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663B1 -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 Google Patents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663B1
KR102070663B1 KR1020180096972A KR20180096972A KR102070663B1 KR 102070663 B1 KR102070663 B1 KR 102070663B1 KR 1020180096972 A KR1020180096972 A KR 1020180096972A KR 20180096972 A KR20180096972 A KR 20180096972A KR 102070663 B1 KR102070663 B1 KR 10207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flow drain
top plate
plat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18009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욕실, 화장실, 다용도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플로우 드레인(Flow drain; 이하 'FD'라 함)을 구성하고 화장실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에 체결되어 FD내부로 유입되는 큰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동일한 패턴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여과판을 플로우 드레인 상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판이 안치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의 네 귀퉁이에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을 제공함으로써 여과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여과판 네 귀퉁이 중 어느 한 귀퉁이를 누를 경우 여과판의 대각선 방향의 귀퉁이가 들리게 되고, 들린 부분을 손으로 잡아 여과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Top plate of Flow drain easily removable Filter plates of Flow drai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욕실, 화장실, 다용도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플로우 드레인(Flow drain; 이하 'FD'라 함)을 구성하고 화장실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에 체결되어 FD내부로 유입되는 큰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동일한 패턴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여과판을 플로우 드레인 상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판이 안치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의 네 귀퉁이에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을 제공함으로써 여과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여과판 네 귀퉁이 중 어느 한 귀퉁이를 누를 경우 여과판의 대각선 방향의 귀퉁이가 들리게 되고, 들린 부분을 손으로 잡아 여과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욕실이나 다용도실 바닥에 설치되는 FD는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입상관에 연결되는 하수관을 통해 배출할 뿐만 아니라, 입상관으로부터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취기역류방지구(통상적으로 '봉수'라 함)가 설치되고, 상단 노출되는 부분에는 금속, 또는 BMC등으로 제조된 동일한 무늬의 구멍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천공된 여과판이 설치되었다.
통상적으로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FD를 구성하는 여과판은 바닥면에 노출되어 하수를 집수하기 위한 FD 상판과, 상기 FD 상판에 체결되는 여과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FD 상판은 일정한 폭의 테두리 안쪽으로 중앙의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의 하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고, 상기 태두리 안쪽의 면적과 동일하게 여과판을 제조하여 FD 상판에 체결하였다.
또한, 상기 여과판에는 다양한 모양의 배수공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그 배수공을 통해 바닥의 하수가 FD 상판을 거쳐 배수되도록 구성되었다.
바닥에 매설된 FD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여과판과 FD 내부의 취기역류 방지구가 머리카락이나 작은 오물들로 인해 막히거나, 오염되어 배수가 안되거나 냄사가 발생하기 때문에 여과판을 분리한 후 취기역류 방지구를 해체하여 세척 후 다시 체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과판은 FD 상판 테두리 안쪽으로 인입되어 체결되고 FD 상판의 테두리와 여과판 테두리 사이가 밀착되기 때문에 FD 상판으로부터 여과판을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워 못쓰는 치솔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여관판을 들어내야만 하는 등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으로 여과판을 분리할 경우 금속으로 제조된 여과판의 배수공 등에 손가락이 찔려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200)의 배수공(210)에 체결할 수 있는 여과판용 손잡이(100)를 더 제공하여 그 손잡이(100) 하단부가 배수공(2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돌기(130)를 형성하여, 그 걸림돌기(130)를 상기 여과판(200)의 배수공(2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회전시켜 걸리도록 한 후 손잡이(100)을 들어 여과판(200)을 FD 상판(300)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러나, 상기 여과판용 손잡이는 여과판을 들어낼때만 여과판의 배수공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크기가 작아 분실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실할 경우 종래의 여과판과 같이 분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항상 상존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FD를 구성하는 FD 상판의 테두리 안쪽 정어도 어나 하나 이상의 귀퉁이에 안치되는 여과판의 두께와 같거나 두께보다 깊은 홈을 형성하여 안치된 여과판의 귀퉁이를 누를 경우 그 여과판의 대각선 방향 귀퉁이가 들리도록 하여 도구 없이 손으로 쉽게 여과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FD 상판의 테두리 안쪽 적어도 어느 한 귀퉁이에 형성된 홈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홈에 하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플로우 드레인(FD)을 구성하며 여과판이 안치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 네 귀퉁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퉁이에 안치되는 여과판의 두께와 같거나 깊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안치된 여과판의 귀퉁이를 누르는 것만으로 그 여과판의 대각선 방향의 귀퉁이가 상기 플로우 두레인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도구 없이 여과판을 플로우 드레인 상판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형성된 홈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홈에 하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분리가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분리가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분리가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으로부터 여과판을 분리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플로우 드레인 상판(10)의 테두리 안쪽의 여과판(20)이 안치되는 부분의 네 귀퉁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귀퉁이에 안치되는 여과판(20)의 두께와 같거나 그 두께보다 깊은 홈(11)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되는 홈(11)은 테두리에 연하여 성인의 손가락의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같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FD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FD 상판의 테두리 안쪽의 적어도 하나의 귀퉁이에 형성된 홈(11)에 하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11)으로부터 FD 상판 중앙의 배수구까지 배수로(12)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을 FD 상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고시한 것으로, FD 상판(10)에 안치된 여과판(20)의 한 귀퉁이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지레대 원리에 의해 눌린 귀퉁이의 대각선 방향의 여과판 귀퉁이가 FD 상판으로부터 상부로 들려 이격되게 되고, 그 이격된 여과판(20)을 손으로 들어올려 FD 상판(10)으로부터 여과판(20)을 분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판을 어떠한 도구 없이 쉽게 FD 상판으로부터 헤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손잡이 110 : 손잡이부
130 : 걸림돌기 200 : 여과판
210 : 배수공 300 : FD 상판
10 : 플로우 드레인 상판 11 : 홈
12: 배수로 20 : 여과판

Claims (2)

  1.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플로우 드레인(FD)을 구성하며 여과판이 안치되는 플로우 드레인 상판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은 네 귀퉁이가 둥글게 면취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판이 안치되는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 네 귀퉁이에는 상기 여과판의 귀퉁이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판의 두께와 같거나 깊은 홈이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판은 네 귀퉁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 쪽으로 가압되면 가압되는 귀퉁이가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 네 귀퉁이에 마련되는 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홈 속에 수용되면서 가압되는 귀퉁이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귀퉁이가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의 테두리 안쪽에는 상기 홈과 상기 플로우 드레인 상판 중앙의 배수구를 연결하는 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KR1020180096972A 2018-08-20 2018-08-20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KR10207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972A KR102070663B1 (ko) 2018-08-20 2018-08-20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972A KR102070663B1 (ko) 2018-08-20 2018-08-20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63B1 true KR102070663B1 (ko) 2020-01-29

Family

ID=6932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972A KR102070663B1 (ko) 2018-08-20 2018-08-20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44B1 (ko) * 2020-08-10 2021-08-02 도창회 배수 트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55B1 (ko) * 2008-09-09 2009-09-16 주식회사 정원주철 보도블럭용 사각맨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55B1 (ko) * 2008-09-09 2009-09-16 주식회사 정원주철 보도블럭용 사각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44B1 (ko) * 2020-08-10 2021-08-02 도창회 배수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663B1 (ko) 여과판의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상판
US951260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KR101791450B1 (ko) 배수구커버
KR102233308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US20090246858A1 (en) Drain treatment system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US6303032B1 (en) Portable multi-strainer
JP2015214809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CN216379877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US11198994B1 (en) Separable strainer device for a drain
JP2019199703A (ja) 小便器用の排水口フィルター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US8307469B1 (en) Removable floor sink drain lock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102318834B1 (ko) 배수구 커버
CN108970228B (zh) 排污口污水过滤器
KR20190065526A (ko) 오물홈 볼록 돌기 배수구
JP2020084629A (ja) 目皿部材の取付構造
JP7055735B2 (ja) 油脂分阻集器
KR20120138072A (ko) 욕실용 배수트랩의 봉수부재
WO2016120593A1 (en) Strainer system
GB2077584A (en) Drain trap
JP2539827Y2 (ja) 排水装置
KR200334330Y1 (ko) 배수구용 걸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