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23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35B1
KR102074235B1 KR1020130097045A KR20130097045A KR102074235B1 KR 102074235 B1 KR102074235 B1 KR 102074235B1 KR 1020130097045 A KR1020130097045 A KR 1020130097045A KR 20130097045 A KR20130097045 A KR 20130097045A KR 102074235 B1 KR102074235 B1 KR 10207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side mirror
amount
l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9789A (en
Inventor
사공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35B1/en
Publication of KR2015001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들어오는 광량을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램프를 통해서 충분한 후면 시야를 확보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보조 장치는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부;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감지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이면 사이드 미러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visibility using a side mirror that senses an amount of light entering through the side mirror to secure a sufficient rear view through a lamp mounted to the side mirr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curing a view, wherein an amount of light detecting unit detects an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a vehicle through a side mirror;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detected light amount with a reference light amount; And a lamp driver configured to drive a lamp mount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when the detect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Description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본 발명은 야간이나 후진시 후방 시야 확보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하여 후방 시야 확보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rear view security at night or in rever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isting rear view security using a side mirror.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는 차량 운행시에 운전자가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는 그 각도를 전동식이나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운전자의 체형 변화에도 시야 확보가 용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Side mirrors, which are installed in most vehicles, help the driver to have sufficient visibility while driving. These side mirrors can be adjusted either electronically or manually to help ensure visibility even with various driver body changes.

또한 겨울철에 습기가 미러 표면에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열선이 내장되어 있는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이런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운전자는 주행중에 정면을 주시하면서도 좌우 차량의 접근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주차시에는 좌우 장애물이나 차선 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서 주차의 편리성을 돕는다.There are also products with built-in hot wires to prevent moisture from forming on the mirror surface in winter. Such side mirrors allow the driver to easily grasp the access of the left and right vehicles while looking at the front while driving, and can easily identify left and right obstacles and lanes when parking to help the convenience of parking.

그러나, 사이드 미러는 시야각의 한계상 사각 지대(blind spot or dead angle area)가 생기게 된다. 또한 사이드 미러는 광학 기기의 한계상 시계가 어두운 경우 큰 성능 발휘를 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side mirrors have blind spots or dead angle area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viewing angle. In addition, the side mirrors do not perform well when the field of view is dark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optic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운전자들이 볼록 거울을 장착하거나, 초음파나 RF 등을 이용한 Blind Spot Detection 장치를 장착하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many drivers are equipped with a convex mirror or a blind spot detection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or RF.

이러한 제품들은 주행 중의 사각 지대를 확실히 줄여줄 수 있다. 그러나 Blind Spot Detection 장치의 경우, 주행중인 차량같이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지만, 차선과 같은 정지된 물체에 대한 구분을 하지 못하며, 볼록 거울은 시야각을 확보하는 효과는 있지만 사이드 미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인, 시계가 어두운 상태에서는 제대로 시야 제공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These products can certainly reduce blind spots while driving. However, the Blind Spot Detection device can detect the approach of moving objects such as driving vehicles, but cannot distinguish between stationary objects such as lanes, and the convex mirror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viewing angle, but the side mirror has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watch does not provide good visibility in the dark state.

국내공개특허 제2007-0060571호는 자동차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때문에 후방 카메라와 영상 처리 모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60571 describes a system for securing a rear view of an automobile. However, this system requires a rear camera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because the rear view is secured using a camera.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excessive when using this syst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들어오는 광량을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램프를 통해서 충분한 후면 시야를 확보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pos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curing view using a side mirror for detecting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entering through the side mirror to secure a sufficient rear view through a lamp mounted to the side mirror. For the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부;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이하이면 상기 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amou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detected light amount with a reference light amount; And a lamp driver for driving a lamp moun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side mirror when the sens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량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된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한다.Preferably, the light amount detecting uni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y using a photosensitive sensor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야 확보 보조 장치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오프셋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visual field assistance device is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And an offset adjuster configured to adjust an offset of a sensor that detects an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djusted ang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는 방수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다.Preferably, the lamp is mounted to the side mirror to be waterpro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부는 상기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며, 상기 램프 구동부는 상기 계산된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하이면 상기 램프를 구동시킨다.Preferably, the comparing unit calculates the illuminance using the sensed light amount and compares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and the lamp driving unit drives the lamp when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야 확보 보조 장치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구동된다.Preferably, the visibility securing apparatus is driven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the other vehicle is sensed or the gear of the vehicle is the reverse gear.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 단계;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거나, 상기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이하이거나 상기 계산된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하이면 상기 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ght quantity sensing step of sens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detected light quantity with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or calculating illuminance using the detected light quantity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And a lamp driving step of driving a lamp moun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when the sensed light amount is below the reference light amount or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below the reference illuminance. We propose a visual aiding method 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량 감지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된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한다.Preferably, the light amount sensing step detects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y using a photosensitive sensor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량 감지 단계 이전에,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단계; 및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오프셋 조정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before the light amount sensing step,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And an offset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an offset of a sensor that detects an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djusted ang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량 감지 단계, 상기 비교 단계 및 상기 램프 구동 단계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수행된다.Preferably, the light quantity sensing step, the comparing step and the lamp driving step are performed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is detected or the gear of the vehicle is a reverse gear.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들어오는 광량을 감지하여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램프를 통해서 충분한 후면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detecting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entering through the side mirror and securing a sufficient rear view through a lamp mounted to the side mirror.

첫째, 짙게 선팅이 된 차량이 어두운 밤이나 지하주차장에서 주차를 시도할 때에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보이는 차량 후면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irst, it is easy to identify the rear of the vehicle seen through the side mirror when a darkly lined vehicle attempts to park in a dark night or underground parking lot.

둘째, 야간에도 운전자가 차량 외부 특히 후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Second, the driver can easily check the outside of the vehicle, especially the rear at nigh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시야 확보 보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 1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램프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시야 확보 보조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securing a vi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de mirror view 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 driving process of the apparatus 1 shown in FIG. 2.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unting a lamp mounted on a side mirror.
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equence of operations of the side mirror view secur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종래에 사이드 미러가 가진 시야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Blind Spot Detection 제품이나 볼록 거울의 경우 각각 고유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다.Blind Spot Detection products or convex mirrors,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viewing angles of side mirrors, have their own limitations, which potentially includes the following problems.

차량 출고시에 기본 옵션으로 인식되고 있는 선팅의 경우, 법적 투과율보다 훨씬 낮은 투과율을 가진 제품들이 적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 차량의 경우 한밤중이나 조명이 낮은 지하주차장에 차량 주차를 할 때에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못하여, 주차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후방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경우 어느 정도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차량의 경우 운전석의 창문을 열어 수시로 바깥 지형 지물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case of sunting, which is recognized as a basic option when the vehicle is shipped, products with a transmittance far lower than the legal transmittance are frequently applied. In the case of such a vehicle, when parking a vehicl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with low light at night, the visibility is not properly secured, and it is often inconvenient for parking. Alth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a rear camera can eliminate some inconvenience. For other vehicles, it is a hassle to open the driver's window and check the outside features from time to time.

이런 경우 Blind Spot Detection 시스템이나 볼록 거울의 경우 주차장에서 차선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거나 조명이 낮은 밤에 주차할 때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시스템의 제안이 필요하다.In this case, the blind spot detection system or the convex mirror does not solve the disadvantage of inadvertently indicating the lanes in the parking l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other system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arking in the rain or low light at nigh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securing a vi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는 광량 감지부(110), 비교부(120), 램프 구동부(130), 전원부(160) 및 주제어부(17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securing a view using a side mirror 100 includes a light amount detector 110, a comparator 120, a lamp driver 130, a power supply 160, and a main controller 170.

본 실시예에서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ex. 야간) 자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구동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sibility securing apparatus 100 is driven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is detected (ex. At night) or when the gear of the vehicle is the reverse gear.

광량 감지부(110)는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량 감지부(110)는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된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할 수 있다.The light quantity detecting unit 11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The light amount detecting unit 110 may detect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y using a photosensitive sensor mounted in a roof inside the vehicle.

광량 감지부(110)는 빛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빛 감지 센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light amount detect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sensor. The light sensor will be described later.

비교부(120)는 광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감지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parator 120 compares the light amount detected by the light amount detector 110 with the reference light amount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비교부(120)는 광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계산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parator 120 may calculate the illuminance using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quantity detector 110 and compare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램프 구동부(130)는 비교부(120)에 의해 감지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이드 미러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comparing unit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amp driver 130 drives the lamp mount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또한 램프 구동부(130)는 비교부(120)에 의해 계산된 조도가 기준 고도 이하인 것으로 판별되면 램프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amp driver 130 performs a function of driving the lam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minance calculated by the comparator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ltitude.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램프는 차량 외부로 노출된 점을 참작하여 방수 처리되어 사이드 미러의 거울 외곽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amps mounted on the side mirrors are preferably waterproofed in consideration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irrors of the side mirrors.

비교부(120)와 램프 구동부(130)는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omparator 120 and the lamp dri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ler. Th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later.

전원부(160)는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visual field securing auxiliary device 100.

주제어부(170)는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ain control unit 17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visual field securing assistance device 100.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는 각도 조절부(140)와 오프셋 조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securing view of sight 100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er 140 and an offset adjuster 150.

각도 조절부(140)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ngle adjuster 140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각도 조절부(140)는 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틸팅 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angle adjust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tilting device. The til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오프셋 조정부(150)는 각도 조절부(140)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ffset adjuster 150 adjusts the offset of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ngle adjusted by the angle adjuster 140.

오프셋 조정부(150)는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The offset adjust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ler.

사이드 미러 시야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록 거울이나, BSD의 경우 짙게 선팅이 된 차량이 어두운 밤이나 조명이 낮은 지하주차장에서 주차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차량 실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ECM 룸 미러와 화장 거울의 기본 원리를 사이드 미러에 적용하여, 짙게 선팅된 차량이든, 선팅이 되지 않은 차량이든 상관없이 어두울 때에 주차를 할 때에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이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Convex mirrors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de mirror viewing angles, or in the BSD case, require a separate solution for parking in a heavily lit underground parking lot or in dark night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ECM room mirror and makeup mirror that is conventionally applied in the vehicle interior to the side mirror, whether in a dark or a car that is not suntight, it improves the convenience when parking in the dark Suggest a device that can give. Hereinafter,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시야 확보 보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 1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램프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de mirror view 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 driving process of the apparatus 1 shown in FIG. 2.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unting a lamp mounted on a side mirror.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2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사이드 미러에 비치는 차량의 외부 환경이 선팅된 유리창을 통해 실내에 투과되는 빛을 감지하는 장치 1(210), 사이드 미러의 시계를 밝혀줄 수 있는 장치 2(220), 그리고 컨트롤 유닛 장치 3(230)으로 구성된다.First, the device 1 (210) for detect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oom through the glass window that the exterior environment of the vehicle reflected on the side mirror, the device 2 (220) that can illuminate the side mirror, and the control unit device 3 230.

이를 위해 먼저 ECM 룸 미러에서 사용하는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ECM(감광 룸 미러)는 뒤쪽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룸 미러에 들어오는 빛을 센서로 감지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자동으로 낮춰 운전자의 눈부심을 제거하는 장치이다.To do this, first look at the principle used in the ECM room mirror, ECM (photosensitive room mirror) is to detect the light entering the room mirror by the headlights of the rear vehicle with a sensor to automatically reduce the reflectance of the mirror to remove the glare of the driver Device.

즉, 뒷유리창에서 투과되는 빛이 사이드 미러에 들어오는 양을 감광하는 센서(211)를 통하여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여 장치 1(210)을 구성한다. 이 감광 센서(211)를 도 3 (a)에 도시된 위치(310, 320)에 장착하여, 사이드 미러에서 들어오는 빛이 운전자에게 얼마나 밝게 들어오는지를 감지한다.That is, the device 1 210 is configured by using a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reflectance of the glass through the sensor 211 which sens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rear window to enter the side mirror. The photosensitive sensor 211 is mounted at the positions 310 and 320 shown in FIG. 3A to sense how bright the light coming from the side mirror enters the driver.

단, 실제 운전자의 눈에 센서를 장착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루프 쪽에 감광 센서(211)를 장착하고, 오차 범위에 대해서는, 운전자의 사이드 미러 상/하/좌/우 각도 조절 정도를 반영하여 틸팅 장치(212)로 액티브하게 조정한다.However, since the sensor cannot be mounted on the driver's eyes, the photosensitive sensor 211 is mounted on the roof side of the vehicle, and the error range is tilted by reflecting the driver's side mirror up / down / left / right angle adjustment degree. Actively coordinate with device 212.

또한 감광량의 오프셋을 조절하는 것은 도 3 (b)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도 3 (b)에 도시된 버튼(330)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량에 따라 감광 센서 오프셋을 조정한다. 그러면 선팅된 차량의 경우라 할지라도 350 위치에서 사이드 미러(340)에서 투과되는 빛의 양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djusting the offset of the amount of photosensing i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sensitive sensor offse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amount using the button 330 shown in FIG.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side mirror 340 in the 350 pos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selected vehicle.

도 3 (a)와 (b)에 도시된 구성을 통하여 도 3 (c)와 같이 주차중에 사이드 미러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게 되면 차량의 선팅 정도가 짙은 차량의 경우 감지되는 빛의 양이 적고, 차량의 선팅 정도가 짙지 않은 경우 투과되어 감지되는 빛의 양이 많게 된다. 이를 토대로 사이드 미러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치 2(220)를 구동시킨다.3 (a) and (b) throug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3 (c) when det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ide mirror during parking,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is less in the case of a vehicle with a high turning degree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not deeply selected,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nd detected is increased. Based on this, the device 2 220 capable of securing the driver's field of view in the side mirror is driven.

장치 2(220)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device 2 220 is as follows.

차량의 조수석 선바이저 등에 달려 있는 작은 거울을 보면 거울 위에 적당한 각도로 램프의 광량을 부여하여 운전자가 조금 더 밝게 보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분장실 등에서 사용하는 조명 거울도 비슷한 원리로 사용자에게 더 밝은 화면을 제공한다.Looking at the small mirrors on the front passenger sun visors of the car, it helps the driver look a little brighter by giving the lamp the right amount of light on the mirror. Lighting mirrors, such as those used in dressing rooms, use a similar principle to provide a brighter screen.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부분에 램프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실제 보는 영상을 밝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기어 신호(240)의 입력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고, 장치 2(220)에 의해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감지되면(222), 장치 3(230)의 컨트롤러(231)는 장치 2(220)의 LED 조명 조절 장치(221)를 이용하여 측후방 조명을 수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amp is mounted on the housing part of the side mirror by using this,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image actually seen brightly. That is, when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gear signal 240 and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is detected by the device 2 220 (222), the controller 231 of the device 3 230 is the device 2 Lateral rear lighting is performed using the LED lighting control device 221 of 220.

본 발명에서는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의 모퉁이에 LED 램프(410, 420, 430, 440)를 장착하여 더 밝은 광량이 운전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또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램프의 장착 위치를 사이드 미러 커버 하우징(450) 안쪽에 홈을 파고 장착하여(460, 470) 우천이나 안개, 눈 등으로 램프가 손상되거나 비정상 작동을 하지 않기 위하여 방수 처리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b),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D lamp is recessed and mounted inside the side mirror cover housing 450 (460, 470) so that the lamp may be damaged or abnormal operation due to rain, fog or snow. Waterproof not to be.

상기와 같이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짙게 선팅된 차량에서도 손쉽게 차량 외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어두운 밤이나 조도가 낮은 주차장에서 주차를 할 때에 쉽게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vehicle is darkly set up using the system, the outside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thus the rear view can be easily secured when parking in a dark night or a low-light parking lot.

감광 센서를 ECM처럼 미러에 설치하지 않고, 차량 내부에 설치하는 이유는, 차량의 선팅 정도에 따라 실제 운전자에 도달하는 광량 편차가 클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비춰지는 광량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photosensitive sensor is not installed in the mirror like the ECM and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utside since the deviation of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actual driver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urning of the vehicle. .

또, 실내등을 키고 주차를 시도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므로 장치 1(211)에서는 차량의 실내등 점등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광량 연산에 반영한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light may be attempted to park, the apparatus 1 211 monitors the lighting state of the indoor light of the vehicle and reflects it in the light quantity calculation.

본 발명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시야 확보 보조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equence of operations of the side mirror view secur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기어의 위치가 R(후진)임을 감지하면 본 장치 1의 작동이 시작된다(S505).First, when the position of the gear is detected to be R (reverse),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1 starts (S505).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면, 그 움직이는 각을 센싱하여(S510, S515) 감광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여(S520), 외부의 빛이 사이드 미러에 반사되어 감광 센서에서 이를 인식하게 되는데(S525), 주변의 조도와 차량의 선팅 상태에 따라 입력되는 값이 달라지게 된다.When the driv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ide mirror by attach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the moving angle is sensed (S510, S515) to adjust the angle of the photosensitive sensor (S520), and external light This is reflected by the side mirror and the photosensitive sensor recognizes it (S525), the input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and the turning state of the vehicle.

인식된 조도가 임계치 이하가 되면(S530) 장치 2가 작동을 시작한다.When the recognized illuminance falls below the threshold (S530), the device 2 starts to operate.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이용하여 주차를 하기 힘들 정도로 시계가 어두운 상태이므로 사이드 미러에 달린 LED 조명을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조사하게 되고(S535, S540), 이를 통해 차량의 측후면의 조도가 높아지면 손쉽게 측후방을 관측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watch is dark enough that the driver cannot park using the side mirror, the LED light attached to the side mirror is irradiat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S535, S540). Side and rear view can be observed.

또, LED 조명은 그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불필요하게 측후방의 조도를 높임으로써 오히려 시야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lighting is designed to adjust the brightn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that the field of vision can not be properly confirmed by in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rear and rear unnecessarily.

차량의 후방에 대한 LED 조명의 조사는 주차 신호가 감지되면(S545) 종료된다(S550).The irradiation of the LED light on the rear of the vehicle is terminated when the parking signal is detected (S545) (S550).

다음으로 도 1의 시야 확보 보조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Nex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driving method of the visual field securing assistance device 100 of FIG. 1.

먼저 각도 조절부(140)가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한다(각도 조절 단계).First, the angle adjusting unit 140 adjusts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angle adjusting step).

이후 오프셋 조정부(150)가 각도 조절부(140)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한다(오프셋 조정 단계).Then, the offset adjusting unit 150 adjusts the offset of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ngle adjusted by the angle adjusting unit 140 (offset adjusting step).

이후 광량 감지부(110)가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한다(광량 감지 단계).Thereafter, the light amount detecting unit 11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light amount detecting step).

이후 비교부(120)가 광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거나,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한다(비교 단계).Thereafter, the comparator 120 compares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ng unit 110 with the reference light amount, or calculates the illuminance using the detected light amount and compares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comparison step).

이후 램프 구동부(130)가 감지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이거나 계산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이면 사이드 미러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킨다(램프 구동 단계).Thereafter, the lamp driver 130 drives the lamp mount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when the detect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or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lamp driving step).

상기에서 광량 감지 단계, 비교 단계 및 램프 구동 단계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 자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수행된다.The light quantity sensing step, the comparing step and the lamp driving step are performed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the other vehicle is detected or the gear of the own vehicle is the reverse gea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some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and the like,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부;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이하이면 상기 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오프셋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A light amount detecting unit detecting a light amoun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detected light amount with a reference light amount; And
A lamp driver for driving a lamp mount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when the detect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Includ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side mirror; And
Offse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offset of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djusted angle
Viewing assistance device using a sid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된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amount detecting uni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y using a photosensitive sensor mounted on a roof inside the vehic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방수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lamp is mounted to the side mirror to be waterpro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며,
상기 램프 구동부는 상기 계산된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하이면 상기 램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arison unit calculates the illuminance using the sensed light amount and compares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And the lamp driver drives the lamp when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확보 보조 장치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sual field assistance device is driven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of the other vehicle is detected or the gear of the vehicle is a reverse gear.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 단계;
감지된 광량과 기준 광량을 비교하거나, 상기 감지된 광량을 이용하여 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이하이거나 상기 계산된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하이면 상기 사이드 미러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단계; 및
조절된 각도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오프셋 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방법.
A light amoun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light amount flowing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detected light quantity with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or calculating illuminance using the detected light quantity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illuminance with the reference illuminance; And
A lamp driving step of driving a lamp mount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ide mirror when the sensed light amount is below the reference light amount or the calculated illuminance is below the reference illuminance;
Including,
An angle adjusting step of adjusting an angle of the side mirror; And
An offset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an offset of a sensor that detects an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adjusted angle
Vision securing assistance method using a sid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감지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된 감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ecting amount of light may include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vehicle by using a photosensitive sensor mounted on a roof inside the vehicl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감지 단계, 상기 비교 단계 및 상기 램프 구동 단계는 다른 차량의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의 기어가 후진 기어일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시야 확보 보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light amount sensing step, the comparing step, and the lamp driving step are performed when light output from a lighting device of another vehicle is sensed or the gear of the vehicle is a reverse gear.
KR1020130097045A 2013-08-16 2013-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KR102074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45A KR102074235B1 (en) 2013-08-16 2013-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45A KR102074235B1 (en) 2013-08-16 2013-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89A KR20150019789A (en) 2015-02-25
KR102074235B1 true KR102074235B1 (en) 2020-02-06

Family

ID=525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45A KR102074235B1 (en) 2013-08-16 2013-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43B1 (en) 2019-02-22 2020-06-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for vehicle to detect obsta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424U (en)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Vehicle's exterior mirror overglare
KR20080000402U (en) * 2006-10-03 2008-04-08 강신원 Lamp Attached Rear Mirror
KR20130080122A (en) * 2012-01-04 2013-07-12 김명곤 Car all-in-one out side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89A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521B2 (en) Camera system for large vehicles
US8035495B2 (en) Rear view mirror,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CN106994884B (en) Active anti-dazz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OLED display technology
US20150151613A1 (en) Controlling system for transparency of vehicle window and method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vehicle window
KR20160091293A (en) Side Mirror Camera System For Vehicle
JP4687573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US8620523B2 (en) Rearview assembly with multiple ambient light sensors
JP2004175342A (en) Automatic actuation devic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ntensity of ultraviolet ray
CN115151854B (en) Head-up display device
TW557266B (en) Outdoor vehicle and reflectivity control method of same
JP4735090B2 (en) Infrared imaging device
KR1020742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ing of rear view using side mirror
KR101533285B1 (en) Car safety system to get and display infrared images for sensing dangers in dark environment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infrared images
JP4238619B2 (en) Vehicle monitoring device
JP6038532B2 (en) Light automatic lighting control device
KR100892503B1 (en) Room mirror for automobile
KR1026641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llumination information of vehicle
KR20090030973A (en) The vehicle rear view camera fixed structure and the camera system equipped with this
WO2021199244A1 (en) Light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light control method
JP2006088789A (en) Vehicular visibility support device
JP7294169B2 (en) Display device
KR1013161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glass of vehicle
KR20120119704A (en) System for changing the traffic lane using a rear view camera and method thereof
JP2018103756A (en) Automatic light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and automatic light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JP2008018870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vehicular glare proof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