린 등의 처리에 의해 제조된 저가의 사균 백신이 갖는 면역유도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면역보조성분(adjuvant)을 새롭게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면역보조성분(adjuvant)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균 백신의 안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약독화 백신과 유사한 정도로 면역유도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gainst this background, as a result of earnest research to develop a new adjuvant to enhance the immune-inducing ability of the low-cost bacterium vaccine produced by the treatment of formalin, which is most commonly used, mastoparan When the MP-V1 peptide is used as an adjuv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unity of immunity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to a degree similar to that of the live attenuated vaccine while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bacteriostatic vaccine. .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포르말린 등의 처리에 의해 제조된 저가의 사균 백신의 면역유도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면역보조 성분(adjuvant)의 역할을 하는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toparan MP-V1 peptide, which serves as an adjuvant that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immunity of the low-cost bacterium vaccine prepared by formalin and the like.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조성물(adjuvant)을 이용한 백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백신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vaccine using an adjuvant containing the mastoparan MP-V1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vaccine according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보조(adjuvant) 조성물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 MP-V1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자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어 실제 축산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르말린 등의 화학약품을 처리한 사균백신의 백신 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보조성분(adjuvant)의 발굴을 위해 수년간 연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를 면역보조성분(adjuvant)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를 면역보조성분(adjuvant)으로 적용하면, 안전성은 있으나 면역유도 능력이 낮은 사균 백신의 면역유도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inventors have researched and analyzed for many years to find an adjuvant that enhances the vaccine effect of the vaccinated vaccine treated with chemicals such as formalin,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in livestock farming, because they can be manufactured at low price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mastoparan peptide could be used as an adjuvant was verified. As a result, applying the mastoparan peptide as an adjuvant (adjuvant),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immune-inducing ability of the bactericidal vaccine having a safe but low immuno-inducing ability.

본 발명에서 용어 “마스토파란”은 벌의 독에 함유되어 있는 테트라테카펩티드(Ile-Asn-Leu-Lys-Ala-Leu-Ala-Ala-Leu-Ala-Lys-Lys-Ile-Leu-NH2) 및 그 유사 펩타이드를 의미하며, 이외에도 벌과에 속한 벌의 독에 상기 펩티드 서열과 유사한 서열의 펩타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는 마스토파란 군으로 총칭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토파란은 소수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친수성 환경에서는 무작위 입체구조를 취하지만 소수성 환경에서는 양친매성 α-헬릭스 구조 형태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mastoparan" means tetratecapeptides contained in bee venom (Ile-Asn-Leu-Lys-Ala-Leu-Ala-Ala-Leu-Ala-Lys-Lys-Ile-Leu-NH). 2 ) and its analogous peptides, in addition to the bee venom belonging to the bee family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 peptides of the sequence similar to the peptide sequence. Typically, the mastoparan peptide may be defined collectively as a mastoparan group. The mastoparan is rich in hydrophobic and basic amino acids, taking a random conformation in the hydrophilic environment but having an amphiphilic α-helix structure in the hydrophobic environment.

본 발명에서 용어, “펩타이드(peptide)”란 아미드 결합(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면역반응의 강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구조는 α-헬릭스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균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는 한국 자생 땅벌의 독선 발현 전체 발현 유전체와 단백체를 분석하여 분리된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다. 상기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이 INWKKIKSIIKAAMN의 15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MP-V1) 펩타이드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peptide" refers to a polymer consisting of amino acids linked by amide bonds (or peptide bonds).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a peptide having a potentiating activity of the immune response. The pepti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α-helix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ptide is preferably an antimicrobial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he mastoparan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is a mastoparan peptide isolated by analyzing the whole expression genome and protein of the native expression of Korean native bumblebee. The peptide is a mastoparan (MP-V1)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consisting of 15 amino acids of INWKKIKSIIKAAMN.

상기 서열번호 1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마스토파란 펩타이드의 예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INLKALAALAKKIL)을 갖는 마스토파란-L,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INWKGIAAMAKKIL)을 갖는 마스토파란-X(V),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LKLKSIVSWAKKVL)을 갖는 마스토파란-B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astoparan peptides having a similar effect to the mastoparan peptide of SEQ ID NO: 1 include mastoparan-L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And mastoparan-B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LKLKSIVSWAKKVL) of Toparan-X (V) and SEQ ID NO: 4.

기존에 알려진 다른 마스토파란과 비교해 보면, 상기 서열번호 1의 마스토파란(MP -V1) 펩타이드는 다른 마스토파란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면역반응의 강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는 다른 마스토파란 펩타이드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면역보조성분으로 작용하는 장점이 있다. Compared with other known mastoparans, the mastoparan (MP-V1) peptide of SEQ ID NO: 1 shows a markedly improved immune response enhancing activity compared to other mastoparans, and thus the amino acid of SEQ ID NO: 1 The mastoparan peptide having a sequence has an advantage of acting as an adjuvant more effectively than other mastoparan peptides.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면역보조 조성물은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용 면역보조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토파란 펩타이드의 면역보조성분으로서의 작용에 의해 백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상기 병원성 세균의 종류로는 살모넬라 속 균주, 비브리오 속 균주, 마이코박테리움 속 균주, 시겔라 속 균주, 대장균, 스타필로코커스 속 균주, 스트렙토코커스 속 균주, 및 리스테리아 속 균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모넬라 속 균주로는 살모넬라 속 균주이 있다. 이외에도, 상기 병원성 세균의 종류로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시겔라 디센테리애(Shigella dysenteriae),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장내 유해 대장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커스 수이스(Streptococcus suis), 리스테리아 모노싸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is) 균주 등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munoadjuvant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munoadjuvant composition for a vaccin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Examples of the pathogenic bacteria which can increase the vaccine effect by acting as an immunoadjuvant of the mastoparan peptide include Salmonella strain, Vibrio strain, Mycobacterium strain, Shigella strain, Escherichia coli, Star Phyllococcus strain, Streptococcus strain, and Listeria strain. More specifically, the strain of genus Salmonella is a genus of Salmonella. In addition, as the type of the pathogenic bacteria Vibrio cholera , mycobacterium bovis , Shigella dysenteriae , Shigella flexneri flexneri ), enteric noxiou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 Streptococcus suis , Listeria monocytogenesis strain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면역보조(adjuvant) 조성물에서, 상기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는 (ⅰ) 서열번호 1의 마스토파란 MP-V1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ⅱ) 상기 (ⅰ)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유도하는 발현 조절 서열; 및 (ⅲ) 전사 종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djuv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oparan MP-V1 peptide comprises (i)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mastoparan MP-V1 protein of SEQ ID NO: 1; (Ii) an expression control sequence operably linked with the polynucleotide of (iii) to induce expression of the polynucleotide; And (iii)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transcription termination sequence is produced by the transformed cells into which the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is introduced.

본 발명의 상기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 세포와 관련된 내용은 본 발명자들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7-013825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The contents related to the transformed cells into which the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to produce the mastopararan MP-V1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roduced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38257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또한, 본 발명의 면역보조 조성물은 상기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만으로도 충분한 면역반응 유도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예방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면역보조 조성물은 다른 면역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g, Ca, Sr, Ba 및 R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족 원소 또는 이들의 염; Ti, Zr, Hf 및 Rf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4족 원소; 알루미늄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 또는 디메틸옥타데실암모니윰 브로마이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은, 예를 들면, 옥사이드, 퍼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파이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와 함께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mmunoadjuv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ert a sufficient immune response with only the mastoparan MP-V1 peptide to exert prophylactic efficacy against various diseases. Optionally, the immunoadjuv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add other immunoadjuvant components. Group 2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g, Ca, Sr, Ba and Ra or salts thereof; A Group 4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Zr, Hf and Rf; Salts of aluminum or hydrates thereof; Or dimethyloctadecylammonium bromide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alts are formed with, for example, oxides, peroxides, hydroxides, carbonates, phosphates, pyrophosphates, hydrogenphosphates, dihydrogenphosphates, sulfates or silicates.

또한, 본 발명의 면역보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하이드독사이드 펜타하이드데이트, 티타듐 다이독사이드,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바륨 옥사이드, 바륨 하이이드록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바륨 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칼슘 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수화된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등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munoadjuv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contains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carbonate hydroxide pentahydrate, titadium didoxide, calcium phosphate, calcium carbonate, barium oxide, barium hydroxide, barium peroxide, barium It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sulfate, calcium sulfate, calcium pyrophosphate,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oxide, aluminum hydroxide, aluminum phosphate, hydrated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항원; 및 (b) 면역보조(adjuvant) 성분으로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provides an antibody comprising (a) an antigen; And (b) provides a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a mastoparan MP-V1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s an adjuvant componen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항원(antigen)"은 수용자의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면역반응 유도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gen" is a substance that induces an immune response of a recipi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y substance exhibiting such an immune response inducing effect.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원은 펩티드, 단백질, 핵산, 당(sugar), 병원균, 약독화된 병원균, 비활성화된 병원균, 바이러스, 바이러스-유사 입자(VLP), 세포 또는 세포 조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ntigen may be a peptide, protein, nucleic acid, sugar, pathogen, attenuated pathogen, inactivated pathogen, virus, virus-like particle (VLP), cell or cell fragment. have.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원은 살모넬라균 항원, 결핵균 항원, 탄저균 항원, HAV(Hepatitis A virus)의 항원, HBV(Hepatitis B virus)의 항원, HCV(Hepatitis C virus)의 항원,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항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원, HSV(Herpes simplex virus)의 항원, Hib(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의 항원, 나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의 항원, 코니너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의 항원,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의 항원, 클로스트리듐 테타니(Clostridium tetani)의 항원, HPV(human papilloma virus)의 항원 및 바리셀라 바이러스(Varicella virus)의 항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르말린, 베타프로프리오락톤(BPL), 이성분 에틸렌이민(BEI) 등의 화학 약품을 처리하거나 열처리를 통하여 비활성화된 병원균으로 이루어진 항원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gen is Salmonella antigen,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 Anthrax antigen, Antigen of HAV (Hepatitis A virus), Antigen of Hepatitis B virus (HBV), Antigen of HCV (Hepatitis C virus),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tigen, influenza virus antigen, HSV (Herpes simplex virus) antigen, Hib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antigen, antigen of Neisseria meningitidis, Conifer bacterium diphtheria ( Group consisting of antigens of Corynebacterium diphtheria, antigens of Bordetella pertussis, antigens of Clostridium tetani, antigens of human papilloma virus, and antigens of Varicella virus It can be selected from, and preferably treated with chemicals, such as formalin, betapropriolactone (BPL), binary ethyleneimine (BEI) or inactivated pathogens through heat treatment It may be an antigen made.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그의 기본적인 조성, 즉 항원과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만으로도 충분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특정 질환에 대한 예방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위에서 언급한 추가의 면역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a sufficient immune response with only its basic composition, ie, the antigen and the mastoparan MP-V1 peptide, thereby exerting a preventive effect on a specific disease. Optionally,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additional adjuvant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신은 살모넬라 백신, 암 백신, 독감 백신, 결핵 백신, 탄저균 백신, HAV 백신, HBV 백신, HCV 백신, HIV 백신, 단순포진 백신, 뇌수막염 백신, 디프테리아 백신, 백일해 백신, 파상풍 백신 또는 수두 백신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accine is Salmonella vaccine, cancer vaccine, flu vaccine, tuberculosis vaccine, anthrax vaccine, HAV vaccine, HBV vaccine, HCV vaccine, HIV vaccine, herpes simplex vaccine, meningitis vaccine, diphtheria vaccine, whooping cough Vaccine, tetanus vaccine or chickenpox vaccine.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백신으로 투여되어 병원성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면역성을 유도할 수 있는데,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절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및 링겔액 등의 수성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텔(예, 올레인산에칠 등) 및 알코올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및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사제의 경우에는 적합한 분사제, 예컨대 , 압축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 기반 낮은 끓는점 용매 등을 사용하여 가압팩 또는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시체의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될 수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s a vaccine to induce immunity against diseases caused by infection by pathogenic bacteria, wherein the vaccine composition can be suitably formulated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can be used as oral administration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excipients, solubilizers, dispersant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pigments and flavors, and in the case of injections, physiological saline And non-aqueous solvents such as aqueous solvents such as ring gel solution, vegetabl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e.g., oleic acid, etc.), and alcohols (e.g.,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Buffers, preservatives, analgesics, solubilizers, isotonic agents, stabilizer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combination. In the case of propellants, suitable propellants, such as compressed air, nitrogen, carbon dioxide, or hydrocarbon-based low boiling point solvents, can be conveniently delivered in the form of aerosol spray presentation from a pressurized pack or sprayer.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릴시르,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 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The formulation of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ways by mix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tablets, troches, capsules, elesir, suspensions, syrups, wafers, etc., and in the case of injections,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ampoules or multiple dosage forms.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vaccine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via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체 또는 수의용으로 제형화되어 다양한 경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은 비경구 경로, 예컨대 혈관 내, 정맥 내, 동맥 내, 근육 내 또는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경구, 비강, 직장, 경피 또는 에어로졸을 통한 흡입 경로로 투여될 수도 있으며, 볼루스로 투여하거나 또는 서서히 주입할 수도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설하, 근육 내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강 경로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 "admin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introducing any substance into a human or animal by any suitable method and is formulated for human or veterinary administration and administered by various routes.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 parenteral route such as intravascular,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and may be administered by inhalation via oral, nasal, rectal, transdermal or aerosol. It may also be administered by bolus or slowly infused, but specifically may be administered by sublingual, intramuscular or nasal route, more specifically nasal rou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항원과, 면역보조(adjuvant) 성분으로서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백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이나 심각한 또는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치료될 장애, 장애의 중증도, 특정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제거 속도, 치료 지속 기간, 백신과 조합되거나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대상체의 나이, 체중, 성별, 식습관, 일반적인 건강 상태, 및 의약 업계 및 의학 분야에 공지된 인자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치료 상 유효량" 결정시 고려되는 다양한 일반적인 사항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Gilman etal.,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e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Press, 1990] 및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 Mack PublishingCo., Easton, Pa., 1990] 등에 기재되어 있다. Vaccine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omprising an antigen and a mastoparan MP-V1 peptide as an adjuvant component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exhibit a vaccine effect and an amount not causing side effects or severe or excessive immune responses, and an effective dose level is used to determine the disorder, disorder to be treated. Severity, activity of a particular compound,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limination, duration of treatment, drug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with the vaccine, age, weight, sex, eating habits,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and known in the pharmaceutical and medical arts It will depend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factors. Various general considerations that are considered in determin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Gilman et al.,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e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Press, 1990. An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1회 투여시 투여되는 항원으로서의 사균 수는 통상적으로 약 1×107 내지 1×1011, 보다 구체적으로는 1×108 내지 5×1010, 더욱 구체적으로는 5×108 내지 2×1010 개의 사균 범위이고, 면역보조(adjuvant) 성분으로서 투여되는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의 농도는 0.1μg/ml 내지 100μg/ml 이다. When administering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ead bacteria as an antigen to be administered in one administration is usually about 1 × 10 7 to 1 × 10 11 , more specifically 1 × 10 8 to 5 × 10 10 ,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range of 5 × 10 8 to 2 × 10 10 germs, and the concentration of mastoparan MP-V1 peptide administered as an adjuvant component is 0.1 μg / ml to 100 μg / ml.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 separate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ⅰ) 본 발명은 면역보조(adjuvant) 성분으로서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와 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Ii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cine composition containing a mastoparan MP-V1 peptide and its active ingredient as an adjuvant component.

(ⅱ)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는 아주번트로서 작용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 효과를 증가시키고, 특정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매우 우수한 면역촉진 효능을 발휘한다.(Ii) The mastoparan MP-V1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as an adjuvant to increase the vaccine effe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exert very good immunostimulatory efficacy against certain pathogenic bacteria.

(ⅲ) 이에 따라, 면역보조(adjuvant) 성분으로서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안전하면서도 면역유도 능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사균백신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축산 농가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ii) Accordingly,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mastoparan MP-V1 peptide as an adjuvant component can be economically produced for safe and immunization-induced bacteriophage vaccine, so that it can be produced in livestock farms. It can be practically helpful.

도 1은 마스토파란의 일차구조 및 이차구조를 비교한 그림으로, 일차구조를 비교한 그림(도 1A), 펩타이드 계통도(도 1B), 및 원평광 이색 스펙트럼 분석(도 1C) 결과이다.
도 2는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를 면역보조 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된 사균 백신의 근육 접종을 통해 강독성 미생물인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병원균에 대한 백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를 면역보조 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된 사균 백신을 근육 접종하고, IgG 단백질에 대한 ELISA 면역 반응 수행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를 면역보조 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된 사균 백신을 근육 내 접종하고, IFN-γ 단백질(pg / ml)에 대한 ELISA 면역 반응 수행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강독성 미생물인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병원균으로 도전감염 한 후, 2주 경과 후에 생존한 닭에 대해 부검을 실시하여 간을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diagram comparing the primary structure and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mastoparan, the figure comparing the primary structure (Fig. 1A), peptide phylogenetic diagram (Fig. 1B), and circular light dichroism spectrum analysis (Fig. 1C) results.
Figure 2 is a graph measuring the vaccine effect against the highly toxic microorganism Salmonella gallinarum pathogen through the inoculation of the bacteriophage vaccine prepared by adding the mastoparan peptide as an adjuvant component.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LISA immune response to IgG protein inoculated with the bacteriophage vaccine prepared by adding the mastoparan peptide as an immunoadjuvant component.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ELISA immune response to intramuscular inoculation of the bacteriophage vaccine prepared by adding a mastoparan peptide as an immunoadjuvant component, IFN-γ protein (pg / ml).
Figure 5 is a highly toxic microorganism Salmonella Guerlin arum (Salmonella gallinarum ) Liver of a chicken that survived 2 weeks after challenge with a pathogen, followed by autopsy.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실험재료 준비Example. Experimental Material Preparation

1-1. 병원성 세균 및 생장조건1-1. Pathogenic Bacteria and Growth Conditions

한국산 닭에서 분리된 악성 스트레인인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HJL465를 병원성 세균으로 선정하였다. 병원성 세균 살모넬라 겔린아룸을 37℃에서 LB 브로스와 LB 아가 배지(Becton Dickinson, Sparks, MD, USA)에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Salmonella Gallinarum HJL465, a malignant strain isolated from Korean chickens, was selected as a pathogenic bacterium. Pathogenic bacteria Salmonella guerlinum was prepared by incubating in LB broth and LB agar medium (Becton Dickinson, Sparks, MD, USA) at 37 ℃.

1-2.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합성 및 정제1-2. Mastopranan Peptide Synthesis and Purification

마스토파란 펩타이드는 달리 언급 하지 않는 한 0.61mmol/g의 초기 로딩된 링크 아미드 수지(100mg)로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Fmoc, 9-fluorenylmethoxy carbonyl)을 아미노산의 보호기로 사용하여 통상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에 의해 합성하였다. The mastoparan peptide is a conventionally loaded link amide resin (100 mg) of 0.61 mmol / g, unless otherwise stated, using 9-fluorenylmethoxycarbonyl (Fmoc, 9-fluorenylmethoxy carbonyl) as a protecting group of amino acids. It was synthesized by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

수지는 적절한 팽창을 위해 합성 전에 45분 동안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으로 세척 하였다. 서열 연장을 위해,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로 보호된 아미노산(5 당량)은 DMF 용액(2 mL, 0.15 mM) 내의 HBTU[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5.0 eq.], HOBt(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5.0 eq.) 및 DIEA(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 eq.)로 2분 동안 처리하여 활성화시켰다.The resin was washed with DMF (N, N-dimethylformamide) solution for 45 minutes before synthesis for proper expansion. For sequence extension, the amino acid (5 equivalents) protected with 9-fluorenylmethoxycarbonyl group was HBTU [2- (1H-benzotriazol-1-yl) -1,1 in DMF solution (2 mL, 0.15 mM). , 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5.0 eq.], HOBt (1-hydroxybenzotriazole, 5.0 eq.) And DIEA (diisopropylethylamine, 10 eq.) For 2 minutes Treatment was activated.

이 용액을 레진 상의 유리된 아민에 첨가하고, 커플링 반응은 볼텍스 교반과 동시에 1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DMF 용액으로 세정 후, DMF 용액 중 20% 피페리딘(2회: 1×10분, 2×3분)에 의해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를 제거하였다. 수지를 DMF(3×3 분) 용액으로 세척하고, 다음의 아미노산에 대해 같은 반응을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선형 펩타이드는 TFA(trifluoroacetic acid, 레진 100mg 당 TFA 2mL)에 존재하는 5% TIS(triisopropylsilane) 및 5% H2O로 2 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지에서 절단하였다. 펩타이드가 침전되도록 절단된 칵테일을 차가운 에테르(ether)와 혼합하였고, 이후 원심분리 하였다.This solution was added to the free amine on the resin and the coupling reaction proceeded for 1 hour simultaneously with vortex stirring. After washing with DMF solution, 9-fluorenylmethoxycarbonyl group was removed by 20% piperidine (twice: 1 × 10 min, 2 × 3 min) in DMF solution. The resin was washed with DMF (3 × 3 min) solution and the same reaction was repeated for the next amino acid. The linear peptide was cleaved from the resin by reacting with 5% triisopropylsilane (TIS) and 5% H 2 O present in trifluoroacetic acid (TFA 2 mL per 100 mg of resin). The cocktail cut to precipitate the peptide was mixed with cold ether and then centrifuged.

예비 RP- HPLC(reverse-phase HPLC) 분석은 0.05% TPA 존재 하에서 0% 내지 90%의 물/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를 사용하여 비닥(Vydac) C18 컬럼 상에서 수행되었다. 펩타이드의 마지막 순도(>95%)는 분석용 비닥 C18 컬럼(4.6mm×250mm, 300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1
5mm 입자 사이즈) 상에서의 RP- HPLC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Preliminary reverse-phase HPLC (RP-HPLC) analysis was performed on a Vydac C 18 column using a water / acetonitrile gradient of 0% to 90% in the presence of 0.05% TPA. The final purity (> 95%) of the peptide was determined by analytical Bidda C 18 columns (4.6 mm × 250 mm, 300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1
Evaluation by RP-HPLC analysis on 5 mm particle size).

서열 정렬(도 1A) 및 계통 분석(phylogenetic analyse, 도 1B 참조)을 마스토파란 MP-L, MP-X(V), MP-B, 및 MP-V1은 전형적인 마스토파란 류로 분류되며, 공통적인 모티프를 공유한다.For sequence alignment (FIG. 1A) and phylogenetic analysis (see FIG. 1B), mastoparan MP-L, MP-X (V), MP-B, and MP-V1 are classified as typical mastoparans and are common. Share the motif.

한편, 땅벌(Vespula vulgaris)의 독에서 분리한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MP-V1) 펩타이드는 부가적인 15번째 서열에 극성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을 포함하는 비정형적인 마스토파란으로, 이는 14개의 잔기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마스토파란과는 확연하게 구별된다(도 1 참조).On the other hand, bumblebee (Vespula mascarfaran (MP-V1) peptide having a sequence of SEQ ID NO: 1 isolated from the venom of vulgaris ) is an atypical mastoparan containing asparagine, the polar amino acid in an additional 15th sequence, consisting of 14 residues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typical mastoparan (see FIG. 1).

또한, 전형적인 마스토파란이 소수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MP -V1은 펩타이드의 중간에 극성을 갖는 사이드 체인인 7번째 라이신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도 1 참조). It was also found that MP-V1 has a seventh lysine, which is a polar side chain in the middle of the peptide, whereas typical mastoparan contains hydrophobic amino acids (see FIG. 1).

또한, JASCO J-715 스펙트로폴라리미터(JASCO 인터내셔널, 도쿄, 일본)를 이용하여 합성된 폴리펩타이드들의 2차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In addition, circular dichroism spectr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structure of polypeptides synthesized using JASCO J-715 spectropolar limiter (JASCO International, Tokyo, Japan).

상기 합성된 모든 마스토파란의 CD 스펙트럼은 수용액 상태에서 랜덤 코일(random-coil) 형태의 특성을 보였다(도 1C). 그러나, 8mM의 SDS 및 40%의 TFE 존재 하에서, 모든 마스토파란의 CD 스펙트럼은 α-헬릭스(α-helical) 특성을 보였다(도 1C).The CD spectra of all the synthesized mastoparans showed a random coil (random-coil) form in aqueous solution (FIG. 1C). However, in the presence of 8 mM SDS and 40% TFE, the CD spectra of all mastoparans showed α-helical properties (FIG. 1C).

다른 환경에서 마스토파란에 대해 측정된 퍼센트 α-헬릭스(Percent α-helix)는 마스토파란이 8mM의 SDS 또는 40%의 TFE 존재 하에서, α-헬릭스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수용액 상태에서는 랜덤 코일 형태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표 1).Percent α-helix, measured against mastoparan in different environments, is an aqueous solution, while mastoparan tends to form α-helix structures in the presence of 8 mM SDS or 40% TFE. Has been found to tend to form a random coil form (Table 1).

[표 1]. 다른 환경에서의 마스토파란 V1의 퍼센트 α-헬릭스 특성 분석TABLE 1 Percent α-helix Characterization of Mastoparan V1 in Different Environments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2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2

특히, 모든 마스토파란 중, MP-X(V)는 8mM SDS 또는 40% TFE 조건에서 가장 높은 α-헬릭스 퍼센트를 보인 반면 MP-V1은 MP-L과 MP-B에 비해 다소 높은 α 헬릭스 퍼센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In particular, of all mastoparans, MP-X (V) showed the highest α-helix percentage at 8mM SDS or 40% TFE, while MP-V1 had a slightly higher α-helix percentage compared to MP-L and MP-B. It was shown.

1-3. 아주번트로 마스토파란 V1을 이용한 백신의 제조1-3. Preparation of Vaccine Using Mastoparan V1 as Adjuvant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HJL 465 단일 콜로니를 LB 브로스 200mL에 독립적으로 주입하고, 37℃에서 천천히 교반 배양하여 600nm에서 광학 밀도가 0.3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Salmonella Gallinarum HJL 465 single colony prepared in Example 1-1 was independently injected into 200 mL of LB broth, incubated slowly at 37 ° C., and cultured at 600 nm until the optical density reached 0.3. .

상기 병원균 배양 배지에 포르말린을 처리하여 병원성 세균의 사멸을 유도하였다. 이 후, 상기 LB 아가 배지를 4000g 원심분리기에 넣고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사멸된 세포들을 수거하였고, PBS 용액에 3.0 × 109 세포/mL 농도로 재현탁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포르말린 처리 사균 백신에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서열번호 1의 마스토파란 VI 20μg/ml를 아주번트로 첨가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ghost vaccine)으로 이용하였다. The pathogen culture medium was treated with formalin to induce the death of pathogenic bacteria. Thereafter, the LB agar medium was placed in a 4000 g centrifuge and centrifuged for 30 minutes to kill dead cells, and resuspended in a PBS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3.0 x 10 9 cells / mL. 20 μg / ml of mastoparan VI of SEQ ID NO: 1 prepared in Example 1-2 was added to the formalin-treated Bacillus vaccine prepared in Example 1-2, and used as a vaccin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1-4. 양성 및 음성 대조군1-4.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

M사에서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포르말린 처리 사균백신(3.0 × 109 세포/mL 농도)을 처리하여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Formalin-treated vaccinated vaccine (3.0 × 10 9 cells / mL concentration)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 Company was treated and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또한, 상기 병원성 사균 또는 생균을 포함하지 않고, 동량의 PBS 용액을 처리하여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In addition, it did not contain the pathogenic dead or live bacteria, the same amount of PBS solution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group.

1-5. 통계분석1-5. Statistical analysis

SPSS version 16.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PHT 검정(post hoc turkey)에 의해 쌍별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수행하였다. 모든 수치는 적어도 3회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값에 대한 평균±SE로 표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P < 0.01 수준에서 결정되었다.Pair-wise comparisons were performed by PHT test (post hoc turkey) using SPSS version 16.0 (SPSS Inc., Chicago, IL, USA). 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 for at least 3 independent experimental valu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P <0.01 level.

실험예 1. 동물모델을 통한 면역원성 검증Experimental Example 1. Immunogenicity Verification through Animal Model

농가에서 사육되는 닭을 3개의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군에는 30 마리의 닭을 배치하였다. 각각의 군에 속한 닭은 절반으로 나누어 6주령에 프라임 항원을 근육 접종(0 WPPI)하였고, 3주 후인 9주령에 부스트 항원을 경구 접종(3 WPPI)하였다.Chickens raised in farm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30 chickens in each group. Chickens in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half and inoculated with the prime antigen at 6 weeks of age (0 WPPI) and orally at 3 weeks after 9 weeks of boost antigen (3 WPPI).

F 군의 닭은 살균된 PBS 용액을 근육 주사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H 내지 J 군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신을 각각 3.0 × 109 CFU 농도로 20μL의 PBS 용액에 희석하여 각각 15 마리씩 근육 주사하였고, 2차 접종 후 3주 후에 야외에서 분리한 실시예 1-1의 Salmonella Gallinarum 독성주를 배양하여 이를 챌린지 균주로 하여, 접종 균량을 5 × 108 CFU의 고농도로 희석한 후, 경구로 모든 닭에 접종하였다(표 2).Chickens of group F were used as a control by intramuscular injection of sterile PBS solution, H-J group was diluted to 20 μL PBS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3.0 × 10 9 CFU each of the vaccine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above Example 15 each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Salmonella Gallinarum toxic strain of Example 1-1, which was isolated outdoors 3 weeks after the second inoculation, was cultured as a challenge strain, and the inoculum was diluted to a high concentration of 5 × 10 8 CFU, followed by oral All chickens were inoculated (Table 2).

[표 2]TABLE 2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3
Figure 112018019023266-pat00003

혈청 및 분변 샘플은 각각, 0, 3, 및 6 WPPI(week post prime inoculation) 경과 후에 면역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채취하였다.Serum and fecal samples were taken to assess immune responses after 0, 3, and 6 week post prime inoculation (WPPI), respectively.

모든 동물실험은 한국 동물 보호 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전북대학교 동물 윤리 위원회의 윤리 규정(CBU 2012-0017)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All 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the approval of the Code of Ethics (CBU 2012-0017) of the Animal Ethics Committee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Korean Animal Protection Committee.

실험결과, PBS 용액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인 F 군에서는 챌린지 후 8일경과 시점부터 폐사되는 닭이 관찰되었으며, 14일 경과 시점에서는 15 마리의 닭 중에서 10% 정도만 생존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As a result, in F group treated with PBS solution, F chickens were observed to die from 8 days after challenge, and only 14% of 15 chickens survived after 14 days.

또한,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포르말린 처리 사균백신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인 I 군에서도 음성대조군인 F 군과 동일하게 챌린지 후 8일경과 시점부터 폐사되는 닭이 관찰되었고, 14일 경과 시점에서는 15 마리의 닭 중에서 10% 정도만 생존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In addition, in the group I, a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formalin-treated vaccinated vaccines, chickens died from the 8th day after the challenge as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F, and 15 chickens after 14 days. Only about 10% of the survivors were observed.

이러한, 음성 및 양성대조군과는 달리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을 아주번트로 사용하여 제조한 백신을 처리한 J 군에서는 챌린지 후 8일 경과 시점에서 폐사가 일어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14일 경과 시점에서 15마리의 닭 중에서 70%의 닭이 생존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이 아주번트로서 작용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 효과를 직접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Unlike the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s, in the J group treated with the vaccine prepared using the mastopararane peptide V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juvant, death occurred at 8 days after the challenge, but 14 days later. At the time point, 70% of the 15 chickens surviv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stoparan peptide V1 acted as an adjuvant to directly enhance the vaccine effe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실험예 2. ELISA 면역 반응Experimental Example 2 ELISA Immune Response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외부 멤브레인 단백질(OMPs, outermembrane proteins)에 특이적인 IgG(Invitrogen, Carlsbad, CA)를 상기 실시예 1-3의 아주번트로 마스토파란 V1을 이용하여 제조된 백신을 경구 투여한 닭에서 채취한 혈청 샘플에 각각 적정하고, 허 및 이(Hur and Lee, 2011, Vaccine Immunolo. 18, 203-209)의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 3에 나타내었다. Salmonella Gallinarum Salmonella Gallinarum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outermembrane proteins) specific IgG (Invitrogen, Carlsbad, CA) to the vaccine prepared using Mastoparan V1 in the adjuvant of Examples 1-3 Titrated to serum samples collected from orally administered chicken, respectively, and analyzed using the ELISA method of Hu and Lee (Hur and Lee, 2011, Vaccine Immunolo. 18, 203-209), shown in FIG.

그 결과, 아주번트로 마스토파란 V1을 이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백신을 처리한 J 군에서는 살모넬라 겔린아룸 외부 멤브레인 단백질(outer membrane proteins, OMP)에 특이적인 혈장 IgG의 농도가 3 WPPI 경과 후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6 WPPI 경과시점에서는 PBS 용액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3배 증가하였으며,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사균백신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인 I 군에 비해 1.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in the group J treated with the vac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using mastopararan V1, plasma IgG concentrations specific for Salmonella outer membrane proteins (OMP) were increased by 3 WPPI. After 6 WPPI, it increased by 3 time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PBS solution, and increased 1.25 time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vaccinated vaccine.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을 아주번트로 사용하여 제조한 백신이 체액성 면역체계를 통해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항체의 분비를 촉진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 효과를 증진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vaccine prepared using the mastopararane peptide V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juvant promotes the secretion of antibodies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through the humoral immune system, thereby enhancing the vaccine effe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Sikkim could be confirmed.

실험예 3.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cytokines in splenocytes

상기 실험예 2의 실험이 끝나고, 6 WPPI에 각 그룹에서 5마리의 닭이 비장을 채취하기 위해 희생되었고, 비장은 아래 방법에 따라 무균적으로 채취되었다.After the experiment of Experimental Example 2 was finished, 5 chicken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to collect the spleen at 6 WPPI, and the spleen was aseptically col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먼저, 각 그룹별로 5마리의 닭을 마지막 예방 접종 후, 2주째에 각각 무균적으로 비장을 채취하여 RPMI 1640에 모았다. 그다음 0.8% ammonium chloride(w/v) 용액을 이용하여 적혈구를 용해하였고, 380×g, 4℃ 조건에서 10분간 원심한 후 침전물을 멸균 PBS로 3번 세척하였다. 마지막 원심분리 후, 완전배지(complete medium)(RPMI 1640 supplementedwith 100IU/ml penicillin, 100ug/ml streptomycin 및 10% FCS)로 재부유하였다. 배양되는 세포 수를 계산하여, 각 항원으로 72시간 반응 시킨 후, 380×g, 4℃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고, 상청액을 -80℃에 보관하며 ELISA 어세이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cytokines) 농도를 측정하였다.First, five chickens of each group were spleens collected aseptically at 2 weeks after the last vaccination and collected in RPMI 1640. Then, red blood cells were dissolved using 0.8% ammonium chloride (w / v) solution, and centrifuged at 380 × g and 4 ° C. for 10 minutes, and the precipitate was washed three times with sterile PBS. After the last centrifugation, the cells were resuspended with complete medium (RPMI 1640 supplemented with 100 IU / ml penicillin, 100 ug / ml streptomycin and 10% FCS). Calculate the number of cells to be cultured, react with each antigen for 72 hours, centrifuge at 380 × g, 4 ° C for 10 minutes, store the supernatant at -80 ° C, and use cytokine using ELISA assay. The concentration was measured.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주번트로 마스토파란 V1을 이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백신을 처리한 J 군에서는 INF-γ의 농도가 PBS 용액을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4배 가량 증가하였고,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포르말린 처리 사균백신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인 I 군에 비해 1.5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4, in the J group treated with the vac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using mastopararan V1 with adjuvants, the concentration of INF-γ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e nega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PBS solution The increase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formalin-treated vaccinated vaccine.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을 아주번트로 사용하여 제조한 백신이 세포성 면역체계를 통해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우수한 백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hrough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vaccine prepared using the mastoparan peptide V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juvant exhibits an excellent vaccine effe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by secreting cytokines through a cellular immune system.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부검을 통한 방어능력 확인 4. Confirmation of defense through autopsy

도전감염 후 2주안에 폐사 여부를 하루에 두 번씩 확인하며 도전감염 후 2주째에 생존한 모든 닭에 대해 부검을 실시하여, 면역기관인 간의 육안적 소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병원성 세균에 대한 닭의 방어능력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Two weeks a day after challenge, mortality was checked twice a day, and all surviving chickens were examined at 2 weeks after challeng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defense ability change.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을 아주번트로 사용하여 제조한 백신을 투여한 실험군(도 5 정상간)에서는 간의 크기 및 무게가 정상으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대조적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포르말린 처리 사균백신을 처리한 양성대조군(도 5 비대간)에서는 간의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liver is observed to be normal in the experimental group administered to the vaccine prepared by using the mastoparan peptide V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juvant (Fig. In contrast,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formalin-treated Bacillus vaccine (figure 5 hypertrophy), the size and weight of the liver were observed to increase.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마스토파란 펩타이드 V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주번트 조성물은 감염 또는 염증 정도를 감소시키고, 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면역 증강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mastoparan peptide V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reduce the degree of infection or inflammation and exhibit high immune enhancing activity against pathogens.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Having described the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 specific technology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Jeonbuk, Korea University Komipharm International Co., Ltd <120>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130> PN180020AN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 <212> PRT <213> Vespula vulgaris <400> 1 Ile Asn Trp Lys Lys Ile Lys Ser Ile Ile Lys Ala Ala Met Asn 1 5 10 15 <11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Jeonbuk, Korea University          Komipharm International Co., Ltd <120>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130> PN180020AN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 <212> PRT <213> Vespula vulgaris <400> 1 Ile Asn Trp Lys Lys Ile Lys Ser Ile Ile Lys Ala Ala Met Asn   1 5 10 15

Claims (8)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모넬라 속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용 면역보조(adjuvant) 조성물.
Mastoparan MP-V1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s an active ingredient,
An adjuvant composition for vaccine against one or more Salmonella spp. Pathogenic bacteria selected from Salmonella Gallinarum, Salmonella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토파란 MP-V1 펩타이드는,
(ⅰ) 서열번호 1의 마스토파란 MP-V1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ⅱ) 상기 (ⅰ)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유도하는 발현 조절 서열; 및 (ⅲ) 전사 종결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보조(adjuvant)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mastoparan MP-V1 peptide is,
(Iii)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mastoparan MP-V1 protein of SEQ ID NO: 1; (Ii) an expression control sequence operably linked with the polynucleotide of (iii) to induce expression of the polynucleotide; And (iii)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transcription termination sequence is produced by the transformed cell into which the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is introduced.
(a) 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모넬라 속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살모넬라 겔린아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모넬라 속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백신; 및
(b)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면역보조(adjuvant)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a) Vaccines against one or more Salmonella spp. pathogenic bacteria selected from Salmonella Gallinarum, Salmonella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Gallinarum, Vaccines against one or more Salmonella spp. Pathogenic bacteria selected from Salmonella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And
(b) A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djuvant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s an active ingredi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1737A 2018-02-23 2018-02-23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KR102075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37A KR102075573B1 (en) 2018-02-23 2018-02-23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37A KR102075573B1 (en) 2018-02-23 2018-02-23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81A KR20190101581A (en) 2019-09-02
KR102075573B1 true KR102075573B1 (en) 2020-02-10

Family

ID=6795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37A KR102075573B1 (en) 2018-02-23 2018-02-23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999B2 (en) 2009-09-28 2016-04-05 Duke University Peptide, adjuvants, vaccin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816B1 (en) * 2015-11-30 2018-02-12 대한민국 Peptide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y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999B2 (en) 2009-09-28 2016-04-05 Duke University Peptide, adjuvants, vaccines, and methods of u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Vol. 131, No. 1, pp. 25-32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81A (en)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09924B (en) Mucosal vaccine adjuvants containing bacterial flegellins as an active component
Harrison et al. Correlates of protection induced by live Aro− Salmonella typhimurium vaccines in the murine typhoid model
JP548081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s against Eimeria
US9370557B2 (en) Adjuvant compounds
Safley et al. Role of listeriolysin-O (LLO) in the T lymphocyte response to infection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dentification of T cell epitopes of LLO.
KR20150119110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enhancing immune responses to eimeria or limiting eimeria infection
US7402316B2 (en) Group A streptococcal vaccines
Jia et al. Comparative study of four flagellins of Vibrio anguillarum: Vaccine potential and adjuvanticity
JP2001515723A (en) Group A streptococcal vaccine
KR102075573B1 (en)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Mastoparan-V1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EP1767214B1 (en) Use of neurotrophil activating protein of helicobacter pylori (HP-NAP) and/or of its portions as adjuvants for the development of T helper type 1 (TH1) immune responses
KR101743442B1 (en) Vac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rcine edema disease comprising ghost Salmonella mutant expressing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tigen as effective component
Gartner et al. Mucosal prime-boost vaccination for tuberculosis based on TLR triggering OprI lipoprote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fused to mycolyl-transferase Ag85A
US10314902B2 (en) Outer membrane vesicles and uses thereof
US8647633B2 (en) Recombinant F1-V plague vaccine
KR101980146B1 (en) Mastoparan Peptide for Manufacturing Inactivated Non Living Vaccine and Non Living Vaccine Using the Same
Nikokar et al. Evaluation of the immune responses following co-administration of PilQ and type b-flagellin from Pseudomonas aeruginosa in the burn mouse model
Li et al. The synthetic antimicrobial peptide KLKL5KLK enhances the protection and efficacy of the combined DNA vaccine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WO2013171548A2 (en) Peptides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copepods and/or the development of a mucous shield in fish; vaccines, uses and methods for modulating the fish immune response and/or for inducing development of a mucous shield in fish
WO2013134656A1 (en) Induction of th17 immune response
KR101856736B1 (en) Endotoxin-reduced Salmonella trivalent inactivated vac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fowl typhoid and Salmonellosis
US7803363B2 (en) Attenuated Francisella bacteria
KR20190061329A (en) Vac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owl Typhoid comprising ghost Salmonella Gallinarum as effective component
KR0179338B1 (en) Immunostimulator
US20100196416A1 (en) Vac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