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0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04B1
KR102073204B1 KR1020180014959A KR20180014959A KR102073204B1 KR 102073204 B1 KR102073204 B1 KR 102073204B1 KR 1020180014959 A KR1020180014959 A KR 1020180014959A KR 20180014959 A KR20180014959 A KR 20180014959A KR 102073204 B1 KR102073204 B1 KR 10207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self
residential
elderly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5678A (en
Inventor
우성주
박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1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04B1/en
Publication of KR2019009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답변 총합 - (연령-65)* 나이 가중치"의 식에 따라 고령자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an elderly person,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and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residential depression inquiring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Providing the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response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Calculating a sum of user answers by converting and then depressing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answer in a score method; And calculating and notifying the elderly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formula "sum of user answers-(age-65) * age weight".

Description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아 투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지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and in particula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the self-projection image to calculate the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using the self-projection image and Relates to a device.

고령자의 주거문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노년기의 생리적·신체적 변화를 보완할 수 있는 주거환경 개발에 초점을 두고 주거자의 장애유무 및 연령 등 신체적 조건과 행위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헬스케어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스마트홈 케어 시스템 연구에 집중되어 왔고, 개인의 감성적 만족도에 기반한 수요자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The domestic research on the living culture of the elderly main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nvironment that can compensate for the physi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of the old age, and statistically analyzes the physical condition and behavior patterns such as the disability and age of the residents and links them with the healthcare system. It has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ing ubiquitous smart home care system, and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on improvement of customized living environment based on emotional satisfaction of individuals.

이에 주거환경과 고령자자살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허지정, 최막중, 2013)에서는 고령자의 자실이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는 개인적 속성까지는 반영하지 못한 통계적 분석의 결과이므로, 추후 고령자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통합 분석하여 상호영향력을 비교해 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Huh Jung-jeong, Choi Mak-jung, 2013) raise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at the elderly person's self is not only a personal factor but also a social problem where environmental factors work together. As it is the result of poor statistical analysi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mparing the mutual influence by analyz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uicide of the elderly.

기존의 고령자 단독 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양한 가구형태 중 일부로 고령자 단독 가구를 검토하고 있어 구체적인 삶의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으므로 단독가구로 생활하는 고령자들의 구체적 일상을 파악하기 위해 양적 자료 분석은 물론 질적 연구를 통해 생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Existing studies on single-family households are reviewing single-family households as part of various household types, so the specific aspects of life are not revealed well, so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qualitative data are needed to grasp the specific daily lives of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useholds. Research has raised the ne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life.

고령자의 우울 등 부정정서에 대한 연구는 과거 노년기의 변화하는 생리·신체적 요인에 중점을 두던 경향에서 최근 경제적·사회적 환경변화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Research on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of the elderly,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in recent years, focusing on changing physi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in old age.

독거고령자의 자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고재욱 등의 연구(2011)를 보면, 자살개념을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그 요인을 정신건강·사회경제적 요인 등 영역별로 파악하여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Ko Jae-wook et al.'S (2011)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icide tendency of elderly living alone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uic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rocess rather than a simple event. It identifies the needs of each area and raises the need to build a personalized case management service.

그러나 단독가구 고령자에 관한 국내 특허는 대부분 다양한 감지방법을 활용한 응급상황 판별 및 지원, 스마트홈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및 진료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거주자의 감성 측정을 통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방법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However, domestic patents for elderly single households are about emergency situation identification and support, smart home system, remote monitoring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using various detection methods. Has not been proposed.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 등에서는 고령자의 욕구 사정에 기초한 복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등록했으며, 몇몇 기업에서 모니터링 중심 시스템 특허가 등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령자의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감성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99665 and the like registered a patent on the welfare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some companies have registered a monitoring system patent, but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for performing the emotion measurement operation is not considered at all.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5494호(공개일자 : 2010.01.15.)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5494 (published date: 2010.01.15.) 2.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등록일자 : 2008.01.24.)2. Domestic Patent No. 10-0799665 (Registration Date: 2008.01.24.)

1.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고령자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저자: 허지정, 최막중, 주택연구 2013년 21권 4호, pp.49-62 ISSN 1226-2676)1.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Elderly Suicide Rate (Author: Ji-Ho Hur, Mak-Jeong Choi, Housing Research, 2013, 21, 4, pp.49-62 ISSN 1226-2676)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to objectively determine the depressed state according to the elderly living environment.

또한 자아 투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문 조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된 고령 응답자에 대한 주거 우울 상태도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is carried out based on the self-projection imag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to determine the residential depression status for elderly respondents whose reading comprehension and concentration is degraded due to ag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 및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1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 and the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residential depression to query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 Providing the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response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Calculating a total of user answers by converting and adding depress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answers in a score method; And "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1
It provide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d notifying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formula.

상기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1 자아 투사 이미지,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제2 자아 투사 이미지,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제3 자아 투사 이미지,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제4 자아 투사 이미지,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6 자아 투사 이미지,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7 자아 투사 이미지,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8 자아 투사 이미지,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 및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 a first self-projection image of a person leaning on a window and a back of a person looking outwards, a second self-projection image of a elderly person leaning on a cane looking at a window half-curved by a cane, and a living room sofa. A elderly person sitting with his back leaning away from a third self-projection image, a fourth self-projection image of a person sitting sideways in a single chair, a fifth self-projection image of an elderly person leaving the front door of a house, a two-story house from a distance The sixth self-projection image depicting the back of an old man watching, the seventh self-projection image of the back of an old couple sitting on a bench on the first floor, and the glasses sitting on a single sofa in front of the window. 8th self-projection image depicting the front of the elderly, 9th character depicting the front of the elderly standing in front of the mans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th self projected image profile has been drawn of a person looking at the projected image, and the curtain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half screened window.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성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Generating the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gender of the person included in the self-projection imag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questionnaire subject.

또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들을 상기 제1 내지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enerating of the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may include gener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by allocating question items that query the depression of a questionnaire in a 5-point scale format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self-projection images. do.

그리고 상기 나이 가중치는 0.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age weight is 0.32.

상기 방법은 기 설정된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상기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and guid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nto a residential depression level with reference to a preset residential depression rating classification criter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에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2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for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or querying a plurality of ego projection image and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go projection image; A user respons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response to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the sum of user answers by converting the depressive feel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answers into a score method and adding the sums.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2
It provides a device fo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including a user response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formula.

본 발명은 고령자 주거 우울증 진단을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설문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analyze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fter the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elderly residential depression, thereby enabling to objectively determine the depressive state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또한 자아 투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문 조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된 고령 응답자에 대한 고령자 주거 우울 상태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conducting a survey based on the self-projection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elderly housing depression status for the elderly respondents whose reading comprehension and concentration is degraded due to ag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uracy of the elderly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b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20)에 설문지 제공부(1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12), 및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사용자 답변 총합 - (연령-65)* 나이 가중치"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13), 사용자 단말(20) 등의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and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or querying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to the user terminal 20. Depression sco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1, the user response receiving unit 12 for receiving a user response to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response The user answer analysis unit 13 and the user terminal 20 to calculate the sum total of the user answers, and calculate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formula "sum of user answers-(age-65) * age weight".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설치 및 실행하고, 이를 통해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가 제공하는 설문지를 사용자 안내하고,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획득하여 다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설문 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대신에, 구글 설문지 등과 같이 포탈 사이트가 제공하는 앱 기능을 차용하여 주거 우울 지수 산출을 위한 설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 previously installs and executes an application that supports interworking with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10 of the elderly, and guides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10 of the elderly through this. And, to obtain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this can be provided to the home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10 of the elderly again. Of course, if necessary, instead of directl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a survey as described above, a survey operation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may be performed by borrowing an app function provided by a portal site such as a Google questionnaire. .

참고로, 고령자인 경우,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되어 문장으로 된 설문 문항보다 자아 투사 이미지를 활용한 질문이 편안함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elderly, reading and intensive concentrations are degraded due to aging, so the question using the self-projection image rather than the sentence questionnaire questions can feel comfort and friendliness.

이에 본 발명은 우울과 주거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보다 설문 대상자에게 자아 투사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이미지의 느낌을 물어보는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특히, 고령자 주거 우울과의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들을 도 2에서와 같이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정확한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questionnaire to be carried out by showing the self-projection image to the questionnaire and asking the feeling of the image rather than the direct question about depress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self-projection images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elderly housing depression are proposed as shown in FIG. 2, and thus, simpler and more accurate housing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는 총 10개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I1~I10),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①~⑤)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questionnaire questions (① to ⑤) of ten depression self-projection images and five depression multiple choice ques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1 to I10) and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as.

보다 상세하게, 제1 자아 투사 이미지(I1)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In more detail, the first self-projection image I1 is an image in which the back of the person leaning against the window and looking outward is drawn.

제2 자아 투사 이미지(I2)는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second self-projection image (I2) is an image depicting an elderly person leaning on a cane looking at a curtained window.

제3 자아 투사 이미지(I3)는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third self-projection image I3 is an image of an elderly person sitting on the back of the living room sofa.

제4 자아 투사 이미지(I4)는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fourth self-projection image I4 is an image of a person sitting sideways in a single chair.

제5 자아 투사 이미지(I5)는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fifth self-projection image I5 is an image of the back of the elderly person leaving the house front door.

제6 자아 투사 이미지(I6)는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sixth self-projection image (I6) is an image of a back view of an old man looking at a two-story house from a distance.

제7 자아 투사 이미지(I7)는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seventh self-projection image I7 is an image of the back of an old couple sitting on a bench and looking at a far away home.

제8 자아 투사 이미지(I8)는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eighth self-projection image (I8) is an image of the front view of an elderly person wearing glasses and reading a book sitting on a single-seat sofa in front of the window.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I9)는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ninth self-projection image I9 is an image in which the front view of the elderly person standing in front of the mansion is drawn.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I10)는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The tenth self-projection image I10 is an image in which the side of a person looking at a window half-curved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rawn.

상기의 설명에서는 다수개의 자아 투사 이미지가 총 10개인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주거 우울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자아 투사 이미지의 종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have been described, but the type of self-projection images may be variously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maintains a correlation with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더하여, 본 발명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남녀 공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남성용 자아 투사 이미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남성으로 표현하고, 여성용 자아 투사 이미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여성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설문 대상자가 보다 손쉽게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자기 동일시하고, 보다 손쉽게 자신의 심리 상태를 자아 투사 이미지에 투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the self-projection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for both sexes, but if necessary, it can be produc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hat is, the male self-projection image expresses a person included in the self-projection image as a male, and the female self-projection image expresses a person included in the self-projection image as a female, so that the questionnaire is more easily included in the self-projection image. It identifies people and makes it easier to project their mental state onto self-projected images.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문지 제공부(11)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한다(S1). 이때,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남녀 공용, 남성용, 여성용으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다. First,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1 generates and stores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and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that queries five depression multiple cho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S1). In this case,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may be generated by dividing the gender unisex, men's, women's us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설문 대상자의 성별을 문의한 후, 성별에 맞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도록 한다(S3). In this state, when the user terminal 20 accesses, after inquiring the gender of the questionnaire subjec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to provide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suitable for the gender (S3).

그리고 설문 조사가 완료되어 사용자 단말(20)이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고(S4),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도록 한다(S5). In addition, when the survey is completed and the user terminal 20 transmits a user response to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the user terminal 20 receives the response (S4), and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response is measured in a 5-point scale. Summing up to calculate the total of the user answers (S5).

예들 들어, 이하의 표1에서와 같이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4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1번을 선택하면 1점, 2번을 선택하면 2점, 3번을 선택하면 3점, 4번을 선택하면 4점, 5번을 선택하면 5점이 해당 자아 투사 이미지의 개별 점수로 산출되도록 하고, 이들 점수를 자아 투사 이미지 모두에 대해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the case of querying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 four-choice multiple choice, if the user selects No. 1, 1 point is selected, and if the No. 2 is selected, 2 points are selected. If 3 points and 4 are selected, 4 points and 5 are selected, 5 points are calculated as individual scores of the corresponding self-projection image, and these scores are summed over all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to calculate the total user response.

I1.
(1) 많이 불행하다 (2) 약간 불행하다 (3) 보통이다 (4) 약간 행복하다 (5) 많이 행복하다
I1.
(1) very unhappy (2) slightly unhappy (3) normal (4) slightly happy (5) very happy

그리고 단계 S6을 통해 사용자 답변 총합이 산출되면,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라 사용자 답변 총합에 기반한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한 후, 사용자 단말(20)에 통보하거나,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의 운영자, 즉 설문 조사자에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S6). When the total user answers are calculated through step S6, afte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based on the total user answers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the user terminal 20 is notified or the operator of the elderly household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is calculated. That is, to guide the surveyor visually (S6).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3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3

이때, 나이 가중치는 연령으로 인한 일반적 우울감 증가를 상쇄시키기 위한 가중치이다. 이는 설문 데이터로 연구한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가 0.32점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0.32로 사전 정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ge weight is a weight for offsetting an increase in general depression due to age. As a result of the survey data,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at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tends to increase by 0.32 points as the age increases by 1 year, and may be predefined as 0.32.

더하여, 본 발명은 주거 우울 지수 자체를 안내하는 대신에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한 후, 이를 사용자, 장치 운영자, 또는 설문 조사자 등에 시청각적으로 안내할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stead of guid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nto a residential depression level, and then visually guides it to a user, a device operator, or a surveyo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답변 분석부(13)는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획득 및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user response analysis uni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housing depression rating classification criteria in advance, and converts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into the housing depression rating based on this.

예를 들어, 주거 우울 등급은 고도, 중도, 경도의 3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87점인 경우에는 고도로,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47점인 경우에는 중도로,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0점인 경우에는 경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residential depression leve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of altitude, medium, and mildness, and if the elderly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12.87, it is high; if the elderly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12.47, the middle and elderly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In the case of 12.0 points, it should be classified as longitude.

그리고 주거 우울 등급 결과와 사용자 정보를 인근 의료 기관, 복지 기관, 정부 기관 등에 자동 제공함으로써, 인근 의료 기관, 복지 기관, 정부 기관 등이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도 주거 우울 등급이 판정받는 사용자가 파악되면, 정부 기관이 주거 환경 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원 봉사자가 해당 사용자의 집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지 기관이 해당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복지 기관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by automatically providing residential depression rating results and user information to neighboring medical institutions, welfare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neighboring medical institutions, welfare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can take appropriate follow-up actions corresponding to user status. For example, if a user is identified as having a high residential depression level, a government agency may allow volunteers who can perform improvements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visit the user's home, or the welfare agency may Allow procedures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such as staying in welfare agencies for a whi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uracy of the elderly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최종적으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의 주거 우울 지수가 각각 고도, 중도, 경도 주거 우울유형 집단을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ROC Curve 분석이 진단 척도의 대체 및 타당화에 적용될 때에는 민감도(이를테면, 주거 우울이라고 진단된 사람들을 주거 우울이라고 진단할 확률)와 특이도(이를테면, 주거 우울이 아니라고 진단된 사람들을 주거 우울이 아니라고 진단할 확률)를 분석해서, 하나의 선형적인 값이 얼마나 진단을 예측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다. Finally, we will look at how accurately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the high, medium, and mild residential depression type group through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When ROC Curve analysis is applied to the substitution and validation of diagnostic scales, sensitivity (such as the probability of diagnosing people who have been diagnosed as residential depression) and specificity (such as those who are not residentially depressed) are not residential depression. By analyzing the probability of diagnosis, how much a single linear value can predict the diagnosis.

이를 위해 주거 우울로 정의된 피험자를 '진단'값으로 하고, 나머지를 '비진단' 값으로 하여, 진단 예측에 대한 민감도와, 비진단 예측에 대한 특이도를 각각 살펴보았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게 나타난다면 해당 지수가 주거 우울 진단에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For this purpose, subjects defined as residential depression were diagnosed as 'diagnostic' values and the rest as 'non-diagnostic' values, and the sensitivity for diagnostic prediction and specificity for nondiagnostic prediction were examined, respectively.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dicate that the index can be used to diagnose residential depression.

ROC Curve는 척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기반으로 그려진 곡선으로, 곡선이 북서쪽으로 넓게 나타날수록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그 넓이를 AUC(area under the ROC curve)라고 칭한다. 통상 AUC 값이 0.5를 초과하면(ROC Curve가 참조선 상단에 위치하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보며, 실제 정신장애 관련 연구에서는 분야에 따라 0.7 혹은 0.8 이상일 때에 유용한 대체 척도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한국판 정신장애 진단 선별 질문지의 표준화 연구 : 진단적 타당성, 저자: 최형근, 정성원, 조현주, 김정범, 정철호, 학술지정보 : 대한불안의학회지 2013, 9권 1호 참고).The ROC Curve is a curve drawn based o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scale. The more wide the curve appears to the northwest, the high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area is called the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In general, when the AUC value exceeds 0.5 (ROC curve is located above the reference line), it is considered to be reliable, and in the case of actual mental disorder studies, it tends to be a useful alternative measure when it is 0.7 or 0.8 or higher depending on the field. Standardization Study of Screening Questionnaire for Disability Diagnosis: Diagnostic Validity, Author: Hyung-Geun Choi, Sung-Won Cho, Hyun-Joo Cho, Jung-Bum Kim, Chul-Ho Chung, Journa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Anxiety Journal 2013, Volume 9, No. 1).

먼저, 고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15명, 비진단 286명으로, 주거 우울 지수의 ROC Curve 분석 결과 AUC 값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37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거 우울 지수가 고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5.34점으로 민감도 0.933, 특이도 0.881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First, in the case of the high-dwelling depression type, 15 out of 301 diagnosed and 286 non-diagnostic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ROC Curv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the AUC value is calculated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A, the AUC value of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was 0.937, which was very high. In addition, the optimal cutoff point for home depression index was 25.34, which corresponds to sensitivity of 0.933 and specificity of 0.881.

다음으로 중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40명, 비진단 261명으로, I 및 K 기반 주거 우울 지수의 각각 ROC Curve 분석결과 AUC 값은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52으로 아주 높게 나타나며, 주거 우울 지수가 중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4.1점으로 민감도 0.975, 특이도 0.889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Next, in the case of the moderate residential depression type, 40 diagnosed and 261 non-diagnostic patients out of the 301, and the ROC Curve analysis results of the I and K-based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respectively, are calculated as shown in FIG. . Referring to (b) of FIG. 4, the AUC value of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very high as 0.952, and the optimal cutoff point for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to diagnose moderate residential depression type is 24.1, which corresponds to sensitivity of 0.975 and specificity of 0.889. Able to know.

마지막으로, 경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56명, 비진단 245명으로, 주거 우울 지수의 ROC Curve 분석결과 AUC 값은 도 4의 (c)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c)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72로 나타나며, 주거 우울 지수가 경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3.18점으로 민감도 0.946, 특이도 0.897에 해당한다. Lastly, in the case of mild residential depression type, 56 diagnosed and 245 non-diagnosed patients out of 301, the AUC value of the ROC curv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calculated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c) of FIG. 4, the AUC value of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s 0.972, and the optimal cutoff point for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to diagnose mild residential depression type is 23.18, corresponding to sensitivity 0.946 and specificity 0.897.

이러한 분석 결과, 본 발명의 주거 우울 지수는 각각 주거 우울유형을 진단하는 데에 충분히 대체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도주거 우울유형의 경우 예외값에 해당할 정도로 적은 숫자의 피험자가 해당하므로 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경도주거 우울유형까지를 포함한 전체 주거 우울유형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AUC 값이 주거 우울 지수의 경우 0.972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n alternative measure for diagnosing each type of housing depression. In the case of high-dwelling depression type, the replacement rate was relatively low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which is an exception value. On the other hand, for the total housing depression type, including mild residential depression type, the final AUC value was 0.972 for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가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 및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가
"
Figure 112019102573417-pat00010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In house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of elderly person,
Generating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and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residential depression inquiring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by the apparatus for calculating a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Receiving, by the home depression index calculating device of the elderly, the user termi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to the user terminal;
Calculating, by the home-depression index calculating device of the elderly,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answer in a score method and calculating a sum of user answers; And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device of the elderly person
"
Figure 112019102573417-pat00010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comprising calculating and reporting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formul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1 자아 투사 이미지,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제2 자아 투사 이미지,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제3 자아 투사 이미지,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제4 자아 투사 이미지,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6 자아 투사 이미지,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7 자아 투사 이미지,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8 자아 투사 이미지,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 및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ego projection images
The first self-projection image of the person leaning back against the window, the second self-projection image of the old man leaning against the cane, looking at the window half-draped by the cane, and the elderly person sitting on the back of the living room sofa 3 self-projection image, 4th self-projection image of a person sitting side by side in a single-seat chair, 5th self-projection image of the back of an elderly person leaving the front door of the house, and a back view of an elderly person looking at a two-story house from a distance The sixth self-projection image depicted, the seventh self-projection image of an elderly couple sitting on a bench looking at the first floor house, the eighth image of an elderly person wearing glasses and reading a book sitting on a single sofa in front of the window A self-projection image, a ninth self-projection image depicting the face of an elderly person standing in front of the mansion, and a curtain halfway How to calculate true residential elderly depressed index comprising the 10 second self-projected image is drawn profile of a person looking at the distance prescribed window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성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i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gender of the person included in the self-projection imag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urvey subje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들을 상기 제1 내지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is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method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residential depression by assigning a question item for querying the depression of the questionnaire in the form of a 5-point scale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ego projection imag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 가중치는
0.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ge weight is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calculation method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0.32.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상기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nverting and guid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into a housing depression rating with reference to a predetermined housing depression rating classification criterion.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에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5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for a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or querying a plurality of self-projection images and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A user respons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response to the residential depression diagnosis questionnair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the total user answers by converting the depression feel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f-projection images included in the user answers into a score method and adding the sums;
Figure 112018013405398-pat00005
Device for calculating the residential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including a user response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the housing depression index according to the expression.
KR1020180014959A 2018-02-07 2018-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KR102073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en) 2018-02-07 2018-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en) 2018-02-07 2018-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78A KR20190095678A (en) 2019-08-16
KR102073204B1 true KR102073204B1 (en) 2020-02-04

Family

ID=6780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en) 2018-02-07 2018-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55B1 (en) 2022-01-25 2023-03-20 안지윤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patient condition based on survey information of first-time pat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343B1 (en) 2020-07-31 2022-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housing welfare support index
KR102465598B1 (en) 2020-07-31 2022-11-0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pace welfare support inde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8B1 (en)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Method and the server for providing psychological test services to heal psychology
KR101664862B1 (en) 2015-01-27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thod for evaluating of Stress
KR101814706B1 (en) 2015-05-11 2018-01-04 정영진 System for providing psychical cure service and method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65B1 (en) 2007-04-10 2008-0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the desire for the atged welfare
KR100980426B1 (en)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Method and system for monitering Silver Care SystemSCS
KR20100047931A (en) * 2008-10-30 2010-05-11 (주)지온소프트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service of determination complement
KR20120105297A (en)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apparatus and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8B1 (en)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Method and the server for providing psychological test services to heal psychology
KR101664862B1 (en) 2015-01-27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thod for evaluating of Stress
KR101814706B1 (en) 2015-05-11 2018-01-04 정영진 System for providing psychical cure service and method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55B1 (en) 2022-01-25 2023-03-20 안지윤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patient condition based on survey information of first-time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78A (en)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ch et al. Discrimination, internalized homophobia, and concealment in sexual minority physical and mental health.
Nota et al. Employer attitudes towards the work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Bostean et al.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ors, and family relationships among Latina/o immigrants.
Hardy et al. The impact of psychological distress on absence from work.
Zink et al. Different outdoor professions have different risks–a cross‐sectional study comparing non‐melanoma skin cancer risk among farmers, gardeners and mountain guides
Rabbi et al. Passive and in-situ assessment of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using mobile sensors
Goodman et al. Population mean scores predict child mental disorder rates: validating SDQ prevalence estimators in Britain
Dillon et al. Client Oriented Scale of Improvement (COSI) and its relationship to several other measures of benefit and satisfaction provided by hearing aids.
Craig et al. Anxiety levels in people who stutter
KR1020732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Wu et al. Do older adults have social lifestyles that place fewer demands on hearing?
Baylor et al. Developing the Communicative Participation Item Bank: Rasch analysis results from a spasmodic dysphonia sample
Coren et al. The development and cross-validation of a self-report inventory to assess pure-tone threshold hearing sensitivity
Meng et al. On the effectiveness of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or evaluation of urban sound perception
Perry et al. The P15–a multinational assessment battery for collecting data on health indicators relevant t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lamme et al. Short-term variability of pure-tone thresholds obtained with TDH-39P earphones
Chan et al. Personal, environmental, and service-delivery determinants of employment quality for st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sumers: A multilevel analysis
Patterson et al. Nonverbal behavioral indicators of negative affect in couple interaction
Ponizovskiy et al. Sticking to common values: Neighbourhood social cohesion moderates the effect of value congruence on life satisfaction
Pan et al. Quality of urban life among older adults in the world major metropolise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Schei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anded hearing loss scale questionnaire
Woo et al. Perceived social position of Asian Americans: Neighborhood context and social comparison
KR1020716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KHTP images
Dolničar et al. Understanding acceptance factors for using e-care systems and devices: insights from a mixed-method intervention study in Slovenia
Carso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aediatric version of the Khalfa Hyperacusis Questionnaire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