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79B1 -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079B1 KR102075079B1 KR1020140083916A KR20140083916A KR102075079B1 KR 102075079 B1 KR102075079 B1 KR 102075079B1 KR 1020140083916 A KR1020140083916 A KR 1020140083916A KR 20140083916 A KR20140083916 A KR 20140083916A KR 102075079 B1 KR102075079 B1 KR 102075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data
- depth
- high resolution
- pix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79—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mo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5—Fusion techniques
- G06F18/251—Fusion techniques of input or preprocessed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51—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57—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light fields, e.g. from plenoptic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결합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깊이 값 산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픽셀 깊이 값 계산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장치에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통해 피사체의 동작을 정밀하게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의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장치에서 부위별 픽셀 분할 및 관절의 위치 및 각도 추적에 사용되는 피사체 골격모델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장치를 통해 피사체 골격 모델 구조를 피사체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장치에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 픽셀에 해당하는 3차원 지점과 피사체 골격 모델 상 관절과 관절을 연결하는 뼈대까지의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픽셀을 부위별로 분할하는 부위별 픽셀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000 : 데이터 획득부 2000 : 데이터 결합부
2100 : 깊이 값 산출부 2110 : 3차원 좌표값 변환부
2120 : 영상평면 투영부 2130 : 픽셀 깊이 값 계산부
2200 : 업샘플링부 2300 :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 생성부
3000 : 데이터 분할부 4000 : 대응점 추적부
5000 : 관절 추적부
Claims (14)
- 피사체에 대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집부;
획득한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영상 평면 상으로 워핑(warping)하고,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업샘플링(upsampling)하여 생성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픽셀 단위로 결합하여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결합부;
상기 생성된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픽셀 단위로 분할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 구분하고,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값을 이용해 피사체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데이터 분할부;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현재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사이의 대응점을 추적하는 대응점 추적부; 및
수신한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정보, 피사체의 부위 정보, 대응점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골격 모델의 계층 구조(hierarchical structure)와 운동 연쇄(kinematic chain)를 고려하여 골격 모델 상에 있는 각 관절의 3차원 위치 및 각도를 추적하는 관절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결합부는,
획득한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에 포함된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깊이 데이터를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3차원 좌표 값을 영상 평면에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3차원 좌표 값을 통해 픽셀의 깊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깊이 값이 없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은 워핑 또는 보간을 통해 모든 픽셀의 깊이 값을 산출하는 깊이 값 산출부;
상기 산출된 픽셀의 깊이 값을 고해상도 영상 평면상에 있는 모든 픽셀에 대응시키고,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밝기 값과 상기 픽셀 간 각각의 거리를 고려하는 결합형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에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해상도 및 투영 관계가 동일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로 업샘플링하는 업샘플링부; 및
상기 업샘플링 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결합하여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 정보수집장치와 하나의 저해상도의 깊이 정보수집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값 산출부는,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깊이 데이터를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3차원 좌표 값 변환부;
상기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의 내부 파라미터 또는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을 적용해 깊이 데이터 픽셀의 3차원 좌표 값을 영상 센서의 영상 평면에 투영하는 영상평면 투영부; 및
투영된 3차원 좌표를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 관계로부터 해당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으로 변환하고,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깊이 값이 없는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은 워핑 또는 보간을 통해 픽셀 깊이 값 산출하는 픽셀 깊이 값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깊이 값 계산부는,
투영된 3차원 좌표를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 관계로부터 해당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깊이 값이 없는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은 워핑을 통해 깊이 값을 계산하는 워핑부; 및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워핑되지 않은 픽셀을 대상으로 4개 이상의 주변 픽셀의 깊이 값을 수집하여 보간(interpolation)을 통해 상기 워핑되지 않은 픽셀의 깊이 값의 근사치를 산출함으로써 깊이 값을 계산하는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상기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픽셀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픽셀을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로 구분하고,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값을 이용해 상기 피사체의 골격 모델 상에서 관절과 관절을 연결하는 뼈대(bone)까지의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피사체와 배경 픽셀의 영상 값의 차이를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또는 피사체와 배경 픽셀의 깊이 값 차이를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또는 영상 값과 깊이 값의 차이를 동시에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 피사체에 대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영상 평면 상으로 워핑(warping)하고,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업샘플링(upsampling)하여 생성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픽셀 단위로 결합하여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픽셀 단위로 분할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 구분하고,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값을 이용해 피사체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현재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사이의 대응점을 추적하는 단계; 및
수신한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정보, 피사체의 부위 정보, 대응점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골격 모델의 계층 구조(hierarchical structure)와 운동 연쇄(kinematic chain)를 고려하여 골격 모델 상에 있는 각 관절의 3차원 위치 및 각도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에 포함된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깊이 데이터를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3차원 좌표 값을 영상 평면에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3차원 좌표 값을 통해 픽셀의 깊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깊이 값이 없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은 워핑 또는 보간을 통해 모든 픽셀의 깊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픽셀의 깊이 값을 고해상도 영상 평면상에 있는 모든 픽셀에 대응시키고,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밝기 값과 상기 픽셀 간 각각의 거리를 고려하는 결합형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에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해상도 및 투영 관계가 동일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로 업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업샘플링 된 고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결합하여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 정보수집장치와 하나의 저해상도의 깊이 정보수집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깊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깊이 데이터를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저해상도 깊이 데이터의 내부 파라미터 또는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을 적용해 깊이 데이터 픽셀의 3차원 좌표 값을 영상 센서의 영상 평면에 투영하는 단계; 및
투영된 3차원 좌표를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 관계로부터 해당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으로 변환하고,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깊이 값이 없는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은 워핑 또는 보간을 통해 픽셀 깊이 값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깊이 값 산출하는 단계는,
투영된 3차원 좌표를 영상 센서의 3차원 투시 투영 관계로부터 해당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깊이 값이 없는 영상 평면 픽셀의 깊이 값은 워핑을 통해 깊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 픽셀 중 워핑되지 않은 픽셀을 대상으로 4개 이상의 주변 픽셀의 깊이 값을 수집하여 보간(interpolation)을 통해 상기 워핑되지 않은 픽셀의 깊이 값의 근사치를 산출함으로써 깊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고해상도 결합 데이터를 픽셀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픽셀을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로 구분하고,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의 깊이 값을 이용해 상기 피사체의 골격 모델 상에서 관절과 관절을 연결하는 뼈대(bone)까지의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단계는,
피사체와 배경 픽셀의 영상 값의 차이를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또는 피사체와 배경 픽셀의 깊이 값 차이를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또는 영상 값과 깊이 값의 차이를 동시에 수치적 혹은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피사체에 해당하는 픽셀과 배경에 해당하는 픽셀을 피사체 부위별로 그룹화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554,365 US20150146928A1 (en) | 2013-11-27 | 2014-11-26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motion based on hybrid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5656 | 2013-11-27 | ||
KR20130145656 | 2013-11-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549A KR20150061549A (ko) | 2015-06-04 |
KR102075079B1 true KR102075079B1 (ko) | 2020-03-02 |
Family
ID=5349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391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75079B1 (ko) | 2013-11-27 | 2014-07-04 |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0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1127B1 (ko) * | 2018-12-19 | 2022-03-07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골격의 길이 정보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처리 시스템 |
KR102610840B1 (ko) * | 2019-12-19 | 2023-12-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사용자 모션 자동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32353A1 (en) * | 2006-11-10 | 2009-09-17 | University Of Maryland | Method and system for markerless motion capture using multiple camera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3223B1 (ko) * | 2010-07-15 | 2012-10-2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체 동작의 3d 모션 구현방법 |
KR20120127151A (ko) * | 2011-05-13 | 2012-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7-04 KR KR1020140083916A patent/KR10207507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32353A1 (en) * | 2006-11-10 | 2009-09-17 | University Of Maryland | Method and system for markerless motion capture using multiple camera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549A (ko)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060023B (zh) | 一种高精度3d信息采集的设备及方法 | |
US9418474B2 (en) | Three-dimensional model refinement | |
EP2973417B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imaging | |
KR101323966B1 (ko) | 이미지 프로세싱을 기반으로 한 3d 공간 차원용 시스템 및 방법 | |
US2015014692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motion based on hybrid camera | |
US20130329020A1 (en) | Hybrid stitching | |
Van der Aa et al. | Umpm benchmark: A multi-person dataset with synchronized video and motion capture data for evaluation of articulated human motion and interaction | |
JP5795250B2 (ja) | 被写体姿勢推定装置および映像描画装置 | |
CN109448105A (zh) | 基于多深度图像传感器的三维人体骨架生成方法及系统 | |
JP4761670B2 (ja) | 動立体モデル生成装置及び方法 | |
JP7499345B2 (ja) | 複数の姿勢推定エンジンを用いた手のマーカレス運動捕捉 | |
CN119068558B (zh) | 一种基于深度学习的运动员投掷动作分析与训练方法及设备 | |
JP6868875B1 (ja) | 姿勢推定学習システム、姿勢推定学習方法及び機械学習用データの作成プログラム | |
Yang et al. | Building anatomically realistic jaw kinematics model from data | |
KR102075079B1 (ko) | 하이브리드 카메라 기반 동작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 |
Jatesiktat et al. | Anatomical-Marker-Driven 3D Markerless Human Motion Capture | |
Zhu et al. | Kinematic motion analysis with volumetric motion capture | |
Cheng et al. | Capturing human motion in natural environments | |
Kirmizibayrak et al. | Digit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swimming motion | |
JP2011149952A (ja) | モデル入力装置およびモデル生成システム | |
Robertini et al. | Capture of arm-muscle deformations using a depth-camera | |
Xing et al. | Markerless motion capture of human body using PSO with single depth camera | |
Cadavid et al. | 3D Dynamic Pose Estimation from Markerless Optical Data | |
Bourantanis et al. | Biomechanical disparities in pankration: A comparative computational analysis of ancient and contemporary techniques | |
Di Biase | 3D Markerless clinical gait analysis based on RGB and Depth sensing technology for children affected by Cerebral Palsy and Clubfo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