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08B1 - 전자기기 수납용 랙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수납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08B1
KR102071808B1 KR1020180132114A KR20180132114A KR102071808B1 KR 102071808 B1 KR102071808 B1 KR 102071808B1 KR 1020180132114 A KR1020180132114 A KR 1020180132114A KR 20180132114 A KR20180132114 A KR 20180132114A KR 102071808 B1 KR102071808 B1 KR 10207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rame
locking
unit
whee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현
송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주식회사 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주식회사 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수납용 랙{RACK FOR CONTAIN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수납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펄스(Electromagnetic Pulse: 이하, EMP라 함.)는 낙뢰 등에 의한 자연발생적 또는 전자폭탄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자폭탄 등에 의한 EMP는 고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산, 전자, 통신, 컴퓨터 장비 등을 무력화시킴으로써 국방 전산정보시스템, 행정 전산시스템, 금융전산정보시스템 등의 손상과 파괴로 국방, 금융, 산업 기반에 막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EMP에 노출된 전자기기들은 큰 에너지 펄스의 영향에 의해 오작동 내지는 파손에 이르는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업무의 기능을 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는 외부의 예상치 못한 EMP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방호랙 또는 방호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EMP 방호랙 또는 실드룸(Shiled Room)이라 불리는 방호시설이 국내외적으로 IEC 등에서 규격화되는 등 EMP의 차폐시설 또는 방호시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7869호(2015.08.27. 공고)
본 발명은 함체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 프레임 및 수납 프레임의 인출입에 연동하여 언폴딩되는 휠 유닛을 통하여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개방되는 함체, 함체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함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기기를 수납 가능한 수납 프레임, 일단이 수납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언폴딩 되어 함체 외부로 노출되는 휠 유닛, 및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연동되어 함체 외부로 노출되어 언폴딩된 휠 유닛을 고정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이 제공된다.
록킹 유닛은 수납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하면서 휠 유닛을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휠 유닛은 일단이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언폴딩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휠, 및 지지 부재의 언폴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휠 유닛은 일단이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지지 부재로부터 언폴딩되는 보조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양단이 지지 부재의 일단과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이 지지 부재의 일단을 향해 언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록킹 부재의 일측 하부에는 휠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고, 휠 유닛은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이 걸림홈에 삽입되어 지지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납 프레임이 함체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수납 프레임 측으로 폴딩되는 휠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휠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휠 하우징의 양측에는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가이드 돌기를 하측으로 안내하여 지지 부재와 보조 지지 부재의 언폴딩을 유도하는 인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휠 하우징에 걸려 록킹 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록킹 부재를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유닛은 가이드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휠 하우징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휠 하우징에 걸릴 수 있다.
수납 프레임의 인입에 연동되어 휠 유닛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 해제 유닛은 일단이 록킹 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 및 일단이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는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스토퍼 유닛이 휠 하우징에 걸림에 따라 하측으로 폴딩되어 가이드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록킹 해제 유닛은 수납 프레임의 인입에 따라 록킹 부재가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하도록 제1 링크 부재의 타단과 제2 링크 부재의 일단을 가이드 부재 측으로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를 언폴딩시키는 캠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 프레임 및 수납 프레임의 인출입에 연동하여 언폴딩되는 휠 유닛을 통하여 수납 프레임이 인출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작업 용이성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의 인출입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의 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의 인입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이 개방되는 함체(110), 함체(110)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함체(11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기기를 수납 가능한 수납 프레임(120), 일단이 수납 프레임(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함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언폴딩되는 휠 유닛(130), 및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연동되어 함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언폴딩된 휠 유닛(130)을 고정시키는 록킹 유닛(140)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100)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110)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납 프레임(120) 및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입에 연동하여 언폴딩되는 휠 유닛(130)을 통하여 수납 프레임(1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작업 용이성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랙(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체(110)는 전자기펄스(Electromagnetic Pulse: 이하, EMP라 함.)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EMP로부터 내부에 수납되는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EMP는 낙뢰 등에 의한 자연발생적 또는 전자폭탄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자폭탄 등에 의한 EMP는 고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순식간에 발생시켜 전산, 전자, 통신, 컴퓨터 장비 등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는 함체(110)의 개방된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 또한 함체(110)와 같이 EMP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프레임(120)은 함체(110)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함체(11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납 프레임(120)은 함체(11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함체(110)로부터 인출입될 수 있으며, 수납 프레임(120)의 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프레임(120)은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은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수납 프레임(120)에 수납되는 전자기기를 보다 외부 방향으로 인출시켜 전자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넓혀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유닛(130)은 일단이 수납 프레임(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언폴딩되어 함체(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휠 유닛(130)은 일단이 가이드 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수납 프레임(120)으로부터 언폴딩되는 지지 부재(132), 지지 부재(132)의 타단에 결합되는 휠(134), 및 지지 부재(132)의 언폴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휠 유닛(130)은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및 탄성 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언폴딩될 수 있으며, 휠(134)은 휠 유닛(13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지면을 따라 회전 운동하여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입을 보조할 수 있으며,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수납 프레임(120)에 수납되는 전자기기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 부재(138)는 일단이 지지 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지지 부재(132)로부터 언폴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후술할 휠 하우징(150)의 인출 가이드부(152)에 의해 휠 유닛(130)의 언폴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36)는 양단이 지지 부재(132)의 일단과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이 지지 부재(132)의 일단을 향해 언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36)는 인장에 저항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탄성 부재(136)는 양단이 지지 부재(132)의 일단과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에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인장된 상태로 있다가 수납 프레임(120)이 인출되면서 압축력이 작용하여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을 지지 부재(132)의 일단 방향으로 언폴딩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이 후술할 걸림홈(146)에 삽입되어 지지됨에 따라 지지 부재(132)는 수납 프레임(120)으로부터 언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9)는 후술할 휠 하우징(150)에 형성되는 인출 가이드부(152)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부재(132)와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언폴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유닛(140)은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연동되어 함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언폴딩된 휠 유닛(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 유닛(140)은 수납 프레임(120)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42), 및 가이드 부재(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수납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하면서 휠 유닛(130)을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144)의 일측 하부에는 휠 유닛(13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146)이 형성될 수 있고, 휠 유닛(130)은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이 걸림홈(146)에 삽입되어 지지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1), (b1), (c1) 및 (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연동하여 인출 가이드부(152)와 가이드 돌기(139) 및 탄성 부재(136)가 작동하여 휠 유닛(130)이 수납 프레임(120)으로부터 언폴딩되고 보조 지지 부재(138)가 지지 부재(132)의 일단 방향으로 언폴딩되며, 후술할 스토퍼 유닛(160)에 의해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이 걸림홈(146)에 삽입되어 휠 유닛(13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하우징(150)은 수납 프레임(120)이 함체(110)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수납 프레임(120) 측으로 폴딩되는 휠 유닛(13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휠 하우징(150)은 가이드 부재(142) 및 록킹 부재(144)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하우징(150)의 양측에 형성되는 인출 가이드부(152)는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상술한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39)를 하측으로 안내하여 지지 부재(132)와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언폴딩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휠 하우징(150)의 양측에 형성되는 인출 가이드부(152)는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 가이드 돌기(139)를 하측으로 밀어내 보조 지지 부재(138)의 언폴딩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연동하여 지지 부재(132)가 언폴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160)은 록킹 부재(144)의 타측에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휠 하우징(150)에 걸려 록킹 부재(144)의 이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록킹 부재(144)를 수납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 유닛(160)에 의한 록킹 부재(144)의 이동 정지는 상술한 보조 지지 부재(138)의 걸림홈(146) 삽입을 유도하여 휠 유닛(130)을 언폴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160)은 가이드 부재(14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휠 하우징(15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휠 하우징(150)에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 유닛(160)은 일단이 록킹 부재(14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 부재(14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 시 휠 하우징(15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2)에는 스토퍼 유닛(160)이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 유닛(160)의 타단은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휠 하우징(150)에 걸릴 수 있다.
스토퍼 유닛(160)에 의해 록킹 부재(144)의 인출이 정지되고 가이드 부재(142)는 록킹 부재(144)보다 더 인출될 수 있으며, 이후 가이드 부재(142)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이 스토퍼 유닛(160)에 걸려 가이드 부재(142)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휠 하우징(150)의 상부는 스토퍼 유닛(160)의 타단이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 유닛(160)의 타단에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해제 유닛(170)은 수납 프레임(120)의 인입에 연동되어 휠 유닛(1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록킹 해제 유닛(170)은 일단이 록킹 부재(144)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172), 및 일단이 제1 링크 부재(17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가이드 부재(14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76)는 수납 프레임(120)의 인입에 따라 록킹 부재(144)가 수납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하도록 제1 링크 부재(172)의 타단과 제2 링크 부재(174)의 일단을 가이드 부재(142) 측으로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제1 링크 부재(172)와 제2 링크 부재(174)를 언폴딩시킬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캠 부재(176)는 함체(110) 내측 하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으며, 수납 프레임(120)의 인입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72)의 타단과 제2 링크 부재(174)의 일단은 캠 부재(176)의 경사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휠 유닛(130)의 고정을 해제하여 휠 유닛(130)을 폴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통하여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연동되는 휠 유닛(130)의 언폴딩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의 (a1)은 수납 프레임(120)이 인입된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휠 유닛(130)은 휠 하우징(15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4의 (b1)과 같이, 수납 프레임(120)의 인출에 따라서 휠 유닛(130)이 휠 하우징(15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휠 유닛(130)은 인출 가이드부(152)와 가이드 돌기(139)의 작용 및 탄성 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언폴딩될 수 있다. 도 4의 (c1)과 같이, 휠 유닛(130)이 언폴딩되고 수납 프레임(120)이 일정 거리 인출되면, 록킹 부재(144)에 결합되는 스토퍼 유닛(160)은 휠 하우징(150)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걸려 록킹 유닛(140)을 정지시킨다. 이 때, 록킹 부재(144)가 가이드 부재(142)에 대하여 도 4의 (d1)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후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 지지 부재(138)의 타단이 록킹 부재(144)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146)에 삽입되어 휠 유닛(130)의 언폴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통하여 수납 프레임(120)의 인입에 연동되는 휠 유닛(130)의 폴딩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a2)는 수납 프레임(120)이 인출된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휠 유닛(130)은 언폴딩된 상태로 록킹 유닛(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5의 (b2)와 같이, 수납 프레임(120)의 인입에 따라서 휠 유닛(130)도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링크 부재(172)의 타단과 제2 링크 부재(174)의 일단은 캠 부재(176)의 일단과 접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172)의 타단과 제2 링크 부재(174)의 일단이 캠 부재(17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제1 링크 부재(172)의 일단과 결합된 록킹 부재(144)가 가이드 부재(1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할 수 있다, 이 때, 도 5의 (c2)와 같이 보조 지지 부재(138)가 걸림홈(146)으로부터 빠져나와 휠 유닛(13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수납 프레임(120)이 계속하여 인입되어 도 5의 (d2)와 같이, 휠 유닛(130)은 휠 하우징(150)에 걸려 폴딩되어 휠 하우징(15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휠 유닛(130)이 폴딩되면서 탄성 부재(136)는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자기기 수납용 랙
110: 함체
120: 수납 프레임
130: 휠 유닛
132: 지지 부재
134: 휠
136: 탄성 부재
138: 보조 지지 부재
139: 가이드 돌기
140: 록킹 유닛
142: 가이드 부재
144: 록킹 부재
146: 걸림홈
150: 휠 하우징
152: 인출 가이드부
160: 스토퍼 유닛
170: 록킹 해제 유닛
172: 제1 링크 부재
174: 제2 링크 부재
176: 캠 부재

Claims (11)

  1. 일면이 개방되는 함체;
    상기 함체로부터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기기를 수납 가능한 수납 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납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언폴딩되어 상기 함체 외부로 노출되는 휠 유닛; 및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연동되어 상기 함체 외부로 노출되어 언폴딩된 상기 휠 유닛을 고정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수납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상기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하면서 상기 휠 유닛을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유닛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언폴딩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휠;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언폴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 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언폴딩되는 보조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양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과 상기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을 향해 언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휠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휠 유닛은 상기 보조 지지 부재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지지됨에 의해 고정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이 상기 함체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수납 프레임 측으로 폴딩되는 상기 휠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휠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휠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상기 가이드 돌기를 하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 부재의 언폴딩을 유도하는 인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상기 휠 하우징에 걸려 상기 록킹 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를 상기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진시키는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휠 하우징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상기 휠 하우징에 걸리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입에 연동되어 상기 휠 유닛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은,
    일단이 상기 록킹 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출 시 상기 스토퍼 유닛이 상기 휠 하우징에 걸림에 따라 하측으로 폴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인입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수납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하도록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일단을 상기 가이드 부재 측으로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를 언폴딩시키는 캠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랙.
KR1020180132114A 2018-09-07 2018-10-31 전자기기 수납용 랙 KR102071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6787 2018-09-07
KR1020180106787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808B1 true KR102071808B1 (ko) 2020-01-30

Family

ID=693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14A KR102071808B1 (ko) 2018-09-07 2018-10-31 전자기기 수납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352A (ko) * 2009-11-13 2012-08-22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롤-인 푸쉬 접이식 침대
KR101547869B1 (ko) 2015-02-24 2015-08-27 주식회사 씨엔씨알 Emp 방호용 랙
KR20170138663A (ko) * 2016-06-08 2017-12-18 (주)화이버 옵틱코리아 드론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352A (ko) * 2009-11-13 2012-08-22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롤-인 푸쉬 접이식 침대
KR101547869B1 (ko) 2015-02-24 2015-08-27 주식회사 씨엔씨알 Emp 방호용 랙
KR20170138663A (ko) * 2016-06-08 2017-12-18 (주)화이버 옵틱코리아 드론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282B2 (en) Libra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87933B2 (en) Cable management apparatus
US6621692B1 (en) Computerized system having an interface apparatus with improved mounting features
US6935661B1 (en) Access panel latching system
US7443661B2 (en) Protection device for connectors
US6826055B2 (en) Movable module for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9001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midplane within a computer chassis
TWI598026B (zh) 具有連環鎖裝置的滑軌總成
US5831822A (en) Personal computer having quick-release cooling fan
MX2009001629A (es) Concentrador de distribucion de fibras.
US868150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071808B1 (ko) 전자기기 수납용 랙
US7782600B2 (en) Access self-service terminal
TW202015299A (zh) 理線總成
US20110149524A1 (en) Enclosure with access panel
US8292641B2 (en) Contact terminal covering device
US4227237A (en) Electronic component cabinet
JP2011187715A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及びラックマウントホルダ
JP6143364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ー機構
US10121303B2 (en) Cashbox and self-service terminal device using cashbox
KR101941481B1 (ko) 전장박스 도어의 인터록 장치
KR102663163B1 (ko) 비상 강제 도어 개폐장치
KR102032719B1 (ko) 브라켓과 선반을 포함하는 거치대
CN110557916B (zh) 可用于机架系统与滑轨总成的托架装置
KR101764628B1 (ko)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