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513B1 - 교정용 베개 - Google Patents

교정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513B1
KR102071513B1 KR1020190093305A KR20190093305A KR102071513B1 KR 102071513 B1 KR102071513 B1 KR 102071513B1 KR 1020190093305 A KR1020190093305 A KR 1020190093305A KR 20190093305 A KR20190093305 A KR 20190093305A KR 102071513 B1 KR102071513 B1 KR 10207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eating portion
thoracic
orthodontic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웅
Original Assignee
우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웅 filed Critical 우현웅
Priority to KR102019009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교정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질 소재와 경질 소재를 이용하여 편안함을 주면서도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신체 중 적어도 머리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교정유도부가 안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정용 베개{Pillow}
본 발명은 교정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도가 상이한 소재를 이용하여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교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은 신체의 성장과 재생, 생체에너지 회복, 면역력 강화 등의 측면에서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면의 중요성 인식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수면용품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수면용품 중 하나인 베개는 사전적으로 인체의 머리를 받치는 물건을 의미하나, 근래 목, 척추, 허리, 다리 등을 받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베개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 베개는 일정한 모양과 높이로 형성되도록 외피 속에 솜 등과 같은 충전재를 넣어 사용하며 이는 신체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신체의 특성을 고려한 기능성 베개로 불리우는 제품들도 소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내부체에 천과 같은 외피를 씌운 구조를 이루고 있어 머리나 목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과하게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305호 '기능성 베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6067호 '베개를 활용한 등 베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질 소재와 경질 소재를 이용하여 편안함을 주면서도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교정용 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체 중 적어도 머리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교정유도부가 안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머리부터 요추에 이르기까지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머리안착부, 경추안착부, 흉추안착부 및 요추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추안착부는 머리안착부와 흉추안착부보다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머리가 젖혀짐으로써 경추의 전만곡을 유도하고, 상기 흉추안착부는 상면이 경추안착부로부터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을 이루며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흉추의 후만곡을 유도하며, 상기 요추안착부는 요추의 일부만이 안착되어 요추의 전만곡을 유도하면서 요추가 바닥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유도부는 머리안착부에서 외후두융기와 측두골의 양측에 위치한 유양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교정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유도부는 경추안착부에서 경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형성된 제2 교정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유도부는 흉추안착부에서 흉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제3 교정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유도부는 흉추안착부에서 제3 교정유도부의 외측으로 견갑골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4 교정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가 제4 교정유도부는 극하근에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극하근지지부와, 상기 극하근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극상근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극상근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는 어깨까지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 소재의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하게 형성된 교정유도부가 신체 부위에 따라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는 수면하는 동안 연질 소재의 푹신함으로 인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유도부로 인해 통증유발점에 대한 자극과 근육 이완 등이 이루어져 신체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누은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를 이용시 사용자에게 유도되는 척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에 적용되는 교정유도부가 사용자에 대응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에 적용되는 제1 교정유도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에 적용되는 제2 교정유도부 또는 제3 교정유도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베개를 이용할 시 사용자의 팔이 놓여지는 위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연질 소재와 경질 소재를 이용하여 편안함을 주면서도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신체 중 적어도 머리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교정유도부가 안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교정용 베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교정용 베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중 적어도 머리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베개(A)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머리만 안착되거나 머리와 목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터 등까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개(A)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진 교정유도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연질 소재는 일 예로 13~30kg/314㎠ 경도를 가지는 부드러운 폴리우레탄이나 라텍스가 있으며, 상기 고경도 소재는 일 예로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고경도 폴리우레탄, 맥반석과 같은 견고한 암석, 복숭아 씨 등과 같은 단단한 물질, 고경도에 준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는 교정유도부(10)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정유도부(10)를 감싸는 연질 소재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정유도부(10)는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베개(A)에서 안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즉, 교정유도부(10)는 베개(A)를베고 누운 사용자의 신체에서 자극이 필요하거나 바른 자세 유도를 위해 교정이 필요한 부위가 안착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교정유도부(10)는 연질 소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는 수면하는 동안 교정유도부(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함께 교정유도부(10)가 형성된 부분에서도 연질 소재의 푹신함으로 인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유도부(10)로 인해 통증유발점에 대한 자극과 근육 이완 등이 이루어져 신체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베개(A)는 일 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머리부터 요추에 이르기까지 안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개(A)는 길이방향을 따라 머리안착부(100), 경추안착부(200), 흉추안착부(300) 및 요추안착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추안착부(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안착부(100)와 흉추안착부(300)보다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베개(A)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머리가 젖혀짐으로써 경추의 전만곡을 유도한다. 이러한 경추안착부(200)를 통해 사용자는 거북목을 교정할 수 있다. 상기 거북목은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를 말하는 것으로, 목 척추 즉, 경추가 전방을 향해 'C'자형으로 나와있어야 하나, '/'형태로 쭉 펴진 채 앞쪽으로 기울어진 일자목으로 되어 뒷목, 어깨, 허리 등에 통증이 생기는 증상을 의미한다.
경추안착부(200)는 인접한 머리안착부(100)에 비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바, 베개(A)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제쳐지며 후두골이 경추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제쳐지는 각도가 귀로부터 허리를 향해 일직선을 이루는 가상선으로부터 50~55°가 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경추안착부(200)의 최대 높이를 가지는 지점은 머리안착부(100) 및 흉추안착부(300)의 상면으로부터 최소 6cm 이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을 회전시킴에 있어 몸과 수직을 이루는 가상선으로부터 70~75°를 이루는 것이 정상운동영역이라 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형성된 경추안착부(200)는 사용자가 뒤척일 때도 목이 정상운동영역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경추의 교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흉추안착부(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추안착부(200)로부터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을 이루며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흉추의 후만곡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흉추안착부(300)가 이루는 곡면은 안착되는 흉추가 20~45°사이의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흉추가 안정적이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요추안착부(4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의 일부만이 안착되어 요추의 전만곡을 유도하면서 요추가 바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추안착부(400)의 상면이 바닥과 이루는 간격은 4~5cm 임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cm이다. 요추안착부(400)에는 1~5번 요추 중 1~2번 또는 1~3번 요추만이 안착되고 나머지 요추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 전체가 안착되지 않으면서 안착되지 않은 허리 부분이 바닥에 닿지 않게 되는바, 디스크와 협착을 가진 사용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교정유도부(1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머리안착부(10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와 측두골의 양측에 위치한 유양돌기에 대응되도록 제1 교정유도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후두융기는 승모근이 부착되는 부분으로 긴장도가 높아질 경우 승모근의 통증유발점을 만들며, 이로 인해 두통, 목과 어깨 통증을 발생시킨다. 또한, 유앙돌기는 흉쇄유돌근이 부착되는 부분으로 긴장도가 높아질 경우 목의 전면과 편두통, 턱관절 통증을 연쇄적으로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제1 교정유도부(11)에 의해 외후두융기와 유양돌기가 자극되므로 위와 같은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개를 돌렸을 때 외후두융기 아래와 유양돌기 아래에 위치한 제1 교정유도부(11)로 인해 근막이완점이 자극되어 통증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제1 교정유도부(1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후두융기와 유양돌기를 자극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태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교정유도부(11)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교정유도부(1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외후두융기와 유양돌기를 자극하면서 압력을 분산하여 머리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교정유도부(1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숭아 씨와 같이 단단하면서도 구 형태를 이루는 물질을 넣어 자극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평소 두통이나 편두통이 있는 사용자에게 자가근막이완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다른 일 예로, 제1 교정유도부(11)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가 다르게 형성된 폴리우레탄 층을 적층하여 돔 형태를 형성하면서, 상층으로 갈수록 경도와 탄성이 낮아지도록 하여 압력분산과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세로결이 형성되도록 하여 압력분산 효과에 탁월한 제1 교정유도부(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제1 교정유도부(11)의 상측은 13~3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라텍스로 이루어져 편안하게 두개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추안착부(20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사용자의 경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제2 교정유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제2 교정유도부(12)에 의해 경추부가 자극되면서 경추가 균형있게 배치되도록 하며, 경추 부근의 근육을 부드럽게 자극하여 근막이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제2 교정유도부(12)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태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 개의 돔 형태 사이의 중앙 지점에는 경추의 극돌기가 위치하게 되며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에는 경추 사이에 위치한 미세한 근육을 자극하면서 틀어진 횡돌기를 압박하여 교정해주게 된다.
제2 교정유도부(12)는 제1 교정유도부(11)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제2 교정유도부(12)에서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는 부분은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이므로, 해당 부분과 이외의 부분의 소재를 달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2 교정유도부(1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에는 세로 방향의 결을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가로 방향의 결을 형성하여 경추부의 체압이 고루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2 교정유도부(12)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이 복숭아 씨와 같이 단단하면서도 구 형태를 이루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의 결을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일 예로, 제2 교정유도부(12)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돔 형태를 형성함에 있어 내측에 탄성을 가진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각기 다른 탄성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제2 교정유도부(12)의 상측은 13~3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라텍스로 이루어져 편안하게 경추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흉추안착부(30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제3 교정유도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교정유도부(13)는 피로도가 낮고 근 수축시간이 긴 척추기립근의 통증유발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낮추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3 교정유도부(13)는 종단면은 도 7에 도시된 제2 교정유도부(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3 교정유도부(13)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척추기립근은 흉추를 중심으로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바, 두 개의 돔 형태 내측 부분이 척추기립근 자극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제3 교정유도부(13)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에는 세로 방향의 결을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가로 방향의 결을 형성하여 흉추부의 체압이 고루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3 교정유도부(13)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돔 형태의 내측 부분이 복숭아 씨와 같이 단단하면서도 구 형태를 이루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의 결을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일 예로, 제3 교정유도부(13)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돔 형태를 형성함에 있어 내측에 탄성을 가진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각기 다른 탄성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제3 교정유도부(12)의 상측은 13~3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라텍스로 이루어져 편안하게 흉추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흉추안착부(30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교정유도부(13)를 포함하여, 제3 교정유도부(13)의 외측으로 견갑골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4 교정유도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견갑골은 관상면(frontal plane)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35°를 이룸이 이상적인바, 제4 교정유도부(14)는 견갑골이 이상적인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4 교정유도부(14)는 견갑골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근개를 자극하여 대표적인 어깨통증인 회전근개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4 교정유도부(14)는 극하근에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극하근지지부(14a)와, 극하근지지부(14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극상근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극상근지지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극하근지지부(14a)에 의해 극하근이 자극되고, 극상근지지부(14b)에 의해 극상근이 자극되며, 극하근지지부(14a)와 극상근지지부(14b)에 의해 소원근이 자극된다.
이러한 제4 교정유도부(14)도 50~6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복숭아 씨와 같이 단단하면서도 구 형태를 이루는 물질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4 교정유도부(14)의 상측은 13~30kg/314㎠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라텍스로 이루어져 편안하게 견갑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베개(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까지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이 베개(A) 바깥쪽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체 전면의 대흉근과 소흉근이 이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바, 스트레칭을 유도하여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라운드숄더(round shoulder)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 베개
10 : 고정유도부 11 : 제1 교정유도부
12 : 제2 교정유도부 13 : 제3 교정유도부
14 : 제4 교정유도부 14a : 극하근지지부
14b : 극상근지지부
100 : 머리안착부 200 : 경추안착부
300 : 흉추안착부 400 : 요추안착부

Claims (8)

  1. 신체 중 적어도 머리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베개(A)에 있어서,
    상기 베개(A)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경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교정유도부(10)가 안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베개(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머리부터 요추에 이르기까지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머리안착부(100), 경추안착부(200), 흉추안착부(300) 및 요추안착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추안착부(200)는 머리안착부(100)와 흉추안착부(300)보다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머리가 젖혀짐으로써 경추의 전만곡을 유도하고,
    상기 흉추안착부(300)는 상면이 경추안착부(200)로부터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을 이루며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흉추의 후만곡을 유도하며,
    상기 요추안착부(400)는 요추의 일부만이 안착되어 요추의 전만곡을 유도하면서 요추가 바닥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교정유도부(10)는 흉추안착부(300)에서 흉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제3 교정유도부(13)를 포함하며,
    상기 교정유도부(10)는 흉추안착부(300)에서 제3 교정유도부(13)의 외측으로 견갑골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4 교정유도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도부(10)는 머리안착부(100)에서 외후두융기와 측두골의 양측에 위치한 유양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교정유도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도부(10)는 경추안착부(200)에서 경추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에 형성된 제2 교정유도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가 제4 교정유도부(14)는 극하근에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극하근지지부(14a)와, 상기 극하근지지부(14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극상근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된 극상근지지부(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A)는 어깨까지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팔을 베개의 바깥쪽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대흉근과 소흉근이 이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베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3305A 2019-07-31 2019-07-31 교정용 베개 KR10207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305A KR102071513B1 (ko) 2019-07-31 2019-07-31 교정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305A KR102071513B1 (ko) 2019-07-31 2019-07-31 교정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513B1 true KR102071513B1 (ko) 2020-01-30

Family

ID=6932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305A KR102071513B1 (ko) 2019-07-31 2019-07-31 교정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5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6448A (ja) * 2020-06-03 2021-12-13 株式会社ヘラルドハウスウェア マット付き枕
KR102355396B1 (ko) * 2021-04-06 2022-02-08 현귀연 베개
KR102567225B1 (ko) * 2022-08-16 2023-08-14 성우경 인체공학적 구조의 베개
KR20230166723A (ko)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05B1 (ko) 2010-12-30 2012-12-11 류충현 기능성 베개
KR101590068B1 (ko) * 2015-03-20 2016-01-29 이상일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KR20160076067A (ko) 2014-12-22 2016-06-30 이상일 베개를 활용한 등 베개
KR200487972Y1 (ko) * 2018-04-13 2019-02-19 이세훈 거북목 및 라운드 솔더 교정용 흉추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05B1 (ko) 2010-12-30 2012-12-11 류충현 기능성 베개
KR20160076067A (ko) 2014-12-22 2016-06-30 이상일 베개를 활용한 등 베개
KR101590068B1 (ko) * 2015-03-20 2016-01-29 이상일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KR200487972Y1 (ko) * 2018-04-13 2019-02-19 이세훈 거북목 및 라운드 솔더 교정용 흉추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6448A (ja) * 2020-06-03 2021-12-13 株式会社ヘラルドハウスウェア マット付き枕
KR102355396B1 (ko) * 2021-04-06 2022-02-08 현귀연 베개
KR20230166723A (ko)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KR102567225B1 (ko) * 2022-08-16 2023-08-14 성우경 인체공학적 구조의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513B1 (ko) 교정용 베개
US11051640B2 (en) Pillow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US9078528B2 (en) Therapeutic cushion for relieving lower back pain
KR102284813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20180068037A (ko) 경추 교정 베개
KR102164180B1 (ko) 안마 베개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20150049415A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20090124368A (ko) 가슴받침대를 구비한 안면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JP2005046553A (ja) 健康枕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200369166Y1 (ko) 기능성 인체공학적 베개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CN110584408A (zh) 适合不同高度需求的枕头
KR20210094339A (ko) 자세 교정용 방석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102503206B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