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407B1 -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407B1
KR102073407B1 KR1020180076573A KR20180076573A KR102073407B1 KR 102073407 B1 KR102073407 B1 KR 102073407B1 KR 1020180076573 A KR1020180076573 A KR 1020180076573A KR 20180076573 A KR20180076573 A KR 20180076573A KR 102073407 B1 KR102073407 B1 KR 10207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se
pipeline end
extend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601A (ko
Inventor
백훈성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쓰에이오프쇼어 filed Critical (주)에쓰에이오프쇼어
Priority to KR102018007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PLEM: Pipeline end manifold)의 상부에 배치되는 해저 배관을 지지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익스텐더, 상기 익스텐더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상기 익스텐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배관을 교체 또는 설치할 경우, 상하-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배관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위치 조정 공정의 생략에 따른 업무 효율성 및 조립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SUPPORTING APPARATUS OF PIPELINE FOR PIPELINE END MANIFOLD}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상하-좌우로 제어함으로써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배관을 교체 및 설치 시 별도의 배관위치 조정이 필요없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 (PLEM: Pipeline end manifold)(이하 PLEM이라고 칭함)은 해상 구조물인 자켓 플랫폼(Jacket platform)에 연결된 메인 파이프라인(Main Pipeline)과 해저 구조물 또는 브랜치 파이프라인(Branch Pipeline)이 연결되는 곳으로서, 해저(Subsea)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PLEM은 새로운 파이프라인(배관)이 시작되거나 다른 파이프라인을 수용하는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파이프라인을 단속하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밸브(Valve) 등을 구비하고 있다.
PLEM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레이바지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부설 방법은, 육상에서 제작 완료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단위파이프를 바지선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이동한 후 단위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용접 접합하여 파이프라인을 제작하며, 제작된 파이프라인을 제작과 동시에 바지선으로부터 풀링시켜 해저로 침강(lay-down)하여 부설하는 방법이다.
종래에는 상기한 레이바지(lay barge)선을 이용한 파이프라인 부설 방법의 단점을 보강하고자, 파이프라인용 엔드헤드 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의 단부를 PLEM 조립장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PLEM에 파이프라인을 부설을 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파이프라인을 이송함에 있어서 파이프라인의 단부(일측)만을 고정하여 이송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파이프라인을 이송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PLEM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데 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의 이송 기능뿐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정확하게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지지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LEM의 정확한 위치에 파이프라인을 이송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한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PLEM: Pipeline end manifold)용 배관 지지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해저 배관을 지지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익스텐더; 상기 익스텐더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및 상기 익스텐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수직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강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를 평행 이동시키는 제2익스텐더;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익스텐더는 중심축이 상기 베이스의 이동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베이스를 평행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을 위해,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는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딩로드를 포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륜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로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로드의 하부에 접촉하는 제2롤러; 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에 따르면,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설치위치까지 정확히 배관을 이송할 수 있어, 배관 이송작업 이후에 별도의 배관 위치조정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소형의 체적으로 작업상황(배관의 길이 등)에 따라 복수개의 적용이 가능하고, 높이 또는 위치 조정을 통해 교체되는 배관과 신설되는 배관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장점에 의해, 작업 효율성은 물론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익스텐더 인장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익스텐더 인장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익스텐더, 제2익스텐더 인장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익스텐더 인장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익스텐더 복귀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익스텐더 인장 상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익스텐더(200)가 인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600)에 장착되고, 익스텐더(200)가 인장되어 배관(500)을 지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600)에 장착되고, 익스텐더(200)와 제2익스텐더(700)가 인장되어 배관(500)을 지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2)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600)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로, 익스텐더(200)가 인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의 사시도로, 익스텐더(200)가 원상태로 복귀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익스텐더(200)가 인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구성 및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PLEM: Pipeline end manifold)(6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해저 배관(500)을 지지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 용 배관 지지장치(1)로서, 지지부재(100), 익스텐더(200), 베이스(300), 차륜(4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배관(5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0)는, 배관(5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면(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110)은 배관(500)의 반경과 같거나 작은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면(110)이 배관(500)의 외형의 일부를 감싸며 지지함으로써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익스텐더(200)는 베이스(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실린더(210)와 일측이 지지부재(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2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스톤(220)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실린더(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지지부재(100)를 수직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익스텐더(200)는 실린더(210)의 상부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지부재(100)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강 지지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강 지지부재(240)의 상면은 지지부재(100)의 하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익스텐더(200)에는 하우징(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30)은 실린더(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30)은 하우징(230) 내부 물 빠짐을 위한 복수개의 체결홀(2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홀(231)은 실린더(210)의 포트에 유압호스를 연결할 때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30)은 베이스(300)의 이동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후술할 제1롤러(4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롤러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는 제1롤러(410)의 회전 중심축과 하우징(230)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차륜(400)의 안정적인 회전을 도울 뿐 아니라, 하우징(230)의 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플랜지는 개수와 두께를 포함한 제원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가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덧붙어, 도 2 및 도 3의 실시예 1은 상기 플랜지 중 베이스(300)의 후진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33)가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233)는 제2익스텐더(700)가 체결되는 제2익스텐더 체결홀(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 1과 같이 보강 지지부재(240)가 하우징(230)(또는 실린더(210))의 상부에 설치될 경우, 보강 지지부재(240)는 위치에 따라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피스톤(220)의 원상 복귀 상태(미돌출 상태)에서 지지부재(100)의 하면이 보강 지지부재(240)의 상면 및 하우징(230)(또는 실린더(210))의 상면과 동일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면, 이 때 보강 지지부재(240)는 지지부재(100)의 보강대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 피스톤(220)의 원상 복귀 상태(미돌출 상태)에서 지지부재(100)의 하면보다 보강 지지부재(240)의 상면이 높게 설치될 경우, 보강 지지부재(240)는 지지부재(100)의 최저 높이를 한정하는 스토퍼 역할과 보강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지지부재(240)의 돌출방향은 한정하지 않으나, 가이딩로드(610)를 따라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더용 배관 지지장치(1)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배관(500)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 지지부재(240)가 배관(500)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배관(500)을 직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실시예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는 일측이 지지부재(1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배관 지지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지지부재(120)는 배관이 지지부재(100)의 곡률반경 대비 큰 반경을 가질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배관 지지부재(120)의 상면은 배관(500)의 크기(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는 베이스(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베이스(300)를 평행 이동시키는 제2익스텐더(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익스텐더(700)는 중심축이 베이스(300)의 이동방향과 동일(또는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린더(710)와, 일측이 베이스(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실린더(7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피스톤(7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피스톤(720)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실린더(7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베이스(300)를 가이딩로드(610) 상에서 평행이동 시킨다.
덧붙여, 제2익스텐더(700)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가이딩로드(610)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제2피스톤의 구동방향과 베이스(300)의 이동방향이 동일(또는 평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륜(400)에 의해 하우징(230)과 체결되는 베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도6의 실시예와 같이 역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300)는 후술할 제1롤러(410)와 제2롤러(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롤러 체결홀(미도시)과 제2롤러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 체결홀과 상기 제2롤러 체결홀에 제1롤러(410)와 제2롤러(420)를 체결함으로써 베이스(300)는 가이딩로드(6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300)에 제1롤러(410)와 제2롤러(420)를 체결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1)의 구동을 위해서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600)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600)의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배관(5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딩로드(610)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가이딩로드(610)는 표면과 그 반대면이 평행한 형상으로, H빔을 뉘인 형상 또는, T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 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륜(400)은 베이스(30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차륜(400)은 가이딩로드(610)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롤러(410)와, 제1롤러(4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딩로드(610)의 하부에 접촉하는 제2롤러(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롤러(410)와 제2롤러(420)는 배관(500)의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 중심축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제1롤러(410)가 2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1롤러(410) 및 제2롤러(420)를 구성하는 롤러의 숫자는 한정하지 않으며, 배관(500)의 직경이나 무게를 포함한 제원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제1롤러(410)의 양단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단차를 이루는 돌출부(41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411)는 가이딩로드(610)의 양단의 일부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베이스(300)가 가이딩로드(610)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베이스(300)와 차륜(400)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300)의 내측에 제1롤러(410)를 체결한다. 이때 제1롤러(410)는 베이스(300)의 제1롤러 체결홀과 플랜지의 제1롤러 체결홀을 관통하며 체결된다.
다음으로, 제2롤러(420)를 베이스(3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300)에 제1롤러(410)와 제2롤러(420)를 체결함으로써, 제1롤러(410) 및 제2롤러(420)는 가이딩로드와 면접촉하여 고정되고, 제1롤러의 돌출부(411)와 가이딩로드(610)의 단부가 면접촉(또는 선접촉)하며 고정된다.
덧붙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익스텐더(200) 및 제2익스텐더(700)는 포트 연결부와 피스톤 연결부를 포함한 각종 연결부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완전 밀폐되며, 표면에는 방수처리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익스텐더(200)는 핸드펌프가 포함된 복동형 유압쟈키(사양 변경 가능)일 수 있고, 유압자키는 실링부재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면이 STS304재질로 경질크롬 도금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가 부착되고, 수중용 유압호스 연결용 커플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는 상하-좌우로 조정하며 배관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저면의 깊이와 관계없이 배관을 교체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배관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체적이 작기 때문에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에 복수의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의 교체 작업과 신설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지지부재
110: 지지면
120: 배관 지지부재
200: 익스텐더
210: 실린더
220: 피스톤
230: 하우징
231: 체결홀
233: 플랜지
240: 보강 지지부재
300: 베이스
400: 차륜
410: 제1롤러
411: 돌출부
420: 제2롤러
500: 배관
600: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
610: 가이딩로드
700: 제2익스텐더
710: 제2실린더
720: 제2피스톤

Claims (6)

  1.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해저 배관을 지지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익스텐더;
    상기 익스텐더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상기 익스텐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를 평행 이동시키는 제2익스텐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2익스텐더는,
    중심축이 상기 베이스의 이동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베이스를 평행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수직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강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는,
    상기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로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로드의 하부에 접촉하는 제2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KR1020180076573A 2018-07-02 2018-07-02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KR10207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73A KR102073407B1 (ko) 2018-07-02 2018-07-02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73A KR102073407B1 (ko) 2018-07-02 2018-07-02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601A KR20200003601A (ko) 2020-01-10
KR102073407B1 true KR102073407B1 (ko) 2020-02-04

Family

ID=6915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73A KR102073407B1 (ko) 2018-07-02 2018-07-02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4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29B1 (ko) * 2011-11-04 2013-07-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관 착탈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7837B1 (fr) * 1990-10-15 1993-11-26 Daifuku Co Ltd Convoyeur du type tramway monora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29B1 (ko) * 2011-11-04 2013-07-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관 착탈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601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8184B2 (ja) 箱型管路
US2910835A (en) Pi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CA2624941C (en)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US3592014A (en) Pipe-connecting system for the remote connection of pipe ends
EP1705413B1 (en) Pipe tensioner machine
US8123437B2 (en)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US20170268699A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AU2014201379B2 (en) Reel with stepped configuration
US3934647A (en) Pipe laying system
NO20110193A1 (no) Apparat, system og fremgangsmate for a benytte en diamantimpregnert vaiert for a kutte en gjenstand
CN108019564A (zh) 水力喷射式海底挖沟铺管机器人
CN105042184A (zh) 一种轻型双节点管道j型铺设系统
KR102073407B1 (ko)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US3506174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 elongate member
CN105333226A (zh) 深水j型铺管船的铺设装置
US3893305A (en) Method of bending a continuous flowline
CN205716012U (zh) 一种新型四节点j型-卷筒集成铺设系统
CN106560564B (zh) 原土回填装置
US201502660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bending pipes for pipelines
KR101410952B1 (ko) 클램프 가이드를 갖는 파이프 정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파이프 정렬방법
US20140227039A1 (en) Pipeline laying vessel for laying a pipeline on a seabed
US3568493A (en) Pipe bending apparatus
JP4797032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SG192370A1 (en) Linear pipe recovery/lay tension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05578897U (zh) 一种深水j型快速铺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