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364B1 -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 Google Patents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364B1
KR102073364B1 KR1020180009829A KR20180009829A KR102073364B1 KR 102073364 B1 KR102073364 B1 KR 102073364B1 KR 1020180009829 A KR1020180009829 A KR 1020180009829A KR 20180009829 A KR20180009829 A KR 20180009829A KR 102073364 B1 KR102073364 B1 KR 10207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etachable
pad
hand
re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0971A (en
Inventor
하기호
하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8000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64B1/en
Publication of KR2019009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를 이용하여 장갑을 조이거나 푸는 장갑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조임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손 등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간격부를 구비하며, 간격부에 의해 제1 손등부와 제2 손등부로 구획되는 손등부, 제1,2 손등부 및 간격부를 덮도록 손등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패드부, 와이어를 구속하며, 패드부의 재사용시에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 및 패드부에 봉제되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되어 제1,2 손등부 또는 간격부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패스너부를 포함하며, 와이어, 패드부, 및 패스너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ve, and to a reusable glove that is attached directly or indirectly to a glove that tightens or loosens the glove using a wire. To this end, the back portion of the user's hand is provided with a gap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ck portion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and back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hand portion by the spacing portion The pad portion provided to be reus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 of the hand to restrain the wire, the wir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so as to escape the restraining wire when the pad portion is reused, and the pad portion is sewn on the dial,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tension or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first or second hand or the gap portion, and the wire, pad, and faste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glove is reusable This is disclosed.

Description

조임장치, 조임장치를 구비한 장갑 및 신발{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Fasteners,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s

본 발명은 조임장치, 조임장치를 구비한 장갑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부착 대상체를 조이거나 풀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임 대상체에 부착되는 조임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조임장치, 조임장치를 구비한 장갑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ghtening device, gloves and shoes provided with a tigh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reusable tightening device of the tightening unit attached to the tightening object directly or indirectly to tighten or loosen the attachment object using a wire And gloves and shoes provided with a fastening device.

종래의 선행문헌(후술하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참조)에 개시된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장치는 와이어 및 패스너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알맞게 장갑이 착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장갑은 사용에 의해 가장 빨리 소모되는 부품이며, 장갑 이외의 조임장치(와이어, 패스너 등)는 장갑에 비해 훨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고가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tightening device using the wire disclosed in the prior art reference (see the patent docu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described lat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using a wire and a fastener so that the glove is worn to fit the user's hand. At this time, the glove is the fastest consumed parts by use, and the fasteners (wires, fasteners, etc.) other than the glove is made of expensive parts that can be used much longer than the glove.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에 의해 장갑을 교체하고자 할 때 장갑에 부착 고정된 고가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임장치까지 동시에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glove is to be replaced by use, a tightening device made of an expensive part attached to the glove must be replaced at the same time.

KR 20-0480235KR 20-0480235 KR 10-1690294KR 10-1690294 US 8,458,816US 8,458,816 US 2017/0165557US 2017/0165557 US 8,516,662US 8,516,662 US 9,138,030US 9,138,030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갑 또는 신발에 부착되는 조임장치(패스너부, 와이어, 패드부)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capable of reusing a fastening device (fastener part, wire, pad part) attached to a glove or shoe, which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 깃부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간격부를 덮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공간에 구비되는 패드부, 패드부에 결합 구속되는 패스너부, 및 패스너부에 구속됨으로써 패스너부의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장력이 조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부착시에는 깃부에 마련된 와이어 구속부에 와이어가 구속되며, 탈착시에는 와이어 구속부로부터 와이어가 구속 해제됨으로써 패드부, 패스너부 및 와이어가 탈부착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조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깃부는 제1,2 손등부 또는 제1,2 발등부로 구체화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hat the pad part provided in the inter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ver the gap formed in the interspace between the both side feather portions, the fastener portion coupled to the pad portion, and the dial of the fastener portion by being fastened to the fastener portion. The wire is tensioned by winding or unwind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ire, the wire is restrained by the wire restraint provided in the collar portion when attached, and when detached, the wire restrained by the wire restraint portion, the pad portion, fastener portion and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reusable tigh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reusable as it is detached. At this time, the collar portion may be embodied as the first or second hand or the first and second instep.

또한, 패드부의 일측은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탈부착 대상체에 탈부착된다. 이때, 탈부착 대상체는 신발 또는 장갑일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pad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achable object by having a detachable portion. In this case, the detachable object may be shoes or gloves.

또한, 와이어 구속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 및 와이어를 구속하는 구속면을 구비하며, 와이어 삽입시에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어 구속면에서 와이어가 구속되며, 재사용시에 와이어가 개방면을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구속 해제된다.In addition, the wire restraint portion has an open face o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restraint surface on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and when the wire is inserted, a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face to constrain the wire at the restraint surface, and the wire is open on reuse. Unbound by exiting through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 등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간격부를 구비하며, 간격부에 의해 제1 손등부와 제2 손등부로 구획되는 손등부, 제1,2 손등부 및 간격부를 덮도록 손등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패드부, 와이어를 구속하며, 패드부의 재사용시에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 및 패드부에 봉제되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되어 제1,2 손등부 또는 간격부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패스너부를 포함하며, 와이어, 패드부, 및 패스너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portion of the user's hand having a gap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ck portion divided into the first hand and the second hand by the gap portion, the first, 2 the pad portion provided to be reus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 of the hand to cover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gap, restrains the wire, the wire restrain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out of restraint when the pad portion is reused, and the pad portion And a fastener portion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by winding or releasing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al, and allowing reuse of the wire, the pad portion, and the fastener portion. By providing a glove characterized as possible.

또한, 패드부는 손가락부에서 손등부 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상대적으로 넓어지며, 패스너부는 패드부의 후방 중앙영역에 봉제된다.In addition, the pad portion is relatively wider in the direction from the finger portion to the back of the hand portion, and the fastener portion is sewn in the rear center region of the pad portion.

또한, 제1 재사용방법으로서, 패드부의 일측은 손가락부와 손등부의 사이영역에서 장갑의 수평방향으로 봉제 구속되며, 패드부의 재사용시에 봉제부분이 잘려진다.In addition, as a first reuse method, one side of the pad portion is sewn and re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lov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nger portion and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sewing portion is cut off when the pad portion is reused.

또한, 제2 재사용방법으로서, 패드부는 손등부와 결합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손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플로팅 되며, 와이어 구속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패드부가 재사용된다.In addition, as the second reuse method, the pad portion is not restrained by engagement with the back of the hand and floats relatively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d is reused by being restrained by the wire restraint.

또한, 제3 재사용방법으로서, 패드부의 전방 하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손등부의 전방 상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패드부의 탈부착부와 손등부의 탈부착부가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패드부가 재사용 된다.In addition, as a third reuse method, a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a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d portion is reused by combining or releasing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back of the hand.

또한, 손등부의 탈부착부는 제1,2 손등부 및 간격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탈부착부는 벨크로 테이프이다.Further, the detachable part of the back of the hand is provid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back parts of the hand and the gap, and the detachable part is Velcro tape.

또한, 와이어 구속부는 제1,2 손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봉제되며, 손가락부와 손등부의 사이영역에서 패드부의 전방에 봉제된다.In addition, the wire restraints are sew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and back parts, and are sewn in front of the pad part in the region between the finger part and the back of the hand part.

또한, 와이어 구속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을 구비하며, 와이어 삽입시에 개방면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고, 패드부의 재사용시에 와이어가 개방면을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구속 해제된다.In addition, the wire restraint portion has an open surface with one side open, the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when the wire is inserted, and the wire is restrained by the wire exiting through the open surface when the pad portion is reused.

또한, 와이어 구속부는 손등부에 봉제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와이어를 구속하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부, 중앙 고정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를 포함하며, 중앙 고정부에 와이어를 먼저 구속시킨 후에 좌측 및 우측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한다.The wire restraint part may include a base part that is sewn and fixed to the back of the hand, and a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extending from the base part and restraining the wire,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Fixing portion, and includes a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fixing portion, and constrains the wire to the central fixing portion first, and then insert the wire into the open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

또한, 베이스부에는 봉제시에 손등부를 가이드하는 단턱이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step of guiding the back of the hand during sew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또한, 좌측 및 우측 고정부는 중앙 고정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및 우측 고정부는 각각 와이어 삽입 방향으로 개방면이 형성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fixing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are formed as upper and lower portions so as to form an open surface in the wire insertion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지도록 면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부의 개방 폭이 내측부의 개방 폭보다 더 높아서 와이어가 삽입시에는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opening width of the inlet par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high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inner part so that the wire is well inserted when inserted and is not easily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또한, 하단부의 상부면은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상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toward the inner portion from the inlet portion.

또한, 상단부의 폭은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그 폭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dth becomes thicker toward the inner portion from the inlet portion,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portion from the inlet portion.

또한, 중앙 고정부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에 형성된 와이어 개방면 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면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지지벽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fixing por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wire opening surface direction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 and includes a wire support wall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surface.

또한, 와이어 구속부는 손등부에 봉제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개방면 및 구속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 및 개방면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r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portion sewn to the back of the hand, the base portion, a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 having an open surface and the restraining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s to form an open surface It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to extend.

또한,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는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면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부의 개방 폭이 내측부의 개방 폭보다 더 크서 와이어가 삽입시에는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s ar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inlet portion toward the inner portion so that the opening width of the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larg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inner portion so that the wire is well inserted when inserted and is not easily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Do not do it.

한편, 본원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 등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간격부를 구비하며, 간격부에 의해 제1 발등부와 제2 발등부로 구획되는 발등부, 와이어, 간격부를 덮도록 발등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패드부, 패드부에 구속되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되어 제1,2 발등부 또는 간격부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패스너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조임부, 및 와이어를 구속하며, 조임부의 재사용시에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를 포함하며, 탈부착에 따라 조임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d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rea, such as the foot of the user, the instep portion, wire, spaced portion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tep by the gap portion Pad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area of the foot portion, the pad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pad portion and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winding or loosening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ortion or the gap portion is adjusted. Detachable tightening portion having a fastener portion, and restraining the wire, and the wir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out of restraint when the tightening portion is reused, and the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use the tighten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achable By providing.

또한, 패드부의 일측은 장갑의 수평방향으로 봉제 구속되며, 조임부의 재사용시에 패드부의 봉제부분이 잘려진다. 이에 따라 조임부의 재사용시에는 재사용시에는 발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플로팅 되고 와이어 구속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조임부를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pad portion is sewn re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love, the sewing portion of the pad portion is cut at the time of reuse of the tightening portion. Accordingly, the reuse of the tightening unit can be reused by being floated relative to the instep when the reuse of the tightening portion is restrained by the wire restraint.

또한, 패드부는 발등부와 결합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발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플로팅 되며, 와이어 구속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조임부가 재사용된다.In addition, the pad portion is not restrained by engagement with the instep and is relatively floated with respect to the instep, and the fastener is reused by being restrained by the wire restraint.

또한, 패드부의 전방 하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발등부의 전방 상부면에는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패드부의 탈부착부와 발등부의 탈부착부가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조임부가 재사용되며, 탈부착부는 벨크로 테이프이거나 서로 대응되는 암놈 클립과 숫놈 클립일 수 있다.In addition, a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a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foo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reused by combining or releasing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instep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is Velcro tape or It may be a corresponding female clip and a male clip.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임장치(패스너부, 와이어, 패드부)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갑 또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가격을 낮추고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glove or shoes that can reuse the fastening device (fastener, wire, p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lowered and reus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와이어 구속부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속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장갑의 갑피가 놓여져 와이어 구속부가 장갑에 봉제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측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와이어 안착홈 및 와이어 삽입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고정부와 좌측 및 우측 고정부가 서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벽면 와이어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경사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재사용부(패스너부, 와이어, 패드부)가 구비된 재사용이 가능한 장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패드부가 장갑에 봉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패드부가 장갑에 봉제되지 않고 플로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패드부와 장갑의 손등부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재사용부(패스너부, 와이어, 패드부)가 장갑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와이어 구속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와이어 구속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및 도 18은 재사용부 또는 조임부(640,660,670)가 신발에 탈부착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to 8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Figures 1 and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restra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n which the upper of the glov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 restraint part is sewn into the glove.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right fix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wire seating grooves and wire insertion gro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view showing the inclined surface to form a wall wire guide portion by forming the central fixing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extending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reusable glove provided with a reuse part (fastener part, wire, pad part), the pad part is sewn into the glove,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pad portion is floated without sewing to the glove,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at the pad portion and the back of the hand of the glove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Velcro tape,
13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use portion (fastener portion, wire, p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glove,
1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portion,
15 and 16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17 and 18 are views showing that the reuse unit or tightening unit 640, 660, 670 is detached and reused in the sho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one Example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and the whol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s a solution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art may be omitted, and description of the omitted elem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r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와이어 가이드부 또는 와이어 구속부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Wire Guide or Wire Restrai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속부(10, 또는 와이어 가이드부)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의 갑피(30)에 봉제되면서 와이어(20,670)를 가이드 해주는 장치이다. 와이어 구속부(10)는 장갑 갑피(3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와이어(20)가 갑피의 양측에 마련된 와이어 구속부(10)에 크로스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구속되어 조여짐으로써 장갑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을 조임 구속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속부(1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evice for guiding the wires 20 and 670 while being sewn to the upper 30 of the glove as shown in FIGS. 1, 2 and 10 is a wire restraint part 10 or wire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Wire restraints 10 are provid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armor upper 30. At this time, the wire 20 is tightened to restrain the user's hand inserted in the glove by being fastened by being constrained to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wire restraint portion 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wire restrai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구속부(10)는 와이어(20)를 삽입시 와이어를 가이드하고, 와이어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한다. "와이어(20)를 가이드"하는 의미는 와이어(20)를 와이어 구속부(10)에 삽입시에 와이어가 삽입방향을 따라 잘 삽입되도록 가이드 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와이어(20)를 구속"하는 의미는 삽입된 와이어가 와이어 구속부(10)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구속된다는 의미이다. 와이어의 삽입방향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와이어 구속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도 있고(제1 방법),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도 있다(제2 방법). 제2 방법은 후술하는 중앙 고정부(300)에 와이어(20)를 먼저 구속시킨 후에 좌측 및 우측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와이어(20)를 삽입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에서 중앙 고정부(300)에 와이어(20)를 먼저 구속시킬 때 와이어 삽입홈(530)을 통해 와이어(20)를 중앙 고정부(300)에 구속시킨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600)에 와이어 구속부(650)가 봉제된 경우에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와이어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wire restraint part 10 guides the wire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and restrains the wire from being pulled out. "Guide the wire 20" means that the wire is inserted well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wire restraint 10, and "constrains the wire 20" The meaning is that the inserted wire is constrained without exiting the wire restraint 10.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ire may be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restraint 10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 1 (first method) or may be inserted along the arrow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Second method). In the second method, the wire 20 is first constrained to the central fix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open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In the second method, when the wire 20 is first constrained to the central fixing part 300, the wire 20 is constrained to the central fixing part 300 through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However, when the wire restraint 650 is sewn to the glove 600 as shown in FIG. 10,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wi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3.

와이어 구속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와이어 구속부(10)의 밑판으로서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는 장갑 갑피(30)가 놓여지고, 장갑 갑피(30)가 봉제 됨에 따라 베이스부(100)가 장갑 갑피(30)에 고정된다. 와이어 구속부(10)를 장갑 갑피(30)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와이어 구속부는 장갑 갑피 영역에 베이스부(10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일측이 장갑 갑피(30)가 놓여지는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복수의 고정부, 안착홈, 및 삽입홈 등이 형성되는 면으로 구분된다.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갑피 가이드라인부(110)에 의해 서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바탕으로 갑피 가이드라인부(110)의 우측(베이스부의 제1 영역)은 장갑 갑피(30)가 놓여지는 면이고, 좌측(베이스부의 제2 영역)은 복수의 고정부 등이 형성되는 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가이드라인부(110)는 갑피(30)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놓일 때 갑피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갑피 가이드라인부(110)는 단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갑피 가이드라인부(110)가 없다면 갑피(30)가 직선으로 봉제되지 않고 곡선으로 봉제될 수도 있다.The wire restraint 10 includes a base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se part 100 is a bottom plate of the wire restraint part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glove upper 30, and as the upper part of the glove upper 30 is sewn, the base part 100 is the upper part of the glove upper. It is fixed to 30. In order to fix the wire restraint 10 to the glove upper 30, a wire recess may be formed in the glove upper region in order to seat the base 100 in the glove upper region. Base portion 100 is formed on one side is a surface on which the armor upper 30 is placed, the other side is divided into a surface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seating grooves, insertion grooves,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guide lines 110 formed on the base 100 may distinguish the regions from each other. That is, the right side (the first reg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upper guide line portion 110 is the surface on which the armor upper 30 is placed, and the left side (the second region of the base portion) has a plurality of the upper guide line portion 110 based on the drawing shown in FIG. 1. It is a surface on which the fixing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upper guide line part 110 is for guiding the upper when the upper 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hat is, the upper guide line unit 110 may be embodied as a step. If there is no upper guide line 110, the upper 30 may be sewn in a curved line rather than sewn in a straight line.

도 3에는 복수의 고정부(200,300,40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부는 제1,2,3 고정부로서 순차적으로 좌측 고정부(200), 중앙 고정부(300), 우측 고정부(400)라 한다. 복수의 고정부(200,300,400)는 갑피 가이드라인부(110, 이하 단턱부라 함)를 기준으로 베이스부(100)의 제2 영역에 형성된다. 중앙 고정부(300, 또는 중간 고정부)는 베이스부의 제2 영역의 우측 중앙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연장부(또는 몸체부, 310)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와이어 지지벽(320)을 포함한다. 와이어 지지벽(320)과 연장부(310)의 내측면은 와이어(20)가 제1 방법으로 삽입시 와이어가 통과되고 제2 방법으로 삽입시 와이어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정 이격거리를 갖는다. 와이어 지지벽(320)은 베이스부(100)의 밑면(또는 상면)과 닿지 않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제2 방법으로 와이어(20)를 중앙 고정부(300)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지지벽(320)의 하부면과 베이스부(100)의 밑면이 도 3과 같이 떨어져 있어야 한다(즉, 서로 맞닿지 않아야 함). 와이어 지지벽(320)은 중앙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와이어(20)가 빠져나가지 않고 구속되도록 한다.3 illustrates a plurality of fixing parts 200, 300, and 400.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are referred to as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arts, which are sequentially called a left fixing part 200, a central fixing part 300, and a right fixing part 400.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200, 300, and 400 are formed in the second area of the base part 100 based on the upper guide line part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epped part). The central fixing part 300 or the middle fix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in the upper right area of the second area of the base part, and to support the wire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art (or the body part 310). Wall 320.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wire support wall 320 and the extension part 310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wire 20 passes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 the first method and the wire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 the second method. The wire support wall 320 is preferably bent so as not to contact the bottom (or top) surface of the base part 100. Because, in order to insert the wire 20 into the central fixing part 300 by the second method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 support wall 3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100 should be separated as shown in FIG. 3 ( That is, not touching each other). The wire support wall 320 allows the wire 20 inserted into the center fixing part 300 to be restrained without exiting.

좌측 고정부(200) 및 우측 고정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고정부(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성된다. 도 3의 중앙 고정부(300)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것을 좌측 고정부(200)라 하고, 우측에 구비된 것을 우측 고정부(400)라 한다. 다만, 좌측 고정부(200) 및 우측 고정부(4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하였을 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fixing part 200 and the right fixing part 400 are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fixing part 300 as shown in FIG. 3. The left fixing part 20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fixing part 300 of FIG. 3, and the right fix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fixing part 200 and the right fixing part 400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좌측 고정부(200) 및 우측 고정부(400)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구비한다. 좌측 고정부의 상단부(210)와 우측 고정부의 상단부(41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형상은 전화 수화기의 형상을 닮는다. 즉, 좌측 고정부의 상단부(210)와 우측 고정부의 상단부(410)는 서로를 이어주는 연장부(중앙 고정부에 대향됨)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된다. 연장부의 폭이 작은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홈(530)을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이다. 좌측 고정부의 상단부(210)와 우측 고정부의 상단부(410)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베이스부(100)에 연장 결합된다. The left fixing part 200 and the right fixing part 400 have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The upper end portion 210 of the left fix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410 of the right fix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the shape resembles the shape of the telephone receiver. That is, the upper end portion 210 of the left fix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410 of the right fixing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an extension portion (opposed to the central fixing portion) connecting to each other. The reason why the width of the extension portion is small is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described later. The upper end part 210 of the left fixing part and the upper end part 410 of the right fixing part are bent downward and extended to the base part 100.

좌측 고정부의 하단부(220)와 우측 고정부의 하단부(420)는 각각의 상단부(210,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부(100)로부터 일정 높이(h)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만, 이때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좌측 및 우측 고정부(200,400)의 와이어 삽입 방향면에는 개방면(또는 개방영역)이 형성된다(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와이어가 제2 방법에 의해 삽입됨). 이 개방면으로 제2 방법에 의해 와이어(20)가 삽입된다. The lower end portion 220 of the left fix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420 of the right fixing portion protrude from the base portion 100 to a predetermined height 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pper end portions 210 and 410. However, at this tim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formed so as not to touch each other, so that an open surface (or an open area) is formed on the wire insertion direction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200 and 4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Inserted by).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is open surface by the second method.

좌측 고정부의 하단부(220)와 우측 고정부의 하단부(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부(100)로부터 높이(h)만큼 돌출 형성된다. 하단부가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것은 도 2에 도시된 갑피(30)가 소정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부(100)에 안착된 갑피(30)에 의해 와이어(20)가 제2 방법으로 개방면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단부(220,420)의 돌출 높이가 갑피(30)의 두께보다 낮을 경우에는 와이어(20)가 개방면으로 쉽게 삽입되기 어렵기 때문에 적어도 갑피(30)의 두께보다 같거나 높게 돌출되어야 한다.The lower end 220 of the left fixing part and the lower end 420 of the right fixing part protrude from the base part 100 in the upward direction by a height h, as shown in FIG. 4. The lower end protrudes while having a certain height because the upper 30 shown in FIG. 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wire 20 is opened in a second manner by the upper 30 seated on the base 100. This is to make it easy to enter into. That is, whe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lower end portions 220 and 420 is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30, since the wire 20 is har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pen surface, it must protrude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30.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고정부(400)의 일 단면은 대략 "ㄷ"자로 형성된다. "ㄷ"자의 상단은 상단부(410)이고 하단은 하단부(420)이다. 다만, 하단부(420)는 "ㄷ"자의 하단 중 일부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나머지 "ㄷ"자의 하단은 제2 와이어 안착홈(520)이 형성된다. 와이어(20)가 개방면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때 삽입시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는 와이어(20)가 잘 빠지지 않도록 상단부의 하부면(411)과 하단부의 상부면(421)의 단면은 대략 "V"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방면의 입구 영역(또는 입구부)에서 내측 영역(또는 내측부)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의 하부면(411)과 하단부의 상부면(421)의 떨어진 폭(또는 이격 거리)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W1>W2)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하기 위해 하단부의 상부면(421)이 입구 영역에서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단부의 하부면(411)이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고 하단부의 상부면(421)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을 향해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one cross section of the right fixing part 400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c". The upper end of the letter "c" is the upper end 410 and the lower end is the lower end 420. However, the lower end portion 420 is protruded upward from som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 character, the lower end of the "c" character is the second wire seating groove 520 is formed.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ward through the open surface, the wire 20 is easily inserted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after the wire 20 is inserted inward,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 The cross section of 4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approximately "V". That is, the width (or separation distance) of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upper end and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lower end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inlet region (or inlet) of the open surface to the inner region (or inner portion). It is preferred that (W 1 > W 2 ).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entrance area to the inner region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or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region.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lower end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or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toward the inner reg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고정부(400)의 상단부(410) 두께는 입구 영역에서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즉, 폭이 W3만큼 종전에 비해 더 두꺼워짐), 더 나아가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410)의 폭을 일정하게 가져가면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어(20)가 와이어 조임 장치에 의해 조임될 때 힘(F)을 화살표 방향으로 받기 때문에 힘(F)에 의해 상단부(410)가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단부(410)의 두께를 점차 두꺼워지도록 하면서 상단부의 하부면(411)을 하측 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와이어(20)가 조임될 때 받는 힘(F)에 의해 상단부(410)가 들어올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이렇게 함으로써 와이어(2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즉, 힘의 방향은 대략 상측 방향에서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변경됨).As shown in FIG. 5,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410 of the right fixing part 400 is formed to become thicker from the inlet region to the inner region (that is, the width becomes W 3 thicker than before), and furthermore.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reg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410 is not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while being constant, a force F is recei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en the wire 20 is tightened by the wire tightening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pper end portion 410 is lifted upward by (F). Therefore, by forming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upper portion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410, the upper portion 410 is lifted by the force F received when the wire 20 is tightened. Losing problems can be solved. That i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wire 20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in the approximately upward direction).

상술한 우측 고정부(400)의 설명은 좌측 고정부(200)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며, 따라서 좌측 고정부(200)의 설명은 우측 고정부(40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left fixing part 200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left fixing part 200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right fixing part 4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고정부의 상단부의 하방에는 삽입된 와이어(20)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홈(510,520)이 형성된다. 와이어 안착홈(510, 520)은 제1 방법으로 삽입되는 와이어(20)를 가이드 하면서 삽입된 와이어(20)가 안착된다. 와이어 안착홈(510,520)은 상술한 "ㄷ"자 형상의 밑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다만, 후술하는 와이어 삽입홈(530)에 비해 덜 깊게 형성된다. 와이어 삽입홈(530)은 와이어 지지벽(320)의 좌측에 대략 "반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방법으로 와이어를 삽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와이어(20)를 먼저 반원 형상으로 접은 뒤에 와이어 삽입홈(530)에 삽입하면서 중앙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와이어를 밀어 넣어 와이어 지지벽(320)에 의해 와이어(20)가 구속되도록 한다. 안착홈(510,520)은 제1 방법으로 삽입되는 와이어(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below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wire seating grooves 510 and 520 in which the inserted wire 20 is seated are formed. The wire seating grooves 510 and 520 are seated with the inserted wire 20 while guiding the wire 20 inserted in the first method. The wire seating grooves 510 and 52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 shape. However, it is formed deeper than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to be described later.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is groov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on the left side of the wire support wall 320. Therefore,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wire in the second method, the user first folds the wire 20 into a semicircular shape and then inserts the wire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and pushes the wire into the inner side of the central fixing part 300 to support the wire support wall ( The wire 20 is constrained by 320. The mounting grooves 510 and 520 have grooves form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ire 20 inserted in the first method.

이때, 제1 방법에 의해 와이어(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점선 원 영역"에 와이어(20)가 걸리게 된다. 2개의 점선 원 표시영역은 중앙 고정부(300)의 양측면과 좌측 및 우측 고정부(200,400)의 일측면이 서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2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중앙 고정부(300)의 양측 벽면에 걸리는 것을 표시한 것이고, 나머지 점선 원 표시영역은 안착홈(520)과 삽입홈(530)이 서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20) 삽입시에 삽입홈(530)의 측벽면에 와이어(20)가 걸리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first method, the wire 20 is caught in the "three dotted circle regions" as shown in FIG. The two dotted circle display areas have the center fixing part 300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ause both sides of the center fixing part 300 and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200 and 400 do not extend to each other. ) Is shown on both sides of the wall, and the rest of the dotted circle display area is th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530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because the stepped grooves 520 and the insertion groove 530 are stepped with each other. The wire 20 is caught on the wall surf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고정부(300)의 양측면과 좌측 및 우측 고정부(200,400)의 일측면을 서로 연장하여 벽면 와이어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20)가 서로 단절된 측벽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삽입홈(530)과 안착홈(520)의 깊이 차이에 따라(단턱이 형성됨) 안착홈(520)에서 삽입홈(530)으로 이어지는 면이 경사면(540)을 갇도록 형성함으로써 삽입되는 와이어(20)가 삽입홈(530)의 측벽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S. 7 and 8, both sides of the central fixing part 300 and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200 and 400 are extended to each other to form a wire guide 20. ) Do not get caught on the sidewalls that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pth difference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530 and the seating groove 520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 wire leading from the seating groove 520 to the insertion groove 530 is formed to trap the inclined surface 540 to be inserted. 20 is not caught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30).

상술한 도 1 내지 도 8까지는 와이어 구속부(650)의 제1 실시예이고, 도 14는 와이어 구속부(650)의 제2 실시예이다. 와이어 구속부의 일면은 개방면(658)으로 이루어져 와이어(670)가 삽입방향을 따라 개방면(658)을 통해 삽입되며, 재사용시에는 와이어(670)가 개방면(658)을 통해 빠져나와 구속 해제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속부(650)는 와이어를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구속 해제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8 described above a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650, and FIG. 1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650. One surface of the wire restraint includes an open surface 658, and the wire 67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658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and when reused, the wire 670 escapes through the open surface 658 to release the restriction. do. The wire restraint 6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preferably has elasticity to easily insert or release the wire.

도 15 내지 도 16은 와이어 구속부(700)의 제3 실시예이다. 와이어 구속부(700)는 장갑의 갑피가 상부면에 놓여 와이어 구속부(700)가 장갑에 봉제되는 베이스부(710)와 갑피 가이드라인부(71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10)와 갑피 가이드라인부(711)는 와이어 구속부의 제1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15 through 16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700. The wire restraint 700 includes a base part 710 and an upper guide line part 711 in which the upper of the glov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ire restraint 700 is sewn into the glove. The base portion 710 and the upper guide line portion 711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ire restraint portion.

와이어 구속부(700)는 베이스부(710)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20,670)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730)와 일측방향이 개방되도록 고정부(730)에서 연장 형성되어 고정부(7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720)를 포함한다. 덮개부(720)는 고정부(730)와 함께 와이어(20,67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와이어를 삽입 구속한다.The wire restraint part 70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ase part 710 to the fixing part 730 to fix the wires 20 and 670 and the fixing part 730 to be open to one side to be fixed to the fixing part 730. It includes a cover portion 720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cover portion 720 inserts and constrains the wires so that the wires 20 and 670 do not escape together with the fixing portion 730.

제1,2 고정부(731,732)는 고정부(730)의 베이스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제1,2 고정부(731,732)의 최상부면이 덮개부(720)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개방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한다. 제1,2 고정부(731,7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2 고정부(732)는 고정부(730)의 베이스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면서(돌출면, 732c) 경사면(732a)을 형성한다.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덮개부(720)의 하부면과 제2 고정부(732)의 경사면(732a)이 대략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가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제2 고정부(732)의 최상부면은 덮개부(720)의 하부면과 개방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다. 제2 고정부(732)의 돌출면(732c)의 반대면은 와이어가 구속 지지되는 와이어 구속면(732b)이다. 즉, 와이어가 "V"자 개방면을 따라 삽입되며, 와이어의 조임에 따라 와이어 구속면(732b)에서 구속 지지된다. 재사용시에 와이어는 다시 "V"자 개방면을 따라 빠져 나옴으로써 와이어, 패드부, 패스너부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고정부(732)의 설명은 제1 고정부(731)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므로 제1 고정부(731)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31 and 732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of the fixing part 730, and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31 and 732 are uniform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720. Opening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wire is inserted.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31 and 7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fixing part 732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ase surface of the fixing part 730 (protrusion surface, 732c) to form an inclined surface 732a.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720 and the inclined surface 732a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732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have an approximately "V" shape so that the wire is easily inserted.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73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7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rojecting surface 732c of the second fixing part 732 is a wire restraining surface 732b on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and supported. That is, the wire is inserted along the "V" opening surface, and is constrained and supported by the wire restraint surface 732b as the wire is tightened. Upon reuse, the wire again exits along the “V” shaped opening so that the wire, pad portion, and fastener portion can be reused. Since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first fixing part 731,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731 will be omitted.

<재사용부 또는 조임부가 재사용 또는 탈부착되는 장갑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Gloves Reusable or Fastener Reused or Detach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장갑(600)은 와이어(670)를 조이거나 풂으로써 장갑을 사용자의 손목에 알맞게 구속하도록 하고, 장갑이 다 닳아 장갑을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새 장갑에 부착하여 재사용하도록 한 발명이다. 이때, 상술한 와이어 구속부(10,650)를 사용함으로써 재사용시에 와이어(20,670)가 와이어 구속부(10,650)로부터 재사용 가능하게 쉽게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재사용부 또는 조임부라 한다.The reusable glov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glove to be appropriately restrained on the user's wrist by tightening or squeezing the wire 670, and when the glove is worn out and the glove needs to be replaced, the pad part 640. ), The fastener portion 660, and the wire 670 is attached to a new glove to reuse. At this tim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wire restraints 10 and 650, the wires 20 and 670 are easily reusable from the wire restraints 10 and 650 upon reuse. Hereinafter,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are referred to as a reuse part or a tightening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갑(600)은 손가락부(610)와 손등부(620)로 편의상 구분될 수 있다. 손가락부(610)는 장갑의 전방에 위치하며, 손등부(620)는 장갑의 후방에 위치한다. 손가락부(610)와 손등부(620)가 서로 만나는 장갑(60)의 중간 영역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패드부(640)가 봉제된다(제1 실시예). 제2 실시예로서 도 10은 패드부(640)가 장갑에 봉제되지 않고 플로팅(구속되지 않은 상태)된 상태로서 와이어 구속부(650) 및 와이어(670)에 의해 패드부(640)가 지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3 실시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의 탈부착부(643)와 손등부의 탈부착부(623)가 서로 탈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제1,2,3 실시예에 따라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새 장갑에 부착하여 재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서는 패드부(640)의 봉제부분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여야 한다.Glov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finger portion 610 and the back of the hand 620 for convenience. Finger portion 6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glove, the back of the hand 620 is located behind the glove. In the middle region of the glove 60 where the finger portion 610 and the back of the hand 620 meet each other, a pad portion 640 described later is sewn as shown in FIG. 9 (first embodiment). As a second embodiment, FIG. 10 shows that the pad portion 640 is supported by the wire restraint portion 650 and the wire 670 in a state in which the pad portion 640 is not sewn into the glove and is floated (not bound). Indicates that there is. As a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pad portion detachable portion 643 and the back portion detachable portion 623 are made of Velcro tape so as to be detach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may be attached to a new glove and reused. At this tim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wing portion of the pad portion 640 should be cut with scissors or a knife.

손등부(620)는 간격부(630)에 의해 제1,2 손등부(621,622)로 구분 구획된다. 즉, 간격부(630)는 손등부(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다. 패스너부(660)에 의해 와이어(670)가 조임되거나 풀림으로써(와이어의 장력 조절에 따라) 제1,2 손등부(621,622)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장갑(600)이 사용자의 손에 알맞게 구속된다. 즉, 사용자가 장갑(600)을 착용하고 벗을 때에는 와이어가 풀린 상태에 있어 제1,2 손등부(621,622)의 간격이 더 멀어지게 되어 장갑을 용이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고, 착용 후에는 와이어(670)를 조여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알맞게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670)의 조임에 따라 제1,2 손등부(621,622)의 경계면(621a,622a)의 상호간 간격이 장갑의 착용 및 벗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혀지게 된다. 따라서 간격부(630)는 경계면(621a,622a)의 상호간 간격일 수 있다. 다만, 이때에 와이어(670)의 조임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제1 손등부의 와이어 구속부(652,...,654)와 제2 손등부의 와이어 구속부(655,...,657)의 간격이 좁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제1 손등부의 와이어 구속부(652,...,654)와 제2 손등부의 와이어 구속부(655,...,657)가 장갑의 갑피에 봉제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와이어 구속부의 봉제된 영역이 당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손등부(62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부(623)가 구비된다. 탈부착부(623)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제1 손등부의 경계면(621a) 영역, 간격부(630), 제2 손등부의 경계면(622a) 영역을 덮도록 손등부(620)의 전방 중앙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탈부착부(623)는 제1 손등부의 경계면(621a) 영역, 및 제2 손등부의 경계면(622a) 영역을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이때에는 손등부의 탈부착부(623)와 서로 대응되도록 패드부의 탈부착부(643)가 형성될 수 있다). 손등부의 탈부착부(623)는 도 12에 도시된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패드부의 탈부착부(643)와 서로 탈부착 된다. 즉, 재사용시에 서로 분리된다. The back of the hand 62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backs 621 and 622 by the spacer 630. That is, the spacer 630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 of the hand 620. As the wire 670 is tightened or loosened by the fastener 660 (depending on the tension control of the wi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 portions 621 and 622 is narrowed or moved away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gloves 600 are worn by the user. Bound to his hand. 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gloves 600 and takes off the wires, the wires are in a loose state,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 parts 621 and 622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gloves can be easily worn and taken off, and after the wires are worn ( 670 may be worn to fit the user's hand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At this time, as the wires 670 are tight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boundary surfaces 621a and 622a of the first and second back parts 621 and 622 is relatively narrower than when the gloves are worn and taken off. Accordingly, the spacer 630 may be a gap between the boundary surfaces 621a and 622a. However,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wire restraint portions 652,... 654 of the first back part and the wire restraint portions 655, ... 657 of the second back part, which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wire 670. This may be narrowed. This is because the wire restraints 652, ..., 654 of the first back of the hand and the wire restraints 655, ... 657 of the second of the back of the second hand are sewn on the upper of the glove. This is because the sewn area of the constraint can be pulled out. The back of the hand 62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623, as shown in FIG. The detachable part 623 may be embodied by Velcro tape, and the front center of the back of the hand 620 may cover the area of the boundary 621a of the first back of the hand, the gap 630, and the area of the boundary 622a of the second of the back of the second hand. The area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if necessary, the detachable part 623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boundary surface 621a area of the first back of the hand and the boundary surface 622a of the second back of the hand (in this case, the detachable part 623 of the back of the hand). The detachable portion 6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ad portion). The detachable part 623 of the back of the h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achable part 643 of the pad part made of the Velcro tape shown in FIG. 12. That is,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pon reuse.

제1,2 손등부(621,6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부(63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 간격부(630)는 와이어(670)의 조임에 따라 그 폭이 줄어들거나 늘어난다. 즉,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에는 간격부(630)의 간격 폭이 늘어가게 되어 쉽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 후에 와이어(670)를 조이면 간격부(630)의 간격 폭이 줄어들어 장갑이 사용자의 손에 알맞게 조여지게 된다. 간격부(630)는 손등부(620)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간격부(630)의 간격 폭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할 수도 있고, 그 폭이 길이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손등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back parts 621 and 622 are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r 630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gap 630 decreases or increases in width as the wire 670 is tightened. That is, when the user wears or takes off the gloves, the interval width of the spacer 630 increas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or take off the gloves. When the user tightens the wire 670 after wearing the gloves, the interval width of the spacer 630 is increased. The glove is tightened to fit the user's hand. The spacing part 630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ack of the hand 620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val width of the spacer 630 may be constant as shown in FIG. 11, and the width may va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back of the back of the hand toward the front may be reduced, or vice versa.

패드부(6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손등부(621,622)의 일부 및 간격부(63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손등부(620)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패드부(640)의 전방 단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의 수평방향으로 봉제되어 장갑에 결합 구속되며, 패드부(640)의 후방 중앙영역에는 패스너부(660)가 봉제되어 패드부에 결합 구속된다. 이때, 패드부(640)의 재사용시에는 패드부의 봉제된 부분을 가위나 칼로 절단하거나 또는 봉제된 실을 절단하여 장갑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패드부의 전방영역에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와이어 관통홈(641,642)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670)가 관통 삽입되도록 한다. 다만, 제1,2 와이어 관통홈(641,642)은 와이어를 관통 구속하는 것으로서 홈이 아닌 다른 구속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패드부의 하부면의 전방 단부영역에는 탈부착부(643)가 형성되며, 탈부착부(643)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체화될 수 있다. 손등부의 탈부착부(623)는 숫놈 벨크로 테이프(또는 암놈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되고, 패드부의 탈부착부(643)는 암놈 벨크로 테이프(또는 숫놈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되어 패드부의 재사용시에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물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640)는 장갑에 봉제 구속되지 않고 플로팅될 수 있으며, 이때의 패드부(640)는 와이어(670) 및 와이어 구속부(650)에 의해 구속 지지된다. 패드부(640)의 재사용시에는 와이어(670)를 와이어 구속부(650)로부터 빼냄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패드부(640)를 장갑으로부터 구속 해제하고, 와이어(670)를 와이어 구속부(650)로부터 구속 해제하면 도 13과 같이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다른 장갑에 부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9, the pad part 640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central region of the back of the hand 620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hand parts 621 and 622 and at least part or all of the spacing part 630. It is provided. The front end of the pad portion 640 is se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love as shown in FIG. 9 and coupled to the glove, and the fastener portion 660 is sewn to the pad portion at the rear central region of the pad portion 640. Are bound and bound. At this time, when the pad 640 is reused, the pad part may be sewn with scissors or a knife, or the sewn thread may be cut from the glove. As shown in FIGS. 9 and 12, first and second wire through holes 641 and 642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d part, respectively, to allow the wire 670 to be inserted therethrough.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wire through grooves 641 and 642 may be restraining penetrating wires. Further, a detachable portion 643 is formed in the front end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643 may be embodied by Velcro tape. The detachable portion 623 of the back of the hand is formed of male velcro tape (or female velcro tape), and the detachable portion 643 of the pad portion is formed of female velcro tape (or male velcro tap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ad portion is reused. . Of course, as shown in FIG. 10, the pad part 640 may be floated without sewing restraint on the glove, and the pad part 640 is supported by the wire 670 and the wire restraint part 650. When the pad part 640 is reused, the wire 670 is pulled out of the wire restraint part 650 to reuse the pad part 640. When the pad part 640 is released from the glove and the wire 670 is not restrained from the wire restraint part 650,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as shown in FIG. Can be attached to other gloves and reused.

패드부(64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이(또는 폭)가 상대적으로 넓어지며, 패스너부(660)는 패드부의 후방 중앙영역에 봉제된다. 와이어(670)는 와이어 구속부(650)에 삽입 구속되며, 제1,2 와이어 관통홈(641,642)을 통과하여 패스너부(660)에 결합 구속된다. 와이어(67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은 각각 패스너부(660)의 내부에서 각각 결합 구속된다. 이에 따라 패스너부(660)의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670)가 패스너부의 릴부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된다. 다이얼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조여지게 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풀리게 된다. 다만, 패스너부(660)의 세부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다양한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채택될 수 있다. 다만, 패스너부(660)는 패드부(640)에 구속 또는 결합될 때 봉제에 의해 결합 구속될 수도 있고, 접착에 의해 결합 구속될 수도 있고, 서로 쌍(일예로서 숫놈 결합부재와 암놈 결합부재)으로 마련된 결합부재와 패드부(64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 구속될 수도 있다.The pad portion 640 has a relatively wider width (or width)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fastener portion 660 is sewn to the rear central region of the pad portion. The wire 670 is inserted into and constrained to the wire restraint part 650, and is coupled to the fastener part 66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 through holes 641 and 642.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670 is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fastener 66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winding or releasing the wire 670 to the reel portion of the fasten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of the fastener portion 660. The wire is tightened by the rotation of the dial in one direction, and the wire is released by the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Howev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astener 660 may b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various methods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may be adop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astener part 660 may be coupled or restrained by sewing when it is restrained or coupled to the pad part 640, or may be restrained by bonding, and may be pair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male coupling member and a female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member and the pad portion 640 may be couple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oupling.

와이어 구속부(650)는 와이어(670) 삽입시에 와이어(670)를 삽입 구속하며, 패드부(640)의 재사용시에 와이어(670)가 와이어 구속부(650)로부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즉, 와이어 구속부(650)는 와이어(670) 삽입시에 와이어 삽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패드부(640)의 재사용시에 삽입방향으로 와이어(670)가 구속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와이어 구속부(1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The wire restraint part 650 inserts and restrains the wire 670 when the wire 670 is inserted, and one side of the wire restraint part 650 is reusable from the wire restraint part 650 when the pad part 640 is reused. Is formed open. That is, the wire restraint part 650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wir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wire 670 is inserted, and the wire 670 is restra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pad part 640 is reuse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wire restrainer 10 described above.

와이어 구속부(650)는 제1 손등부(621)의 길이방향으로 봉제 구속되는 제1 와이어 구속부(652,...,654)와 제2 손등부(622)의 길이방향으로 봉제 구속되는 제2 와이어 구속부(655,...,657)와 패드부(640)의 전방 중앙영역에 구비되는 제3 와이어 구속부(651)로 이루어진다. 제1,2 와이어 구속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The wire restraint part 650 is sewn restr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ire restraint part 652,..., 654 and the second back part 622 which are sewn restr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ck part 621. The second wire restraint part 655,..., 657 and the third wire restraint part 651 provided in the front center area of the pad part 640. The first and second wire restraint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재사용 방법><How to reuse>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장갑(600)은 조임이 필요한 장갑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골프용 장갑에 조임장치인 패스너부(660)를 부착하여 와이어를 조이고 풂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알맞게 조임되도록 한다. 이때, 골프용 장갑 자체는 사용에 의해 닳게 되므로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패드부(640)를 장갑에 봉제하거나(재사용시에 봉제 부분을 컷팅함), 플로팅시키거나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Glove 6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both gloves that need tightening. As an example, by attaching a fastener 660, which is a fastening device, to a glove for golf, tightens and squeezes the wire so as to be appropriately tightened to the user's hand. At this time, since the golf glove itself is worn out by us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using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portion 640 is sewn into gloves (cutting the sewing portion when reused), floated,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with Velcro tape to enable reuse.

먼저, 장갑이 사용에 의해 닳게 되면, 패드부(640)를 장갑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패드부(640)가 장갑에 봉제되어 있으면 봉제 부분을 절단하여 분리시키고, 패드부(640)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면 구속 해제하여 장갑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물론 패드부(640)가 플로팅 상태에 있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First, when the glove is worn down by use, the pad portion 640 is separated from the glove. At this time, if the pad portion 640 is sewn on the glove, the sewing portion is cut and separated, and if the pad portion 640 is restrained by the Velcro tape, the pad portion 640 is released and separated from the glove. Of course, if the pad portion 640 is in a floating state, the state is maintained.

다음으로, 패드부(640)를 장갑으로부터 구속 해제한 후에 와이어(670)를 와이어 구속부(650)로부터 구속 해제한다. 이때, 와이어(670) 삽입방향으로 와이어(670)가 구속 해제된다. 즉, 와이어(670) 삽입시에 와이어(670)가 도 3의 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와이어(670) 구속 해제시에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와 구속이 해제된다.Next, after the pad portion 640 is released from the glove, the wire 670 is released from the wire restraint 650. At this time, the wire 670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ire 670 is released. That is, when the wire 670 is inserted, the wire 670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FIG. 3, and when the wire 670 is restrained, the wire 670 is pulled ou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direction to release the restraint.

다음으로, 와이어(670)가 와이어 구속부(650)로부터 구속 해제되면, 도 13과 같이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가 장갑으로부터 분리된다. 패드부(640), 패스너부(660) 및 와이어(670)를 이하에서는 재사용부 또는 조임부라 한다. 따라서 재사용부(640,660,670)를 새 장갑에 부착하여 재사용하도록 한다. Next, when the wire 670 is released from the wire restraint part 650,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are separated from the glove as shown in FIG. 13. The pad part 640, the fastener part 660 and the wire 670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use part or a tightening part. Therefore, the reuse unit 640, 660, 670 is attached to the new glove to reuse.

만약 새 장갑의 손등부에 탈부착부(623)가 구비되어 있다면 탈부착부(623,643)끼리 서로 구속 결합되며, 와이어(670)를 와이어 구속부(650)에 끼움 삽입함으로써 재사용 할 수 있다. 만약, 플로팅 상태라면 그 상태 그대로 와이어(670)만 와이어 구속부(650)에 끼움 삽입함으로써 재사용 할 수 있다. 기존 장갑의 패드부를 절단하였다면 새 장갑의 재사용은 패드부를 플로팅 상태로 재사용하거나 또는 패드부를 봉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If the detachable part 623 is provided at the back of the hand of the new glove, the detachable parts 623 and 643 are restrained to each other, and can be reused by inserting the wire 670 into the wire restraint 650. If the floating state, it can be reused by inserting only the wire 670 into the wire restraint 650 as it is. If the pad part of the existing glove is cut, the reuse of the new glove may be reused in a floating state or by sewing the pad part.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와이어 구속부(650)가 장갑에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와이어(20,670)를 먼저 반원 형상으로 접은 뒤에 와이어 삽입홈(530)에 삽입하면서 중앙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와이어를 밀어 넣어 와이어 지지벽(320)에 의해 와이어(20)가 구속되도록 한다. 그 후에 좌측 및 우측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와이어를 삽입한다. 도 14에 도시된 와이어 구속부(650)가 장갑에 구비된 경우에는 와이어(670)를 개방면(658)을 통해 삽입하고, 와이어를 개방면(658)을 통해 구속 해제시킨다.When the wire restraint part 650 illustrated in FIGS. 1 to 9 is provided in the glove, the user first folds the wires 20 and 670 into a semicircular shape, and then inserts the wires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530. The wire 20 is pushed inward to constrain the wire 20 by the wire support wall 320. The wire is then inserted into the open side of the left and right fasteners. When the wire restraint 650 shown in FIG. 14 is provided in the glove, the wire 67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658 and the wire is restrained through the open surface 658.

<재사용부 또는 조임부가 탈부착 또는 재사용되는 신발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hoes in which the reuse part or the tightening part is detachable or reused>

도 9는 조임부(640,660,670)가 장갑에 탈부착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7 및 도 18은 조임부(640,660,670)가 신발에 탈부착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조임부(640,660,670)의 탈부착에 따른 재사용은 장갑이나 신발에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장갑의 설명에 갈음하고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9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fasteners 640, 660 and 670 are detached and reused in gloves, and FIGS. 17 and 18 are views illustrating the fasteners 640, 660 and 670 are detached and reused in shoes. Reuse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f the fasteners 640, 660, 670 is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gloves or shoes will be replaced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gloves.

와이어 구속부(10,650,700)는 제1,2 발등부(810,820)에 배치되고, 패드부(640)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17 및 도 18은 와이어 구속부(10,650,700)에 와이어(670)가 결합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조임부의 패드부(640) 배치와 관련하여, 제1 실시예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의 패드부(640)는 제1,2 발등부(810,820)의 하방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 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발등부(810,820)의 상방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임부의 패드부(640)는 제1,2 발등부(810,8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를 덮으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조임부(640,660,670)의 탈부착은 장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되거나 또는 플로팅 되면서 와이어 구속부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wire restraints 10, 650 and 700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ortions 810 and 820, and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pad part 640. 17 and 18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wire 670 is not coupled to the wire restraints 10, 650, and 700. With regard to the arrangement of the pad portion 640 of the tightening portion, as shown in FIG. 17 as the first embodiment, the pad portion 640 of the tightening portion is disposed below or below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ortions 810 and 820. Alternatively, as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ortions 810 and 820 may be disposed above or on the upper surface. The pad part 640 of the tightening part is disposed to be detachable while covering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arts 810 and 820. Here, the detachable parts of the fasteners 640, 660, and 67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by the Velcro tape as described above in the glove or detached by the wire restraint while floatin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omi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such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r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parts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y one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further subdivided as necessary.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an application are possibl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the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 : 와이어 구속부(또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20 : 와이어(또는 줄)
30 : 장갑 갑피
40 : 신발 갑피
50 : 덮개부(또는 패드부, 혀부)
100 : 베이스부
110 : 갑피 가이드라인부(또는 단턱부)
200 : 제1 고정부(좌측 고정부 또는 제1 가이드부)
210 : 상단부
220 : 하단부
300 : 제2 고정부(중간 고정부 또는 제2 가이드부)
310 : 몸체부(또는 연장부)
320 : 와이어 지지벽
400 : 제3 고정부(우측 고정부 또는 제3 가이드부)
410 : 상단부
411 : 하부면
420 : 하단부
421 : 상부면
510 : 제1 와이어 안착홈
520 : 제2 와이어 안착홈
530 : 와이어 삽입홈
540 : 경사면
600 : 장갑
610 : 손가락부
620 : 손등부
621 : 제1 손등부
621a : 경계면
622 : 제2 손등부
622a : 경계면
623 : 탈부착부(또는 숫놈 벨크로 테이프)
630 : 간격부
640 : 패드부
641 : 제1 와이어 관통홈
642 : 제2 와이어 관통홈
643 : 탈부착부(또는 암놈 벨크로 테이프)
650 : 와이어 구속부(또는 와이어 가이드부)
651,...657 : 제1 내지 제7 와이어 구속부
658 : 개방면
660 : 패스너부
670 : 와이어
700 : 와이어 구속부
710 : 베이스부
711 : 갑피 가이드라인부(또는 단턱부)
720 : ?개부
730 : 와이어 고정부
731 : 제1 고정부
732 : 제2 고정부
732a : 경사면
732b : 와이어 지지면(또는 와이어 구속면)
732c : 돌출면
800 : 신발
810 : 제1 발등부
820 : 제2 발등부
10: wire restraint (or wire guide device)
20: wire (or string)
30: Glove Upper
40: Shoes Upper
50: cover part (or pad part, tongue part)
100: base part
110: upper guide part (or stepped part)
200: first fixing part (left fixing part or first guide part)
210: upper part
220: lower part
300: second fixing part (intermediate fixing part or second guide part)
310: body (or extension)
320: wire support wall
400: third fixing part (right fixing part or third guide part)
410: upper part
411: lower surface
420: lower part
421: upper surface
510: first wire seating groove
520: second wire seating groove
530: Wire Insertion Groove
540: slope
600: Gloves
610: finger portion
620: back of hand
621: back of the first hand
621a: boundary surface
622: second back of the hand
622a: boundary surface
623: detachable part (or male velcro tape)
630: spacing
640: pad portion
641: first wire through groove
642: second wire through groove
643: removable part (or female velcro tape)
650: wire restraint (or wire guide)
651, ... 657: first to seventh wire restraints
658 open face
660: fastener portion
670: wire
700: wire restraint
710: base portion
711: upper guide part (or stepped part)
720:? Open
730 wire fixing part
731: first fixing part
732: second fixing part
732a: slope
732b: wire support surface (or wire restraint surface)
732c: protruding surface
800: shoes
810: first instep
820: second instep

Claims (19)

탈부착 대상체의 양측 깃부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간격부를 덮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공간에 구비되는 패드부,
상기 탈부착 대상체의 양측 깃부의 제1,2 경계면 영역 및 상기 간격부를 덮도록 상기 탈부착 대상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탈부착 대상체의 탈부착부,
상기 패드부의 하부면의 전방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
상기 패드부에 결합 구속되는 패스너부,
상기 패스너부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패스너부의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장력이 조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구속하며, 재사용시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베이스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돌출면의 상부영역에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돌출면의 타측면으로서 상기 와이어의 조임에 따라 와이어가 구속 지지되는 와이어 구속면을 각각 구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개방 형성되는 제1,2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2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부착시에는 상기 탈부착 대상체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수평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드부를 상기 탈부착 대상체에 구속시키면서 상기 깃부에 마련된 와이어 구속부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되며,
탈착시에는 상기 탈부착 대상체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구속 해제되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구속 해제됨으로써 상기 패드부, 패스너부 및 와이어가 탈부착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조임 장치.
A pad part provided in the inter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ver a gap formed in the interspace between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object;
Detachable parts of the detachable object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detachable object so as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 regions and the gap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object,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A fastener part coupled and restrained by the pad part;
A wire which is tensioned by being wound or un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of the fastener by being fastened to the fastener, and
Constraining the wire, the wire constraining portion being formed to relieve the wire upon reuse;
The wire restraint part,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the upper reg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ruding surface, the wire constraining surface to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by tightening the wire, respectiv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t the time of attachment, the detachable part of the detachable object and the detachable part of the pad part ar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ire is constrained to the wire restraint provided on the collar while restraining the pad part to the detachable object.
In the case of detachment, the detachable part of the detachable object and the detachable part of the pad part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and the wire is restrained from the wire restraint part so that the pad part, the fastener part and the wire can be reused as the detachable part. Possible tightening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 및 상기 와이어를 구속하는 구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삽입시에 상기 개방면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구속면에서 상기 와이어가 구속되며, 재사용시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조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restraint part has an open face o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restraint face on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and when the wire is inserted, a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face to restrain the wire at the restraint surface, And the wire is released by exiting through the open surface.
사용자의 손 등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간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간격부에 의해 제1 손등부와 제2 손등부로 구획되는 손등부,
와이어, 상기 간격부를 덮도록 상기 손등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구속되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되어 상기 제1,2 손등부 또는 간격부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패스너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조임부,
상기 와이어를 구속하며, 상기 조임부의 재사용시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
제1,2 손등부의 제1,2 경계면 영역 및 상기 간격부를 덮도록 상기 손등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손등부의 탈부착부, 및
상기 패드부의 하부면의 전방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베이스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돌출면의 상부영역에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돌출면의 타측면으로서 상기 와이어의 조임에 따라 와이어가 구속 지지되는 와이어 구속면을 각각 구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개방 형성되는 제1,2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2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부착시에는 상기 손등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수평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드부를 상기 손등부에 구속시키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되며,
탈착시에는 상기 손등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구속 해제되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구속 해제됨으로써 탈부착에 따라 상기 탈부착 조임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A back portion having a gap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egion of the back of the user's hand, the back portion being divided into a first hand portion and a second hand portion by the gap portion;
Th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ck of the hand to cover the gap portion, the pad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pad portion and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winding or loosening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to the first, second Detachable fastener having a fastener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back of the hand or the gap,
A wire restrainer configured to restrain the wire, the wire restraining the wire from being restrained when the tightening part is reused;
A detachable part of the back of the hand por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 parts and the gap;
It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The wire restraint part,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the upper reg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ruding surface, the wire constraining surface to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by tightening the wire, respectiv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t the time of attachment,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ar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constrain the wire to the wire restraint while constraining the pad to the back of the hand.
Glo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art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detachable part of the pad part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while the wire is restrained from the wire restraint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전방 하부면에는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의 전방 상부면에는 상기 손등부의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손등부의 탈부착부가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상기 조임부가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The detachable part of the back of the hand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hand,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reused by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back of the hand is coupled or relea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gl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t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상기 제1,2 손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봉제되며, 손가락부와 손등부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패드부의 전방에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 restraint part,
Gloves are sewn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and, and is sewn in front of the pad in the area between the finger and the back of the han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 및 와이어를 구속하는 구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삽입시에 개방면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고, 조임부의 재사용시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 restraint part has an open face o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restraining face on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And a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when the wire is inserted, and the wire is released by retracting through the open surface upon reuse of the tightening par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손등부에 봉제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방면 및 구속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개방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 restraint part,
Base part sewn to the back of the hand,
A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the wire fixing portions each having the open surface and the restraining surface;
And a cover par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to form the opening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손등부에 봉제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구속하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부,
상기 중앙 고정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고정부에 상기 와이어를 먼저 구속시킨 후에 좌측 및 우측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 restraint part,
Base part sewn to the back of the h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wire,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ortion,
A central fixing par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It includes left and right fixing parts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ixing part,
And first constraining the wire to the central fixing portion and then inserting the wire into the open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부는 상기 중앙 고정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부는 각각,
와이어 삽입 방향으로 상기 개방면이 형성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12,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fixing part,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respectively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so that the open surface in the wire insertion direction.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는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부의 개방 폭이 내측부의 개방 폭보다 더 크서 상기 와이어가 삽입시에는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ar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inlet to the inner part so that the opening width of the inlet par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great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inner part so that the wire is well inserted when the wire is inserted. Gloves characterized by not falling ou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입구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입구부의 개방 폭이 내측부의 개방 폭보다 더 크서 상기 와이어가 삽입시에는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part from the inlet part so that the opening width of the inlet par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larg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inner part so that the wire is inserted well and inserted. Glove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fall well after.
사용자의 발 등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 간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간격부에 의해 제1 발등부와 제2 발등부로 구획되는 발등부,
와이어, 상기 간격부를 덮도록 상기 발등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구속되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되어 상기 제1,2 발등부 또는 간격부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패스너부를 구비하는 탈부착 조임부,
상기 와이어를 구속하며, 상기 조임부의 재사용시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구속부,
제1,2 발등부의 제1,2 경계면 영역 및 상기 간격부를 덮도록 상기 발등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발등부의 탈부착부, 및
상기 패드부의 하부면의 전방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구속부는,
베이스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돌출면의 상부영역에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돌출면의 타측면으로서 상기 와이어의 조임에 따라 와이어가 구속 지지되는 와이어 구속면을 각각 구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개방 형성되는 제1,2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2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부착시에는 상기 발등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수평 결합됨으로써 상기 패드부를 상기 발등부에 구속시키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에 상기 와이어가 구속되며,
탈착시에는 상기 발등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상호 구속 해제되면서 상기 와이어 구속부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구속 해제됨으로써 탈부착에 따라 상기 탈부착 조임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n instep part having a gap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length direction in a back area of a user, the instep part partitioned into a first instep part and a second instep part by the gap part;
Th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tep portion to cover the gap portion, the wire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pad portion and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winding or loosening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al so as to adjust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Detachable fastener having a fastener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instep or spacing,
A wire restrainer configured to restrain the wire, the wire restraining the wire from being restrained when the tightening part is reused;
A detachable part of the instep part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instep part and the gap part; and
It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The wire restraint part,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the upper reg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ruding surface, the wire constraining surface to which the wire is restrained by tightening the wire, respectiv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t the time of attachment,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instep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ar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constrain the wire to the wire restraint portion while constraining the pad portion to the instep portion.
The sho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instep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is detached from each other while the wire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ing portion restrained by the detachable tightening unit can be reu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전방 하부면에는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등부의 전방 상부면에는 상기 발등부의 탈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탈부착부와 상기 발등부의 탈부착부가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상기 조임부가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6,
The p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The detachable part of the instep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instep,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reused by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pad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foot portion is coupled or released from each other.
KR1020180009829A 2018-01-26 2018-01-26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KR102073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29A KR102073364B1 (en) 2018-01-26 2018-01-26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29A KR102073364B1 (en) 2018-01-26 2018-01-26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71A KR20190090971A (en) 2019-08-05
KR102073364B1 true KR102073364B1 (en) 2020-02-04

Family

ID=6761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29A KR102073364B1 (en) 2018-01-26 2018-01-26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3Y1 (en) 2006-07-13 2006-10-09 이경순 Shoelace fixture
KR200480235Y1 (en) * 2015-09-16 2016-04-27 소윤서 Detachable lacing system for footwear
JP2017205301A (en)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ジャパーナ Shoestring guid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473Y2 (en) * 1993-12-06 1998-03-25 株式会社システムデザイン Shoelace stopper
FR2757026B1 (en) * 1996-12-17 1999-02-26 Salomon Sa LOCKER ASSEMBLY
US8468657B2 (en) 2008-11-21 2013-06-25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8458816B2 (en) 2009-01-09 2013-06-11 Acushnet Company Sport glove with a cable tightening system
WO2011137405A2 (en) 2010-04-30 2011-11-03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KR101690294B1 (en) 2014-11-11 2016-12-28 김재홍 Sports glove having tightening means
US20170165557A1 (en) 2015-12-15 2017-06-15 Warrior Sports, Inc. Protective glove having a glove tight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3Y1 (en) 2006-07-13 2006-10-09 이경순 Shoelace fixture
KR200480235Y1 (en) * 2015-09-16 2016-04-27 소윤서 Detachable lacing system for footwear
JP2017205301A (en)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ジャパーナ Shoestring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71A (en)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8230A1 (en) Lace system for footwear
TWI571213B (en) Strap for swimming goggles or mask and swimming goggles or mask having the same
US8171653B1 (en) Gaiter attachment outsole
KR20200001013U (en) mask strap hanger band
JP2009089902A (en) Boot
US20180352898A1 (en) Plantar Arch Support Shoe
KR102073364B1 (en) fastener, glove and shoes having fastener
US7930842B2 (en) Snowshoes with crampons
AU2013228174B2 (en) Goggles comprising adjustable nose bridge
KR20120139220A (en) The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KR101664879B1 (en) Hook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KR20110011759U (en) Footwear-string type footwear
KR101984511B1 (en) Wire guide apparatus
JP6752099B2 (en) Helmet
US20150040360A1 (en)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US20110253756A1 (en) Threading device for a mesh style equipment vest
JP2009125298A (en) Swimming goggle
KR200395435Y1 (en) Tie wearing device and tie having the same
US20170266505A1 (en) Head strap for swimming goggles
KR101189212B1 (en) shoelaces settlement device.
KR102455011B1 (en) Shoes
CN101559277A (en) Swim fin
JP2006141619A (en) Vehicle seat
CN209155033U (en) A kind of fixed structure of frog shoes tape
KR20210119813A (en) strap band for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