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63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63B1
KR102075563B1 KR1020190091723A KR20190091723A KR102075563B1 KR 102075563 B1 KR102075563 B1 KR 102075563B1 KR 1020190091723 A KR1020190091723 A KR 1020190091723A KR 20190091723 A KR20190091723 A KR 20190091723A KR 102075563 B1 KR102075563 B1 KR 10207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fine dust
dust removal
blower
spherica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계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9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F24F3/161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poll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24F2003/1642
    • F24F2003/16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이 설치된 옹벽을 뚫지 않고도 현관문만 교체하는 것을 통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높여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알레르기 및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Doors with fine dust removal function in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이 설치된 옹벽을 뚫지 않고도 현관문만 교체하는 것을 통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높여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알레르기 및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사무실의 출입구에는 사람들의 왕래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현관문이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형태, 재질 등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중문(Middle Door)을 두어 외부와 접하는 현관문과 실내 공간과의 사이를 다시 구획하여 일정한 공간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 활용과 함께 실내 보호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형태가 많아지고 있다.
한편, 미세먼지나 황사, 화분(꽃가루)은 최근 들어 심각한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는 인체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까지 저하시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등의 영향은 주로 창호와 관련되어 있어 창호 메이커에서는 미세먼지창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주행이 잦은 환경에서의 차량매연, 최근 심해진 미세먼지, 황사 및 계절에 따른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유입을 미세방진망 등으로 막는다고 하더라도 현관문을 통해 유입되는 것은 물론 출입하는 출입자의 몸에 붙은 상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방법이 없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기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다수의 기술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이를 해소토록 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를 포집하지 않고 단지 불어 낸다면 어차피 집안에서 비산되는 것이므로 의미가 없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3680호(2013.02.08.)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현관문이 설치된 옹벽을 뚫지 않고도 현관문만 교체하는 것을 통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높여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알레르기 및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 건축물 내부에 중문(110)이 구비된 형태의 현관문본체(1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중문(110)과 가까운 쪽 천정에는 블로어(120)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120)는 지하주차장에서 사용되는 제트팬 형태의 블로어(120)이며, 상기 현관문본체(100)에는 도어락(130) 인접측에 키패드(140)가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140)에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며, 상기 블로어(120)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관문본체(100)의 실내측면에는 돌출턱(150)이 일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돌출턱(150)으로 테두리진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공(160)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6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문본체(100)의 내부에는 차단판(170)이 내장되며, 상기 차단판(170)의 양단에는 래크홈(172)이 현관문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래크홈(172)에는 래크구동기어(182)가 맞물리게 배치되며, 상기 래크구동기어(182)는 구동기어축(184)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축(184)은 구동모터(180)의 모터축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180)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고;
중문(110)과 현관문본체(100) 사이 공간의 측벽면에는 흡진판(200)을 더 부착하되,
상기 흡진판(200)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내부 형상 구현을 위해 폭방향으로 절반씩 성형된 후 상호 합지되어 하나의 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구형챔버(210)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챔버(210)를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는 이와 연통되는 흡진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흡진구(220)는 상기 구형챔버(210)를 향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진 및 소음이 유입된 후 내부에 갇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형챔버(210)는 흡진판(200)의 상단면과 배진공(230)에 의해 연결되어 흡음된 상태에서 배음되게 구성되고, 구형챔버(210)들 사이는 연결통로(240)를 통해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현관문이 설치된 옹벽을 뚫지 않고도 현관문만 교체하는 것을 통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높여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알레르기 및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내장되는 구동수단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포함되는 흡진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흡진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 내부에 중문(110)이 구비된 형태의 현관문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은 현관문본체(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문(110)과 가까운 쪽 천정에는 블로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블로어(120)는 지하주차장 등에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트팬 형태를 가진 블로어(120)를 사용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블로어(120)는 일반 송풍기에 비해 송풍력이 강력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현관문본체(100)에는 도어락(130) 인접측에 키패드(140)가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140)에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며, 상기 블로어(120)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키패드(140)를 구비한 이유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꽃가루 등이 연중 내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발생빈도가 높거나 주의를 요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가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현관문본체(100)의 안쪽면, 즉 실내측면에는 돌출턱(150)이 일정 높이 돌출되는데, 이것은 블로잉시 털어진 미세먼지가 최대한 잘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150)으로 테두리진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공(160)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60)은 도시와 같은 사각형은 물론 원형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을 위해 구멍을 일부러 크게 도시한 것이고, 사실은 조금 작게 구성된다.
이것은 보안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현관문본체(100)의 속에 차단판(170)이 내장된다.
아울러, 상기 차단판(170)의 양단에는 래크홈(172)이 현관문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래크홈(172)에는 래크구동기어(182)가 맞물리게 배치되며, 상기 래크구동기어(182)는 구동기어축(184)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축(184)은 구동모터(180)의 모터축에 연결 고정되며, 이들은 상기 현관문본체(100) 내부에 내장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80)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된다.
따라서, 출입자가 현관문본체(100)를 열고 실내로 들어오게 되면 일단 중문(110)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일종의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미세먼지 혹은 꽃가루나 황사가 많아 제거가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출입자는 키패드(140)를 조작하여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동시킨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구동모터(180)를 구동시켜 차단판(170)을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배출공(160)이 노출된다.
보통, 계단실은 계단창문이 열려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항상 환기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차단판(170)이 개방되면 출입자는 손을 벌리고 배출공(160) 앞에 선다. 이어,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블로어(120)가 구동되면서 강한 바람이 출입자에게 분사되어 미세먼지가 털어지며, 털어진 미세먼지 대부분은 배출공(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덧붙여, 이 경우 미세먼지 등 일부는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되기도 한다. 물론, 블로어(120)에 의해 강하게 비산되면서 실내공간에 날리게 된다.
이때, 이를 자연적으로 포집하여 추후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은 흡진판(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진판(200)은 일정길이와 두께로 형성되어 중문(110)과 현관문본체(100) 사이 공간의 측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측벽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인테리어 효과도 겸하면서 나중에 청소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쉽게 빨아들려 폐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흡진판(200)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내부 형상 구현을 위해 폭방향으로 절반씩 성형된 후 상호 합지되어 하나의 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흡진판(200)은 내부 중앙에 구형챔버(210)가 형성되고, 상기 구형챔버(210)를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는 이와 연통되는 흡진구(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진구(220)는 상기 구형챔버(210)를 향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진 및 소음이 아주 원활하게 잘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후에는 반대방향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형챔버(210) 내부에 갇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형챔버(210)는 흡진판(200)의 상단면과 배진공(230)에 의해 연결되어 흡음된 상태에서 배음되게 구성되며, 구형챔버(210)들 사이는 연결통로(240)를 통해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다.
때문에, 흡진된 분진 및 소음은 구형챔버(210) 내부에서 맴돌다가 갇히게 되고, 간혹 연결통로(240)를 통해 서로 이동하다가 또한 갇히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청소기를 배진공(230)에 대고 빨아들이면 내부 미세먼지 등을 흡진하여 폐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관문을 통해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벽체를 뚫거나 하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소음으로 인한 민원문제를 야기하지 않고도 간단히 현관문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현관문본체
200: 흡음판

Claims (1)

  1. 공동주택 건축물 내부에 중문(110)이 구비된 형태의 현관문본체(1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중문(110)과 가까운 쪽 천정에는 블로어(120)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120)는 지하주차장에서 사용되는 제트팬 형태의 블로어(120)이며, 상기 현관문본체(100)에는 도어락(130) 인접측에 키패드(140)가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140)에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며, 상기 블로어(120)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관문본체(100)의 실내측면에는 돌출턱(150)이 일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돌출턱(150)으로 테두리진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공(160)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6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문본체(100)의 내부에는 차단판(170)이 내장되며, 상기 차단판(170)의 양단에는 래크홈(172)이 현관문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래크홈(172)에는 래크구동기어(182)가 맞물리게 배치되며, 상기 래크구동기어(182)는 구동기어축(184)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축(184)은 구동모터(180)의 모터축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180)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고;
    중문(110)과 현관문본체(100) 사이 공간의 측벽면에는 흡진판(200)을 더 부착하되,
    상기 흡진판(200)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내부 형상 구현을 위해 폭방향으로 절반씩 성형된 후 상호 합지되어 하나의 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구형챔버(210)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챔버(210)를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는 이와 연통되는 흡진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흡진구(220)는 상기 구형챔버(210)를 향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진 및 소음이 유입된 후 내부에 갇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형챔버(210)는 흡진판(200)의 상단면과 배진공(230)에 의해 연결되어 흡음된 상태에서 배음되게 구성되고, 구형챔버(210)들 사이는 연결통로(240)를 통해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KR1020190091723A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KR10207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3A KR102075563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3A KR102075563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63B1 true KR10207556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23A KR102075563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40B1 (ko) 2020-10-15 2021-07-02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현관 입구의 논슬립 및 공기청정 먼지 흡입 발판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95A (ko) * 2002-08-19 2004-02-18 김병근 통풍장치가 구비된 문짝
KR200355504Y1 (ko) * 2004-03-17 2004-07-07 송상표 환기형도어
KR20090040630A (ko) * 2007-10-22 2009-04-27 청아공조(주)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KR20110103658A (ko) * 2010-03-15 2011-09-21 김상철 가정용 도어의 환기장치
KR101233680B1 (ko) 2012-10-22 2013-02-15 윤관영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CN205659937U (zh) * 2016-06-01 2016-10-26 广州蓝净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医用风淋室
KR101790926B1 (ko) * 2017-04-18 2017-10-26 이만호 에어샤워 장치
KR2018004746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샤워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시스템
JP2019113247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フジタ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玄関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95A (ko) * 2002-08-19 2004-02-18 김병근 통풍장치가 구비된 문짝
KR200355504Y1 (ko) * 2004-03-17 2004-07-07 송상표 환기형도어
KR20090040630A (ko) * 2007-10-22 2009-04-27 청아공조(주)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KR20110103658A (ko) * 2010-03-15 2011-09-21 김상철 가정용 도어의 환기장치
KR101233680B1 (ko) 2012-10-22 2013-02-15 윤관영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CN205659937U (zh) * 2016-06-01 2016-10-26 广州蓝净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医用风淋室
KR2018004746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샤워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시스템
KR101790926B1 (ko) * 2017-04-18 2017-10-26 이만호 에어샤워 장치
JP2019113247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フジタ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玄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40B1 (ko) 2020-10-15 2021-07-02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현관 입구의 논슬립 및 공기청정 먼지 흡입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5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현관문
JPH05141153A (ja) 窓パネル
EP2005072A1 (en) Air shu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200416B1 (ko) 탑승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KR101670839B1 (ko) 십자형 수직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갤러리용 창호
US10781628B2 (en) Double glazing insulation system
KR101865100B1 (ko) 에어커튼
US6360493B1 (en) Weep hole insect barrier
JP7080838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CN214035373U (zh) 一种具有烟气过滤功能的人防门
WO2014161506A1 (zh) 能排出厨房上部的有害气体的平移窗的使用方法
RU6857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шум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79530Y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20180067751A (ko) 밀폐형 슬라이딩 자동문
CN104100189B (zh) 可将厨房上部的有害气体排出户外的平移窗的结构
KR20220086226A (ko) 창틀 결합형 창호 환기장치
JP2008240475A (ja) 防音サッシ
KR20190002819A (ko) 롤 앤 롤 타입 미세먼지 차단장치
GB1603586A (en) Sound-absorbing ventilation installation for openings in buildings
CN220336554U (zh) 一种推拉式阳光房
CN116146050B (zh) 一种安全防脱幕墙开启窗
KR100381591B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102162261B1 (ko) 먼지 차단 장치
KR100602181B1 (ko) 건물 외벽의 폼타이구멍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