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051B1 -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 Google Patents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051B1
KR102072051B1 KR1020180094761A KR20180094761A KR102072051B1 KR 102072051 B1 KR102072051 B1 KR 102072051B1 KR 1020180094761 A KR1020180094761 A KR 1020180094761A KR 20180094761 A KR20180094761 A KR 20180094761A KR 102072051 B1 KR102072051 B1 KR 10207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tion
response signal
natural frequency
wavele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민
정범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6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exciting or detecting vibration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은 응답 신호 x(t)를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웨이블릿 계수 Wg[x](a,b)로 분해하는 단계(S100); 분해한 수축계수 a, 전이 계수 b에 대한 웨이블릿 기저함수와 상기 응답 신호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S200);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 웨이블릿 변환 하는 단계(S300); 상기 웨이블릿 변환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을 로그 스케일 영역에서 직선으로 표현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직선으로 표현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 기울기를 신호의 감쇠비로 평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14480-pat00021

단, g(t)는 웨이블릿 기저함수, g*(t)는 g(t)의 복소공액, a는 수축 계수, b는 전이 계수.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14480-pat00022

단, wc는 Morlet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rad/sec).

Description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Comparison Method of Fragility Using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Parameter in System}
본 발명은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한 감쇠비 평가를 통해 다중 모드에 대한 분석 및 손상 위치 추정을 하는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 시스템의 모드 변수(Modal Parameter)는 구조적 손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요소이며, 이러한 모드 변수에는 고유주파수, 감쇠비, 모드 형상 등이 있다. 구조물의 손상은 구조 시스템의 모드 변수 평가를 통하여 모드해석법에 의해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공용 구조물에 대한 구조적 손상도의 평가는 가속도 응답신호에 대한 고유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수행되며, 고유주파수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등을 통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된 고유주파수는 이전에 분석된 고유주파수 및 준공 초기에 분석된 고유주파수와 비교됨으로써 시스템에 대한 손상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다재하경로 시스템에 대하여 완전히 파손된 일부 부재는 구조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고유주파수가 비교적 크게 감소하지만, 단재하경로 시스템에서 부분적으로 손상된 부재는 구조물의 강성에 대한 영향이 작아 고유주파수의 변화가 미소하게 된다. 따라서 단재하경로 시스템 및 부재의 부분적 손상에 대한 강성 감소율 평가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모드해석법의 한계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에 대한 응답신호는 비교적 고유주파수가 작고, 감쇠비가 큰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감쇠비 평가는 오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에 대한 고유주파수가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해 있는 경우에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감쇠비 평가는 거의 불가능하지만, 웨이블릿 변환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은 1980년대 초에 Morlet과 Grossmann 등에 의해 수학적 체계가 형성되었으며(Grossmannand Morlet, 1984), 1986년 프랑스 수학자 Yves Meyer의 직교 웨이블릿 이론에 의해 이산 웨이블릿 변환의 수학적인 토대가 구축됨으로써 기존의 주파수 분석 이론과는 차별화된 평가로 주목받고 있다. 웨이블릿 변환은 푸리에 변환에 비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 분석능력이 뛰어나다.
웨이블릿 변환의 결과는 웨이블릿 기저함수(Mother Wavelet)에 대한 중심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는 분석하고자 하는 신호의 고유주파수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
KR 10-1750281 B1 KR 10-0975344 B1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모드 고유주파수에 대응되는 웨이블릿 스케일이 전체 스케일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웨이블릿 변환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킨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은 응답 신호 x(t)를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웨이블릿 계수 Wg[x](a,b)로 분해하는 단계(S100); 분해한 수축계수 a, 전이 계수 b에 대한 웨이블릿 기저함수와 상기 응답 신호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S200);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 웨이블릿 변환 하는 단계(S300); 상기 웨이블릿 변환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을 로그 스케일 영역에서 직선으로 표현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직선으로 표현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 기울기를 신호의 감쇠비로 평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1
단, g(t)는 웨이블릿 기저함수, g*(t)는 g(t)의 복소공액, a는 수축 계수, b는 전이 계수.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2
단, wc는 Morlet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rad/sec).
본 발명은 부재의 부분적 손상에 의한 구조 시스템의 손상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웨이블릿 변환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 변환 영역의 해상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예로 H-Beam 부재에 대한 손상 전과 손상 후에 대한 실험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예로 H-Beam 부재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양태 및 실시양태가 기술되며,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양태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양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몇몇 용어를 정의하거나 또는 명확히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블릿 변환 영역의 해상도를 보여주고,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예로 H-Beam 부재에 대한 손상 전과 손상 후에 대한 실험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예로 H-Beam 부재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은 응답 신호 x(t)를 하기 수학식 1,2를 통해 웨이블릿 계수 Wg[x](a,b)로 분해하는 단계(S100); 분해한 수축계수 a, 전이 계수 b에 대한 웨이블릿 기저함수와 상기 응답 신호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S200);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 웨이블릿 변환 하는 단계(S300); 상기 연속 웨이블릿 변환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을 로그 스케일 영역에서 직선으로 표현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직선으로 표현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 기울기를 신호의 감쇠비로 평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3
단, g(t)는 웨이블릿 기저함수, g*(t)는 g(t)의 복소공액, a는 수축 계수, b는 전이 계수.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4
단, wc는 Morlet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rad/sec).
또한, 상기 단계(S500)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sine 함수와 cosine 함수의 진동 성분이 제거된 신호 x(t)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절대값으로 하고,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로그를 취하여 구해진 신호의 크기 A와 하기 수학식 8을 통해 감쇠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6)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5
(수학식 7)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6
(수학식 8)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7
단, A는 신호의 크기, ζ는 감쇠비이고 wn은 고유 진동수, t는 시간.
또한, 상기 단계(S500)이후 응답신호의 고유주파수 감소율을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분석하는 단계(S600) 및
상기 분석된 고유주파수는 초기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 또는 이전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여 구조물의 손상에 대한 평가를 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시간 영역 응답 신호 x(t)에 대한 연속 웨이블릿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8
여기서, g(t)는 웨이블릿 기저함수, g*(t)는 g(t)의 복소공액(Complex Conjugation), a는 수축 계수(Dilation Parameter), b는 전이 계수(Translation Parameter)이다.
연속 웨이블릿 변환의 기본 개념은 응답 신호 x(t)를 웨이블릿 기저함수를 사용하여 웨이블릿 계수 Wg[x](a,b)로 분해 하는 것이며, 이렇게 분해된 웨이블릿 계수는 수축 계수 a 및 전이계수 b에 대한 웨이블릿 기저함수와 대상 신호의 유사성 척도가 된다. 웨이블릿 변환은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일부 성분만을 독립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자유도 시스템은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축에 대한 단자유도 성분의 중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하모닉) 분석에 가장 효과적인 Complex Morlet 웨이블릿을 적용하도록 하고, Morlet 웨이블릿의 기저함수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14480-pat00009
여기서, wc는 Morlet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rad/sec)이다.
수학식 2의 Morlet 웨이블릿은 sine 함수와 cosine함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주파수 wc로 진동하는 가우시안-윈도우 푸리에 변환이다. Morlet 웨이블릿의 기저함수는 수축 계수 a에 의해서 웨이블릿의 고유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수축 계수 a가 적용된 Morlet 웨이블릿은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대상 신호의 고유주파수와 동일한 위치에서 연산된다. 하기의 수학식 3은 Morlet 웨이블릿의 주파수 영역함수를 보여준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0
웨이블릿 변환은 시간 영역에서 계산하는 것보다 시간 영역으로 전환하여 계산하는 것이 계산 과정 상 효율적이다. 수학식 1의 웨이블릿 계수 Wg[x](a,b)가 주파수 영역 계산에서 각각의 유효한 값들로 평가되기 위해서 수학식 3은 최대값으로 산정되어야 한다.
도 2는 웨이블릿 변환 영역의 해상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하이젠버그의 불확실성 원리(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에 따라 시간 간격 Δt와 주파수 간격 Δf는 하기의 수학식 4,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1
(수학식 5)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2
여기서, Δtg와 Δfg는 각각 웨이블릿 기저함수 g(t)의 시간 간격과 주파수 간격이다.
수학식 4, 5에 따라 도 2의 모든 해상도 셀에서 Δt와 Δf의 곱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다음은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한 시스템 감쇠변수 평가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응답 신호의 포락선(Envelope)은 신호의 시간축에 대한 크기 변화이다. 이러한 포락선은 로그 스케일 영역에서 직선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응답 신호의 포락선 기울기는 신호의 감쇠비로서 평가될 수 있다.
응답신호에 대하여 sine 함수와 cosine 함수의 진동 성분이 제거된 신호x(t)의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절대값으로 평가될 수 있고,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하기의 수학식 7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3
(수학식 7)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4
여기서, A는 신호의 크기(Magnitude), ζ는 감쇠비이다. 수학식 7은 시간t에 관한 1차 방정식이며, 이 식의 기울기를 고려하면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감쇠비를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18080214480-pat00015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주파수 감소율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공용구조물의 안전진단시 동적 재하시험에 의한 가속도 응답신호의 고유주파수는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분석되고, 이렇게 분석된 고유주파수는 구조물의 준공시 초기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 또는 이전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와 비교됨으로써 구조물의 손상에 대한 평가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경간(2@7.95m) H-Beam 부재(H-150X100X6X9)에 대하여 손상 전과 손상 후 수치해석과 실내실험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수치해석은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St.1~St.14 모든 위치의 응답신호에 대하여 샘플링 주파수 200 Hz로 분석한다. 실내실험은 초기변위에 대한 응답신호를 측정하고, 이때 초기변위는 대상 경간 중앙에 인위적인 강제 변위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거함으로써 충격응답을 모사한다.
다음은 감쇠비에 의한 분석에 대해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감쇠비를 통한 구조물 강성 감소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손상 전과 손상 후의 H-Beam에 대하여 수치해석과 실내실험을 수행하고, 생성된 응답신호에 대하여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감쇠비를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는 전체 스케일의 1/2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하였으며, St.1~St.14의 모든 위치에 대하여 감쇠비를 분석하는 것을 권장한다.
시스템의 손상도 평가는 손상으로 인하여 구조적 강성이 감소하게 되면 외부하중으로 인한 응답신호가 손상전과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하여 달라지는 대표적인 변수는 모드 변수가 고려될 수 있다. 모드 변수에는 구조물의 고유주파수, 감쇠비, 모드형상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모드 변수를 손상 평가에 이용하는 모드해석법의 단점 중 하나는 모드 변수가 구조물의 작은 손상에 대하여 많은 변화를 보이지 않아 민감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푸리에 변환에 의한 고유주파수 감소율과 웨이블릿 변환에 의한 감쇠비 증가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응답신호에 의한 구조적 손상도 평가에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웨이블릿 변환은 구조시스템의 응답신호를 분해하여 고유 주파수에 대응되는 스케일 성분을 웨이블릿 계수로 평가하며, 이렇게 평가된 웨이블릿 계수에 대한 스케일 시간 함수는 그 기울기를 분석함으로써 구조 시스템의 감쇠비 평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응답 신호 x(t)를 하기 수학식 1,2를 통해 웨이블릿 계수 Wg[x](a,b)로 분해하는 단계(S100);
    분해한 수축계수 a, 전이 계수 b에 대한 웨이블릿 기저함수와 상기 응답 신호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S200);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 웨이블릿 변환 하는 단계(S300);
    상기 연속 웨이블릿 변환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을 로그 스케일 영역에서 직선으로 표현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직선으로 표현된 응답 신호의 포락선 기울기를 신호의 감쇠비로 평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500)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sine 함수와 cosine 함수의 진동 성분이 제거된 신호 x(t)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절대값으로 하고,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로그를 취하여 구해진 신호의 크기 A와 하기 수학식 8을 통해 감쇠비를 평가하고,
    안전진단 시 동적 재하시험에 의한 가속도 응답신호의 고유주파수는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분석되고, 분석한 상기 고유주파수는 구조물의 준공시 초기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 또는 이전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여 구조물의 손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수치해석하는 단계 및
    감쇠비를 통해 구조물 강성 감소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치해석하는 단계는,
    대상 경간 중앙에 인위적인 강제 변위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거함으로써 충격응답을 모사하는 초기 변위에 대한 응답신호를 측정하는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9102810714-pat00028

    단, g(t)는 웨이블릿 기저함수, g*(t)는 g(t)의 복소공액, a는 수축 계수, b는 전이 계수.
    (수학식 2)
    Figure 112019102810714-pat00029

    단, wc는 Morlet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rad/sec).
    (수학식 6)
    Figure 112019102810714-pat00030

    (수학식 7)
    Figure 112019102810714-pat00031

    (수학식 8)
    Figure 112019102810714-pat00032

    단, A는 신호의 크기, ζ는 감쇠비이고 wn은 고유 진동수, t는 시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500)이후 응답신호의 고유주파수 감소율을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분석하는 단계(S600) 및
    상기 분석된 고유주파수는 초기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 또는 이전 안전진단에 대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여 구조물의 손상에 대한 평가를 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KR1020180094761A 2018-08-14 2018-08-14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KR10207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61A KR102072051B1 (ko) 2018-08-14 2018-08-14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61A KR102072051B1 (ko) 2018-08-14 2018-08-14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051B1 true KR102072051B1 (ko) 2020-01-31

Family

ID=693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61A KR102072051B1 (ko) 2018-08-14 2018-08-14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44B1 (ko) 2008-08-04 2010-08-12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주파수 비교를 통한 레일 절손 검출시스템
KR101317986B1 (ko) * 2005-08-10 2013-10-1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진동 이벤트 분석 방법 및 회전 기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50281B1 (ko) 2016-11-09 2017-06-23 최정환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 방법 및 구조물 손상도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86B1 (ko) * 2005-08-10 2013-10-1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진동 이벤트 분석 방법 및 회전 기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75344B1 (ko) 2008-08-04 2010-08-12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주파수 비교를 통한 레일 절손 검출시스템
KR101750281B1 (ko) 2016-11-09 2017-06-23 최정환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 방법 및 구조물 손상도 평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ndoño et al. Identification of backbone curves of nonlinear systems from resonance decay responses
Pioldi et al. Output-only modal dynamic identification of frames by a refined FDD algorithm at seismic input and high damping
Park et al. Displacement estimation using multimetric data fusion
Ghanem et al. A wavelet-based approach for the identification of linear time-varying dynamical systems
CN106525226B (zh) 一种基于现场振动载荷识别的评估方法及系统
Weijtjens et al. Dealing with periodical loads and harmonics in operational modal analysis using time-varying transmissibility functions
Ku et al. Random decrement based method for modal parameter identification of a dynamic system using acceleration responses
Guo et al. Non-stationary frequency domain system identification using time–frequency representations
CN108873063B (zh) 一种微地震矩张量反演的方法及装置
Koruk et al. Damping uncertainty due to noise and exponential windowing
Marchesiello et al. Time-dependent identification of a bridge-like structure with crossing loads
Nayek et al. Mass normalized mode shape identification of bridge structures using a single actuator‐sensor pair
CN112597577A (zh) 桥梁索力高精度动态测量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Ebrahimzadeh Hassanabadi et al. A Bayesian smoothing for input‐state estimation of structural systems
Chen et al. Application of decoupled ARMA model to modal identification of linear time-varying system based on the ICA and assumption of “short-time linearly varying”
Gómez Araújo et al. Enhanced power spectral density transmissibility matrix for operational modal analysis of structures
Zhao et al. Localized identification of MDOF structures in the frequency domain
KR102072051B1 (ko) 고유주파수와 감쇠비에 대한 시스템 손상도 비교 방법
Xu et al. Accurate and efficient calculation of discrete correlation functions and power spectra
Ceylan et al. Pre-identification data merging for multiple setup measurements with roving references
Şahin et al. Forced-vibration testing and experimental modal analysis of a steel footbridge for structural identification
Xing et al. Application of substructural damage identification using adaptive Kalman filter
CN111428342B (zh) 一种基于频域谱分解的随机动载荷识别方法
KR20050055250A (ko) 에너지소산률을 이용한 구조물의 건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Kim et al. Structural parameters identification using improved norm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