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12B1 -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 Google Patents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12B1
KR102071912B1 KR1020160142873A KR20160142873A KR102071912B1 KR 102071912 B1 KR102071912 B1 KR 102071912B1 KR 1020160142873 A KR1020160142873 A KR 1020160142873A KR 20160142873 A KR20160142873 A KR 20160142873A KR 102071912 B1 KR102071912 B1 KR 10207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carbon atoms
block
formu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7128A (en
Inventor
김지연
김사라
김경오
윤정애
김수정
윤성수
이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4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5Use in organic luminescent di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이 가교 고분자 매트릭스 및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이온전도도, 가시광선에서 착색 및 탈색시의 투과율 및 쌍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 crosslinked polymer matrix and a block copolymer, thereby improving ion conductivity, transmittance and bistable stability when coloring and decolorizing in visible light.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Flowers}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기화학적 산화 및 환원 반응에 따라 전기변색 활성물질의 색이나 광 투과도와 같은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는 적은 비용으로도 넓은 면적의 소자로 제조될 수 있고, 낮은 소비전력을 갖기 때문에,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거울 또는 전자종이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투명전극,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Electrochromism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optical properties such as color or light transmittance of an electrochromic active material change depending on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uch a phenomenon can be manufactured in a large area of the device at a low cost, and has a low power consumption, attract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windows, smart mirrors or electronic paper. Such an electrochromic device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a substrate, a transparen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ion storage layer.

한편, 상기 전해질층은,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 사이에서 삽입 또는 탈리되면서 소자의 전기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전해질 이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변색 소자의 사이클 특성과 내구성에 대하여 전해질층이 기여하는 바가 크다.Meanwhile, the electrolyte layer includes electrolyte ions involved in the electrochromic reaction of the device while being inserted or detach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refore, the electrolyte layer contributes greatly to the cycle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종래 전해질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액상 전해질의 경우, 전해액 누출의 위험이 있어 소자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액상 전해질은 소자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액상 전해질이 소자 하부로 몰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 고체전해질은 상기와 같은 액상 전해질의 문제는 없지만, 이온전도도가 좋지 못하다. 이에 반해 겔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전도도 및 투과도가 우수하면서도, 헤이즈가 낮기 때문에 전기변색소자의 광투과 특성을 구현시키는데 적합한 일 구성으로 고려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liquid electrolyte most widely used as a conventional electrolyte, there is a risk of leakage of the electrolyte may reduc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liquid electrolyt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device is manufactured in a large area, the liquid electrolyte is concentrated under the device by gravity. In addition,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not a problem of the liquid electrolyte as described above, but the ion conductivity is poor. On the other hand, the gel polymer electrolyte has excellent ion conductivity and permeability, but has a low haze, and thus,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realizing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본 출원의 목적은 이온전도도가 높아 다양한 전기화학소자로 사용이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polymer electrolyte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lectrochemical devices with high ion conductivity.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접착성을 가지면서도 탈색시 가시광선 투과율과 착색시 가시광선 투과율이 큰 차이를 가져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dhesiveness and excellent performance by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visible light transmittance when discoloring and visible light transmittance when discoloring.

용어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상이한 단량체들이 중합된 블록들(blocks of different polymerized monomers)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 블록이 특정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모노머 또는 폴리머가 그대로 포함되거나, 특정 모노머 또는 폴리머로부터 중합, 유도 또는 유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block copolymer" may refer to a copolymer comprising blocks of different polymerized monomers. The meaning of “including” a specific monomer or polymer in a specific block may mean that the monomer or polymer is included as it is, or is polymerized, derived or derived from the specific monomer or polymer.

용어 「마이셀 구조」는 콜로이드 분산 상태의 하나로, 용액에서 용질이 어느 농도에 도달하여 만들어낸 회합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양친매성 물질이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내에서 소위 상분리 내지는 자기 조립 특성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양친매성」은 하나의 분자가 극성 및 비극성의 양쪽 성질을 모두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micel structure” is a colloidal dispersion state, which may refer to an assembly formed by reaching a certain concentration of solute in a solution, and an amphiphilic substance is formed by so-called phase separation or self-assembly in a polar or nonpolar solvent. It can mean a structure that is. The term "amphiphilic" may mean that one molecule has both polar and nonpolar properties.

용어 「극성」은 분자내 전자의 치우침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전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비극성」은 극성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분자가 부분적으로 전기적 성질을 나타내지 않거나, 나타내더라도 극성에 비해 약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극성」 및 「비극성」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서로 다른 분자를 비교하여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가 큰 것은 극성으로, 작은 것은 비극성으로 구별될 수 있다.The term "polarity" may mean that the electrical properties partially due to the bias of the electrons in the molecule, "non-polarity" is a relative concept of the polarity is that the molecule does not exhibit any electrical properties, or even weaker than the polarity. Can mea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olar" and "non-polar" are relative concepts, and different molecules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 large polarity and a small polarity.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의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를 블록의 5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제 1 블록;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며, 화학식 2의 단위가 블록의 55 중량% 이상인 제 2 블록을 포함하며,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The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first block including 55 wt% or more of a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a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wherein the unit of Chemical Formula 2 includes a second block having 55% by weight or more of the block, and may include a block copolymer forming a micelle structure. .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1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2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2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이며, 화학식 2 에서 Q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카르복실기이다.In Formula 1, A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Q in Formula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B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32 carbon atoms or a carboxyl group.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블록은 화학식 1의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단위가 주성분으로 포함된다는 것은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블록의 55 중량 % 이상이 화학식 1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58 중량% 이상, 62 중량% 이상, 또는 예를들어 6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의 화학식 1의 단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어 100 중량%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a unit of Formula 1 as a main component. The inclusion of the unit of formula 1 as a main component may mean that at least 55% by weight of the first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includes the unit of formula 1, and may be at least 58% by weight, at least 62% by weight, or for example 65 wt%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unit of Formula 1 of the first bloc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0 wt% or less.

상기 화학식 1에서 A에 존재하는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8, 탄소수 1 내지 6, 탄소수 1 내지 4 또는 탄소수 1 내지 2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lkyl group present in A in Formula 1 may be 1 to 8 carbon atoms, 1 to 6 carbon atoms, 1 to 4 carbon atoms or 1 to 2 carbon ato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블록은 마이셀 구조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분자 내에 존재하는 산소들의 비공유 전자쌍으로 인해 전해질 이온의 이동을 도울 수 있으며, 상기 제 1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전해질에 사용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이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first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is located outside of the micellar structure, and may help to transfer electrolyte ions due to the unshared electron pairs of oxygen present in the molecule, and the block copolymer including the first block may be added to the polymer electrolyte. By use, the polymer electrolyte can exhibit high ionic conductivity.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polypropylene oxide) 및 폴리옥시메틸렌 (polyoxym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용어「수평균분자량」은 자기공명장치(NMR)로 측정한 분석 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어떠한 고분자의 분자량은 그 고분자의 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and polyoxymethyle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but may be a polyethylene oxide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mean an analytical value measured by a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NM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molecular weight of any polymer may mea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로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아민기, 알콕시 실릴기 또는 비닐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n-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tert-부틸 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4-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3-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2-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1-이소시아네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n-헥실 이소시아네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n-헵틸 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3-아크릴로일옥시-n-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4-아크릴로일옥시-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tert-부틸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 부틸-4-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부틸-3-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부틸-2-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부틸-1-이소시아네이트, 5-아크릴로일옥시-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6-아크릴로일옥시-n-헥실 이소시아네이트, 7-아크릴로일옥시-n-헵틸 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아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메틸 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 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메틸 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펜테노일-4-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n-헥실 이소시아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s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 hydroxy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 glycidyl group, an amine group, an alkoxy silyl group or a vinyl group can be exemplified. For example, an isocyanate group can be used. The monomer containing an isocyanate group is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3-methacryloyloxy-n-propyl isocyanate, 2-methacryloyloxyisopropyl isocyanate, 4-methacryloyloxy-n -Butyl isocyanate, 2-methacryloyloxy-tert-butyl isocyanate, 2-methacryloyloxybutyl-4-isocyanate, 2-methacryloyloxybutyl-3-isocyanate, 2-methacryloyloxy Butyl-2-isocyanate, 2-methacryloyloxybutyl-1-isocyanate, 5-methacryloyloxy-n-pentyl isocyanate, 6-methacryloyloxy-n-hexyl isocyanate, 7-methacrylo Iloxy-n-heptyl isocyanate, 2- (isocyanatoethyloxy) ethyl methacrylate, 3-methacryloyloxyphenyl isocyanate, 4-methacryloyloxyphenyl isocyanate, 2-acryloyloxyethyl Isociane , 3-acryloyloxy-n-propyl isocyanate, 2-acryloyloxyisopropyl isocyanate, 4-acryloyloxy-n-butyl isocyanate, 2-acryloyloxy-tert-butyl isocyanate, 2-acrylic Loyloxy butyl-4-isocyanate, 2-acryloyloxybutyl-3-isocyanate, 2-acryloyloxybutyl-2-isocyanate, 2-acryloyloxybutyl-1-isocyanate, 5-acryloyl jade Cy-n-pentyl isocyanate, 6-acryloyloxy-n-hexyl isocyanate, 7-acryloyloxy-n-heptyl isocyanate, 2- (isocyanatoethyloxy) ethyl acrylate, 3-acryloyl Oxyphenyl isocyanate, 4-acryloyloxyphenyl isocyanate, 1,1-bis (methacryloyloxymethyl) methyl isocyanate, 1,1-bis (methacryloyloxy methyl) ethyl isocyanate, 1,1-bis (Acryloyloxymethyl) methyl iso Anate, 1,1-bis (acryloyloxymethyl) ethyl isocyanate, 2'-pentenoyl-4-oxyphenyl isocyanate, and the like, for example,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4 -Methacryloyloxy-n-butyl isocyanate, 5-methacryloyloxy-n-pentyl isocyanate, 6-methacryloyloxy-n-hexyl isocyanate, 2-acryloyloxyethyl isocyanate, 3-metha Chryloyloxyphenyl isocyanate, 4-methacryloyloxyphenyl isocyanate, 1,1-bis (methacryloyloxymethyl) ethyl isocyanate, 2- (isocyanatoethyloxy) ethyl methacrylate and 2-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yanatoethyloxy) ethyl acry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에 도입함으로써, 제 2 블록에 가교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고, 후술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코어 부분을 가교시키거나 또는 고분자 전해질에 포함되는 올리고머와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고분자 전해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By introducing the monomer having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to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a crosslinking point can be provided to the second block, and the oligomer contain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or crosslinked the core portion of the block copolymer described later.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with can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은 화학식 2의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단위가 주성분으로 포함된다는 것은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의 55 중량 % 이상이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58 중량% 이상, 62 중량% 이상, 또는 예를들어 6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 블록의 화학식 2의 단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99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3 중량% 이하, 또는 예를들어 90 중량%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a unit of Formula 2 as a main component. The inclusion of the unit of formula (2) as a main component may mean that at least 55% by weight of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includes the unit of formula (2), and may be at least 58% by weight, at least 62% by weight, or for example 65 wt%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unit of Formula 2 of the second bloc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99 wt% or less, 95 wt% or less, 93 wt% or less, or, for example, 90 wt% or less.

상기 화학식 2에서 Q에 존재하는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The alkyl group present in Q in Formula 2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In addition, the alk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화학식 2에서 B는 탄소수 1 이상, 탄소수 3 이상, 탄소수 5 이상, 탄소수 7 이상 또는 탄소수 9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일 수 있고, 이는 임의적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비치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32 이하 또는 탄소수 30 이하의 알킬기일 수 있다.In Formula 2, B may be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having 1 or more carbon atoms, 3 or more carbon atoms, 5 or more carbon atoms, 7 or more carbon atoms, or 9 or more carbon atoms, which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The upper limit of the carbon number of the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32 or less carbon atoms or 30 or less carbon atoms.

화학식 2에서 B는 다른 예시에서 지환식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탄소수 3 내지 20, 탄소수 3 내지 16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그러한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사이클로헥실기 또는 이소보르닐기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20, 탄소수 3 내지 16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지환식 알킬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In Formula 2, B may be, in another example,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3 to 16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and examples of such hydrocarbon group include cyclohexyl group or iso And alicyclic alkyl groups having 3 to 20 carbon atoms, 3 to 16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and the like, may be exemplified.

화학식 2에서 B는 다른 예시에서, 방향족 치환기, 예를 들면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 아릴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24, 탄소수 6 내지 18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알킬의 알킬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로는, 페닐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또는 나프틸기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ormula 2, B may be, in another example, an aromatic substituent, for example, an aryl group or an arylalkyl group. The aryl group may be, for example, an aryl group having 6 to 24 carbon atoms, 6 to 18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In addition, the alkyl group of the arylalkyl may be, for exampl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Examples of the aryl group or arylalkyl group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henyl group, phenylethyl group, phenylpropyl group or naphthyl group.

상기에서 상기 화학식 2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탄화수소기 등에 임의적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염소 또는 불소 등의 할로겐, 글리시딜기, 에폭시알킬기,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지환식 에폭시기 등의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릴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substituent that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an aryl group, or a hydrocarbon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nclude an epoxy group such as halogen, glycidyl group, epoxyalkyl group, glycidoxyalkyl group or alicyclic epoxy group such as chlorine or fluorine. , Acryloyl group, methacryloyl group, isocyanate group, thiol group, 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or aryl group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2에서 B는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일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30, 탄소수 1 내지 28,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B in Formula 2 may be alkyl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lkyl having 1 to 30 carbon atoms, 1 to 28 carbon atoms, alkyl having 1 to 24 carbon atoms, for example, alkyl having 1 to 16 carbon atoms. Can b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for example, alkyl (meth) acrylate. The term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above. The said alkyl (meth) acrylate i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 for example. Late, t-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or laur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 2 블록은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 구조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마이셀 구조의 코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icelle structure of the block copolymer to form a core of the micelle structure, and may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하나의 예시에서, 본출원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3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3

화학식 3 에서 Q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이고, Y는 -OR2 또는 -NR3R4이며,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카르복실기이다.In Formula 3,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X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Y is -OR 2 or -NR 3 R 4 , and R 2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And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or carboxyl group having 6 to 32 carbon atoms.

상기 화학식 3에서 Q에 존재하는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The alkyl group present in Q in Formula 3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In addition, the alk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상기에서 상기 화학식 3의 알킬기 또는 탄화수소기 등에 임의적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염소 또는 불소 등의 할로겐, 글리시딜기, 에폭시알킬기,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지환식 에폭시기 등의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릴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substituent that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or a hydrocarbon group of Formula 3 may include epoxy groups such as halogen, glycidyl group, epoxyalkyl group, glycidoxyalkyl group or alicyclic epoxy group such as chlorine or fluorine, and acryl. Diary, methacryloyl group, isocyanate group, thiol group, 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or aryl group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일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7, 탄소수 1 내지 6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Formula 3, X may be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but may be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7, carbon atoms 1 to 6 carbon atoms, or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학식 3에서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기 일 수 있으며, 또는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탄소수 6 내지 28의 방향족 탄화수소, 탄소수 6 내지 24의 방향족 탄화수소일 수 있고, 또는 카르복실기 일 수 있다.R 2 , R 3 , and R 4 in Formula 3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 alkyl group having 1 to 28 carbon atoms,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4 carbon atoms, Or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28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24 carbon atoms, or a carboxyl group.

본 출원의 일례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의 질량비가 1:9 내지 9:1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블록 공중합체가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lock copolymer may have a mass ratio of 1: 9 to 9: 1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Outside the above range, the block copolymer may not form a micelle structure.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예시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마이셀 구조의 코어 부분을 가교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믈록이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고, 마이셀 구조의 코어부분을 가교시킴으로써 마이셀 구조의 안정성이 확보 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onomer includ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cluded in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may crosslink the core portion of the micelle structure.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the stability of the micelle structure can be ensured by crosslinking the core portion of the micelle structur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은 후술하는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일부와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블록과 글리콜계 올리고머가 가교구조를 형성하였다는 것은,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말단 부분이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교구조를 형성하였다는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일부」는, 전체 글리콜계 올리고머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 또는 2 내지 15 중량%가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고분자 전해질의 장기 내구성이 향상 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may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with a par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econd block and the glycol-based oligomer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it may mean that the terminal portion of the glycol-based oligomer is bonded to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In addition, "par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may mean that 1 to 30% by weight or 2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glycol-based oligomer is bonded to the block copolymer, the above range If it satisfies the long-term durabil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can be improved.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PDI)가 1.0 내지 1.3 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분포(PDI; Mw/Mn)는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분자량(Mn)의 비율(Mw/Mn)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1.02 내지 1.28, 1.05 내지 1.26 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1.05 내지 1.25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마이셀 구조를 잘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블록 공중합체가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lock co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of 1.0 to 1.3.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Mw / Mn) may mean a ratio (Mw / Mn)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block copolymer may be 1.02 to 1.28, 1.05 to 1.26, for example, may be 1.05 to 1.25. In the block co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satisfies the range, the block copolymer may form a micelle structure well, and when the block copolymer is out of the range, the block copolymer may not form a micelle structure.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5,000 내지 100,000의 범위 내의 수평균분자량(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수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는 6,000 이상, 7,000 이상, 8,000 이상, 또는 9,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90,000 이하, 85,000 이하 또는 80,000 이하 정도일 수 있다. The block copolymer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within a range of 5,000 to 100,000.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measured using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may be at least 6,000, at least 7,000, at least 8,000, or at least 9,000 in anothe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90,000 or less, 85,000 or less, or 80,000 or less in another example.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특성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우수한 물성의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opolymer may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polymer electrolyte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고분자 전해질은 전체 고분자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록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고분자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8, 1 내지 16, 2 내지 14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3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분자 전해질은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착색시 가시광선의 투과율과 탈색시 가시광선의 투과율의 차이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착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고분자 전해질을 전기변색소자로 이용시 우수한 소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electrolyte.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1 to 18, 1 to 16, 2 to 14 parts by weight, preferably 3 to 1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electrolyte. In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block copolymer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igh difference in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at the time of coloration and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at the time of decolorization, and to increase the coloration efficiency, thereby making the polymer electrolyte electrochromic device. When used as it can exhibit excellent device characteristics.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블록 중합체는, 예를 들면, 리빙 라디칼 중합법(Living Radical Polymerization)으로 중합할 있고, 그 예로는 유기 희토류 금속 복합체를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거나,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 등의 무기산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는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ATRP),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되 전자를 발생시키는 유기 또는 무기 환원제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ARGET(Activators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ICAR(Initiators for continuous activator regeneration), 무기 환원제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제를 이용하는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에 의한 중합(RAFT) 또는 유기 텔루륨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이용하는 중합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에서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lock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block 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or example,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for example, an alkali metal or an alkali using an organic rare earth metal complex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n organic alkali metal compoun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ion polymerization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an inorganic acid salt such as an earth metal salt, an anion polymerization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an organoaluminum compound using an organoalkalimetallic compoun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tom transfer radical using an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er as a polymerization control agent Activators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ARRP) Atomic Radical Polymerization (ATRP), ICAR (Initiators), which uses an atomic transfer radical polymerizer as a polymerization control agent and performs polymerization under an organic or inorganic reducing agent that generates electrons. for continuous activator regeneration) Reversible addition using a chain transfer agent-cleavage and the like, a polymerization using a polymerization (RAFT) or an organic tellurium compound by a chain transfer initiator, may be subject to a suitable method among these methods is selected.

본 출원의 일례에서, 고분자 전해질은 글리콜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는 그 말단에 반응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능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디아크릴레이트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 glycol-based oligomer. The glycol-based oligomer may include a reaction functional group at its terminal, and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 acrylate group or a diacrylate group.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계 올리고머, 폴리에틸렌 글리콜계 올리고머, 폴리에틸렌 이민계 올리고머 및 아닐린계 올리고머 중 1종 이상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는 UV조사를 통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분자내에 존재하는 산소 또는 질소의 비공유 전자쌍으로 인해 전해질 이온의 이동이 용이한 고분자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glycol olig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oligomer of a polypropylene glycol oligomer, a polyethylene glycol oligomer, a polyethylene imine oligomer, and an aniline oligomer. The glycol-based oligomer can form a gel polymer electrolyte through UV irradiation, and can implement a polymer structure that is easy to move the electrolyte ions due to the non-covalent electron pair of oxygen or nitrogen present in the molecul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Can exhibit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50,000, 또는 500 내지 20,0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may be 100 to 50,000, or 500 to 20,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함량은 전체 고분자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부, 10 내지 90 중량부, 20 내지 85 중량부 또는 3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함량이 5 이하일 경우 고분자 전해질이 필름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충분한 점착력을 확보하지 못해 소자 제작시 계면 저항으로 인하여 낮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may be 5 to 90 parts by weight, 10 to 90 parts by weight, 20 to 85 parts by weight or 3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electrolyte. When the conten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is 5 or less, the polymer electrolyte may not be formed into a film, and may not exhibit sufficient adhesive force, and thus may exhibit low performance due to interfacial resistance during device fabrication.

본 출원의 일례에서 고분자 전해질은 가교성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형성시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가교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이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TMPTA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TMPTA with SiO2 50%, ETPTA (Trimethy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함량은 글리콜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30 중량부 또는 0.05 내지 10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함량이 0.1 이하일 경우 경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필름 형태의 전해질이 얻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30 이상일 경우 고분자 전해질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able monomer.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crosslink an oligomer or a polymer when the polymer electrolyte is formed, such that the polymer electrolyte may form a gel. The kind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tri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s (2- (meth) acryloethyl) isocyanur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crylic acid, isobornyl acrylate, acrylonitrile, 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ethylhexyl (meth) acrylate or methyl (meth) arc Acrylate, it can be used any one of a TMPTA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TMPTA with SiO2 50%, ETPTA (Trimethy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0.01 to 30 parts by weight or 0.05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0.1 or less, curing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an electrolyte in the form of a film may not be obtained, and when 30 or more, transparenc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ay be lowered.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계화합물, 비이미다졸계화합물 및 트리아진계화합물, 옥심계 화합물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글리콜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5 중량부 또는 0.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01 이하일 경우 경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경화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initiator. The kind of the photo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cetophenone compounds, biimidazole compounds, triazine compounds, oxime compound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photoinitiator may include 0.01 to 5 parts by weight or 0.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0.01 or less, curing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or the curing speed may be delayed.

하나의 예시에서, 본출원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금속염은 리튬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화합물은 LiF, LiCl, LiBr, LiI, LiClO4, LiClO3, LiAsF6, LiSbF6, LiAlO4, LiAlCl4, LiNO3, LiN(CN)2, LiPF6, Li(CF3)2PF4, Li(CF3)3PF3, Li(CF3)4PF2, Li(CF3)5PF, Li(CF3)6P, LiSO3CF3, LiSO3C4F9, LiSO3(CF2)7CF3, LiN(SO2CF3)2, LiN(SO2CaF2a + 1)(SO2CbF2b + 1)(단, a 및 b는 자연수임), LiOC(CF3)2CF2CF3, LiCO2CF3, LiCO2CH3, LiSCN, LiB(C2O4)2, LiBF2(C2O4) 및 LiBF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리튬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0 중량부 또는 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튬 화합물의 함량이 25 이하일 경우 충분한 이온전도도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etal salt of the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lithium compound. The lithium compound is LiF, LiCl, LiBr, LiI, LiClO 4 , LiClO 3 , LiAsF 6 , LiSbF 6 , LiAlO 4 , LiAlCl 4 , LiNO 3 , LiN (CN) 2 , LiPF 6 , Li (CF 3 ) 2 PF 4 , Li (CF 3 ) 3 PF 3 , Li (CF 3 ) 4 PF 2 , Li (CF 3 ) 5 PF, Li (CF 3 ) 6 P, LiSO 3 CF 3 , LiSO 3 C 4 F 9 , LiSO 3 ( CF 2 ) 7 CF 3 , LiN (SO 2 CF 3 ) 2 , LiN (SO 2 CaF 2a + 1 ) (SO 2 C b F 2b + 1 ) (where a and b are natural numbers), LiOC (CF 3 ) 2 CF 2 CF 3 , LiCO 2 CF 3 , LiCO 2 CH 3 , LiSCN, LiB (C 2 O 4 ) 2 , LiBF 2 (C 2 O 4 )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BF 4 . As described above, the lithium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0 parts by weight or 0.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When the content of the lithium compound is 25 or less, sufficient ionic conductivity may not be secured.

다른 예시에서, 본 출원의 고분자 전해질은 극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에테르계 화합물 및 에스테르계 화합물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olar solvent. The polar solvent may be at least one of a carbonate compound, an ether compound, and an ester compound.

본출원의 일례에서 상기 극성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일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ethylpropyl carbonate),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thylpropyl carbonate),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thylethyl carbonate), 에틸 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ethyl fluoroethyl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및 부틸렌카보네이트(butylenes carbo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전해질의 가소제(plasticizer)로 사용되며,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겔 폴리머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00 중량부 또는 1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25 이하일 경우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ar solvent may be a carbonate-based compound. The carbonate-based compound is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methylpropyl carbonate, methylpropyl carbonate, ethylpropyl carbonate, methylethyl carbonate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fluoroethyl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and butylene carbonate. Can be. The carbonate-based compound is used as a plasticizer of the electrolyte, and can increas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because of its high dielectric constant.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f the carbonate-based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8 to 200 parts by weight or 10 to 1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ate compound is 25 or less, ionic conductivity may decrease.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글리콜계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리튬화합물 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7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전해질의 조성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부착 신뢰성이 우수한 겔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The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5 parts by weight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lithium compound, and 75 parts by weight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at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lycol-based oligomer. By controll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e above range, a gel polymer electrolyte having excellent adhesion reliability can be formed.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이형 필름 사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를 블록의 5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제 1 블록;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며, 화학식 2의 단위가 블록의 55 중량% 이상인 제 2 블록을 포함하며,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king a polymer electroly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 first block including 55 wt% or more of a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etween a plurality of release films;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a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wherein the unit of Chemical Formula 2 includes a second block having 55% by weight or more of the block and comprises a block copolymer forming a micelle structure. Coating; And curing the mixtur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4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4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5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5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이며, 화학식 2 에서 Q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카르복실기이다.In Formula 1, A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Q in Formula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B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32 carbon atoms or a carboxyl group.

상기 혼합물은 전술한, 글리콜계 올리고머, 리튬염 및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교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ixture may include a block copolymer forming a glycol-based oligomer, a lithium salt, and a micel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able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형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틱에시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이형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kind of the rele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Polyester resins,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a polyethylene naphthalate, a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imide resins; Acrylic resins; Styrene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Polycarbonate resins; Polylactic acid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Vinyl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and polyvinylidene chloride; Polyamide resins; Sulfone resins; Polyether ether ketone resins; Allyl resins; Alternatively, a release film formed of a mixture of the above resins may be us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는 10 nm 내지 400 nm 파장 범위의 광을 0.5 내지 5 J/cm2광량으로 조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수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Xe 램프, 수은램프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사용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uring may be made by irradiating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10 nm to 400 nm with an amount of 0.5 to 5 J / cm 2 light. Means for Irradiating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A device commonly used may be used. For example, an Xe lamp, a mercury lamp, or a metal halide lamp may be used.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 조성물의 점도는 25℃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000 cps 일 수 있고, 1,000 내지 5,000 cps 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 용액의 점도가 1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0,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공정 및 탈포 공정 불량으로 필름 형태의 코팅이 어려울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composition may be 10 to 100,000 cps, and 1,000 to 5,000 cps based on 25 ° C. When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less than 10 cps coating processability may be lowered, and when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xceeds 100,000 cps it may be difficult to coat the film form due to poor mixing and defoaming process.

본 출원은 또한,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전기변색소자는 제 1 전극; 전기변색층; 고분자 전해질;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이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전술한 블록 공중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마이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Exemplary electrochromic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irst electrode; Electrochromic layer; Polymer electrolytes;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polymer electrolyte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lock copolymer, the block copolymer may form a micell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electrolyte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전기변색층에 전하를 공급할수 있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투명전극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전도성 고분자, 은나노 와이어(Ag nanowire) 또는 메탈메쉬(Metal mes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OMO(Oxide/ Metal/ Oxide) 및 CTO(Cadm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lying charg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In one example,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a conductive polymer, an Ag nanowire, or a metal mesh. More specifically, ITO (Indium Tin Oxide), FTO (Fluor doped Tin Oxide), AZO (Aluminum doped Zinc Oxide), GZO (Galium doped Zinc Oxide), ATO (Antimony doped Tin Oxide), IZO (Indium doped Zinc Ox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obium doped Titanium Oxide (NTO), ZnO, Oxide / Metal / Oxide (OMO) and Cadmium Tin Oxide (CTO).

상기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투명 전도성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투명한 유리 기판상에 박막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1 nm 내지 1 ㎛ 범위 내에서, 150 nm 이상, 200 nm 이상, 또는 300 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투명전극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저 저항 구현을 위해 상기 투명전극은 800nm 이하, 700 nm 이하, 또는 500 nm 이하의 두께를 갖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전극은 전기변색소자의 광투과성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70% 내지 90% 범위일 수 있다.The method for form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provided by forming an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particles in a thin film form on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have a thickness of 150 nm or more, 200 nm or more, or 300 nm or more within the range of 1 nm to 1 μm.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the purpose of low resistance,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have a thickness of 800 nm or less, 700 nm or less, or 500 nm or less. In addition,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have a transmittance of 70% to 90% of visible light in order to sufficiently reflec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은 산화환원반응을 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 물질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착색 및 탈색의 변색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가능한 전기변색 물질로는, 전도성 고분자, 유기변색 물질 및/또는 무기변색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유기변색 물질로는 비올로겐, 안트라퀴논, 페노사이아진과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aterial undergoing a redox reaction, a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exhibit color change and discoloration by redox reaction. Examples of electrochrom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clude conductive polymers, organic chromic materials and / or inorganic chromic materials.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pyrrole, polyaniline, polypyridine, polyindole, polycarbazole, or the like, and an 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may be a material such as viologen, anthraquinone, phenocyaz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또한, 상기 무기변색물질은 Ti, Nb, Mo, Ta, W, V, Cr, Mn, Co, Ni, Rh, 및 Ir 의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은 산화환원반응에 있어서, 서로 상보적인 무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에 Ti, Nb, Mo, Ta 및 W 의 산화물인 환원성 무기변색물질, 구체적으로, TiO2, Nb2O5, MoO3, Ta2O5 및 WO3 중 하나 이상의 환원성 무기변색물질을 포함된 경우, 이온저장층에는 V, Cr, Mo, Co, Ni, Rh 및 Ir 의 산화물인 산화성 무기변색물질, 구체적으로, V2O5, CrO3, LixCoO2, LiNiOx(단, x는 1 내지 3), Rh2O3 및 IrO2 중 하나 이상의 산화성 무기변색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 oxides of oxides of Ti, Nb, Mo, Ta, W, V, Cr, Mn, Co, Ni, Rh, and Ir.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inorganic discoloring material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redox reaction. For example, a reducing in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that is an oxide of Ti, Nb, Mo, Ta, and W in the electrochromic layer, specifically, one or more of TiO 2 , Nb 2 O 5 , MoO 3 , Ta 2 O 5, and WO 3 When the reducing in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is included, the ion storage layer includes an oxidizing in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which is an oxide of V, Cr, Mo, Co, Ni, Rh and Ir, specifically, V 2 O 5 , CrO 3 , LixCoO 2 , LiNiO x (Wherein x is 1 to 3), an oxidative inorganic discoloration material of at least one of Rh 2 O 3 and IrO 2 may be included.

본 출원에서, 용어 「환원성 무기변색물질」 은 환원반응에 의해 착색이 이루어지는 물질을 의미하고, 용어 「산화성 무기변색물질」은 산화반응에 의해 착색이 이루어지는 물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reducible inorganic discoloration substance" means a substance which is colored by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term "oxidative inorganic discoloration substance" means a substance which is colored by an oxidation reaction.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착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10 % 내지 30 %이고, 탈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55 % 내지 75 %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은 50 nm 내지 400 nm 범위 내에서 350 nm 이하, 250 nm 이하, 150 nm 이하, 또는 12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가 50 nm 미만일 경우 변색을 위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기 어렵고, 15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박막의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할 수 없고, 소자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have a transmittance of 10% to 30% for visible light when colored and a range of 55% to 75% for visible light when decolored.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350 nm or less, 250 nm or less, 150 nm or less, or 120 nm or less within a range of 50 nm to 400 n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0 nm,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react for discoloration. If the thickness is greater than 150 nm,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the thin film may not be provided,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device may be reduced.

상기 이온저장층은, 착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5 % 내지 40 %이고, 탈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45 % 내지 80 %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은 10 nm 내지 400 nm 범위 내에서 350 nm 이하, 250 nm 이하, 150 nm 이하, 또는 12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 nm 미만일 경우 변색을 위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기 어렵고, 15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박막의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할 수 없고, 소자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may have a transmittance of 5% to 40% for visible light when colored and a range of 45% to 80% for visible light when decolored.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350 nm or less, 250 nm or less, 150 nm or less, or 120 nm or less within the range of 10 nm to 400 n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 nm,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react for discoloration. When the thickness is greater than 150 nm,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the thin film may not be provided,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device may be reduced.

본 출원에 따라 마이셀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와 가교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본 출원의 고분자 전해질은 전기변색소자에 적용시 전기변색소자의 광학 특성 및 쌍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a micellar block copolymer and a crosslinked polymer matrix exhibits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In addition,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and bi-st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t can improve the long-term durability.

도 1는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제조예 1에서 합성한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 구조를 확인하는 측정 결과이다.
도 3는 제조예 2에서 합성한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 구조를 확인하는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고분자 전해질의 종류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를 첨가한 경우의 내구성 테스트의 결과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co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the micelle structure of th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in Preparation Example 1.
3 is a measurement result for confirming the micelle structure of th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in Preparation Example 2. FIG.
Figure 4 is a graph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 electrolyte.
5 is a result of the durability test when the block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dded.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olymer electrolyte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Physical properties in this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제조예Production Example 1. 블록 공중합체(A1)의 제조 1.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A1)

원자 라디칼 이동 중합(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용 개시제 제조를 위하여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의 말단 히드록시(mPEG-OH) 1당량에 대해 트라이 에틸 아민(TEA) 3 당량과 2-브로모 아이소부트릴 브로마이드(2-bromo isobutyryl bromide) 2 당량을 넣고 반응시킨다. 불순물 제거를 위해 반응물을 다이에틸 에테르 용매에 용해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으며, 이를 2 회 반복한 후 건조하였다.3 equivalents of triethylamine (TEA) and 2-bromo isobutryl relative to 1 equivalent of terminal hydroxy (mPEG-OH) of polyethyleneglycol for the preparation of initiators for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Add 2 equivalents of 2-bromo isobutyryl bromide and react. The reactant was dissolved in diethyl ether solvent to remove impurities to recover the precipitate, which was repeated twice and dried.

제조한 개시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고분자의 말단에 브로민을 가지는데, 이를 반응 용매인 에탄올에 녹이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3 중량부 및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4.75 중량부를 투입한다. 고무막으로 플라스크를 봉하고 상온에서 교반시키면서 30 분간 질소를 버블링, 용존 산소를 제거한다. 이 후 플라스크를 60℃ 오일 배스에 담그어 촉매 용액 및 촉매 환원제를 투입하고 24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ATRP의 촉매로는 브롬화구리(CuBr2) 100ppm과 구리 대비 2당량의 트리스(2-피리딜메틸)아민(TPMA)을 아세토 나이트릴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촉매환원제로는 2,2'-아조비스(2.4-다이메틸 발러로나이트릴) (V-65)를 6 당량 (Cu 대비) 사용하였다.The prepared initiator has bromine at the end of the polyethylene glycol (PEG) polymer, which is dissolved in ethanol, a reaction solvent, and 43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4.75 parts by weight of hydroxy propyl methacrylate. The flask is sealed with a rubber film and bubbling nitrogen for 30 minutes while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to remove dissolved oxygen. Thereafter, the flask was immersed in a 60 ° C. oil bath, a catalyst solution and a catalyst reducing agent were added thereto,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24 hours. As a catalyst of ATRP, 100 ppm of copper bromide (CuBr 2) and 2 equivalents of tris (2-pyridylmethyl) amine (TPMA) relative to copper were dissolved in acetonitrile. As the catalyst reducing agent, 6 equivalents (relative to Cu) of 2,2'-azobis (2.4-dimethyl valeronitryl) (V-65) was used.

제조된 블륵 고분자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다. 이 것을 산소 압력하에서 60℃로 세팅된 오일배스에 담근 뒤 상기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히드록시 작용기에 대해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아크릴레이트 (AOI, 2-Isocyanatoethyl acrylate) 1 당량과 다이부틸틴 다이라우레이트(DBTDL) 0.1 당량을 넣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히드록시 작용기와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아크릴레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우레탄 반응시켜 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하였다. 반응이 끝난 뒤 차가운 아이소프로필 알코올:헥산=l:l 혼합 용액에 침전시켜 정제한다.The prepared black polymer is dissolved in ethyl acetate. It was immersed in an oil bath set at 60 ° C. under oxygen pressure, and then 1 equivalent of 2-isocyanatoethyl acrylate (AOI) and dibutyl to the hydroxy functional group of the hydroxy propyl methacrylate. 0.1 equivalent of tin dilaurate (DBTD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for 4 hours. The acryloyl group was introduced by urethane reaction of the hydroxy functional group with an isocyanate group of 2-isocyanatoethyl acrylate.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precipitated and purified in a cold isopropyl alcohol: hexane = l: l mixed solution.

제조예Production Example 2 내지 4. 블록 공중합체(A2, B1, B2)의 제조 2 to 4.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s (A2, B1, B2)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의 중합 시에 사용된 원료를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A block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 polymeriza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were adjusted at the ratios shown in Table 1 below.

분자량(Mw)Molecular Weight (Mw) 분산도(PDI)Dispersion (PDI) PEO:PMMA:AOI:DMAEMA (질량비)PEO: PMMA: AOI: DMAEMA (mass ratio) 제조예1(A1)Preparation Example 1 (A1) 12,00012,000 1.101.10 80:18:2:080: 18: 2: 0 제조예2(A2)Preparation Example 2 (A2) 11,00011,000 1.211.21 50:33:2:1550: 33: 2: 15 제조예3(B1)Preparation Example 3 (B1) 17,00017,000 1.161.16 50:42.5:2.5:550: 42.5: 2.5: 5 제조예 4(B2)Preparation Example 4 (B2) 15,00015,000 1.111.11 50:45:0:550: 45: 0: 5

PEO: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 ethylene oxide)PEO: Polyethylene Oxide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AOI: 이소시아네이토에틸아크릴레이트 (2-Isocyanatoethyl acrylate)AOI: isocyanatoethyl acrylate (2-Isocyanatoethyl acrylate)

DMAEMA: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 N, 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1. 공중합체 특성 평가1. Evaluation of copolymer properties

(1) 공중합체 생성 확인(1) Confirmation of copolymer formation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공중합체(A1, A2) 0.3g을 폴리카보네이트 용매 10g에 용해시키고, 24시간 후 입도 분석(DLS) 측정을 수행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의 크기는 공지이며 약 300 내지 400㎚의 크기를 갖는다.0.3 g of the copolymer (A1, A2) prepared in the above preparation was dissolved in 10 g of a polycarbonate solvent, and particle size analysis (D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fter 24 hours. The size of the micelles of the polyethylene oxide-polymethyl methacrylate block copolymers is known and has a size of about 300 to 400 nm.

제조예 1(A1)의 측정 결과를 하기 도 2에 도시하였으며, 용액 내에 371.5d·㎚ 크기의 입자가 약 48% 존재하므로 전체 블록 공중합체 중 48%가 마이셀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results of Preparation Example 1 (A1) are shown in FIG. 2, and since about 48% of particles having a size of 371.5 d · nm exist in the solution, 48% of the total block copolymers may form a micelle structure.

제조예 2(A2)의 측정 결과를 하기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용액 내에 355.5d·㎚ 크기의 입자가 약 42% 존재하므로 전체 블록 공중합체 중 42%가 마이셀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results of Preparation Example 2 (A2) are shown in FIG. 3, and since about 42% of particles having a size of 355.5 d · nm exist in the solu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42% of the entire block copolymers form a micelle structure.

(2) 분자량 및 구성비(2) molecular weight and composition ratio

제조된 블록 고분자의 블록비 및 분자량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여 상기 표 1에 도시하였다.The block ratio and molecular weight of the prepared block polymer were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are shown in Table 1 above.

구체적으로, 촉매를 완전히 제거한 고분자 용액의 정제단계를 거쳐 고형화 한 다음, 핵자기공명(1H NMR)분석을 통해 블록 고분자의 블록비를 확인하였다. 고분자 용액의 정제는 알루미나 컬럼을 통과하여 구리 착화합물 촉매를 제거한 다음 교반중인 과량의 디에틸에테르에 적하하여 잔류 단량체를 제거하여 고형화하였다. 고형화된 고분자를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정제한 블록 고분자는 CDCl3용매에 용해하여 핵자기공명(1H NMR) 분석장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중결합 말단의 CH2=C(CH3)- 로부터 유래되는 1H 피크는 확인되지 않았고, 이를 통해 미반응 단량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틸렌글리콜 블록 말단의 -OCH3 에서 유래된 3H 피크가 3.2 ppm 부근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각 고분자 블록의 비율과 분자량을 계산하였다. 고분자로 형성된 에틸렌글리콜의 -CH2CH2O- 로부터 유래된 450 H 가량의 피크(4H X 반복단위 113개)가 3.6 내지 3.8 ppm 영역에서 나타나며, 고분자로 형성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주쇄에 인접한 -CH3 로부터 유래된 3H 피크가 3.5 내지 3.6 ppm 영역에서 나타나므로, 이의 면적비를 계산하여 각 구성 단량체의 함량을 질량 분율로 계산하였다. 고분자로 형성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COO- 에 인접한 -OCH2- 로부터 유래된 2H 피크가 각각 4.0 내지 4.2 ppm 와 3.9 내지 4.0 ppm 영역에서 나타나므로 이의 면적비를 통해 각 구성 단량체의 함량을 질량 분율로 계산하였다.Specifically, after the solidification through the purification step of the polymer solution completely removed the catalyst, the block ratio of the block polymer was confirmed through nuclear magnetic resonance ( 1 H NMR) analysis. Purific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n alumina column to remove the copper complex catalyst, followed by dropwise addition of excess diethyl ether while stirring to solidify by removing residual monomer. The solidified polymer was dried in a vacuum oven for 24 hours. The block polymer purified by the above method was dissolved in CDCl 3 solvent and measur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 1 H NMR) analysis equipment. As a result, the 1H peak derived from CH 2 = C (CH 3 )-at the end of the acrylate monomer double bond was not confirmed, and it was confirmed that no unreacted monomer was present. In addition, a 3H peak derived from -OCH 3 at the end of the ethylene glycol block was found in the vicinity of 3.2 ppm, and the ratio and the molecular weight of each polymer block were calculated based on this. Approximately 450 H peaks (113 4H X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CH 2 CH 2 O- of the ethylene glycol formed of the polymer appear in the 3.6 to 3.8 ppm region, and are adjacent to the main chain of methyl methacrylate formed of the polymer. Since the 3H peak derived from CH3 appeared in the 3.5 to 3.6 ppm region, the area ratio thereof wa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content of each constituent monomer as a mass fraction. 2H peaks derived from -OCH 2 -adjacent to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2-isocyanatemethyl acrylate COO- formed of the polymer appear in the range of 4.0 to 4.2 ppm and 3.9 to 4.0 ppm, respectively. The content of monomers was calculated by mass fraction.

실시예Example 1 One

코팅액의 제조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A1) 1.25g, 리튬염 및 용매 10g, 글리콜계 올리고머 3.75g, 가교성 모노머 0.3g 및 광개시제 0.03g의 혼합액을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해 잘 섞이도록 600rpm 으로 3시간 이상 혼합해 준다. 이후 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용기의 뚜껑을 살짝 열고 3 시간 방치한다. 모든 과정은 UV 가 차단되는 옐로룸(yellow room)의 상태에서 진행한다.600rpm so that a mixture of 1.25 g of the block copolymer (A1)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10 g of a lithium salt and a solvent, 3.75 g of a glycol-based oligomer, 0.3 g of a crosslinkable monomer, and 0.03 g of a photoinitiator was mixed well using a homogenizer. Mix for 3 hours or more. Then, open the lid of the container slightly to remov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solution and leave for 3 hours. The whole process takes place in a yellow room with UV protection.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Preparation of Polymer Electrolyte

상기 코팅액을 이형필름 사이에 일정량 도포한 후 필름을 덮어준다. 이 후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s applicator)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만들어 준다. UV 경화 장치에 넣고 1 분간 경화시키면 프리스탠딩 필름(freestanding film) 상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의 투과도, 혼탁도, 이온전도도 등을 측정하였다. The coating solution is coated in a certain amount between the release film and then the film is covered. After that, make a uniform thickness using Bakers applicator. When placed in a UV curing apparatus and cured for 1 minute, a polymer electrolyte in a freestanding film state can be obtained. Permeability, turbidity, ion conductivity, etc. of the formed polymer electrolyte were measured.

전기변색소자의 제조Prepar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

ITO 필름 상에 WO3 와 PB 와 같은 전기변색층을 준비한 뒤, 이형필름 상에 균일한 두께로 경화되어 있는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전기 변색층 위에 라미네이션 하여 양쪽에 전기 변색층을 샌드위치 형태로 접합하였다. 인가 전압에 따른 소자의 성능을 측정하였다.After preparing electrochromic layers such as WO 3 and PB on the ITO film, the polymer electrolyte film cured to a uniform thickness on the release film was laminat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was bonded to both sides in a sandwich form.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was measured.

실시예Example 2 및  2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2 1 to 2

코팅액의 제조 시에 각 성분 및 비율을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A polymer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each component and the ratio of the coating solution were adjus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리튬염 및 용매 (g)Lithium salt and solvent (g) 블록 공중합체(g)Block copolymer (g) 글리콜계 올리고머(g)Glycol-based oligomers (g) 가교성 모노머 (g)Crosslinkable monomer (g) 광 개시제 (g)Photoinitiator (g) 실시예 1Example 1 1010 1.25(A1)1.25 (A1) 3.753.75 0.30.3 0.030.03 실시예 2Example 2 1010 1.67(A2)1.67 (A2) 3.333.33 0.30.3 0.030.0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10 00 1010 0.30.3 0.030.0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10 1.25(B1)1.25 (B1) 3.753.75 0.50.5 0.030.0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10 0.83(B2)0.83 (B2) 4.174.17 0.30.3 0.030.03

리튬염 및 용매: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에 용해되어 있는 LiClO4 (1M 농도, 리튬염 1.66g을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용매 8.34g에 용해)Lithium salt and solvent: LiClO 4 dissolved in propylene carbonate (1M concentration, 1.66 g of lithium salt dissolved in 8.34 g of propylene carbonate solvent)

글리콜계 올리고머: PPG(폴리프로필렌 그라이콜,polypropylene glycol) 기반의 올리고머Glycol-based oligomers: PPG (polypropylene glycol) based oligomers

가교성 모노머: AA (아크릴산, acrylic acid) Crosslinkable monomer: AA (acrylic acid)

광개시제:Irgacure 819 (Ciba사 제품)Photoinitiator: Irgacure 819 (manufactured by Ciba)

2. 전기변색소자의 특성 평가2. Characteriz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

(1) 이온전도도(1) ion conductivity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넓이(A)와 두께(t)를 가지는 겔 고분자 전해질 샘플을 준비하였다. 판상의 샘플 양면에 이온 차단 전극 (ion blocking electrode)로서 전자 전도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SUS) 기판을 접촉시킨 후 샘플 양면의 전극을 통하여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다. 이 때, 인가되는 조건은 진폭이며 측정 추파수는 0.1Hz 내지 10Hz 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측정된 임피던스 궤적의 반원이나 직선이 실수축과 만나는 교점(Rb)으로부터 벌크 전해질의 저항을 구하고 아래의 수식과 같이 샘플의 넓이(A)와 두께(t)로부터 이온전도도를 구하였다.Gel polymer electrolyte samples having a constant width (A) and thickness (t) were prepared to measure impedance. A stainless steel (SUS) substrate having excellent electronic conductivity as the ion blocking electrode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ample on the plate, and an alternating voltage was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sample. At this time, the applied condition was an amplitude and the measurement frequency was set in the range of 0.1 Hz to 10 Hz. The bulk electrolyte resistance was obtained from the intersection (Rb) of the measured semicircle or straight line of the impedance trajectory, and the ion condu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width (A) and the thickness (t) of the sample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6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6

(2) 투과도 및 혼탁도(2) permeability and turbidity

고분자 전해질 필름의 투과도는 UV-Vis spectrum 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혼탁도 (haze)는 Td/Tt 를 뜻하며,값이 작을수록 투명한 필름임을 의미한다. 이는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즉정하였다.The transmittan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film was measured based on the 550 nm wavelength of the UV-Vis spectrum. Haze means Td / Tt, and a smaller value means a transparent film. This was instantiated using a haze meter.

(3) 착색 투과율 및 탈색 투과율(3) Color transmittance and decolorization transmittance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2V, +2V 의 전압을 100 초씩 인가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였다. 착색/탈색시의 투과도는 착색 또는 탈색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한지 90초 이상이 되었을 때 UV-Vis spectrum 의 550nm 파장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Applying voltages of -2V and + 2V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every 100 seconds was set as one cycle. Transmittance during coloring / bleaching was measured based on the 550nm wavelength of the UV-Vis spectrum when the voltage was applied for 90 seconds or more in the coloring or decolorizing state.

(4) (4) 쌍안정Bistable 테스트( Test( BistabilityBistability Test) Test)

전기변색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탈색 상태로 만든 후, 인가하던 전압을 끊고 시간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After the voltage wa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make it decolorized, the applied voltage was cut off and the change of transmittance with time was measured.

(5) 내구성 평가(5) durability evaluation

전기변색 소자에 대하여 전위가변기(Potentiostat)를 이용하여 -2V, +2V의 전압을 50초씩 인가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였다. 상기 사이클을 반복하여 전하량을 측정하였다.A voltage of -2V and + 2V was applied every 50 seconds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using a potentiometer. The cycle was repea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charge.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 표 4 및 도 5과 같다.Phys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for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shown in Table 3, Table 4 and FIG.

투과도(%)Permeability (%) 혼탁도(%)Turbidity (%) 이온전도도(S/㎝)Ion Conductivity (S / cm) 부착신뢰성Reliability 실시예 1Example 1 95.395.3 1.21.2 1.39×10-3 1.39 × 10 -3 실시예 2Example 2 95.095.0 1.61.6 1.42×10-3 1.42 × 10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3.893.8 1.11.1 3.48×10-4 3.48 × 10 -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93.493.4 0.90.9 3.13×10-4 3.13 × 10 -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93.093.0 1.31.3 7.46×10-4 7.46 × 10 -4

착색 투과율(%)Color transmittance (%) 탈색 투과율(%)Decolorization transmittance (%) △T△ T 실시예 1Example 1 3333 7979 4646 실시예 2Example 2 2323 8686 636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3333 6868 353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3030 7373 434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232 7272 4040

△T = 탈색시 가시광선 투과율 - 착색시 가시광선 투과율ΔT = visible light transmittance when decolorized-visible light transmittance when colored

상기 표 3 및 4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투과도가 높고 혼탁도가 낮아 투명성이 확보되나, 실시예 1 및 2의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이온전도도가 높고, 탈색시 가시광선 투과율과 착색시 가시광선 투과율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전기변색소자로 사용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확인할수 있듯이 쌍안정성(Bistability)이 우수한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s 3 and 4, bot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ave high transmittance and low turbidity to ensure transparenc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s large when the color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used as an excellent performanc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excellent bistability may be provided, and as illustrated in FIG. 5,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may be provided.

Claims (1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를 블록의 5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제 1 블록;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며, 화학식 2의 단위가 블록의 55 중량% 이상인 제 2 블록을 포함하며,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블록이 상기 마이셀 구조의 코어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셀 구조의 코어가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112019095210191-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9095210191-pat00008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이며, 화학식 2 에서 Q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카르복실기이다.
A first block comprising at least 55 wt% of a block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a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wherein the unit of Chemical Formula 2 includes a second block having 55% by weight or more of the block, and includes a block copolymer forming a micelle structure.
The second block forms a core of the micelle structure,
A polymer electrolyte in which the core of the micelle structure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Formula 1]
Figure 112019095210191-pat00007

[Formula 2]
Figure 112019095210191-pat00008

In Formula 1, A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Q in Formula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B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32 carbon atoms or a carboxyl grou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3]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9

화학식 3 에서 Q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이고, Y는 -OR2 또는 -NR3R4이며,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2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2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카르복실기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further comprises a unit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Formula 3]
Figure 112016105794478-pat00009

In Formula 3,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X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Y is -OR 2 or -NR 3 R 4 , and R 2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And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32 carbon atoms, an aromatic hydrocarbon or carboxyl group having 6 to 32 carbon atoms, and m is an integer of 1 to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의 질량비가 1:9 내지 9:1인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copolymer has a mass ratio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of 1: 9 to 9: 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PDI)가 1.0 내지 1.3 인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copolymer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of about 1.0 to about 1.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고분자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electrolyte.
제 1항에 있어서, 글리콜계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lycol-based oligom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계 올리고머의 일부가 블록 공중합체의 제 2 블록과 가교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8. The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art of the glycol oligomer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with the second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제 1항에 있어서, LiF, LiCl, LiBr, LiI, LiClO4, LiClO3, LiAsF6, LiSbF6, LiAlO4, LiAlCl4, LiNO3, LiN(CN)2, LiPF6, Li(CF3)2PF4, Li(CF3)3PF3, Li(CF3)4PF2, Li(CF3)5PF, Li(CF3)6P, LiSO3CF3, LiSO3C4F9, LiSO3(CF2)7CF3, LiN(SO2CF3)2, LiN(SO2CaF2a+1)(SO2CbF2b+1)(단, a 및 b는 자연수임), LiOC(CF3)2CF2CF3, LiCO2CF3, LiCO2CH3, LiSCN, LiB(C2O4)2, LiBF2(C2O4) 및 LiBF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LiF, LiCl, LiBr, LiI, LiClO 4 , LiClO 3 , LiAsF 6 , LiSbF 6 , LiAlO 4 , LiAlCl 4 , LiNO 3 , LiN (CN) 2 , LiPF 6 , Li (CF 3 ) 2 PF 4 , Li (CF 3 ) 3 PF 3 , Li (CF 3 ) 4 PF 2 , Li (CF 3 ) 5 PF, Li (CF 3 ) 6 P, LiSO 3 CF 3 , LiSO 3 C 4 F 9 , LiSO 3 (CF 2 ) 7 CF 3 , LiN (SO 2 CF 3 ) 2 , LiN (SO 2 CaF 2a + 1 ) (SO 2 C b F 2b + 1 ) (where a and b are natural numbers), LiOC (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F 3 ) 2 CF 2 CF 3 , LiCO 2 CF 3 , LiCO 2 CH 3 , LiSCN, LiB (C 2 O 4 ) 2 , LiBF 2 (C 2 O 4 ) and LiBF 4; A polymer electrolyte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lar solven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에테르계 화합물 및 에스테르계 화합물 중 1종 이상인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0, wherein the polar solvent is at least one of a carbonate compound, an ether compound, and an ester compound.
제 1항에 있어서, 가교성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The polymer electrolyt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rosslinkable monomer.
삭제delete 제 1 전극; 전기변색층; 제 1항의 고분자 전해질; 이온 저장층; 및 제 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A first electrode; Electrochromic layer; Claim 1 polymer electrolyte; Ion storag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KR1020160142873A 2016-10-31 2016-10-31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2071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73A KR102071912B1 (en) 2016-10-31 2016-10-31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73A KR102071912B1 (en) 2016-10-31 2016-10-31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28A KR20180047128A (en) 2018-05-10
KR102071912B1 true KR102071912B1 (en) 2020-01-31

Family

ID=6218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873A KR102071912B1 (en) 2016-10-31 2016-10-31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821A1 (en) * 2019-10-28 2021-05-06 Sage Electrochromics, Inc. Non-light-emitting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and a light-emitting device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4879A (en) 2001-06-08 2004-11-18 ラボファー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ater-soluble stable self-assembled polyelectroly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91A (en) * 2011-07-29 2013-02-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37989A (en) * 2012-09-18 2014-03-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EP3040354B1 (en) * 2013-08-30 2020-11-04 LG Chem, Ltd. Block copolymer
KR102207927B1 (en) * 2014-07-14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lyte, lithium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 electrolyte
CN109843951B (en) * 2016-10-31 2021-07-30 株式会社Lg化学 Gel polymer electrolyte,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4879A (en) 2001-06-08 2004-11-18 ラボファー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ater-soluble stable self-assembled polyelectroly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28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8498B2 (en) Gel polymer electrolyte, method for producing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752010B2 (en) Light control element
CN103917617B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CN103930510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having adhesive lay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CN102796475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CN104981529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acrylic-based or cycloolefin-based polarizing film, adhesive layer, acrylic-based or cycloolefin-based polarizing film having adhesive lay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KR20210096070A (en)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KR20210095853A (en)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touch sensing func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KR102071912B1 (en)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N113667410B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Electrolyte
KR20170111939A (en) Gel Polymer Electolyt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EP2821458B1 (en) Electrolyte solution, printing method thereof and resulting solid electrolyte
CN105585677B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phoretic particle, electrophoretic dispersion liquid, electrophoretic sheet, electrophore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50311A (en)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KR101716799B1 (en)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US9958753B2 (en) Electrophoresis dispersion liquid
EP3444663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36548B1 (en) An electrolyte composition, an electrolyte film,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WO2023160710A1 (en) Resin, method for preparing resin, and use of resin
KR101781144B1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136547B1 (en) An electrolyte composition, an electrolyte film,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KR101718370B1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KR20240030284A (en) Ion gel,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6208B1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3081667A1 (en) Electrochromic gels and devices con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