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189B1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189B1 KR102074189B1 KR1020180083634A KR20180083634A KR102074189B1 KR 102074189 B1 KR102074189 B1 KR 102074189B1 KR 1020180083634 A KR1020180083634 A KR 1020180083634A KR 20180083634 A KR20180083634 A KR 20180083634A KR 102074189 B1 KR102074189 B1 KR 102074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und bar
- diameter
- hybrid
- metal round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57—Piston rod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1/00—Control of flow ratio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 F15B2215/30—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 F15B2215/30—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5B2215/30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mater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0—Numerical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26—Compo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같은 기존의 금속 환봉 형태를 경량화하기 위해,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복합재료 층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환봉을 제조함에 있어서,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속 환봉 및, 경량화를 위해 상기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합재료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조방법은, (a) 상기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1 직경(OD), 길이(L), 설정 좌굴하중(F), 단말계수(n) 및 제1 안전계수(SF1)를 설정하고, 상기 금속 환봉의 재질 및 탄성계수(E)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제2 직경(D)값들 및 상기 길이(L)로, 세장비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방법 및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상기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상기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금속 환봉의 제3 안전계수(SF3)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직경(D)값을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으로 하여 경량화를 위한 상기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금속 환봉 및, 경량화를 위해 상기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합재료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조방법은, (a) 상기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1 직경(OD), 길이(L), 설정 좌굴하중(F), 단말계수(n) 및 제1 안전계수(SF1)를 설정하고, 상기 금속 환봉의 재질 및 탄성계수(E)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제2 직경(D)값들 및 상기 길이(L)로, 세장비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방법 및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상기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상기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금속 환봉의 제3 안전계수(SF3)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직경(D)값을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으로 하여 경량화를 위한 상기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실린더 로드 등과 같은 금속 환봉의 경량화를 위해,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플라스틱 복합재료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조방법에서,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압실린더는 건설기계 및 고소차 등의 핵심부품으로, 최근 경량화된 유압실린더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유압실린더의 무게를 30% 감소시키면 건설기계 및 고소차 등의 총장비 무게를 6~15%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장비 운용에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량화된 유압실린더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유압실린더의 경량화를 위해 실린더 튜브 및 로드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플라스틱 복합재료인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하고 있다.
특히 환봉 형태의 실린더 로드의 경우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으로 외주면에 CFRP층을 형성하여 금속소재와 CFRP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타입 로드로 제조하여 경량화를 구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타입 로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좌굴 하중을 만족하면서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금속과 CFRP의 적절한 비율을 산정하여 제조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비율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량화된 유압실린더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타입 로드의 이종 재질 간의 최적 비율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같은 기존의 금속 환봉 형태를 경량화하기 위해,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복합재료 층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환봉을 제조함에 있어서,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더욱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에 따르면, 금속 환봉 및, 경량화를 위해 상기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합재료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조방법은, (a) 상기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1 직경(OD), 길이(L), 설정 좌굴하중(F), 단말계수(n) 및 제1 안전계수(SF1)를 설정하고, 상기 금속 환봉의 재질 및 탄성계수(E)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제2 직경(D)값들 및 상기 길이(L)로, 세장비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방법 및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상기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상기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금속 환봉의 제3 안전계수(SF3)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직경(D)값을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으로 하여 경량화를 위한 상기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산출된 세장비에 따라 랭킨의 방법(Rankine's method) 또는 오일러의 방법(Euler's method)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금속 환봉의 최적 직경(ID)과 하이브리드 환봉의 직경(OD)으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와 하이브리드 환봉의 직경(OD)으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은 상술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이브리드 환봉을 제조함에 있어 목표로 하는 좌굴 하중을 만족하면서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종 재질 간의 최적 비율을 도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금속재질의 환봉류 및 튜브류와 더불어 관련된 장치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4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브리드 환봉과 금속 환봉 및 CFRP 튜브의 좌굴 시험 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브리드 환봉과 금속 환봉 및 CFRP 튜브의 좌굴 시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도 8의 결과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4 실시예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브리드 환봉과 금속 환봉 및 CFRP 튜브의 좌굴 시험 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브리드 환봉과 금속 환봉 및 CFRP 튜브의 좌굴 시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도 8의 결과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설명 상에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시점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같은 기존의 금속 환봉 형태를 경량화하기 위해,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복합재료 층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환봉을 제조함에 있어서,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함에 있어 복합재료 층의 물성치 및 좌굴에 대항하는 강도 대한 수치는 좌굴 실험의 결과에 의한 데이터로만 제시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100)은 금속 환봉(200)의 외주면에 복합재료 층(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이브리드 환봉(100)의 직경(OD)은 금속 환봉(200)의 직경(ID) 및 복합재료 층(300)의 두께(T)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술된 도면과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환봉(100)의 금속 환봉(200)과 복합재료 층(300)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은 상기 하이브리드 환봉(100)의 설정 직경인 제1 직경(OD), 길이(L), 설정 좌굴하중(F), 단말계수(n) 및 설정 안전계수인 제1 안전계수(SF1)를 설정하고, 금속 환봉(200)의 재질, 탄성계수(E) 및 밀도 등의 물성치를 설정하는 (a)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a) 단계에서는 목표로 하는 하이브리드 환봉(100) 및 금속 환봉(200)의 제원을 설정하여 최적비율의 복합재료 층(300)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정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제2 직경(D)값들 및 길이(L)로, 세장비(λ, Slenderness)를 산출하여 금속 환봉(200)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b)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제2 직경(D)은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값들로 제1 직경(OD)가 70mm인 경우 70mm이하의 모든 길이 값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b) 단계에서는 길이(L) 및 제2 직경(D) 값 각각을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세장비(λ)를 산출하고, 산출된 세장비(λ)의 값에 따라 금속 환봉(200)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산출된 세장비(λ)의 값이 수학식 2의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수학식 4와 같은 랜킨의 방법(Rankin's method)으로 금속 환봉(200)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고, 산출된 세장비(λ)의 값이 수학식 3의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수학식 5와 같은 오일러의 방법(Euler's method)으로 금속 환봉(200)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결정된 임계 좌굴하중(PC) 산출 방법 및 제2 직경(D) 값들 각각으로, 금속 환봉(200)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금속 환봉(200)의 제3 안전계수(SF3)를 산출하는 (c)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제2 안전계수(SF2)는 길이(L)과 제2 직경(D) 값 각각에 대해 산출된 값이며, 제3 안전계수(SF2)는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값이다.
여기에서 산출된 세장비(λ)의 값이 오일러의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범위에 속하여 오일러의 방법으로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할 경우 제2 직경(D) 값들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과정에서 세장비(λ)의 값이 랜킨의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범위에 속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오일러의 방법으로 산출된 임계 좌굴하중(PC)의 값들과 랜킨의 방법으로 산출된 임계 좌굴하중(PC)의 값들은 하이브리드 환봉의 구조적인 경계조건에서 서로 다른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호 간의 값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오일러의 방법으로 산출된 임계 좌굴하중(PC)이 점진적으로 제2 직경(D) 값이 줄어들어 랜킨의 방법으로 임계 좌굴하중(PC)이 산출된다면, 오일러의 방법으로 산출된 임계 좌굴하중(PC) 값과 상호 분리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제2 직경(D)를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으로 하여 경량화를 위한 금속 환봉(200)과 복합재료 층(300)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d) 단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d)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재료 층(300)의 물성치 및 좌굴에 대항하는 강도 대한 수치는 감안하지 않은 채로 경량화를 위한 금속 환봉(200)과 복합재료 층(300)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제2 직경(D)가 제1 안전계수(SF1)를 만족하는 금속 환봉(200)의 최소 직경(IDMIN)이 된다.
따라서 금속 환봉(200)의 최소 직경(IDMIN)으로 복합재료 층(300)의 두께(T)를 아래의 수학식 6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복합재료 층(300)의 두께(T)로 하이브리드 환봉(100) 대비 복합재료 층(300)의 최적 비율을 아래의 수학식 7로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제1
실시예
길이(L) | 1500 | mm |
직경(OD) | 65 | mm |
설정 적용하중(F) | 10000 | kgf |
단말계수(n) | 1 | Pined-Pined |
설정 안전계수(SF1) | 2 |
재질 | SM45C | 고강도강 |
탄성계수 | 21,000 | kgf/㎟ |
밀도 | 7.85 | kgf/㎟ |
Fixed-Free | Fixed-Pinned | Fixed-Fixed | Pined-Pined | |
n | 0.25 | 2.046 | 4 | 1 |
D | L | λ | Method | PC | SF2 |
65 | 1500 | 92.31 | Euler | 80716 | 8.072 |
60 | 1500 | 100 | Euler | 58602 | 5.860 |
58 | 1500 | 103.45 | Euler | 51170 | 5.117 |
55 | 1500 | 109.09 | Euler | 41377 | 4.138 |
51 | 1500 | 117.65 | Euler | 30591 | 3.059 |
46 | 1500 | 130.43 | Euler | 20246 | 2.025 |
39 | 1500 | 153.45 | Euler | 10461 | 1.046 |
표 1 내지 표 4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경(D) 값들로 각각의 세장비(λ)를 산출한 이후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해본 결과, 제2 안전계수(SF2)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제2 안전계수(SF2)는 2.025이며, 이 2.025 값이 제3 안전계수(SF3)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은 46mm가 된다. 이에 따라서 최적화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는 9.5mm가 되며 하이브리드 환봉에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은 29.2%(0.0292)가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길이(L) | 1500 | mm |
직경(OD) | 65 | mm |
설정 적용하중(F) | 10000 | kgf |
단말계수(n) | 1 | Pined-Pined |
설정 안전계수(SF1) | 2 |
재질 | AI7075 | 알루미늄 |
탄성계수 | 7183.01 | kgf/㎟ |
밀도 | 2.70 | kgf/㎟ |
Fixed-Free | Fixed-Pinned | Fixed-Fixed | Pined-Pined | |
n | 0.25 | 2.046 | 4 | 1 |
D | L | λ | Method | PC | SF2 |
65 | 1500 | 92.31 | Euler | 27436 | 2.744 |
61 | 1500 | 98.36 | Euler | 21281 | 2.128 |
60 | 1500 | 100 | Euler | 19919 | 1.992 |
55 | 1500 | 109.09 | Euler | 14064 | 1.406 |
54 | 1500 | 111.11 | Euler | 13069 | 1.307 |
51 | 1500 | 117.65 | Euler | 10398 | 1.040 |
표 5 내지 표 8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경(D) 값들로 각각의 세장비(λ)를 산출한 이후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해본 결과, 제2 안전계수(SF2)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제2 안전계수(SF2)는 2.128이며, 이 2.128 값이 제3 안전계수(SF3)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은 61mm가 된다. 이에 따라서 최적화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는 2mm가 되며 하이브리드 환봉에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은 6.15%(0.0615)가 되는 것이다.
제3
실시예
길이(L) | 700 | mm |
제1 직경(OD) | 65 | mm |
설정 적용하중(F) | 10000 | kgf |
단말계수(n) | 1 | Pined-Pined |
제1 안전계수(SF1) | 2 |
재질 | SM45C | 고강도강 |
탄성계수 | 21,000 | kgf/㎟ |
밀도 | 7.85 | kgf/㎟ |
Fixed-Free | Fixed-Pinned | Fixed-Fixed | Pined-Pined | |
n | 0.25 | 2.046 | 4 | 1 |
정수 |
재료 | ||||
주철 | 일반강 | 고강도강 | 목재 | Al7075 | |
σc | 56 | 34 | 49 | 5 | 51 |
0.00063 | 0.00013 | 0.0002 | 0.00133 | 0.0007 |
D | L | λ | Method | PC | SF2 |
65 | 700 | 43.08 | Rankine | 118587 | 11.859 |
60 | 700 | 46.67 | Rankine | 96509 | 9.651 |
55 | 700 | 50.91 | Rankine | 76673 | 7.667 |
48 | 700 | 58.33 | Rankine | 52761 | 5.276 |
44 | 700 | 63.64 | Rankine | 41165 | 4.117 |
40 | 700 | 70 | Rankine | 31099 | 3.110 |
35 | 700 | 80 | Rankine | 20677 | 2.068 |
32 | 700 | 87.5 | Rankine | 15569 | 1.557 |
표 9 내지 표 1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경(D) 값들로 각각의 세장비(λ)를 산출한 이후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해본 결과, 제2 안전계수(SF2)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제2 안전계수(SF2)는 2.068이며, 이 2.068 값이 제3 안전계수(SF3)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은 35mm가 된다. 이에 따라서 최적화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는 15mm가 되며 하이브리드 환봉에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은 46.2%(0.462)가 되는 것이다.
제4
실시예
길이(L) | 700 | mm |
제1 직경(OD) | 65 | mm |
설정 적용하중(F) | 10000 | kgf |
단말계수(n) | 1 | Pined-Pined |
제1 안전계수(SF1) | 2 |
재질 | AI7075 | 알루미늄 |
탄성계수 | 7183.01 | kgf/㎟ |
밀도 | 2.70 | kgf/㎟ |
Fixed-Free | Fixed-Pinned | Fixed-Fixed | Pined-Pined | |
n | 0.25 | 2.046 | 4 | 1 |
정수 |
재료 | ||||
주철 | 일반강 | 고강도강 | 목재 | Al7075 | |
σc | 56 | 34 | 49 | 5 | 51 |
0.00063 | 0.00013 | 0.0002 | 0.00133 | 0.0007 |
D | L | λ | Method | PC | SF2 |
65 | 700 | 43.08 | Rankine | 73614 | 7.361 |
60 | 700 | 46.67 | Rankine | 57121 | 5.712 |
54 | 700 | 51.85 | Rankine | 40527 | 4.053 |
50 | 700 | 56 | Rankine | 31340 | 3.134 |
44 | 700 | 63.64 | Rankine | 20222 | 2.022 |
37 | 700 | 75.67 | Rankine | 10948 | 1.095 |
34 | 700 | 82.35 | Rankine | 8056 | 0.806 |
32 | 700 | 87.5 | Rankine | 6450 | 0.645 |
표 14 내지 표 18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경(D) 값들로 각각의 세장비(λ)를 산출한 이후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해본 결과, 제2 안전계수(SF2)중에서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제2 안전계수(SF2)는 2.022이며, 이 2.022 값이 제3 안전계수(SF3)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은 44mm가 된다. 이에 따라서 최적화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는 10.5mm가 되며 하이브리드 환봉에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은 32.3%(0.323)가 되는 것이다.
항목 | 재질 | L | OD | IDMIN | 복합재료 층 | 무게(금속+복합재료)kg |
제1 실시예 | SM45C+CFRP | 1500mm | 65mm | 46mm | 29.2% | 19.6+3.9=23.5 |
제2 실시예 | Al7075+CFRP | 1500mm | 65mm | 61mm | 6.2% | 11.8+0.9=12.7 |
제3 실시예 | SM45C+CFRP | 700mm | 65mm | 65mm | 46.2% | 5.3+2.6=7.9 |
제4 실시예 | Al7075+CFRP | 700mm | 65mm | 44mm | 32.3% | 2.9+2.0=4.9 |
금속(ONLY) | SM45C | 1500mm | 65mm | 65mm | 0 | 39.1 |
금속(ONLY) | SM45C | 700mm | 65mm | 65mm | 0 | 18.2 |
스틸 | 알루미늄 | CFRP | |
ρ(kgf/㎟) | 7.85 | 2.70 | 1.60 |
표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와 금속으로만 제조되는 길이 1500mm 환봉을 비교해보면 15.6kg의 무게 차이가 나며, 이 만큼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을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적용시켜 다른 금속재질의 로드 및 CFRP 튜브와 함께 좌굴 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좌굴 시험은 2018년 6월 21일부터 22일까지 2일간 명지대학교에서 상기 각 로드의 압축 시험을 통하여 좌굴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봉(#3)의 경우 금속 로드(#1)보다 상대적으로 금속의 비율이 줄었음에도 CFRP 층에 의하여 기존의 재료와 비슷한 수준의 실제 시험값(#1: 96.7, #3: 90.4)을 보여 CFRP 층이 경량화에 기여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하이브리드 환봉에 제공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FRP TUBE(#4) 단독의 실험값(19.1)과 하이브리드 환봉(#3)에서 금속 환봉의 계산값(45.5)의 합보다 실제 하이브리 환봉(#3)의 좌굴 강도가 높은 값을 보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하이브리드 환봉을 제조할 경우 기존 금속재질의 환봉과 동등한 수준의 좌굴 강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환봉
200: 금속 환봉
300: 복합재료 층
200: 금속 환봉
300: 복합재료 층
Claims (4)
- 금속 환봉 및, 경량화를 위해 상기 금속 환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합재료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조방법은,
(a) 상기 하이브리드 환봉의 제1 직경(OD), 길이(L), 설정 좌굴하중(F), 단말계수(n) 및 제1 안전계수(SF1)를 설정하고, 상기 금속 환봉의 재질 및 탄성계수(E)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경(OD) 이하 범위의 제2 직경(D)값들 및 상기 길이(L)로, 세장비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방법 및 상기 제2 직경(D)값 각각에 대한 상기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 및 제2 안전계수(SF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안전계수(SF2) 중에서 상기 제1 안전계수(SF1)에 가장 근접되는 금속 환봉의 제3 안전계수(SF3)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 안전계수(SF3)에 대응되는 직경(D)값을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으로 하여 경량화를 위한 상기 금속 환봉과 복합재료 층의 최적 비율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금속 환봉의 임계 좌굴하중(PC)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산출된 세장비에 따라 랭킨의 방법(Rankine's method) 또는 오일러의 방법(Euler's method)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금속 환봉의 최소 직경(IDMIN)과 하이브리드 환봉의 직경(OD)으로 복합재료 층의 두께(T)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합재료 층의 두께(T)와 하이브리드 환봉의 직경(OD)으로 복합재료 층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하이브리드 환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환봉.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634A KR102074189B1 (ko) | 2018-07-18 | 2018-07-18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18/008264 WO2020017678A1 (ko) | 2018-07-18 | 2018-07-23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US17/143,404 US20210133373A1 (en) | 2018-07-18 | 2021-01-07 | Hybrid round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634A KR102074189B1 (ko) | 2018-07-18 | 2018-07-18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368A KR20200009368A (ko) | 2020-01-30 |
KR102074189B1 true KR102074189B1 (ko) | 2020-02-06 |
Family
ID=6916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634A KR102074189B1 (ko) | 2018-07-18 | 2018-07-18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133373A1 (ko) |
KR (1) | KR102074189B1 (ko) |
WO (1) | WO2020017678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07842A (ja) | 2007-06-18 | 2008-12-25 | Taisei Plas Co Ltd | 管状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
KR101484400B1 (ko) | 2013-07-18 | 2015-01-19 | 주식회사 동희산업 | 데이터 매핑을 이용한 프레스 금형 최적 설계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448B1 (ko) | 2005-10-21 | 2011-06-16 | 세메스 주식회사 | 반송 샤프트 및 반송 샤프트의 제조방법 |
KR101122562B1 (ko) * | 2010-04-09 | 2012-03-1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KR20180023798A (ko) * | 2016-08-25 | 2018-03-07 | 임주생 | 탄소재를 이용한 경량 유압 실린더 |
-
2018
- 2018-07-18 KR KR1020180083634A patent/KR1020741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7-23 WO PCT/KR2018/008264 patent/WO202001767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
- 2021-01-07 US US17/143,404 patent/US20210133373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07842A (ja) | 2007-06-18 | 2008-12-25 | Taisei Plas Co Ltd | 管状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
KR101484400B1 (ko) | 2013-07-18 | 2015-01-19 | 주식회사 동희산업 | 데이터 매핑을 이용한 프레스 금형 최적 설계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17678A1 (ko) | 2020-01-23 |
US20210133373A1 (en) | 2021-05-06 |
KR20200009368A (ko) | 2020-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27805B2 (en) | High elongation steel cord and pneumatic tire comprising said cord | |
Deng et al. | Study on Axial Compressive Capacity of FRP‐Confined Concrete‐Filled Steel Tubes and Its Comparisons with Other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 |
JP2017520730A (ja) | 引張荷重および圧縮荷重用の種々の繊維強化材を備えるねじり荷重された棒状構成要素 | |
Göncz et al. | Load capacity of a three-row roller slewing bearing raceway | |
Shi et al. | Local buckling of steel equal angle members with normal and high strengths | |
JP2012533681A (ja) | 先圧縮変形を用いて低サイクル疲労寿命が向上したマグネシウム合金加工材の製造方法 | |
KR102074189B1 (ko)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
CN102080200A (zh) | 一种7a55-t7751铝合金厚板孔挤压强化方法 | |
RU2706507C1 (ru) | Пружина кр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ужины кручения | |
KR102081207B1 (ko) | 하이브리드 튜브 및 그 제조방법 | |
Singh et al. | Optimization and Fatigue Analysisof a Crane Hook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
Li et al. | Behavior of high strength CFSST stub columns with inner CFRP tube under axial compressive load | |
KR102169563B1 (ko) | 유압 실린더 로드 제조방법 | |
Parker | Compound and Monobloc Cylinders Incorporating Reverse-Autofrettage to Reduce External Hoop Stresses | |
Thorwald et al. | Cylinder Axial Crack Reference Stress Comparison Using Elastic-Plastic FEA 3D Crack Mesh J-Integral Values | |
Pan et al. | Optimization of composite cylindrical shell subjected to hydrostatic pressure | |
KR101257765B1 (ko) | 고강도 터널 세그먼트 최적 설계방법 | |
JP4613524B2 (ja) | 鋼管の局部座屈性能評価方法、鋼管の設計方法、鋼管の製造方法、鋼管 | |
Cho et al. | Ultimate strength and shear-lag effect of aluminum alloy (6063-T5) bolted angle connections | |
Szymczyk et al. | About numerical analysis of pin loaded joints in laminate structure | |
CN211343584U (zh) | 一种预应力镶嵌式组合筒结构 | |
Danawade et al. | Study of effect of tolerance on flexural strength of wood reinforced steel tube | |
CN118013175B (zh) | 配置高强钢筋的钢筋混凝土弯锚构件锚固长度计算方法 | |
Farkas et al. | Optimum design of a belt-conveyor bridge constructed as a welded ring-stiffened cylindrical shell | |
Trojnacki et al. | Numerical verification of analytical solution for autofrettaged high-pressure vess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