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282B1 -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 Google Patents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282B1
KR102069282B1 KR1020190057307A KR20190057307A KR102069282B1 KR 102069282 B1 KR102069282 B1 KR 102069282B1 KR 1020190057307 A KR1020190057307 A KR 1020190057307A KR 20190057307 A KR20190057307 A KR 20190057307A KR 102069282 B1 KR102069282 B1 KR 10206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utting
air
hammer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채연
송태일
Original Assignee
송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채연 filed Critical 송채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에 구비되는 에어함마와 코어절단수단으로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 회전로드에 구비된 절환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아울러 코어절단수단을 쐐기가압식으로 개량하여 고장 염려를 줄이고 절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대구경(800mm이상)의 굴착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부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와, 코어 형성공간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이 구비된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와 코어절단수단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을 설치하고, 회전로드의 하단에는 회전로드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Excavation hammers for core barrel work that can be used for rock excavation and core cutting by turning direction of rotation}
본 발명은 파일 드릴링 머신(Pile Drilling Machine)에 결합하여 암반층에 대구경(800mm이상)의 굴착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체에 구비되는 에어함마와 코어절단수단으로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 회전로드에 구비된 절환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아울러 코어절단수단을 쐐기가압식으로 개량하여 고장 염려를 줄이고, 치핑함마를 장착하여 절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교량기초공사를 위해서 연약지반이나, 암반층 등에 강관 등으로 제작되는 파일을 설치하여 보강작업을 행하는 작업(R.C.D공법, P.R.D공법)을 하게 된다. R.C.D공법이나 P.R.D공법의 경우 대구경(800mm이상)의 굴착작업을 행하는 공법이다.
대표적으로는, P.R.D공법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드릴 파이프 상단에 회전용 기어박스를 결합하고, 드릴파이프 하측으로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한개의 비트를 결합한 함마를 설치한 상태에서 함마를 가압 상태에서 구동함으로 해서 공압에 의한 퍼커션으로 암반층에 굴착공을 단번에 천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R.C.D공법은 파일 드릴링 머신의 드릴 파이프 상단에 회전용 기어박스를 결합하고, 드릴 파이프 하측으로 파이프 형상의 비트바디를 결합하며, 이 비트바디의 하단에 수개의 비트를 설치하여 회전용 기어박스가 회전할 때 비트바디가 함께 회전되고, 암반층에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되도록 굴착공을 천공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R.C.D공법이나 P.R.D공법의 경우 암반층 전체를 굴착해야 함으로 작업시간과 비용 및 기타 부대시설의 유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444654호(2009.05.20.)의 파일 드릴링머신의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가 게시된바 있다.
상기한 선등록 구성은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에 결합되며 플랜지가 상단에 구비된 회전체에 지반을 굴착하는 함마비트와, 분쇄물을 지상으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관을 형성한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단면이 도넛과 같이 속이 빈 구성이 되도록 아래쪽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함마 비트는 회전체에 아래쪽으로 개방된 2개 이상의 조립구멍에 결합하여 도넛 형상의 굴착공 천공으로 코어 배럴을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기존 800mm이상의 대구경 굴착작업을 향하는 P.R.D공법이나 R.C.D공법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굴착능력을 제공할 수 있어 작업 공기 및 비용 등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천공을 담당하고 있는 함마 비트 및 비트바디가 원기둥 형상으로, 그 구성은 회전체의 가장자리 측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대 이상의 함마비트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도넛형인 회전체의 바닥에는 상기 함마비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복수의 롤러비트를 설치하며, 분쇄물을 지상으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관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굴착시 굴착 중심을 기준으로 비트바디의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하는 비트의 개수보다 중간부분의 비트 개수가 많게 형성되는 형상이어서, 파쇄력 저하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함마비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20-2013-0000940호(2014.08.14.)의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함마비트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굴착함마의 비트바디는 아랫변과 윗변이 호형인 사다리꼴로 구성하여 단면적을 넓게 구성한 것으로, 함마비트의 바닥에 파쇄를 위해 형성한 비트가 균일하게 마모되어 함마비트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굴착 후 회전체의 중심에 생성되는 암반 코어가 처리하기 위해 회전체를 지상으로 인양한 상태에서 암반 코어의 근원부를 별도의 절단장비로 절단한 상태에서 지상으로 인양 후 다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암반 코어 절단 및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508740호(2015.04.07.)의 코어 분리기능을 갖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상단에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에 상단이 결합되는 회전로드의 하단과 조립식으로 결합된 회전체를,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이 형성되도록 아래쪽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설치부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2개 이상의 함마비트와, 분쇄물을 지상으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관을 배관한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하단에 축직각방향으로 설치한 절단용 유압실린더와, 절단용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로드가 인출될 때 코어 형성공간 쪽으로 노출되어 암반 코어에 압입되는 절단커터로 구성된 2개소 이상의 코어절단수단과; 상기 설치부의 상단에 축직각방향으로 설치한 가압용 유압실린더와, 가압용 유압실린더의 회전로드에 결합되어 로드가 인출될 때 굴착공의 벽면 또는 굴착공을 따라 압입되는 케이스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압구로 구성된 가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회전로드는 상부에 에어와 유압이 동시에 공급되는 스위벨을 설치하고, 평단면으로 볼 때 중앙에 콘크리트 타설용 홀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용 홀 주변에 방사상으로 2개의 오일홀과 2개의 에어홀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마비트 및 절단용 유압실린더와 가압용 유압실린더에 에어와 오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암반층에 대구경의 굴착 작업을 행하면 도넛 형상의 굴착을 통해 설치부 중앙으로 코어를 형성한 상태에서 설치부의 하단과 상단에 마련되는 코어절단수단과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코어를 절단하여 지상으로 배출토록 한 것으로, 굴착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기초공사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경우 스위벨을 통해서 에어와 유압을 동시에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에어 및 유압장비와 라인을 함께 운용해야 하므로 장비의 유지 관리성이 저하되고, 현장에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와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유닛을 함께 비치 운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암질에 따른 기존의 코어 절단 방법은 작업시간과 효율성 저하로 인해 따른 문제점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KR 200444654 Y1 2009.05.20. KR 2020130000940 U 2014.08.14. KR 101508740 B1 2015.04.0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서 에어와 유압을 함께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일소함과 아울러 코어절단수단의 절단 기능성을 개선하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에 구비되는 에어함마와 코어절단수단으로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 절환수단을 통해 회전로드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여, 코어절단수단을 쐐기가압식으로 개량하여 강력한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여 절단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고장 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부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와, 코어 형성공간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이 구비된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와 코어절단수단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을 설치하고, 회전로드의 하단에는 회전로드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절환수단는, 스위벨 쪽의 상부재와 회전체 쪽의 하부재로 회전로드를 분할하되; 상기 상부재에는 하단에 회전력을 제어하는 키이가 돌출된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재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을 형성하고, 끼움공의 측벽에는 상기 키이가 내입되도록 상향 개구된 키이내입홈과 키이내입홈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절환홈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공의 바닥에는 에어함마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와, 코어절단수단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를 형성하여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에 형성된 에어관로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절환수단는, 스위벨쪽의 상부재와 회전체 쪽의 하부재로 회전로드를 분할하되; 상기 상부재에는 하단에 끼움홈이 하향 개구되며 끼움홈의 상단에 절환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재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을 형성하고, 끼움공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 및 절환홈에 내입되는 키이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공의 바닥에는 에어함마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와, 코어절단수단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를 형성하여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에 형성된 에어관로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절환홈에 상향으로 키이걸림공을 더 형성하여 회전로드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조금 들어 올릴 때 키이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에어함마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와 코어절단수단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상부재의 끼움부가 끼워지는 하부재의 끼움공 측벽에는 상기와 같이 키이가 키이걸림공에 내입될 때 개방되는 제2절단용 에어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2절단용 에어관로는 회전체에 적용된 코어절단수단 및 제2절단수단과 코어가압수단과에 동시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절단용 에어관로의 측방에는 제2굴착용 에어관로를 더 형성하여 유로로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굴착용 에어관로는, 상부재에 형성된 에어관로에서 공급되는 에어 총량의 30% 이하로 공급하여 에어함마에 압력이 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코어절단수단은, 에어함마의 작동방향으로 설치부에 설치되는 절단용 실린더와; 절단용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하는 쐐기부재와; 상기 쐐기부재가 하강할 때 축직각으로 작동하여 코어 형성공간으로 인출하는 절단비트가 구비된 가압부재와; 상기 쐐기부재가 상승할 때 코어 형성공간에서 절단비트를 인입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상기 설치부에는 절단수단을 복수로 설치함과 아울러 복수의 제2절단수단을 설치하되; 제2절단수단은, 에어함마의 작동방향으로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절단용 실린더와; 제2절단용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제2쐐기부재와; 상기 제2쐐기부재가 하강할 때 축직각으로 작동하여 코어 형성공간으로 인출하는 치핑함마가 구비된 제2가압부재와; 상기 제2쐐기부재가 상승할 때 코어 형성공간에서 치핑함마를 인입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상기 절단수단 또는 제2절단수단의 측방에는, 에어노즐을 더 설치하여 코어절단수단 또는 제2절단수단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때 발생하는 분쇄물을 신속히 분산시켜 절단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상기 코어절단수단은, 에어절단노즐을 설치하여 에어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째 설치부에는, 코어 형성공간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절단수단과 함께 에어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코어가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째 상기 코어가압수단은, 가압용 실린더의 로드에는 쐐기부재가 결합되어 가압용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설치부에는 코어 형성공간 쪽으로 가압비트가 인출 및 인입하도록 가압비트출몰공을 형성하며; 가압비트는 상기 쐐기부재와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가압비트가 항상 가압비트출몰공 내측으로 인입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째 상기 코어가압수단은, 코어 형성공간에 축방향으로 내입되는 가압용 쐐기부재를 코어 형성공간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하고, 이를 가압용 실린더에 의해 승강 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셋째 상기 코어절단수단은, 상부의 스위벨을 통해서 초고압으로 공급되는 절단용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로드의 상부재와 하부재에는 회전로드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일 때 상호 결합되는 유체관로와; 상기 유체관로로 공급되는 유체가 공급되어 분사되면서 코어를 절단하도록 회전체에 설치한 유체절단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회전로드에 결합되는 스위벨을 통해서 압축공기만 공급하고, 회전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압축공기의 공급이 결정되므로 암반굴착과 코어제거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압축공기만 공급하므로 유압 공급에 따른 불편을 일소할 수 있다.
-코어절단수단이 쐐기형으로 구성되므로 가압력을 높일 수 있어 코어 절단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코어 절단면에 에어로 작동하는 치핑함마와 커팅용 비트 장착, 그리고 유체절단노즐을 통한 절단으로 절단 효율을 극대화 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일부 파절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일 예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다른 예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에서 절단용 에어관로의 측방으로 제2굴착용 에어관로를 더 형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또 다른 예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의 측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가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일부 파절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용 기어박스(2)의 하측으로 회전로드(3)의 상단을 결합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체(4)의 상단을 결합한다.
상기 회전체(4)는 아래쪽으로 설치부(5)가 구성되며, 이때 설치부(5)는 단면이 도넛과 같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막히고, 반대로 하부의 지면 쪽이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중앙으로 코어가 형성되는 코어 형성공간(6)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부(5)의 내측으로는 에어함마(7)가 설치되어 회전체(4)가 회전할 때 축직각으로 에어함마(7)에 설치되어 있는 함마비트(8)가 지반을 타격하여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흡입배출관(9)을 마련하여 분쇄물을 지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5)에는 코어절단수단(10)을 설치하여 굴착으로 코어 형성공간(6)에 코어가 형성된 상태일 때 코어의 하단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하며, 코어가압수단(30)을 부가하여 코어절단수단(10)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때 코어를 밀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로드(3)에는 상측으로 스위벨(11)을 설치하여 회전로드(3)에 형성한 에어관로(12)를 통해서 고압의 에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위벨(11)의 하측으로는 절환수단(20)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관로(12)에서 제공되는 에어를 에어함마(7) 또는 코어절단수단(10)과 코어가압수단(30)에 선택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환수단(20)은 회전로드(3)의 회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에어함마(7)로 에어를 공급토록 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코어절단수단(10)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일 예를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20)는 상기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에어 공급이 절환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3)를 스위벨(11) 쪽의 상부재(3a)와 회전체(4) 쪽의 하부재(3b)로 분할 구성한다.
분할된 상부재(3a)와 하부재(3b)는 키이(21)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재(3a)에 키이(21)가 돌출된 끼움부(22)를 형성하고, 이를 하부재(3b)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완성하기 위해 하부재(3b)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23)을 형성하고, 끼움공(23)의 측벽에는 상기 키이(21)가 내입되도록 상향 개구된 키이내입홈(24)을 형성하며, 키이내입홈(24)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절환홈(25)을 형성하여 회전로드(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절환홈(25)은 키이내입홈(24)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22)의 하단에는 스위벨(11)을 통해서 공급한 에어가 제공되는 에어관로(12)가 구비되며, 끼움부(22)의 하단과 면접되는 상기 끼움공(23)의 바닥에는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와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가 상기 절환홈(25)의 각도에 부합하도록 형성되어 회전로드(3)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가 굴착용 에어관로(13) 또는 절단용 에어관로(1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절단용 에어관로(14)의 경우 코어가압수단(30)과도 상호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다른 예를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절환수단(2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재(3a)에는 하단에 끼움홈(26)이 하향 개구되며 끼움홈(26)의 상단에는 끼움홈(26)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절환홈(27)을 갖는 끼움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재(3b)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23)을 형성하고, 끼움공(23)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26) 및 절환홈(27)에 내입되는 키이(28)를 형성한 구성이다.
그리고 끼움부(22)의 하단 및 끼움홈(26)의 바닥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각각 에어관로(12)와,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 및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를 형성하여 회전로드(3)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에서 절단용 에어관로의 측방으로 제2굴착용 에어관로를 더 형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로드(3)의 하부재(3b)에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 및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절단용 에어관로(14)의 측방에 제2굴착용 에어관로(15)를 더 형성하여 유로(16)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제2굴착용 에어관로(15)는,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에서 공급되는 에어 총량의 30% 이하로 공급하여 에어함마(7)에 압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다. 총량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절단용 실린더(10a)의 작동성 저하가 우려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이와 같이 제2굴착용 에어관로(15)를 구비하는 경우 코어절단수단(10)을 작동하는 과정에서 에어함마(7)쪽으로 이물(유체나 분쇄물 등)이 역류하여 에어함마(7)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굴착용 에어관로(13) 및 절단용 에어관로(14)와 제2굴착용 에어관로(15)에는 일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에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환수단의 또 다른 예를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2 또는 도 4과 같은 전환수단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2절단용 에어관로(18)를 더 형성한 것이다.
즉, 키이내입홈(24)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회전로드(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절환홈(25)에 상향으로 키이걸림공(29)을 더 형성하여 회전로드(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조금 들어 올릴 때 키이(21)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별도로 하지는 않았지만 절환홈(27)에 키이걸림공(2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와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를 끼움공(23)의 바닥에 형성하되, 이들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상부재(3a)의 끼움부(22)가 끼워지는 하부재(3b)의 끼움공(23) 측벽에는 상기와 같이 키이(21)가 키이걸림공(29)에 내입될 때 개방되는 제2절단용 에어관로(18)를 형성한다.
상기 제2절단용 에어관로(18)는 회전체(4)에 적용된 코어절단수단(10) 및 제2절단수단(17)과 코어가압수단(30)과에 동시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로드(3)의 상부재(3d)와 하부재(3b)에는 회전로드(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일 때 상호 결합되는 유체관로(19)가 형성되며, 이 유체관로(19)로는 상부의 스위벨(11)을 통해서 초고압으로 공급되는 절단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후술할 회전체(4)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절단노즐(17-1)로 공급되어 코어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 및 코어가압수단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회전체(4)에 적용된 코어절단수단(1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설치부(5) 내측으로 절단용 실린더(10a)를 축방향인 에어함마(7) 작동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며, 절단용 실린더(10a)의 로드에는 쐐기부재(10b)가 결합되어 절단용 실린더(10a)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 쪽으로 절단비트(10c)가 인출 및 인입하도록 비트출몰공(5a)이 형성되며, 절단비트(10c)는 상기 쐐기부재(10b)와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부재(10d)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10d)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0e)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절단비트(10c)가 항상 비트출몰공(5a) 내측으로 인입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쐐기부재(10b) 및 가압부재(10d)는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설치부(5)의 직경에 부합하는 곡률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코어가압수단(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코어가압수단(30)은, 가압용 실린더(30a)의 로드에는 쐐기부재(30b)가 결합되어 가압용 실린더(30a)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 쪽으로 가압비트(30c)가 인출 및 인입하도록 가압비트출몰공(5b)을 형성하며, 가압비트(30c)는 상기 쐐기부재(30b)와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d)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가압비트(30c)가 항상 가압비트출몰공(5b) 내측으로 인입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가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체(4)에 결합된 코어가압수단(30)의 다른 예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어 형성공간(6)에 축방향으로 내입되는 가압용 쐐기부재(31)를 코어 형성공간(6)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하고, 이를 가압용 실린더(30a)에 의해 승강 작동하도록 설치하여, 코어절단수단(10)에 의해 코어의 하단이 절단될 때 코어의 상단을 한쪽으로 밀어 절단 부분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코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체에 결합된 코어절단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회전체(4)에 적용된 코어절단수단(1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설치부(5) 내측으로 도 9, 도 10에서와 같은 코어절단수단(10)을 복수로 설치함과 아울러, 절단수단(10)과 동심상에 제2절단수단(17)을 더 부가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2절단수단(17)은 제2절단용 실린더(17a)를 축방향인 에어함마(7) 작동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며, 제2절단용 실린더(17a)의 로드에는 제2쐐기부재(17b)가 결합되어 제2절단용 실린더(17a)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 쪽으로 치핑함마(17c)가 인출 및 인입하도록 치핑함마출몰공(5b)이 형성되며, 치핑함마(17c)는 상기 제2쐐기부재(17b)와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가압부재(17d)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가압부재(17d)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7e)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치핑함마(17c)가 항상 치핑함마출몰공(5b) 내측으로 인입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10) 또는 제2절단수단(17)의 측방에는, 에어노즐(17f)을 더 설치하여 코어절단수단(10)과 제2절단수단(17)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때 발생하는 분쇄물을 신속히 분산시켜 절단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절단수단(10)과 제2절단수단(17)이 설치되는 자리에 코어절단수단(10)으로 고압의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절단노즐(17-1)을 설치하여 에어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위벨(11)을 통해서 공급되는 유체는 초고압으로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2코어절단수단(17)의 경우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절환수단(20)에서 절단용 에어관로(14)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용 실린더(10a)의 작동에 의해 제2쐐기부재(17b)가 하강하면서 제2가압부재(17d)를 밀게 되면 치핑함마트출몰공(5b)을 통해서 코어 형성공간(6) 쪽으로 치핑함마(17c)가 인출되어 코어를 착암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회전체(4)를 구동(시계반대방향)시켜 상기 코어절단수단(10)의 삼각형상의 절단비트(10c)에 의해 코어의 일부가 절단됨과 아울러 제2코어절단수단(17)의 치핑함마(17c)에 의해 착암되며, 나머지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이 상태에서 본 발명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를 지상으로 인양하여 절단 분리된 코어를 배출하고 굴착위치로 내입시켜 제 작업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2: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
3:회전로드 3a:상부재
3b:하부재 4:회전체
5:설치부 5a:비트출몰공
5b:치핑함마출몰공
6:코어 형성공간 7:에어함마
8:함마비트 9:흡입배출관
10:코어절단수단 10a:절단용 실린더
10b:쐐기부재 10c:절단비트
10d:가압부재 10e,17e:탄성부재
11:스위벨 12:에어관로
13:굴착용 에어관로 14:절단용 에어관로
15:제2굴착용 에어관로 16:유로
17:제2절단수단 17a:제2절단용 실린더
17b:제2쐐기부재 17c:치핑함마
17d:제2가압부재 17f:에어노즐
17-1:유체절단노즐 18:제2절단용 에어관로
19:유체관로
20:절환수단 21,28:키이
22:끼움부 23:끼움공
24:키이내입홈 25,27:절환홈
26:끼움홈 28:키이걸림공
30:코어가압수단 30a:가압용 실린더
30b:쐐기부재 30c:가압비트
30d:탄성부재 31:가압용 쐐기부재

Claims (13)

  1. 삭제
  2.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5)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6)이 형성되며, 설치부(5)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7)와, 코어 형성공간(6)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10)이 구비된 회전체(4)가 결합되는 회전로드(3)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7)와 코어절단수단(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3)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11)을 설치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로드(3)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7)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10)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절환수단(20)는, 스위벨(11) 쪽의 상부재(3a)와 회전체(4) 쪽의 하부재(3b)로 회전로드(3)를 분할하되;
    상기 상부재(3a)에는 하단에 회전력을 제어하는 키이(21)가 돌출된 끼움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재(3b)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23)을 형성하고, 끼움공(23)의 측벽에는 상기 키이(21)가 내입되도록 상향 개구된 키이내입홈(24)과 키이내입홈(24)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절환홈(25)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공(23)의 바닥에는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와,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를 형성하여 회전로드(3)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3.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5)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6)이 형성되며, 설치부(5)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7)와, 코어 형성공간(6)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10)이 구비된 회전체(4)가 결합되는 회전로드(3)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7)와 코어절단수단(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3)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11)을 설치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로드(3)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7)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10)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절환수단(20)는, 스위벨(11)쪽의 상부재(3a)와 회전체(4) 쪽의 하부재(3b)로 회전로드(3)를 분할하되;
    상기 상부재(3a)에는 하단에 끼움홈(26)이 하향 개구되며 끼움홈(26)의 상단에 절환홈(27)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재(3b)에는 상향 개구된 끼움공(23)을 형성하고, 끼움공(23)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26) 및 절환홈(27)에 내입되는 키이(28)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공(23)의 바닥에는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와,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를 형성하여 회전로드(3)의 회전에 따라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환홈(25)(27)에 상향으로 키이걸림공(29)을 더 형성하여 회전로드(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조금 들어 올릴 때 키이(21)(28)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에어함마(7)와 연결되는 굴착용 에어관로(13)와 코어절단수단(10)과 연결되는 절단용 에어관로(14)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상부재(3a)의 끼움부(22)가 끼워지는 하부재(3b)의 끼움공(23) 측벽에는 상기와 같이 키이(21)가 키이걸림공(29)에 내입될 때 개방되는 제2절단용 에어관로(18)를 형성하되;
    상기 제2절단용 에어관로(18)는 회전체(4)에 적용된 코어절단수단(10) 및 제2절단수단(17)과 코어가압수단(30)과에 동시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에어관로(14)의 측방에는 제2굴착용 에어관로(15)를 더 형성하여 유로(16)로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굴착용 에어관로(15)는, 상부재(3a)에 형성된 에어관로(12)에서 공급되는 에어 총량의 30% 이하로 공급하여 에어함마(7)에 압력이 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6.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5)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6)이 형성되며, 설치부(5)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7)와, 코어 형성공간(6)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10)이 구비된 회전체(4)가 결합되는 회전로드(3)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7)와 코어절단수단(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3)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11)을 설치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로드(3)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7)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10)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코어절단수단(10)은, 에어함마(7)의 작동방향으로 설치부(5)에 설치되는 절단용 실린더(10a)와;
    절단용 실린더(10a)에 의해 전후진 하는 쐐기부재(10b)와;
    상기 쐐기부재(10b)가 하강할 때 축직각으로 작동하여 코어 형성공간(6)으로 인출하는 절단비트(10c)가 구비된 가압부재(10d)와;
    상기 쐐기부재(10b)가 상승할 때 코어 형성공간(6)에서 절단비트(10c)를 인입시키는 탄성부재(10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7.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5)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6)이 형성되며, 설치부(5)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7)와, 코어 형성공간(6)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코어절단수단(10)이 구비된 회전체(4)가 결합되는 회전로드(3)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7)와 코어코어절단수단(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3)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11)을 설치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로드(3)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7)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코어절단수단(10)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설치부(5)에는 코어절단수단(10)을 복수로 설치함과 아울러 복수의 제2절단수단(17)을 설치하되;
    상기 제2절단수단(17)은, 에어함마(7)의 작동방향으로 설치부(5)에 설치되는 제2절단용 실린더(17a)와;
    제2절단용 실린더(17a)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제2쐐기부재(17b)와;
    상기 제2쐐기부재(17b)가 하강할 때 축직각으로 작동하여 코어 형성공간(6)으로 인출하는 치핑함마(17c)가 구비된 제2가압부재(17d)와;
    상기 제2쐐기부재(17b)가 상승할 때 코어 형성공간(6)에서 치핑함마(17c)를 인입시키는 탄성부재(1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어절단수단(10) 또는 제2절단수단(17)의 측방에는, 에어노즐(17f)을 더 설치하여 코어절단수단(10) 또는 제2절단수단(17)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때 발생하는 분쇄물을 신속히 분산시켜 절단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9. 청구항 2, 3, 6,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절단수단(10)은, 절단노즐을 설치하여 에어에 의해 코어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10. 청구항 2, 3, 6,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의 상단에 위치하며, 코어절단수단(10)과 함께 에어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코어가압수단(3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압수단(30)은, 가압용 실린더(30a)의 로드에는 쐐기부재(30b)가 결합되어 가압용 실린더(30a)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설치부(5)에는 코어 형성공간(6) 쪽으로 가압비트(30c)가 인출 및 인입하도록 가압비트출몰공(5b)을 형성하며;
    가압비트(30c)는 상기 쐐기부재(30b)와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d)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가압비트(30c)가 항상 가압비트출몰공(5b) 내측으로 인입되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압수단(30)은, 코어 형성공간(6)에 축방향으로 내입되는 가압용 쐐기부재(31)를 코어 형성공간(6)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하고, 이를 가압용 실린더(30a)에 의해 승강 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13. 상측으로 파일 드릴링 머신의 회전용 기어박스(2)가 결합되고, 하측으로 단면이 도넛과 같이 설치부(5)의 중앙으로 코어 형성공간(6)이 형성되며, 설치부(5)에는 지반을 굴착하는 복수의 에어함마(7)와, 코어 형성공간(6)에 형성된 코어의 하단을 절단하는 복수의 코어절단수단(10)이 구비된 회전체(4)가 결합되는 회전로드(3)를 포함하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함마(7)와 코어절단수단(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전로드(3)의 상단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스위벨(11)을 설치하고, 회전로드(3)의 하단에는 회전로드(3)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에어함마(7)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고, 회전로드(3)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코어절단수단(10)에 에어를 공급되게 하는 절환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코어절단수단(10)은, 상부의 스위벨(11)을 통해서 초고압으로 공급되는 절단용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로드(3)의 상부재(3d)와 하부재(3b)에는 회전로드(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일 때 상호 결합되는 유체관로(19)와;
    상기 유체관로(19)로 공급되는 유체가 공급되어 분사되면서 코어를 절단하도록 회전체(4)에 설치한 유체절단노즐(1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1020190057307A 2019-05-03 2019-05-16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102069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25 2019-05-03
KR20190052025 2019-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282B1 true KR102069282B1 (ko) 2020-02-11

Family

ID=6956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07A KR102069282B1 (ko) 2019-05-03 2019-05-16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2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378A (zh) * 2021-02-01 2021-06-11 何正勇 一种超硬岩层旋挖成孔的施工方法
KR20220040100A (ko) * 2020-09-23 2022-03-30 송채연 코어배럴 함마시스템용 에어 절환장치
WO2022114572A1 (ko) * 2020-11-30 2022-06-02 송채연 슬라임 배출 및 코어절단 기능이 개선된 코어배럴 함마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433A (ja) * 1993-06-04 1994-12-20 Japan Found Eng Co Ltd 軟弱地盤の地盤改良工法
KR960005723B1 (ko) * 1992-09-10 1996-05-01 신에이 텍 가부시키가이샤 2방향 전환밸브
KR200444654Y1 (ko) 2008-05-13 2009-05-27 이중완 파일 드릴링 머신의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 함마
KR20130000940U (ko) 2011-07-31 2013-02-08 정대직 두 가지 음료를 담는 컵
KR101508740B1 (ko) 2014-04-22 2015-04-07 주식회사 우리기초 코어 분리기능을 갖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20160004494A (ko) * 2014-07-02 2016-01-13 우복기초 주식회사 도넛 함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23B1 (ko) * 1992-09-10 1996-05-01 신에이 텍 가부시키가이샤 2방향 전환밸브
JPH06346433A (ja) * 1993-06-04 1994-12-20 Japan Found Eng Co Ltd 軟弱地盤の地盤改良工法
KR200444654Y1 (ko) 2008-05-13 2009-05-27 이중완 파일 드릴링 머신의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 함마
KR20130000940U (ko) 2011-07-31 2013-02-08 정대직 두 가지 음료를 담는 컵
KR101508740B1 (ko) 2014-04-22 2015-04-07 주식회사 우리기초 코어 분리기능을 갖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20160004494A (ko) * 2014-07-02 2016-01-13 우복기초 주식회사 도넛 함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100A (ko) * 2020-09-23 2022-03-30 송채연 코어배럴 함마시스템용 에어 절환장치
WO2022065770A1 (ko) * 2020-09-23 2022-03-31 송채연 코어배럴 함마시스템용 에어 절환장치
KR102467330B1 (ko) 2020-09-23 2022-11-16 송태일 코어배럴 함마시스템용 에어 절환장치
WO2022114572A1 (ko) * 2020-11-30 2022-06-02 송채연 슬라임 배출 및 코어절단 기능이 개선된 코어배럴 함마 시스템
CN112942378A (zh) * 2021-02-01 2021-06-11 何正勇 一种超硬岩层旋挖成孔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282B1 (ko) 회전방향 전환으로 암반굴착 및 코어절단이 가능한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200444654Y1 (ko) 파일 드릴링 머신의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 함마
KR101406159B1 (ko) 말뚝공 굴착 장치
KR101302554B1 (ko) 지반 천공용 해머의 비트
KR101508740B1 (ko) 코어 분리기능을 갖는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CN105821837A (zh) 圆弧插合t形桩制造设备
CN203238689U (zh) 手持式挖土机
CN105887851A (zh) 人字桩地基处理机械
KR101183445B1 (ko) 에어 토출형 유압해머를 갖는 대구경 굴착헤드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법
KR101024939B1 (ko) 개량된 굴삭기용 오거 스크류 조립체
CN218493540U (zh) 一种顶锤钻机钻凿水域岩石钻具
KR102355243B1 (ko) 동심 코어형 코어배럴 작업용 굴착함마
KR102070490B1 (ko) 지중 매설된 phc 파일 제거장치
CN114278227B (zh) 一种灌注桩下护筒的施工方法
KR102467330B1 (ko) 코어배럴 함마시스템용 에어 절환장치
CN211777170U (zh) 一种气动冲击螺旋钻头
KR101258506B1 (ko) 지반 천공장치의 해머비트 구조
KR100372049B1 (ko) 크레인을 이용한 천공기
KR100205694B1 (ko) 공기타격식 암반드릴 및, 이에 사용되는 공압식 햄머
CN205154010U (zh) 一种可连续掘进的钻机
EP0990765B1 (en) Percussive core barrel
CN205063814U (zh) 一种反循环式集束锤
JP4533910B2 (ja) 破砕削孔装置
CN211924079U (zh) 先导阶梯型滚刀钻头
JPH0718664A (ja) 地下穿孔機用の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