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11B1 -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011B1
KR102071011B1 KR1020180098938A KR20180098938A KR102071011B1 KR 102071011 B1 KR102071011 B1 KR 102071011B1 KR 1020180098938 A KR1020180098938 A KR 1020180098938A KR 20180098938 A KR20180098938 A KR 20180098938A KR 102071011 B1 KR102071011 B1 KR 10207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shaft
measuring device
main body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희
Original Assignee
박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희 filed Critical 박건희
Priority to KR102018009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경기에서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의 기울기를 확인하면서 퍼팅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퍼터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퍼터의 샤프트에 부착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전방 또는 좌우 측부에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제2장착부 형성된 본체와, 퍼터가 지면에 놓인 상태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된 그린 경사 측정기와, 경기자가 퍼터를 잡고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의 좌우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와, 상기 본체의 후방이 상기 퍼터의 샤프트에 맞대어지게 상기 본체를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GRADIENT MEASURING INSTRUMENT ATTACHED TO GOLFPUTTER}
본 발명은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경기에서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의 기울기를 확인하면서 퍼팅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퍼터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터는 골프 경기중 그린 위에서 퍼팅할 때 사용되는 골프 클럽의 하나로서, 그린의 특성 또는 골퍼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타입이 선택되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린은 골프장마다 그리고 홀마다 기울기가 다르게 설계되어 그린의 높낮이 즉 경사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프로나 아마추어 동호인과 같이 골프 경기를 하는 경기자는 그린의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한 후 그린의 경사나 기복을 고려하여 퍼팅의 방향과 세기를 결정하고 퍼팅을 하게 된다.
그러나, 경험이 많지 않은 경기자의 경우 홀컵 사이나 홀컵 주변의 그린 경사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상당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험이 많은 프로 골퍼들조차 주변 산과 계곡 및 태양광 등의 영향에 의한 착시현상으로 인해 그린의 상태를 정확하게 가늠하지 못하고 오판하여 잘못된 퍼팅 라인으로 퍼팅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문제로 그린의 경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기가 퍼터의 헤드나 샤프트에 부착된 퍼터가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668호(헤드에 형성된 그린수평측정기를 가지는 퍼터, 2003.06.04 공고)에느 헤드에 수준기가 구비되어 있는 퍼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742호(수평계가 부착된 퍼터, 2001.06.29 공고)에는 수준기가 샤프트에 일체로 구비된 퍼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퍼터는 퍼터의 헤드나 샤프트에 수준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의 퍼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218호(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2002.04.1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660호(퍼터 부착식 수평기, 2003.06.04 공고)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9371호(퍼터 골프채용 수준기, 2012.11.30 공고)에는 수준기를 퍼터의 샤프트에 탈부착할 수 있는 그린 경사 측정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그린 경사 측정 장치의 경우 이를 원형의 단면을 갖는 퍼터의 샤프트에 밴드 등으로 감아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샤프트에 고정한 후에 슬립이 발생되어 회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통상 퍼터의 샤프트는 상부에 위치되는 그립에서 하부에 놓이는 헤드로 진행하면서 굵기가 가늘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샤프트에 고정되는 그린 경사 측정 장치의 경우 사용중에 샤프트가 가늘어지는 아랫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고정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퍼터는 헤드가 일정한 로프트 각도로 볼에 접촉되도록 퍼팅시 경기자는 퍼터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자세를 취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경기자는 이를 확인할 수 없고 감각에만 의존하여 퍼팅 자세를 취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668호(2003.06.04 공고) : 헤드에 형성된 그린수평측정기를 가지는 퍼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742호(2001.06.29 공고) : 수평계가 부착된 퍼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218호(2002.04.11 공고) :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660호(2003.06.04 공고) : 퍼터 부착식 수평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9371호(2012.11.30 공고) : 퍼터 골프채용 수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경기에서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의 기울기를 확인하면서 퍼팅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퍼터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퍼터의 샤프트에 부착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전방 또는 좌우 측부에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제2장착부 형성된 본체와, 퍼터가 지면에 놓인 상태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된 그린 경사 측정기와, 경기자가 퍼터를 잡고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의 좌우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와, 상기 본체의 후방이 상기 퍼터의 샤프트에 맞대어지게 상기 본체를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 및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 각각은, 수평계가 구비된 수준기 블럭과, 상기 수준기 블럭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을 상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 각각에 결합시키는 수평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상기 수준기 블럭은 측부에 힌지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조절 수단은, 상기 힌지 요홈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힌지 돌기가 형성되고 잭 암나사가 형성된 승강 블럭과, 상기 스크류가 상기 잭 암나사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부 또는 제2장착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볼트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부착되어 탄성에 의해 조여지는 입구가 후방에 형성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상기 클립부에 힘을 가하는 레버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퍼터의 샤프트는 상기 레버에 힘을 가함으로써 벌어진 상기 클립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클립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의 탄성에 의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방에 퍼터의 샤프트에 접촉되게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요홈이 형성된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부착부의 요홈에 상기 퍼터의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를 감싸면서 폭방향의 양단이 상기 부착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 밴드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상기 결합 밴드는, 탄성 주름이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주름이 펴지고, 탄성 주름 펴진 상태에서 탄성 주름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골프 경기에서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터의 기울기를 확인하면서 퍼팅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퍼터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터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의 그린 경사 측정기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의 BB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CC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터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가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의 그린 경사 측정기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CC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는 퍼터(P)의 샤프트(Ps)에 부착되어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경기자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Ps)의 좌우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는 본체(10), 그린 경사 측정기(20),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 및 결합 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 및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가 장착되는 공간 또는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결합 수단(40)에 의해 상기 퍼터 샤프트(Ps)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10)에는 그린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그린 경사 측정기(20)와 퍼팅을 위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P)의 좌우 방향(사용자가 퍼트를 그립하여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볼을 치고자 하는 퍼팅의 목표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의 샤프트(Ps)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이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이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부(12)와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이 장착되기 위한 제2장착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장착부(12) 및 제2장착부(13)에 관한 구조는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는 사용자가 헤드(Ph)의 타격면과 그립(Pg)가 그린 경사면에 접촉되게 퍼터(P)가 그린 경사면에 놓인 상태에서 샤프트(Ps)가 향햐는 방향에 대한 그린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세한 구조는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는 사용자가 퍼팅을 위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샤프트(Ps)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며, 마찬가지로 상세한 구조는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 부분이 퍼터(Ps)의 샤프트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퍼터(P)의 샤프트(Ps)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수단(40)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샤프트(Ps)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결합 수단(40)은 본체(10)의 후방에 부착된 클립에 의해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부착되어 탄성에 의해 조여지는 입구가 후방에 형성된 클립부(41)와, 상기 클립부(41)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상기 클립부(41)에 힘을 가하는 레버(42)와, 상기 클립부(41)의 전면부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41)와 상기 본체(10)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착 스크류(4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 수단(40)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를 퍼터의 샤프트(Ps)에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퍼터의 샤프트(Ps)는 상기 레버(42)에 누르는 힘을 가함으로써 벌어진 상기 클립부(41)의 입구를 통해 상기 클립부(41)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레버(4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클립부(41)의 탄성에 의해 상기 퍼터의 샤프트(Ps)가 조여지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퍼터의 샤프트(Ps)에 부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2)는 결합 수단(40')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와 대동 소이하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는 퍼터(P)의 샤프트(Ps)에 부착되어 그린의 경사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경기자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Ps)의 좌우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는 본체(10), 그린 경사 측정기(20),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 및 결합 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 및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가 장착되는 공간 또는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결합 수단(40')에 의해 상기 퍼터 샤프트(Ps)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에는 상기 퍼터(P)의 샤프트(Ps)의 전방 곡면에 접촉되는 부착부(11)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본체(10)는 퍼터 샤프트(Ps)의 둘레 절반 정도에 상당하는 샤프트(Ps)의 전방 곡면이 부착부(11)인 반원형의 요홈에 안착되어 샤프트(Ps)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샤프트(Ps)의 둘레로 회전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상기 결합 수단(40)에 의해 상기 샤프트(Ps)에 고정된다.
상기 반원형의 요홈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1)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 수단(40')의 후크 홀(411')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후크 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그린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그린 경사 측정기(20)와 퍼팅을 위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P)의 좌우 방향(사용자가 퍼트를 그립하여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볼을 치고자 하는 퍼팅의 목표 방향(화살표 F 방향)와 그 반대 방향)으로의 샤프트(Ps)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가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가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부(12)와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이 장착되기 위한 제2장착부(13)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골프장 그린의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1)가 샤프트(Ps)에 부착된 퍼터(P)를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그린의 경사면에 퍼터 헤드(Ph)의 타격면과 그립(Pg)이 접촉되게 놓으면 샤프트(Ps) 방향의 경사를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에 구비된 수평계(211)를 확인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장착부(12)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장착부(12)는 샤프트(Ps)가 부착되는 부착부(11)가 형성된 후방을 제외한 전방 또는 좌우 측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기울기의 측정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그린 경사면에 퍼터 헤드(Ph)의 타격면과 그립(Pg)이 접촉되게 놓기 때문에 그린 경사 측정을 위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장착부(11)는 후방에 형성된 부착부(11)가 샤프트(Ps)의 전방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본체(10)의 우측 방향의 측부, 즉 퍼팅의 목표방향(F)을 기준으로 그 반대 방향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장착부(12)는 장착 요부(121)와 커버(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12)의 장착 요부(121)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의 장착을 위해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의 구성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우측 방향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12)의 장착 요부(121)에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를 구성하는 수평 조절 수단(22)이 장착되는데, 상기 수평 조절 수단(22)을 구성하는 스크류 볼트(222)의 선단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상기 제1장착부(12)의 장착 요부(121)의 바닥 양측 각각에 볼트 선단측 지지홈(121b)이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12)의 커버(122)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의 구성이 상기 장착 요부(1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요부(121)의 입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장착부(12)의 커버(122)에는 상기 장착 요부(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된 그린 경사 측정기(20)의 수평계(211)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22a)이 커버(122)의 가운데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장착부(12)의 커버(122)에는 상기 확인창(122a)의 양측에 상기 수평 조절 수단(22)의 스크류 볼트(222)의 헤드 말단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회전 지지되기 위한 볼트 헤드측 지지홀(122b)이 형성된다.
한편, 골프 경기에서는 퍼터 헤드(Ph)의 타격면이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의 로프트(loft) 각도가 골프공의 구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퍼터(P)의 사용자는 퍼팅을 위한 자세를 취할 때 퍼터 샤프트(Ps)의 각도를 일정하게 셋팅함으로써 퍼터 헤드(Ph)의 로프트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노력을 한다. 본 발명은 경기자가 퍼터(P)를 잡고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Ps)의 좌우 방향 기울기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장착부(13)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2장착부(13)는 사용자가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단 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부(13)는 제1장착부(12)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부(13)는 장착 요부(131)와 커버(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구성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단 단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부(13)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이 수용되어 장착되는데, 수준기 블럭(3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준기 블럭(31)의 수평계(311)의 초기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준기 블럭(31)은 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장착부(13)의 내부에 힌지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은 그 일측은 상기 제2장착부(13)의 일측 내면에 힌지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2장착부(13)의 내부에 장착되는 수평 조절 수단(32)의 승강 블럭(321)에 힌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장착부(13)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 돌기(313)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힌지 요홈(131a)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에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를 구성하는 수평 조절 수단(32)이 장착되는데, 상기 수평 조절 수단(32)을 구성하는 스크류 볼트(322)의 선단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상기 장착 요부(131)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힌지 요홈(131a)가 형성된 반대측의 위치에서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의 바닥에 볼트 선단측 지지홈(1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부(13)의 커버(132)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구성이 상기 장착 요부(1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요부(131)의 입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부(13)의 커버(132)에는 상기 장착 요부(1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평계(311)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32a)이 커버(132)의 일측 중앙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13)의 커버(132)에는 상기 확인창(132a)이 형성된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에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평 조절 수단(32)을 구성하는 스크류 볼트(222)의 헤드 말단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회전 지지되기 위한 볼트 헤드측 지지홀(132b)이 형성된다.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는 사용자가 헤드(Ph)의 타격면과 그립(Pg)가 그린 경사면에 접촉되게 퍼터(P)가 그린 경사면에 놓인 상태에서 샤프트(Ps)가 향햐는 방향에 대한 그린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는 수평계(211)가 구비된 수준기 블럭(21)과,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21)을 상기 제1장착부(12)의 장착 요부(121)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 조절 수단(2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준기 블럭(21)은 사용자가 경사를 확인하여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211)가 구비되어 초기 수평 조절을 위해 상기 수평 조절 수단(22)에 지지되는 블럭 형상의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준기 블럭(21)은 상부에 상기 수평계(211)가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수평 조절 수단(22)에 구비된 힌지 돌기(221a)가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힌지 요홈(212)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수평 조절 수단(22)은 상기 수준기 블럭(21)을 지지하면서 그 수준기 블럭(21)의 초기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수준기 블럭(21)에 구비된 수평계(211)의 초기 수평은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일측만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조정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양측 각각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미세한 수평 조정이 가능하다. 즉, 수준기 블럭(21)의 미세한 수평 조정을 위해서는 수준기 블럭(21)의 양측을 독립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에 수평 조절 수단(22)이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양측 각각이 한 쌍의 수평 조절 수단(22) 각각에 지지되어 수준기 블럭(21)의 양측 각각이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되게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한 쌍의 수평 조절 수단(22) 각각은 승강 블럭(221)과 스크류 볼트(22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블럭(221)은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 볼트(222)의 회전(R)에 따라 상하 방향(V)로 승강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방향(U)으로 상기 수준기 블럭(21)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블럭(221)은 상기 스크류 볼트(222)의 회전(R)에 의해 상하 방향(V)으로 승강이동되는 블럭 형상의 구성으로, 블럭의 일측에는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측부에 형성된 힌지 요홈(212)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힌지 돌기(221a)가 형성된다.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힌지 요홈(212)에 상기 승강 블럭(221)의 힌지 돌기(221a)가 삽입 안착되어 상기 수준기 블럭(21)은 양측 각각이 한 쌍의 승강 블럭(221) 각각에 지지된다. 상기 승강 블럭(221)에는 상기 스크류 볼트(222)의 스크류가 치합되기 위하 잭 암나사(221b)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 볼트(222)는 그 스크류에 잭 암나사(221b)가 결합된 상기 승강 블럭(221)을 지지하면서 상하방향(V)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 볼트(222)는 그 선단이 상기 제1장착부(12)의 장착 요부(121)의 바닥에 형성된 볼트 선단측 지지홈(121a)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고, 상단에 구비된 헤드가 상기 제1장착부(12)의 커버(122)에 형성된 블트 헤드측 지지홀(122b)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선단은 상기 볼트 선단측 지지홈(121a)에 지지되고, 헤드는 블트 헤드측 지지홀(122b)에 지지된 스크류 볼트(222)의 헤드 말단은 상기 제1장착부(12)의 커버(122)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그 헤드를 회전(R)시킴으로써 상기 수준기 블럭(21)의 일측이 들리고 내려지는 방향(U)으로 수준기 블럭(21)을 회동시켜 수평계(211)의 초기 수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는 사용자가 퍼팅을 위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샤프트(Ps)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과 유사하게 구성된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는 수평계(311)가 구비된 수준기 블럭(31)과,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31)을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 조절 수단(3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는 2개의 수평 조절 수단(22)이 구비된 그린 경사 측정기(20)와는 달리 수평 조절 수단(32)가 1개만 구비되어 있다는 차이를 제외하고는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구성을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20)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은 사용자가 샤프트(Ps)의 기울기를 확인하여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311)가 구비되고, 일측은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의 일측 측부에 지지되고,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초기 수평 조절을 위해 다른 일측은 상기 수평 조절 수단(32)에 지지되는 블럭 형상의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은 상부에 수평계(311)가 상기 본체(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의 일측 측부에는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의 일측 측부에 형성된 힌지 요홈(131a)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힌지 돌기(313)가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의 다른 일측의 측부에는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평 조절 수단(32)에 구비된 힌지 돌기(321a)가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힌지 요홈(312)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패여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평 조절 수단(32)은 상기 수준기 블럭(31)을 지지하면서 그 수준기 블럭(31)의 초기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준기 블럭(31)에 구비된 수평계(311)의 초기 수평은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일측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조정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수평 조절 수단(32)은 승강 블럭(321)과 스크류 볼트(32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블럭(321)은 상기 수준기 블럭(321)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 볼트(322)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로 승강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방향으로 상기 수준기 블럭(31)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블럭(221)은 블럭 형상의 구성으로, 블럭의 일측에는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측부에 형성된 힌지 요홈(312)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힌지 돌기(321a)가 형성된다.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힌지 요홈(312)에 상기 승강 블럭(321)의 힌지 돌기(321a)가 삽입 안착되어 상기 수준기 블럭(31)은 일측이 상기 승강 블럭(321)에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승강 블럭(321)에는 상기 스크류 볼트(322)의 스크류가 치합되기 위하 잭 암나사(321b)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30)의 스크류 볼트(322)는 그 스크류에 잭 암나사(321b)가 결합된 상기 승강 블럭(321)을 지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 볼트(322)는 그 선단이 상기 제2장착부(13)의 장착 요부(131)의 바닥에 형성된 볼트 선단측 지지홈(131b)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고, 상단에 구비된 헤드가 상기 제2장착부(13)의 커버(132)에 형성된 블트 헤드측 지지홀(132b)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선단은 상기 볼트 선단측 지지홈(131b)에 지지되고, 헤드는 블트 헤드측 지지홀(132b)에 지지된 스크류 볼트(322)의 헤드 말단은 상기 제3장착부(13)의 커버(132)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그 헤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준기 블럭(31)의 일측이 들리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수준기 블럭(31)을 회동시켜 수평계(311)의 초기 수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부착부(11)가 퍼터(Ps)의 샤프트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퍼터(P)의 샤프트(Ps)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수단(40')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샤프트(Ps)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수단(40')은 결합 밴드(41')와 미끄럼 방지 패드(4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42')는 상기 본체(10)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Ps)의 외면을 감싸고 그 외부를 감싸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부착부(11)와 상기 결합 밴드(41')가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42')는 실리콘과 같이 외면의 마찰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 퍼터(P)의 샤프트(Ps)는 스틸로 제작되어 그 외면이 매우 미끄럽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Pg)에서 헤드(Ph)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가늘어지기 때문에 그 샤프트(Ps)에 본체(10)가 미끄러지지 않게 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42')는 샤프트(Ps)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면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42')가 샤프트(Ps)와는 일체로 달라 붙게 하고, 상기 본체(10)의 부착부(11)와 상기 결합 밴드(41')가 감싸 접촉되는 외면은 마찰이 큰 재질로 형성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본체(10)의 착탈은 가능하면서 본체(10)의 미끄러짐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밴드(41')는 퍼터(P)의 샤프트(Ps)가 부착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퍼터(P)의 샤프트(Ps)의 외면를 감싸면서 폭 방향의 양단이 상기 부착부(11)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 돌기(11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밴드(41')는 양단 각각에 후크 홀(411')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 홀(411')에는 상기 후크 돌기(11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결합 밴드(41')는 상기 본체(10)의 부착부(111)와 함께 샤프트(Ps)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11)를 상기 샤프트(Ps)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 밴드(41')와 부착부(111)는 샤프트(Ps)의 외면에 직접 접촉되게 상기 샤프트(Ps)의 외면을 감쌀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Ps)의 외면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 패드(42')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 밴드(41')가 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 밴드(41')와 부착부(111)가 샤프트(Ps)의 외면을 단단하게 조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결합 밴드(41')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Ps)의 외면이나 또는 샤프트(Ps)의 외면을 감싼 미끄럼 방지 패드(42')의 외면에 접촉되는 상기 결합 밴드(41')의 내면과 부착부(111)의 면은 기계적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 밴드(41')의 탄성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계적인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상기 결합 밴드(41')가 주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결합 밴드(41')는 탄성 주름(411')이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주름(411')이 펴지고, 탄성 주름(411') 펴진 상태에서 탄성 주름(411')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 밴드(41')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 주름(411')의 정상부(또는 돌출된 부분)에 뾰족하게 형성된 결합첨부(412a')가 형성되어 그 결합첨부(412a')가 상기 샤프트(Ps)의 외면이나 미끄럼 방지 패드(42')의 외면에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P 퍼터
Ph 헤드
Ps 샤프트
Pg 그립
1,2 경사 측정 장치
10 본체
11 부착부
111 후크 돌기
12 제1장착부
121 장착 요부
121b 볼트 선단측 지지홈
122 커버
122a 확인창
122b 볼트 헤드측 지지홀
13 제2장착부
131 장착 요부
131a 힌지 요홈
131b 볼트 선단측 지지홈
132 커버
132a 확인창
132b 볼트 헤드측 지지홀
20 그린 경사 측정기
21 수준기 블럭
211 수평계
212 힌지 요홈
22 수평 조절 수단
221 승강 블럭
221a 힌지 돌기
221b 잭 암나사
222 스크류 볼트
30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
31 수준기 블럭
311 수평계
312 힌지 요홈
313 힌지 돌기
32 수평 조절 수단
321 승강 블럭
321a 힌지 돌기
321b 잭 암나사
322 스크류 볼트
40 결합 수단의 일 예
41 클립부
42 레버
43 부착 스크류
40' 결합 수단의 다른 예
41' 결합 밴드
411' 후크 홀
412' 탄성 주름
412a' 결합첨부
42' 미끄럼 방지 패드

Claims (5)

  1. 퍼터의 샤프트에 부착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전방 또는 좌우 측부에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제2장착부 형성된 본체와, 퍼터가 지면에 놓인 상태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된 그린 경사 측정기와, 경기자가 퍼터를 잡고 퍼팅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의 좌우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와, 상기 본체의 후방이 상기 퍼터의 샤프트에 맞대어지게 상기 본체를 퍼터의 샤프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부착되어 탄성에 의해 조여지는 입구가 후방에 형성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상기 클립부에 힘을 가하는 레버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퍼터의 샤프트는 상기 레버에 힘을 가함으로써 벌어진 상기 클립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클립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의 탄성에 의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경사 측정기 및 샤프트 기울기 측정기 각각은, 수평계가 구비된 수준기 블럭과,
    상기 수준기 블럭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상기 수준기 블럭을 상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 각각에 결합시키는 수평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기 블럭은 측부에 힌지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조절 수단은, 상기 힌지 요홈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힌지 돌기가 형성되고 잭 암나사가 형성된 승강 블럭과, 상기 잭 암나사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부 또는 제2장착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볼트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 퍼터의 샤프트에 접촉되게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요홈이 형성된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부착부의 요홈에 상기 퍼터의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를 감싸면서 폭방향의 양단이 상기 부착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 밴드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KR1020180098938A 2018-08-24 2018-08-24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KR10207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38A KR102071011B1 (ko) 2018-08-24 2018-08-24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38A KR102071011B1 (ko) 2018-08-24 2018-08-24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011B1 true KR102071011B1 (ko) 2020-01-29

Family

ID=6932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38A KR102071011B1 (ko) 2018-08-24 2018-08-24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01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706A (en) * 1989-12-11 1990-06-19 Marshall Perry C Combination lie and shaft position indicator
KR200237742Y1 (ko) 2001-01-29 2001-09-25 성태수 수평계가 부착된 퍼터
KR200273218Y1 (ko) 2002-01-31 2002-04-20 주세영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200316668Y1 (ko) 2003-03-22 2003-06-18 김광모 퍼터의 헤드에 형성된 그린수평측정기
KR200316660Y1 (ko) 2003-03-21 2003-06-18 로버트 태부 박 퍼터 부착식 수평기
KR200381279Y1 (ko) * 2005-01-08 2005-04-14 류정식 골프클럽 장착용 그린 경사확인장치
KR20100026787A (ko) * 2008-09-01 2010-03-10 김동휘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20110123638A (ko) * 2010-05-07 2011-11-15 박광돈 골프 퍼팅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101209371B1 (ko) 2010-09-01 2012-12-06 김상일 퍼터 골프채용 수준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706A (en) * 1989-12-11 1990-06-19 Marshall Perry C Combination lie and shaft position indicator
KR200237742Y1 (ko) 2001-01-29 2001-09-25 성태수 수평계가 부착된 퍼터
KR200273218Y1 (ko) 2002-01-31 2002-04-20 주세영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200316660Y1 (ko) 2003-03-21 2003-06-18 로버트 태부 박 퍼터 부착식 수평기
KR200316668Y1 (ko) 2003-03-22 2003-06-18 김광모 퍼터의 헤드에 형성된 그린수평측정기
KR200381279Y1 (ko) * 2005-01-08 2005-04-14 류정식 골프클럽 장착용 그린 경사확인장치
KR20100026787A (ko) * 2008-09-01 2010-03-10 김동휘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20110123638A (ko) * 2010-05-07 2011-11-15 박광돈 골프 퍼팅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101209371B1 (ko) 2010-09-01 2012-12-06 김상일 퍼터 골프채용 수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98B1 (en) Golf club with slope indicator
US5149087A (en) Turf repair tool including club support
JP2008521580A (ja) ゴルフ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US3439429A (en) Golf club indicator and straightening machine
US3306618A (en) Golf club with slope indicating means thereon
US1761532A (en) Golf tee
KR102071011B1 (ko) 퍼터 부착형 경사 측정 장치
US2041119A (en) Golf course marker
US6447401B1 (en) Golf club alignment device
US5285680A (en) Golf club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6644102B2 (en) Golf club fixture
US20090298606A1 (en) Golf Club With Level Indicator
US20160045807A1 (en) Retractable line putting trainer and methods
US7010965B2 (en) Golf club fixture
US4788774A (en) Golf club measuring apparatus
KR101240495B1 (ko) 골프클럽 부착식 라이 측정기
US1677261A (en) Device for improving stance in connection with the game of golf
KR200438895Y1 (ko) 골프 퍼터용 라이 및 로프트각 교정장치
KR100595895B1 (ko) 골프화
KR200273218Y1 (ko)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20100026787A (ko)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US11478690B1 (en) Multi-use golf training tool
US4839968A (en) Golf green viewing apparatus
JPH0546778Y2 (ko)
KR101130322B1 (ko) 골프클럽 부착식 라이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