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27B1 -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27B1
KR102073227B1 KR1020140128562A KR20140128562A KR102073227B1 KR 102073227 B1 KR102073227 B1 KR 102073227B1 KR 1020140128562 A KR1020140128562 A KR 1020140128562A KR 20140128562 A KR20140128562 A KR 20140128562A KR 102073227 B1 KR102073227 B1 KR 10207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substrate
information
change patter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383A (ko
Inventor
김대식
곽기욱
성시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2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센싱 및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 변화 패턴을 센싱 또는 재현하는 촉감 인터페이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의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촉감 정보 생성부; 상기 촉감 정보에 상응하는 촉감 변화 패턴이 재현되도록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촉감 재현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촉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 변화 패턴은 압력, 진동,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TOUCH SERVICE}
본 발명은 촉감을 센싱하거나 재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물체의 접촉시 발생하는 촉감을 보다 실제감 있게 센싱 및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의 변화를 자극이라 하고 이러한 자극을 감지하여 생물체가 외부의 자극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감각이라 한다. 우리 몸에는 눈으로 자극을 인식하는 시각과, 소리를 인식하는 청각, 맛을 인지하는 미각, 냄새를 인지하는 후각, 접촉을 인지하는 촉각이 있다.
촉각(tactile sense)의 경우 피부에 존재하는 마이스너 소체(meissner corpuscle)를 통해 뇌에 전달된다. 마이스너 소체는 촉각소체(tactile corpuscle)라고도 하며, 감각 신경의 말단에 있으며 접촉 감각 수용기라고 여겨지는 타원형의 껍질로 둘러싸여 있는 소체이다. 마이스너 소체는 털이 나지 않은 손바닥 같은 피부에서 볼 수 있으며, 19~20세기 독일의 생리학자 게오르그 마이스너(Georg Meissner)가 최초로 발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외에도 우리 피부에는 2종류의 다른 소체가 있는데 파치니 소체는 압력 감각을, 루피니 소체는 온도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소체들이 지속적인 자극에 대해 무뎌지는 반면, 촉각을 느끼는 마이스너 소체는 항상 예민하게 촉각을 느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에는 인간의 감각 중 시각 및 청각 정보에 대해서는 녹화 또는 녹음이라고 하여 원본 오디오/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주로 개발 및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촉각을 센싱 및 재현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 및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촉각 서비스 제공 장치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290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특정 지점에 위치 고정시킨 후,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촉감을 재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이때의 다수의 액츄에이터는 압력 또는 진동 변화 패턴만을 촉감을 재현하도록 하므로, 그 실제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물체 접촉에 의한 압력, 진동 변화 패턴 뿐 만 아니라 온도 변화 패턴까지도 센싱 및 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보다 실제감 있게 센싱 및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센싱 및 재현하는 촉각 인터페이스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에 따라 촉각 인터페이스의 쿠션감까지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 변화 패턴을 센싱 또는 재현하는 촉감 인터페이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의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촉감 정보 생성부; 상기 촉감 정보에 상응하는 촉감 변화 패턴이 재현되도록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촉감 재현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촉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 변화 패턴은 압력, 진동,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터치홈을 구비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촉감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온도 센서와 발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형상을 센싱 및 통보하는 형상 센싱 장치;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형상을 가변하는 형상 가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감 정보는 상기 형상 센싱 장치의 형상 센싱 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물체 접촉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는 오디오 장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 각각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각각의 쿠션감을 가변하는 다수의 쿠션 조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감 정보 생성부는 소리특성과 물체재질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1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물체 재질을 판단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감 재현부는 물체 재질과 쿠션감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2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상기 쿠션 조정 장치 각각을 동작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 및 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촉감의 실제감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촉감 센싱 및 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센싱하여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거나, 촉감 정보에 상응하는 촉감을 다시 재현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과, 클라이언트 단말(10)간 통신 채널을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형성하고, 이를 통해 촉감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 게임기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을 센싱 또는 재현할 수 있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를 내장 또는 외부 결합하여 상기의 촉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촉감을 센싱 또는 재현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이용하여, 음악,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 뿐 만 아니라 촉감까지도 사용자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 변화 패턴을 센싱 또는 재현하는 촉감 인터페이스(21), 촉감 인터페이스(21)의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촉감 정보 생성부(22),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촉감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한 후 촉감 인터페이스(21)를 동작하여 촉감 변화 패턴이 재현되도록 하는 촉감 재현부(23), 및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유지하는 통신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촉감 인터페이스(2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터치홈(211)을 구비하는 제1 기판(210), 제1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220), 제2 기판(220)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230), 다수의 액츄에이터(230) 각각에 부착되어 물체 접촉에 따른 압력 또는 진동 변화 패턴을 센싱 및 통보하는 촉감 감지 센서(240), 다수의 액츄에이터(230) 각각에 부착되어 온도를 센싱하거나 열을 발생하는 온도 센서(241)와 발열 장치(242)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액츄 에이터(230)는 물체 접촉시에 발생하는 압력 변화 패턴, 또는 진동 발생 패턴을 센싱 및 출력하거나, 소정의 압력 변화 패턴 또는 진동 발생 패턴을 발생하여 물체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물체 접촉에 따른 촉감을 센싱 또는 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촉감 인터페이스(21)는 액츄에이터(230)에 부착된 온도 센서를 통해 물체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센싱 및 출력하고, 액츄에이터(230)에 부착된 발열 센서를 통해 물체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체 접촉에 따른 촉감이 압력 또는 진동 뿐 만 아니라 온도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온도 센서(241)와 발열 장치(24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와의 접촉 가능성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 상부면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위치는 물체의 온도를 센싱하고 물체에 열을 인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 가능할 것이다.
또한, 촉감 인터페이스(2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30) 각각에 부착되어 물체 접촉에 따른 소리를 센싱하는 오디오 장치(251), 액츄에이터(230) 각각에 부착되어(특히, 상부면에 부착되어) 액츄에이터(230) 각각의 쿠션감(또는, 딱딱함 정도)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쿠션 조정 장치(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촉감 정보 생성부(22)는 소리특성과 물체재질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1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참고하여 오디오 장치(251)를 통해 획득된 소리의 특성(즉, 소리 세기, 주파수 특성, 소리 유지 기간 등)에 상응하는 물체 재질을 파악하는 기능을, 촉감 재현부(23)는 물체 재질과 쿠션감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2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참고하여 쿠션 조정 장치(252)를 동작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물체 접촉시에는 소정의 소리가 발생하는 데, 이때의 소리 특성(소리 세기, 주파수 특성, 소리 유지 기간 등)은 물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장치(251)를 통해 물체 접촉 시 발생하는 소리를 센싱하여 출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쿠션감을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물체의 재질까지도 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필요한 경우, 촉감 인터페이스(21)가 액츄에이터(230) 대신에 오디오 장치(251)와 쿠션 조정 장치(252)만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쿠션감만을 조정하여 촉감 재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르게는 촉감 인터페이스(21)의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을 형상 가변이 가능한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하고,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의 형상을 센싱하는 형상 센싱 장치,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의 형상을 가변하는 센싱하는 형상 가변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액츄에이터(230)를 통해 압력 또는 진동 발생 패턴을 단순히 센싱하고 이를 재현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촉감 인터페이스(21)의 어떤 형상으로 구현되었는지, 해당 형상에서 물체 접촉에 따른 촉각 자극 동작이 어떤 패턴으로 발생하였는지 감지 및 통보함으로써,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발신측의 촉감 센싱 환경 까지도 고려하여 촉감 재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의 촉감 인터페이스(21)가 판형상으로 구현된 상태에서 촉감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촉감 센싱 결과를 수신측에 전달하면, 수신측에서는 촉감 인터페이스(21)의 형상을 가변하여 판 형상을 가지도록 한 후 촉감 재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의 촉감 인터페이스(21)가 원통형의 두루마리 형상으로 구현된 상태에서 촉감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촉감 센싱 결과를 수신측에 전달하면, 수신측에서는 촉감 인터페이스(21)의 형상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가변시킨 후 촉감 재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한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외부 물체가 접촉되면(S10),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촉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물체 접촉에 의해 발생된 촉감에 대응되는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을 센싱한다(S11). 즉, 사용자가 촉감 인터페이스(21)를 손바닥으로 꾹 누르는 행동을 하거나 꽉 쥐는 행동을 한다면,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을 통해 각각의 행동에 상응하는 촉감을 센싱 및 출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단계 S11의 촉감 센싱 결과를 반영하여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함으로써,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제공한다(S12).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서 제공하는 촉감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고(S13), 분석 결과에 따라 촉감 인터페이스(21)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단계 S11들 통해 센싱된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이 그대로 재현되도록 한다(S14).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압력, 진동 뿐 만 아니라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접촉한 물체의 온도까지도 재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제감 있는 촉감 재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물체의 재질을 쿠션감으로 재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외부 물체가 접촉되면(S20),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촉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외부 물체 접촉에 의해 발생된 촉감에 대응되는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을 센싱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외부 물체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고, 이의 세기, 주파수 특성, 소리 유지 기간 등과 같은 소리 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S21).
그리고 단계 S21의 촉감 센싱 결과와 소리 특성 분석 결과를 반영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하여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제공한다(S22).
그러면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발신측에서 제공한 촉감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고(S23), 분석 결과에 따라 단계 S21에서 센싱한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을 그대로 재현함과 동시에 촉감 인터페이스(21)에 구비된 다수의 액츄에이터(230) 각각의 쿠션감을 조정하도록 한다(S24).
즉, 고무공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의 물체가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접촉된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위치한 액츄에이터(230)들이 부드러운 쿠션감을 가지도록 하고, 볼펜과 같은 딱딱한 재질의 물체가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접촉된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위치한 액츄에이터(230)들이 보다 딱딱한 쿠션감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촉감 재현 동작의 실제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촉감 인터페이스의 형상까지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촉감 인터페이스(21)의 형상을 센싱하도록 한다(S30).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물체가 촉감 인터페이스(21)에 접촉되면(S31),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촉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외부 물체 접촉에 의해 발생된 촉감에 대응되는 압력, 진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을 센싱한다(S32).
그리고 단계 S11의 형상 센싱 결과와 촉감 센싱 결과를 반영하여, 촉감 정보를 생성하여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제공하도록 한다(S33).
이에 수신측의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가 촉감 정보를 수신하면(S34), 이를 분석하여 발신측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20)의 형상과, 촉각 센싱 결과를 파악한다. 그리고 수신측 촉감 인터페이스(21)의 형상을 조정한 후, 촉각 센싱 결과를 그대도 재현하도록 한다(S35).
즉, 본 발명에서는 수신측의 촉감 인터페이스(21)가 발신측의 촉감 인터페이스(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한 후, 촉감 재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촉감 인터페이스 형상 불일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현 동작 오류 발생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수신측과 발신측 모두 동일한 환경 하에서 센싱 및 재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촉감 서비스의 정확도, 신뢰도, 실제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 변화 패턴을 센싱 또는 재현하는 촉감 인터페이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의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촉감 정보 생성부;
    상기 촉감 정보에 상응하는 촉감 변화 패턴이 재현되도록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촉감 재현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촉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 변화 패턴은
    압력, 진동,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이며,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터치홈을 구비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촉감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온도 센서와 발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되고,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형상을 센싱 및 통보하는 형상 센싱 장치;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형상을 가변하는 형상 가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정보는
    상기 형상 센싱 장치의 형상 센싱 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6. 삭제
  7. 물체 접촉에 의한 촉감 변화 패턴을 센싱 또는 재현하는 촉감 인터페이스;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의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촉감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촉감 정보 생성부;
    상기 촉감 정보에 상응하는 촉감 변화 패턴이 재현되도록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를 동작 제어하는 촉감 재현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촉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 변화 패턴은
    압력, 진동,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패턴이며,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터치홈을 구비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촉감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에 부착된 온도 센서와 발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촉감 인터페이스는
    물체 접촉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는 오디오 장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 각각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각각의 쿠션감을 가변하는 다수의 쿠션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촉감 정보 생성부는
    소리특성과 물체재질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1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리에 대응되는 물체 재질을 판단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재현부는
    물체 재질과 쿠션감간 상관관계에 대한 제2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상기 쿠션 조정 장치 각각을 동작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40128562A 2014-09-25 2014-09-25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7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62A KR102073227B1 (ko) 2014-09-25 2014-09-25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62A KR102073227B1 (ko) 2014-09-25 2014-09-25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83A KR20160036383A (ko) 2016-04-04
KR102073227B1 true KR102073227B1 (ko) 2020-02-04

Family

ID=5579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562A KR102073227B1 (ko) 2014-09-25 2014-09-25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6576B2 (en) 2016-10-31 2020-08-11 Tegway Co., Ltd.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US10747323B2 (en) 2016-10-31 2020-08-18 Tegway Co., Ltd.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by means of same
KR20180048227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KR102369905B1 (ko) * 2016-10-31 2022-03-03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WO2018080028A1 (ko)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KR2018004819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WO2019045165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KR102039002B1 (ko) * 2018-01-17 2019-10-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촉감검출장치 및 방법
KR20200064573A (ko) * 2018-11-29 202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949A (ko) * 1999-12-30 2001-07-11 이의준 쌍방향 촉각 전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4906B1 (ko) * 2012-06-25 2015-06-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 생성장치, 고분자 유전체 기반 구동기, 이를 이용한 촉각 액추에이터, 촉감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촉각 피드백 제공장치
US9261960B2 (en) * 2013-01-24 2016-02-1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ens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83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27B1 (ko) 촉감 서비스 제공 장치
Schiefer et al. Artificial tactile and proprioceptive feedback improves performance and confidence on object identification tasks
JP6703688B2 (ja) 触覚情報変換装置、触覚情報変換方法、および、触覚情報変換プログラム、並びに、素子配置構造体
US10429933B2 (en) Audio enhanced simulation of high bandwidth haptic effects
Strohmeier et al. Generating haptic textures with a vibrotactile actuator
Chang et al. ComTouch: design of a vibrotact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37486A (ko) 햅틱 captcha
Gehrke et al. Detecting visuo-haptic mismatches in virtual reality using the prediction error negativity of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US10649529B1 (en) Modification of user-perceived feedback of an input device using acoustic or haptic output
CN108121441A (zh) 有针对性的触觉投射
Price et al. Conceptualising touch in VR
JP2018507485A (ja) 触覚系における知覚
WO2009082682A1 (en) Kinesthetically concordant optical, haptic image sensing device
KR20150028736A (ko) 오디오 신호의 전이와 연관된 햅틱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164046A1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874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ushimi et al. atmoSphere: designing cross-modal music experiences using spatial audio with haptic feedback
Kiefer A Malleable Interface for Sonic Exploration.
GB2622963A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edicting personalized biological state with model produced with meta-learning
WO2015015428A1 (en) Touch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Burns A Multi-Scale, Low-Parameter Rendering Algorithm for Virtual Textures
Pasquesi Exploring the Haptic Communication Spectrum: From Wearable Haptic Interfaces to Vibration-Defined Networking
Ujitoko et al. Sinusoidal Vibration Source Localization in Two-Dimensional Space Around the Hand
Ahmaniemi et al. Dynamic audiotactile feedback in gesture interaction
KR102584544B1 (ko) 운동 심상 자극 영상을 이용하는 브레인-컴퓨터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