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348B1 -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 Google Patents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348B1
KR102073348B1 KR1020190086193A KR20190086193A KR102073348B1 KR 102073348 B1 KR102073348 B1 KR 102073348B1 KR 1020190086193 A KR1020190086193 A KR 1020190086193A KR 20190086193 A KR20190086193 A KR 20190086193A KR 102073348 B1 KR102073348 B1 KR 10207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tor
building
brack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섭
Original Assignee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9008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xit structure of a building capable of providing easy evacuation in a fire emergency, which enables rapid evacu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xit structure of a building capable of providing easy evacuation in a fire emergency comprises: an upper bracket including an upper fastening plate and an upper fixing plate; a lower bracket including a lower fastening plate and a lower fixing plate; a motor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a heat sensing unit; a pair of rotation rollers including a rotation plate and a connection plate; a screen; and a shield plate.

Description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세대 간 경계벽으로 사용되는 피난구 구조를 파괴하여 신속한 피난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is easy to evacuate in the event of a fi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evacuation structure used as a boundary wall between generations can be destroyed to achieve rapid evacuation. It is about evacuation structure of building which is easy to evacuate.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발코니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partment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balconies are used to connect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위와 같은 발코니는 실내 거주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외부 시야의 확보를 이루고, 발코니 공간을 실내 거주 공간의 한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e balcony above is installed to expand the indoor living space, and the residents living in the building are configured to secure an external view and to use the balcony space as an element of the indoor living space.

최근에는 세대 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발코니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발코니의 확장된 부분을 막을 수 있는 경계벽이 설치되고 있다.Recently, an extended balcony has been installed to enable intergenerational connections, and in this case, a boundary wall is installed to block an extended portion of the balcony.

또한, 최근의 공동주택 건축물들은 발코니의 확장이 합법화됨으로써, 건축물의 발코니를 최대한 확장하여 발코니 부위가 거주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고 는 것이며, 이러한 발코니의 확장을 이루는 경우에는 세대 간의 경계를 이루기 위하여 경계벽을 세우거나, 경계벽을 대체할 수 있는 피난구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recent apartment buildings, the extension of the balcony is legalized so that the balcony of the building can be used as a living space by maximizing the balcony of the building, and in the case of the expansion of the balcony, the boundary wall is used to form a boundary between generations. It is to use the evacuation hole structure that can be built or to replace the boundary wall.

예컨대, 종래에는 확장된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기 위하여 석고보드와 같은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위와 같은 종래의 석고보드 조립체는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손쉽게 파괴되어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이룰 수 없고, 이를 개선하고자 강도를 높인 경우에는 손쉽게 파괴하기 어려워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손쉽게 파괴하여 피난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in the related art, a method of installing an assembly such as a gypsum board has been proposed to form the boundary of an extended balcony. However, the conventional gypsum board assembly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destroyed when its strength is weak, thereby achieving a boundary wall function. If the strength is increased to improve this, it is difficult to destroy easily, and if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of easily destroying and evacuating.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은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피난구 구조는 공동주택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 피난구 구조의 파괴를 통해 피난을 이룰 수 있는 문제는 일부 해결할 수 있으나, 세대 간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경계벽을 통하여 외부 침입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 evacuation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has been proposed as in Document (1) and Document (2), but conventional evacuation structure such as Document (1) and Document (2) has been propos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esidential building, the problem of evacuation can be solved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evacuation structure.However,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to achiev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between generations.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to prevent in advance.

또한, 공동주택 건축물에 설치된 피난구 구조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부터 사람이 신속한 대피를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evacuation structure installed in a multi-family building, it was difficult for a person to evacuate quickly from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842115(2008.06.23)(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115 (2008.06.23)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874555(2008.12.10)(2)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74555 (2008.12.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건축물에 설치하여 세대 간 경계벽으로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can be installed in a building to achieve easy use as a boundary wall between generations.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가림막과 가림판을 신속히 제거하며 신속한 피난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ly, if a fire breaks out in the building, the screen and screen are removed quickly, enabling rapid evacuation.

셋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어 세대 간 이동을 통한 피난을 이루는 경우에도 화재의 발생을 신속하게 주위로 알려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o make an evacuation through generational movements, the occurrence of a fire is promptly reported to the surroundings so that casualties can be minimized.

넷째, 피난구 구조의 가림막과 가림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를 신속히 알릴 수 있어 세대 간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when the shield and the shield plate of the evacuation port structure is damaged, it can be notified quickly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can be achieved effectively.

다섯째,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연결되는 가림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교체 비용 없이도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fth, even when the shield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is damaged can be used and replaced conveniently to achieve a stable use without unnecessary replacement cos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획을 이루고자 하는 건축물의 실내 벽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체결판과, 상기 상부체결판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하면에 장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된 바 형상의 상부고정판으로 구성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과 대향되게 건축물의 실내 벽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체결판과, 상기 하부체결판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면에 장형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인접한 상면에는 내측에 자석이 구비된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상면에는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센서가 구비된 바 형상의 하부고정판으로 구성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벽면이 형성된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감지되는 열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감지부와, 상기 모터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단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밸트로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이루고, 외측부에는 연결줄이 감기도록 구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줄의 상, 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상기 연결줄이 관통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줄의 단부와 연결되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센서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접촉판이 구비되고, 하단부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줄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부브라켓의 방향으로 접어지게 설치되는 가림막과, 상기 삽입홈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가림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form a partition, the upper fasten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bolt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the upper fastening plate of It is provided to protrude to one side and an elongat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an upper bracket consisting of a bar-shaped upper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to face the upper bracket. A lower fasten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fastening bolts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lower fastening plate, and having a long fix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inner side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magnet, and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mounting groo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or. A lower bracket consisting of a bar-shaped lower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contact sensor, a motor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in which a wall is form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heat sen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cted heat, spaced apart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belt and the motor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rotation to achieve a rot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outer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late is configured to wind the connection str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 pair of rotary roller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string The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he connection to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connected,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magnet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e, the contact plate is provided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handle,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connection line The screen is installed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cket,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ield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is installed.

이때, 상기 감지기는 상기 하부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로 전달되는 접촉센서의 분리 신호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 및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ctor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the receiv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the lower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the contact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delivered to the receiv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and a power supply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the speaker to supply power.

또한, 상기 열감지부는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heat detection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detect a fire in an indoor spa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에 설치하여 세대 간 경계벽으로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Firs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s a barrier between generations by installing in buildings.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가림막과 가림판을 신속히 제거하며 신속한 피난을 이룰 수 있다.Second,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building, the evacuation screens and the screening boards can be removed promptly and rapid evacuation can be achieved.

셋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어 세대 간 이동을 통한 피난을 이루는 경우에도 화재의 발생을 신속하게 주위로 알려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ird, even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o make an evacuation through intergenerational movem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people by notifying the occurrence of fire quickly.

넷째, 피난구 구조의 가림막과 가림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를 신속히 알릴 수 있어 세대 간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Fourth, when the shield and the shield plate of the evacuation port structure is damaged can be notified quickly, i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generation between generations.

다섯째,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연결되는 가림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교체 비용 없이도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Fifth, even when the shield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is damaged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can achieve a stable use without unnecessary replacement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를 도시한 다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s wi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구획을 이루고자 하는 건축물의 실내 벽면(1)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1)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된 상부체결판(11)과, 상기 상부체결판(11)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하면에 장형의 삽입홈(12a)이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12b)이 구비된 바 형상의 상부고정판(12)으로 구성된 상부브라켓(10)과, 상기 상부브라켓(10)과 대향되게 건축물의 실내 벽면(1)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1)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하부체결판(21)과, 상기 하부체결판(21)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면에 장형의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2a)과 인접한 상면에는 내측에 자석(22c)이 구비된 복수개의 안착홈(22b)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b)과 인접한 상면에는 감지기(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센서(22d)가 구비된 바 형상의 하부고정판(22)으로 구성된 하부브라켓(20)과,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벽면(1)이 형성된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30)로 전원을 공급하고 감지되는 열에 따라 모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감지부(40)와, 상기 모터(3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단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모터(30)와 밸트(B)로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51)과, 상기 회전판(51)의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이루고, 외측부에는 연결줄(53)이 감기도록 구성된 연결판(52)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줄(53)의 상, 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50)와,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에 위치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상기 연결줄(53)이 관통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줄(53)의 단부와 연결되는 자석(61)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센서(22d)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접촉판(62)이 구비되고, 하단부의 전면에는 손잡이(6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줄(53)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어지게 설치되는 가림막(60)과, 상기 삽입홈(12a)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22a)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에 연결 설치되는 가림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wall surface (1) of the building to be partitioned, a plurality of fastening the bolt (P) is fastened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 An upper fastening plate 11 having a ball 11a formed thereon,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and an elongated insertion groove 12a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magnets 12b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 upper bracket 10 having a bar-shaped upper fixing plate 12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ior wall surface 1 of the building so as to face the upper bracket 10, and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 A lower fastening plate 21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a to which bolts P are fastened,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lower fastening plate 21 and having a long fixing groove 22a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22a,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2b having magnets 22c provided therein are formed. The lower bracket 20 includes a lower fixing plate 22 having a bar shape having a contact sensor 22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or 23 on an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seating recess 22b and the upper fixing plate 12. The motor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3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formed wall surface 1,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0 and according to the heat detected Thermal sensing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30, and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2 around the motor 30, the motor 30 and the belt (B) is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ng plate 51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30, and provided to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rotating plate 51 to achieve a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the connecting plate 53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necting line 53 is wound on the outer side Consists of 52, the upper, the lower of the connecting line 53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A pair of rotary rollers 50 for controlling the copper, and a plate shape locat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the connecting line 53 is connected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low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magnet 6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line 53, the contact plate 62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22d, the handle 6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creening membrane 60 and the insertion groove 12a installed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e 53, the fixing groove (22a)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plate 70 is installed.

상기 상부브라켓(10)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 벽면(1)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벽면(1)의 일측에 단부가 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 구성된다.The upper bracket 10 is to be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surface 1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6 and 7, preferably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1) do.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10)은 판 형상의 상부체결판(11)에 형성된 체결공(11a)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상부체결판(11)이 벽면(1)의 일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bracket 10 is fastened to the bolt (P) by the fastening holes (11a) formed in the plate-shaped upper fastening plate 11,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is firm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1). It is configured to.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12)은 상부체결판(11)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부체결판(11)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late 12 is configured in a bar shape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can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integral It can be configured as.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판(12)은 하면에 장형의 삽입홈(12a)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전면 일측으로는 복수개의 자석(12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upper fixing plate 12 is formed by forming an elongated insertion groove 12a on the lower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12b)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10)은 상기 상부브라켓(10)과 대향되도록 건축물의 실내 벽면(1)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벽면(1)의 일측에 단부가 밀착되고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위는 바닥면과 밀착되게 설치 구성된다.The lower bracket 10 is installed below the interior wall surface 1 of the building so as to face the upper bracket 10. Preferably, the lower bracke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wall surface 1 and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10)은 하부체결판(21)과 하부고정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체결판(21)은 결합공(2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면(1)에 견고하게 설치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bracket 10 is composed of a lower fastening plate 21 and a lower fixing plate 22, the lower fastening plate 21 through the wall (P)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21a) wall ( 1) Consist of solid installation.

또한, 상기 하부고정판(22)은 상기 하부체결판(21)의 일측으로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것이며, 상면에는 고정홈(22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22a)과 인접한 상면에는 내측에 자석(22c)이 구비된 복수개의 안착홈(22b)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22b)과 인접한 상면에는 감지기(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센서(22d)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plate 22 is provided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lower fastening plate 21,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2a),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22a)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2b having a magnet 22c formed therein are formed therein, and a contact sensor 22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or 23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s 22b. do.

위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가림판(70)을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고정판(12)에 형성된 삽입홈(12a)으로 가림판(70)의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고정판(22)의 고정홈(22a)으로 가림판(70)의 하부가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Whe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hen the shielding plate 7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the insertion groove 12a formed in the lower fixing plate 12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ing plate 70 is coupled to,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plate 70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of the lower fixing plate 22.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로 가림판(70)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3 to 5, the blocking plate 70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로 설치되는 가림판(7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별도의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을 통하여 설치될 수도 잇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hield plate 7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may be installed through a separate adhesive or adhesive mea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한,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단 중심부에는 모터(30)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모터(30)와 이격되는 상부고정판(12)의 하단에는 회전롤러(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2, the motor 30 is installed is configure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2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3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roller (50).

그리고 상기 모터(30)는 벽면(1)이 형성된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열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열감지부(40)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신호에 따라 회전이 제어되게 구성된다.The motor 30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sensing unit 40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on which the wall 1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the signal supplied from the heat sensing unit 40.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열감지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1)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42)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heat sensing unit 40 may include a power supply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30,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wer supply 41. It consists of a thermal sensor 42 for detecting fire.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원공급기(41)를 통하여 모터(3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열감지센서(42)가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 공간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감지센서(42)가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30)로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모터(30)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is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30 through the power supply 41, 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indoor space while the heat sensor 42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The thermal sensor 42 detects a fire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30 to operate the motor 30.

또한, 상기 회전롤러(5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30)와 밸트(B)로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51)과, 상기 회전판(51)의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며, 외측부에는 연결줄(53)이 감겨있는 연결판(52)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ry 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motor 30 and the belt (B)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rotating plate 51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and the rotating plate ( It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51 to achieve a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the outer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late 52 wound around the connecting line 53.

위와 같은 구성은 즉, 상기 모터(30)가 열감지부(40)의 신호에 따라 작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모터(30)와 밸트(B)로 연결된 회전판(51)이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판(51)의 회전에 대응되게 연결판(52)이 회전을 이루어 회전판(52)의 외측부에 감겨있는 연결줄(53)이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motor 30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heat sensing unit 40, the rotating plate 51 connected to the motor 30 and the belt B is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plate 52 is rotated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51 so that the connecting line 53 woun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52 is mov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3 to 7.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모터(30), 회전판(51), 연결판(52)의 구성은 상기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연결판(52)의 외측부에 감겨진 연결줄(53)이 상, 하 이동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motor 30, the rotating plate 51, the connecting plate 52 is the connecting line 53 wound a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5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to move up, down If the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the configuration can be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또한, 상기 가림막(6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특히, 상기 연결줄(53)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연결줄(53)의 상, 하 이동에 따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어지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ielding film 6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particul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e 53 and the connecting line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53, as shown in Figures 4 and 5, it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가림막(60)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상기 연결판(52)의 외측부에 감겨 진 연결줄(53)이 관통되게 연결 구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가림막(60)을 관통한 연결줄(53)의 단부와 연결되게 자석(6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브라켓(20)의 접촉센서(22d)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접촉판(62)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하단부의 전면에는 손잡이(6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the connecting line 53 woun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5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cr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elding film 60, and the connecting line 53 penetrating through the screening film 60 at the lower end thereof. Magnet 61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nd the contact plate 62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22d of the lower bracket 20, the handle 63 on the front of the lower end It is provided is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열감지부(40)의 열감지센서(42)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모터(30)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모터(30)와 연결된 회전롤러(50)의 연결판(52)이 회전을 이루어 연결판(52)의 외측부에 감기도록 구성된 연결줄(53)이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결줄(53)이 관통 결합 된 가림막(60)이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fire is detected by the heat detection sensor 42 of the heat detection unit 40 to operate the motor 30,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ller 50 connected to the motor 30 is described. As the connecting plate 52 is rotated and the connecting line 53 configured to be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5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the shielding film 60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line 53 is coupled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 4 to Figure 7, it is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그리고 상기 모터(30)가 작동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줄(53)의 단부와 연결된 자석(61)이 상기 하부브라켓(20)의 안착홈(22b)에 구비된 자석(22c)과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세대 간 경계벽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루는 것이다When the motor 30 does not operate, the magnet 6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line 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gnet 22c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22b of the lower bracket 20. As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firm,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fire does not occur in the building is to facilitate the func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barrier wall

이는 즉, 상기 모터(30)가 열감지부(4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우에만 안착홈(22b)에 구비된 자석(22c)과 분리되어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가림막(60)과 함께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tor 30 is separated from the magnet 22c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22b only when the motor 3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heat sensing unit 40, and the screen 60 i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together.

또한, 상기 가림막(60)에 구비된 접촉판(62)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부브라켓(20)의 접촉센서(22d)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림막(60)과 함께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접촉센서(22d)와 분리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plate 62 provided in the screen 6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22d of the lower bracket 20 when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case of a fire occurring in the building, the build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together with the screen 60 to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sensor 22d.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접촉센서(22d)와 접촉판(62)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센서(2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기(23)로 하부브라켓(20)과 가림막(60)의 분리상태가 전송되게 구성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at is, when the contact sensor 22d and the contact plate 62 are separated, the lower bracket 20 and the screen 60 are separated by the detector 2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22d. Is configured to be sent.

이때, 상기 감지기(23)는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센서(2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23a)와,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23a)로 전달되는 접촉센서(22d)의 분리 신호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23b)와,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23a) 및 스피커(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2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detector 23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20, the receiver 23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22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20, It is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23b and the lower bracket 20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23a to generate soun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signal of the contact sensor 22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3a. And a power supply 23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23a and the speaker 23b to supply power.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접촉센서(22d)와 접촉판(62)이 분리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기(23a)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23b)로 분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23b)는 분리 신호의 수신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contact sensor 22d and the contact plate 62 are separated, the receiver 23a detects this, transmits a separation signal to the speaker 23b, and the speaker 23b. ) Generates sound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separation signal.

즉,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가림막(60)이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감지기(23)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건축물의 화재를 주위로 알려 건축물에 위치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침입자가 상기 가림막(60)과 상부브라켓(10)을 분리하는 경우에 소리를 발생시켜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 fire is generated in the building and the screen 6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the building 23 is notified by generating a sou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 23, thereby causing the building to be known to the surroundings. In order to quickly evacuate people located in the building, if there is no fire in the building to generate a sound when an external intruder separates the screen 60 and the upper bracket 10 to achieve the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It is.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가림막(60)이 모터(30)의 작동에 의하여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설명하였으나,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가림막(60)의 손잡이(63)를 파지하여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가림막(60)을 젖힌 후에 가림막(60)의 자석(61)이 상부브라켓(10)의 자석(12b)에 결합되도록 하여 가림막(60)과 하부브라켓(20)을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creen 6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0, but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the user grips the handle 63 of the screen 70 The wet film 6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so that the magnet 61 of the screen 60 is coupled to the magnet 12b of the upper bracket 10 so that the screen 60 and the lower bracket 20 Can be separated.

또한, 상기 가림판(7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2a)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22a)에 하단이 결합되어 세대 간 경계벽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가림판(70)을 부순 후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plate 7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a,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is used as a boundary wall between generations, the fire is genera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user is configured to evacuate after crushing the screen plate (70).

이를 위하여 상기 가림판(70)은 판 형상의 스티로폼재나 플라스틱재와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o this end, the shielding plate 7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destroyed by the pressure of the user while having a certain strength, such as a styrofoam material or plastic material of the plate shap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1: 벽면 10: 상부브라켓
11: 상부체결판 11a: 체결공
12: 상부고정판 12a: 삽입홈
12b, 22c, 61: 자석 20: 하부브라켓
21: 하부체결판 21a: 결합공
22: 하부고정판 22a: 고정홈
22b: 안착홈 22d: 접촉센서
23: 감지기 23a: 수신기
23b: 스피커 23c: 전원기
30: 모터 40: 열감지부
41: 전원공급기 42: 열감지센서
50: 회전롤러 51: 회전판
52: 연결판 53: 연결줄
60: 가림막 62: 접촉판
63: 손잡이 70: 가림판
B: 밸트 P: 볼트
1: wall surface 10: upper bracket
11: upper fastening plate 11a: fastening hole
12: upper fixing plate 12a: insertion groove
12b, 22c, 61: magnet 20: lower bracket
21: lower fastening plate 21a: coupling hole
22: lower fixing plate 22a: fixing groove
22b: mounting groove 22d: contact sensor
23: detector 23a: receiver
23b: speaker 23c: power supply
30: motor 40: heat detection unit
41: power supply 42: thermal sensor
50: rotating roller 51: rotating plate
52: connection plate 53: connection line
60: shielding film 62: contact plate
63: handle 70: blind plate
B: Belt P: Bolt

Claims (3)

구획을 이루고자 하는 건축물의 실내 벽면(1)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1)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된 상부체결판(11)과, 상기 상부체결판(11)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하면에 장형의 삽입홈(12a)이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자석(12b)이 구비된 바 형상의 상부고정판(12)으로 구성된 상부브라켓(10)과,
상기 상부브라켓(10)과 대향되게 건축물의 실내 벽면(1)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벽면(1)과 밀착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된 하부체결판(21)과, 상기 하부체결판(21)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면에 장형의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2a)과 인접한 상면에는 내측에 자석(22c)이 구비된 복수개의 안착홈(22b)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b)과 인접한 상면에는 감지기(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센서(22d)가 구비된 바 형상의 하부고정판(22)으로 구성된 하부브라켓(20)과,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벽면(1)이 형성된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30)로 전원을 공급하고 감지되는 열에 따라 모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감지부(40)와,
상기 모터(3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단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모터(30)와 밸트(B)로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51)과, 상기 회전판(51)의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이루고, 외측부에는 연결줄(53)이 감기도록 구성된 연결판(52)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줄(53)의 상, 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50)와,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의 사이에 위치되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상기 연결줄(53)이 관통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줄(53)의 단부와 연결되는 자석(61)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센서(22d)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접촉판(62)이 구비되고, 하단부의 전면에는 손잡이(6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줄(53)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부브라켓(10)의 방향으로 접어지게 설치되는 가림막(60)과,
상기 삽입홈(12a)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22a)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0)과 하부브라켓(20)에 연결 설치되는 가림판(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An upper fastening plate 11 installed at one side of an interior wall surface 1 of a building to form a parti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a fastening bolts P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12a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astening plate 11, and a bar-shaped upper fixing plate 12 having a plurality of magnets 12b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Bracket (10),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ior wall surface (1) of the building facing the upper bracket (10), the lower fastening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a) for fastening the bolt (P)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 The plate 21 and the lower fastening plate 21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one side, and a long fixing groove 22a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agnet 22c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22a.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2b are formed, and a lower bracket including a bar fixing lower plate 22 having a bar-shaped contact sensor 22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or 23 on an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s 22b. 20,
The motor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fixing plate 12,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30, the wall surface 1 is formed, the heat sens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3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heat ( 40),
The rotating plate 51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12 around the motor 30 and connected to the motor 30 and the belt (B)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Protruding to the front of the rotating plate 51 to achieve a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the outer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late 52 configured to wind the connecting line 53,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30, A pair of rotary rollers 50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e 53,
The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the connecting line 53 is connected through th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magne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line 53 (61) is provided, the contact plate 62 is provid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22d, the handle 63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ower end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e 53 Garimmak 60 is installed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10),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2a),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ielding plate 7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10 and the lower bracket 20 installed Evacuation port structure of building that is easy to evacuate in case of fi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23)는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센서(2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23a)와,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23a)로 전달되는 접촉센서(22d)의 분리 신호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23b)와,
상기 하부브라켓(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기(23a) 및 스피커(2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or 23
A receiver 23a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22d;
The speaker 23b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23a to generate soun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signal of the contact sensor 22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3a. Wow,
It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racket 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23a) and the speaker (23b) comprising a power supply (23c) for supplying power in the event of a fire easy to evacuate the building Evacuation Resc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부(40)는
상기 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1)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ensing unit 40
A power supply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30;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asy to evacuate in the event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 sensor (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41) to detect a fire in the indoor space.
KR1020190086193A 2019-07-17 2019-07-17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2073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93A KR102073348B1 (en) 2019-07-17 2019-07-17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93A KR102073348B1 (en) 2019-07-17 2019-07-17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48B1 true KR102073348B1 (en) 2020-02-04

Family

ID=6957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93A KR102073348B1 (en) 2019-07-17 2019-07-17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715B1 (en) * 2021-02-18 2021-07-29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2319585B1 (en) * 2021-01-11 2021-10-29 성기관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83A (en) * 1999-07-14 2001-01-30 San Rail:Kk Partition device for veranda
KR100842115B1 (en) 2007-04-17 2008-06-30 주식회사 케이씨씨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0874555B1 (en)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Evacuation por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JP2009052235A (en) * 2007-08-24 2009-03-12 Bunka Shutter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JP3177214U (en) * 2012-05-11 2012-07-26 協立技研株式会社 Lower opening balcony part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83A (en) * 1999-07-14 2001-01-30 San Rail:Kk Partition device for veranda
KR100842115B1 (en) 2007-04-17 2008-06-30 주식회사 케이씨씨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0874555B1 (en)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Evacuation por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JP2009052235A (en) * 2007-08-24 2009-03-12 Bunka Shutter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JP3177214U (en) * 2012-05-11 2012-07-26 協立技研株式会社 Lower opening balcony part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85B1 (en) * 2021-01-11 2021-10-29 성기관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2282715B1 (en) * 2021-02-18 2021-07-29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48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2126189B1 (en) A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 of a building
KR101720748B1 (en) Smart fire preven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by electric equipment
KR102126194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1847534B1 (en) The inserted emergency evacuate capsule in hole of wall and slab
KR102404030B1 (en) A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 of a building
KR101039809B1 (en) Opening doorframe for indoor with function of crimepreventing
KR20150012789A (en) Statment dew condensation Outdoor
KR102282715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2319585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1027444B1 (en) fixing plate for CCTV
KR102252565B1 (en) Prevention of fire spread of building exterior wall structure
KR102616477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200358397Y1 (en) Window or door frame structure having crime prevention function
JP2008077494A (en) Laminated structure with crime prevention function and door using this
AU2014100928A4 (en) Automatic remote roller shutter operation
KR200355513Y1 (en) A structure of crime prevention window with open/close system in the room
US9336664B2 (en)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sensor module
KR102545774B1 (en) Fire alarm for buildings
JP2001167367A (en) Fire alarm system for house
WO2021192718A1 (en)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and precast panel
KR200410994Y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mosquito's invasion
JP2005163361A (en) External opening locking structure
JP3134765U (en) Crime prevention system
EP2804160A1 (en) Window or door including recognition of intr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