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23B1 - 미소 유체 반응기 - Google Patents

미소 유체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23B1
KR102071423B1 KR1020180025990A KR20180025990A KR102071423B1 KR 102071423 B1 KR102071423 B1 KR 102071423B1 KR 1020180025990 A KR1020180025990 A KR 1020180025990A KR 20180025990 A KR20180025990 A KR 20180025990A KR 102071423 B1 KR102071423 B1 KR 10207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cover
thread
body portion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438A (ko
Inventor
김도현
김현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2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93Microreactors, e.g. miniaturised or microfabricated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81Aspects relating to microreactors
    • B01J2219/00819Materials of construction
    • B01J2219/00822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81Aspects relating to microreactors
    • B01J2219/00851Additional features
    • B01J2219/00855Surfa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81Aspects relating to microreactors
    • B01J2219/00891Feeding or evacu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미소 유체 반응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인너 바디부; 및 내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제1 나사산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인너 바디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산 또는 상기 제2 나사산의 단부는 일부 절삭되어 상기 제1 나사산들 사이 또는 상기 제2 나사산들 사이에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가 생성되는, 미소 유체 반응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소 유체 반응기{MICRO REACTOR}
본 발명은 미소 유체 반응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미소 유체 반응기는 미량의 유체를 수용하고 그 유체에 중합효소 연쇄반응 또는 양자점 합성과 같은 생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유체에 포함된 유전자 발현 양상, 유전자 결합, 단백질 분포 등 다양한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미소 유체 반응기는 유리로 된 상판과 이에 본딩 결합되는 실리콘으로 된 하판을 구비한다.
하판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미세 챔버 및 미세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에는 미세챔버 및 미세채널에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게 관통된 인렛홀과, 유체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세 유체 반응기를 이용하여 미세 유체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의 진행 중에 유체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렛홀과 아웃렛홀을 테이프로 폐쇄하고, 상기 테이프의 분리를 막기 위해 고무 등으로 된 가압부재로 가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미세유체 반응기는 유리로 된 상판과 실리콘으로 된 하판의 에칭을 위한 가공 등으로 인해 가공 공정이 매우 어렵고 프로세스가 복잡한 바,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미세유체 반응기는 고온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반응기가 가열되는 경우 열이 반응기 전체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아 반응기에 국부적인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미세유체 반응기는 한번 가공하고 나면 분리나 분해가 어려운 1회용이기 때문에 미세 유로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청소가 어렵고, 별도의 촉매 반응을 위해 나중에 미세 유로에 촉매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773552호 (2007. 10. 3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작이 매우 쉽고 단순하며 고온 반응시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반응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미소 유체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요시 간편하게 분해하여 내부 유로를 청소할 수 있고, 촉매 반응에서 촉매의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여 촉매의 표면 유로에 촉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미소 유체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응 유체의 누출 없이 반응기의 길이가 쉽고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는 미소 유체 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인너 바디부; 및 내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산과 상기 제1 나사산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너 바디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산 또는 상기 제2 나사산의 단부는 일부 절삭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삭된 상기 단부에 의해 상기 제2 나사산들 사이 또는 상기 제1 나사산들 사이에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가 생성되는 미소 유체 반응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너 바디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인너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인너 바디부를 기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바디부는 상기 제1 나사산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볼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바디부는 상기 제2 나사산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너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산 또는 상기 제2 나사산의 단부는 그 끝단이 평평하도록 절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바디부의 일측에는 상기 미소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바디부의 타측에는 상기 미소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웃터 바디부는, 상기 인너 바디부의 상기 제1 나사산의 전체 중에서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인너 바디부의 일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제1 실드부가 구비된 제1 커버; 및 상기 인너 바디부의 상기 제1 나사산의 전체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인너 바디부의 타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제2 실드부가 구비된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미소 유로로 상기 미소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미소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너 바디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인너 바디부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각각 결합되고 남는 부분을 덮으며, 상기 인너 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결합시 이웃하는 복수의 인너 바디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3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커버에는 상기 미소 유로로 상기 미소 유체와 다른 이종 유체를 추가로 유입시키기 위한 중간 유입구가 적어도 1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작이 매우 쉽고 단순하며 고온 반응시 열이 반응기 전체로 균일하게 전달되어 반응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시 간편하게 분해하여 내부 유로를 청소할 수 있고, 촉매 반응에서 촉매의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여 간편하게 촉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미소 유체의 누출 없이 반응기의 길이가 쉽고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후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전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의 조립 후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10)는 인너 바디부(100) 및 아웃터 바디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p)가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인너 바디부(100)는, 금속 재질의 원기둥 막대를 볼트 가공하여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p)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인너 바디부(100)의 외주면에는 나선 방향으로 연속되게 제1 나사산(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110)은 인너 바디부(100)의 외주면 전체에서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110)의 각 나사산들 사이에 형성되는 나사골(120)이 미소 유체가 지나가는 미소 유로(p)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소 유로(p)는 나선 형태로 가공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에칭, 식각 등의 복잡하고 정밀한 가공이 불필요한 바, 미소 유체 반응기를 제작하기 위한 가공 자체를 쉽고 단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너 바디부(100)의 중심부에는 제1 관통공(130)이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30)에는 인너 바디부(100)를 기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30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 이외에 가열 수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수단(300)은 일 예로 열선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가열 수단(300)이 베이스부의 제1 관통공(130)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인너 바디부(100)의 전체로 균일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가열 수단(300)에 의해 인너 바디부(100)의 온도가 균일하게 상승하면 미소 유체를 이용한 고온 반응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가열 수단(300)은 코일 형태의 전열선으로 제공되므로, 가열 수단(300)의 코일 피치를 일정하게 하면 인너 바디부(100)로 열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바디부(200)는 인너 바디부(1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양단이 개방되고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바디부(200)는 인너 바디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너 바디부(100)에 끼워지는데, 아웃터 바디부(200)의 내주면에는 나선 방향을 따라 제2 나사산(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나사산(210)은 제1 나사산(1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2 나사산(210)과 제1 나사산(110)의 나사 결합을 통해 인너 바디부(100)의 외측에 아웃터 바디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터 바디부(200)가 인너 바디부(100)에 나사 결합되면 제1 나사산(110)의 나사골(120)이 제2 나사산(210)(아웃터 바디부(200))에 의해 폐쇄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는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소 유로(p)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위해, 제1 나사산(110) 또는 제2 나사산(210)의 단부는 일부 절삭됨으로써 절삭면(211)이 형성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제1 나사산(110)들 사이 또는 제2 나사산(210)들 사이에 미소 유로(p)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10)는 아웃터 바디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10)의 단부가 일부 절삭되도록 구현되어 제1 나사산(110)이 제2 나사산(210)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 미소 유로(p)의 공간을 확보되도록 실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제1 나사산(110)의 단부가 일부 절삭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절삭되는 제1 나사산(110) 또는 제2 나사산(210)의 단부는 그 끝단이 평평하도록 절삭면이 형성되어 미소 유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절삭되는 제1 나사산(110) 또는 제2 나사산(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삭면은 평평한 형상 뿐만 아니라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는 흔히 볼 수 있는 볼트와 너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반응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반응기 제작에 필요한 가공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반응기 제작시 비용과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즉, 인너 바디부(100)는 제1 나사산(110)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볼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웃터 바디부(200)는 제2 나사산(210)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너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소 유로(p)에 미소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아웃터 바디부(200)의 일측에는 미소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2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바디부(200)의 타측에는 주입된 미소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30)가 제공될 수 있다.
주입구(220)는 미소 유로(p)의 일측으로 미소 유체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배출구(230)는 미소 유로(p)의 타측으로 미소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구(220) 및 배출구(230)는 각각 미소 유체 반응에 필요한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20)는 상기 아웃터 바디부(200)가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1개의 인너 바디부(100)를 2개로 분할된 아웃터 바디부(200)(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로 커버하여 내부에 미소 유로(p)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제1 커버(240)는 인너 바디부(100)의 제1 나사산(110)의 전체 중에서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40)의 일단부에는 인너 바디부(100)의 일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을 수 있는 제1 실드부(24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250)는 인너 바디부(100)의 제1 나사산(110)의 전체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커버(250)의 일단부에는 인너 바디부(100)의 타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을 수 있는 제2 실드부(251)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드부(241) 및 제2 실드부(251)는 제1 커버(240) 및 제2 커버(250)의 몸체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인너 바디부(100)의 일단 및 타단의 일부를 덮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미소 유로(p)를 따라 흐르는 미소 유체가 배출구(230)가 아닌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240)의 일측에 미소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20)가 구비되고, 제2 커버(250)의 일측에 미소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소 유체 반응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3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20)와 비교할 때 인너 바디부(100)가 2개 이상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 이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너 바디부(100)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도 5에서 보듯이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인너 바디부(100)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반응기(30)의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가 직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너 바디부(100)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제3 커버(260)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커버(260)는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의 양 단부에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가 각각 결합되고 남는 인너 바디부(100)의 나머지 부분을 덮기 위해 제공되며, 제3 커버(260)의 전체 길이는 인너 바디부(100)의 나머지 부분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커버(260)는 제1 커버(240) 또는 제2 커버(250)에 밀착되어 인너 바디부(100)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260)는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인너 바디부(100)가 접촉되는 부위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바디부(100)가 3개 제공되는 경우,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는 각각 한 개씩 제공되고, 제3 커버(260)는 두 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가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인너 바디부(100)에서 커버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2개의 제3 커버(260)가 덮게 되고, 한 개의 제3 커버(260)는 이웃하는 두 개의 인너 바디부(100)의 접촉 부위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240)와 제2 커버(250)의 길이는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의 절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3 커버(260)의 길이는 인너 바디부(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40) 및 제2 커버(250)가 제3 커버(260)와 접촉되는 지점은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 중 어느 하나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인너 바디부(100) 중 서로 인접하는 어느 두 개의 인너 바디부(100)가 서로 접촉되는 지점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제3 커버(260) 중 어느 하나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3 커버(260)에는 미소 유체와 다른 이종 유체를 미소 유로(p)로 추가 유입시킬 수 있는 중간 유입구(261)가 적어도 1개 제공될 수 있다. 중간 유입구(261)는 주입구(220)로 미소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미소 유체의 중간 반응(성장 단계)을 거친 후 또 다른 이종 물질을 추가 주입해야 하는 경우, 상기 이종 물질의 주입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미소 유체는 황 전구체(1-dodecanethiol), 구리 전구체(Copper iodide), 인듐 전구체(Indium acetate)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미소 유체는 자연 상태에서는 혼합되어도 서로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별개로 존재하지만, 주입구(220)를 통해 미소 유체 반응기에 주입된 후 대략 230℃ 이상으로 가열되는 고온 반응 환경에서는 내부의 미소 유로(p)를 따라 이동하면서 합성되어 CulnS2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가 모두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소 유체 반응시 고온 환경에서 균일한 열 전달이 용이하다.
또한, 인너 바디부(100)와 아웃터 바디부(200)의 상호 체결이 쉽고 간편하기 때문에 미소 유체 반응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미소 유로(p)에 이물질이 끼어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도 아웃터 바디부(200)를 간편하게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촉매 반응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미소 유체가 지나가는 인너 바디부(100)의 미소 유로(p)에 촉매를 고정시키는 공정 역시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인너 바디부 110 : 제1 나사산
120 : 나사골 130 : 제1 관통공
200 : 아웃터 바디부 210 : 제2 나사산
220 : 주입구 230 : 배출구
240 : 제1 커버 241 : 제1 실드부
250 : 제2 커버 251 : 제2 실드부
260 : 제3 커버 261 : 중간 유입구
300 : 가열 수단 p : 미소 유로

Claims (10)

  1. 외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인너 바디부; 및
    내주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산과 상기 제1 나사산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너 바디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 바디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아웃터 바디부는,
    상기 인너 바디부의 상기 제1 나사산의 전체 중에서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인너 바디부의 일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제1 실드부가 구비된 제1 커버;
    상기 인너 바디부의 상기 제1 나사산의 전체 중에서 나머지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인너 바디부의 타단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제2 실드부가 구비된 제2 커버; 및
    복수 개의 상기 인너 바디부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각각 결합되고 남는 부분을 덮으며, 상기 인너 바디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결합시 이웃하는 복수의 인너 바디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한 개의 제3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산 또는 상기 제2 나사산의 단부는 일부 절삭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삭된 상기 단부에 의해 상기 제2 나사산들 사이 또는 상기 제1 나사산들 사이에 미소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미소 유로가 생성되는, 미소 유체 반응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바디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인너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인너 바디부를 기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미소 유체 반응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바디부는 상기 제1 나사산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볼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소 유체 반응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바디부는 상기 제2 나사산이 기 설정된 피치를 갖도록 너트 가공된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소 유체 반응기.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 또는 상기 제2 나사산의 단부는 그 끝단이 평평하도록 절삭되는, 미소 유체 반응기.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미소 유로로 상기 미소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미소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미소 유체 반응기.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에는 상기 미소 유로로 상기 미소 유체와 다른 이종 유체를 추가로 유입시키기 위한 중간 유입구가 적어도 1개 제공되는, 미소 유체 반응기.
KR1020180025990A 2018-03-05 2018-03-05 미소 유체 반응기 KR102071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90A KR102071423B1 (ko) 2018-03-05 2018-03-05 미소 유체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90A KR102071423B1 (ko) 2018-03-05 2018-03-05 미소 유체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38A KR20190105438A (ko) 2019-09-17
KR102071423B1 true KR102071423B1 (ko) 2020-01-30

Family

ID=6807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90A KR102071423B1 (ko) 2018-03-05 2018-03-05 미소 유체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652A (ja) * 2003-05-30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マイクロリア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52B1 (ko) 2006-04-28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체 반응 용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미세유체 반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652A (ja) * 2003-05-30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マイクロリア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38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3560A (en) Fluids mixing and distributing apparatus
EP3299598A1 (de) Reaktionsmitteleingabeanordnung zur eingabe von reaktionsmittel in den abgasstrom einer brennkraftmaschine
KR101829288B1 (ko) 중질 공급 재료 혼합기
EP2546573B1 (de) Fahrzeugheizgerät
WO201202840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barriereentladung in einem gasstrom
KR102071423B1 (ko) 미소 유체 반응기
JP6301940B2 (ja) 接触分解反応器用の供給ノズルアセンブリ
EP2657634B1 (en) Fluid diffusing nozzle design
EP3470640A2 (de) Abgas/reaktionsmittel-mischbaugruppe
KR20180105980A (ko) 나사형 미소유체 반응장치
KR100473429B1 (ko) Cvd 장치의 샤워헤드
JP2011526534A (ja) インジェ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内蔵するマイクロリアクタ
KR101734899B1 (ko) 플라즈마 및 촉매에 의한 난분해성 폐가스 분해 장치
WO2009071157A2 (de) Spritzgiessdüse
DE102011015215A1 (de) Wärmetauscher
AU2017204820B2 (en) Device for continuous heating of fluids
DE3000714A1 (de) Vorrichtung zum gleichmaessigen verteilen eines heiz- oder kuehlmittels in einem katalytischen reaktionsraum
KR20190132653A (ko) 유체 촉매 분해 유닛을 위한 개선된 장입 주입 장치
KR101584622B1 (ko) 정렬판을 구비한 샤워헤드
KR20210002482A (ko) 하향식 수소화 처리 반응기용 노즐
DE10015794A1 (d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chemischer Reaktionen und Prozesse in Hochfrequenzfeldern
CN110158055A (zh) 多段喷淋组件
RU2321453C2 (ru) Радиальный реактор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каталит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EP2730675B1 (de)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Gasgemisches
EP2856498B1 (de) Susze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