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230B1 -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230B1
KR102068230B1 KR1020170165988A KR20170165988A KR102068230B1 KR 102068230 B1 KR102068230 B1 KR 102068230B1 KR 1020170165988 A KR1020170165988 A KR 1020170165988A KR 20170165988 A KR20170165988 A KR 20170165988A KR 102068230 B1 KR102068230 B1 KR 10206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sheet
composite material
fiber
reinforced composite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345A (ko
Inventor
변의현
성화준
오유나
김민아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주)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주)
Priority to KR102017016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22Corrugating
    • B29C53/24Corrugating of plate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반용융 상태의 수지와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판재 형태의 연질시트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를 두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질시트 내부의 상기 강화섬유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질시트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상기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등의 복합소재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성을 나타내는 소재로서, 밀도가 낮은 열가소성 수지에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강화섬유를 삽입하여 제조된다.
이때, 길이가 10~50mm 정도인 장섬유를 강화섬유로 사용한 복합소재는 섬유의 배열 방향에 따라 이방성, 즉 방향에 따른 강성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강화섬유를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 뒤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된 복합소재(CFRTPC;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는 강화섬유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견디는 강성이 높아지지만, 강화섬유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는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종래에는 강화섬유를 이용하여 일종의 직물을 직조한 후 수지에 함침시켜 여러 방향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강화섬유를 직물 형태로 직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 장비와 가공 시간이 요구되고, 직조와 수지 함침을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일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 특히 판재의 두께 방향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판재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76325 A (2012.07.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장섬유가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판재를 제공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반용융 상태의 수지와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판재 형태의 연질시트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를 두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질시트 내부의 상기 강화섬유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질시트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상기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상면 방향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와,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하면 방향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및 상기 상부 가이드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질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변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가이드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부변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가이드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변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변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연질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되어 상기 연질시트의 양면을 엇갈리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연질시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개폐되면서 상기 가공부에서 변형된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블레이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연질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두께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연질시트가 배출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연질시트를 경화시키면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방법은,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반용융 상태의 수지 내부에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향된 연질시트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연질시트의 양면 복수 개소를 두께 방향으로 엇갈리게 가압하여 상기 강화섬유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연질시트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연질시트에 포함된 반용융 상태의 수지가 파형으로 변형된 강화섬유의 골을 채우도록 유동시켜 상기 연질시트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시트의 양면을 엇갈리게 가압하여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서,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개의 평탄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평탄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로 구분되어, 파형으로 형성된 강화섬유 및 상기 강화섬유를 감싸도록 함침된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두께 방향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연속섬유를 이용한 연속적인 공정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다.
셋째, 추가적인 적층 공정 없이 두께 방향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의 가공부를 확대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가공부가 작동 과정에 따라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의 전체 레이아웃이며, 도 3은 가공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가공부의 작동과정에 따른 변형플레이트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500)는 강화섬유(510)가 수지(520) 내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파형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있다. 즉, 섬유강화 복합소재(500)의 두께 방향으로 배열된 평탄부(511)와, 서로 인접한 평탄부(511) 사이를 상하 교번하여 연결하는 절곡부(512)로 구분되어 강화섬유(510)가 전체적으로 파형을 이루게 되고, 이를 통해 두께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크게 압출기(100), 가공부(200) 및 절단부(300)를 포함하고, 여기에 컨베이어(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출기(100)는, 수지 원료(110)를 용융시킨 수지(520)와 복수의 릴에서 풀려나온 강화섬유(120)의 혼합물을 압출하여 연질시트(501)를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압출기(100)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501)의 기지를 이루는 수지(520)는 완전히 경화되어 있지 않고, 반용융 상태를 유지하면서 약간의 흐름성 및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강화섬유(510)는 연질시트(501)가 배출되는 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강화섬유(120)는 압출기(100)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수지(520)와 혼합되고, 이후 연질시트(501)에 삽입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연질시트(501)가 배출되는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다.
압출기(100)는 강화섬유(120)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산시킨 후 수지(520)를 함침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공부(200)는 연질시트(501)에 삽입되어 있는 강화섬유(510)가 연질시트(501)의 두께 방향, 즉 연질시트(501)가 배출되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기(100)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501)의 이동경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220) 및 이동경로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가이드(210)와,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질시트(50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 형상의 변형플레이트(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의 크기 및 형태는 크게 한정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연질시트(501)의 배출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연질시트(50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가이드(220)와 하부 가이드(210)는 압출기(100)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501)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연질시트(501)가 가공부(200)에서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부 가이드(220)에 설치되는 상부변형플레이트(221) 및 하부 가이드(210)에 설치되는 하부변형플레이트(2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에는 각각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플레이트(201)는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를 관통하여 연질시트(501)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의 내측 표면을 이루도록 수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연질시트(501)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여 연질시트(501), 특히 연질시트(501) 내부의 강화섬유(510)가 일종의 파형을 이루도록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변형플레이트(201)는 또한 상부 가이드(220)에 설치된 상부변형플레이트(221)와 하부 가이드(210)에 설치된 하부변형플레이트(211)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변형플레이트(221) 및 하부변형플레이트(211)는 연질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되게 배치되어, 연질시트(501)를 가압할 때 서로 엇갈리면서 연질시트(501)를 파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변형플레이트(201)는 연질시트(501)를 변형시키기 위한 얇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연질시트(501)를 폭방향으로 고르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연질시트(50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절단부(300)는 가공부(20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연질시트(501)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연질시트(50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절단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개폐되면서 연질시트(501)를 절단할 수 있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필요시 폐쇄되면서 연질시트(501)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절단부(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질시트(501)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절단이 가능하다면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컨베이어(400)는 절단부(300)에서 절단된 연질시트(501)를 이송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연질시트(501) 내의 수지(520)를 경화시켜 섬유강화 복합소재(500)로 만들기 위한 구성이다. 연질시트(501)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공기를 이용한 공랭 방식일 수도 있고, 별도의 냉각유로를 설치하여 컨베이어(400)를 냉각시키는 방법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방법은, 수지 원료(110)를 용융시킨 반용융 상태의 수지(520) 내부에 일방향으로 배향된 강화섬유(510)를 삽입한 연질시트(501)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연질시트(501)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질시트(501) 내부의 강화섬유(510)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제2단계와, 연질시트(50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연질시트(50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연질시트(501)의 수지(520)를 경화시키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압출기(100)에 연속적으로 강화섬유(120) 및 수지 원료(110)를 투입하고, 반용융 상태의 수지(520)와 함께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유연한 판재 형상의 연질시트(501)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수지 원료(110)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P, PE, PA6, PA66, PA46, PET, PPS, PPO, MPPO 등 다양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화섬유(120)는 수지 원료(110)에 비해 높은 강성과 높은 융점을 가지는 보강재로서, 예를 들어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바잘트섬유 등의 다양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강화섬유(120)는 연속섬유 형태로 제공되고, 압출기(100)에서 10~50mm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제2단계에서는 연질시트(501)를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 사이에 배치시킨 후 변형플레이트(201)를 이용해 연질시트(501)의 양면을 가압하여 연질시트(501)를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제 3단계에서는 연질시트(501)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520)가 유동하여 파형으로 변형된 골을 채우게 됨으로써 연질시트(50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게 된다.
이 과정이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2단계에서 연질시트(501)가 변형플레이트(201)에 의해 파형으로 변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변형플레이트(201)가 수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플레이트(201)가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로부터 돌출되어 연질시트(501)를 파형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연질시트(501)의 단부가 절단부(300)에 이르게 되면, 절단부(300)에 가장 가까운 변형플레이트(201)가 연질시트(501) 방향으로 돌출된 이후, 순차적으로 절단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변형플레이트(201)가 상하 엇갈리게 돌출됨으로써 연질시트(501)를 파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 후, 변형플레이트(201)가 수납되어 상부 가이드(220)와 하부 가이드(210) 사이에 평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면, 압출기(100)에서 계속해서 공급되는 연질시트(501)의 압력에 의해 파형으로 변형된 연질시트(501)가 압축되고, 압축되는 과정에서 수지(520)가 유동되어 변형플레이트(20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즉 파형의 골 부분을 메우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공부(200)에서 변형된 연질시트(501)는 압출기(100)에서 배출되었을 때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되고, 동시에 수지(520)가 상부 가이드(220) 및 하부 가이드(210)의 사이 공간을 채우면서 변형된 연질시트(501)가 평탄한 표면을 가지게 된다.
제4단계는 제2단계에서 강화섬유가 파형으로 변형되고 제3단계에서 표면이 평탄화된 연질시트(50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수지(520)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는 절단부(300)를 이용하여 연질시트(501)를 절단하고, 컨베이어(400)에서 냉각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압출기 110: 수지 원료
120: 강화섬유(압출기 투입전) 200: 가공부
210: 하부 가이드 211: 하부변형플레이트
220: 상부 가이드 221: 상부변형플레이트
201: 변형플레이트 300: 절단부
400: 컨베이어 500: 섬유강화 복합소재
510: 강화섬유 511: 평탄부
512: 절곡부 520: 수지
501: 연질시트

Claims (12)

  1.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반용융 상태의 수지와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판재 형태의 연질시트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연질시트를 두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질시트 내부의 상기 강화섬유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질시트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상기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상면 방향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와,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하면 방향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및 상기 상부 가이드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질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변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가이드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부변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가이드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변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변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연질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되어 상기 연질시트의 양면을 엇갈리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플레이트는, 상기 연질시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개폐되면서 상기 가공부에서 변형된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블레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연질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질시트의 두께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상기 강화섬유를 상기 연질시트가 배출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연질시트를 경화시키면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
  9. 청구항 1항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압출기를 이용하여 반용융 상태의 수지 내부에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향된 연질시트를 제조하는 제1단계;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연질시트의 양면 복수 개소를 두께 방향으로 엇갈리게 가압하여 상기 강화섬유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제2단계; 및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연질시트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연질시트를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 사이에 배치시킨 후 변형플레이트를 이용해 연질시트의 양면을 가압하여 연질시트를 파형으로변형시키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연질시트에 포함된 반용융 상태의 수지가 파형으로 변형된 강화섬유의 골을 채우도록 유동시켜 상기 연질시트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연질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제조방법.
  12. 청구항 9항에 의해 제조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KR1020170165988A 2017-12-05 2017-12-05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6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88A KR102068230B1 (ko) 2017-12-05 2017-12-05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88A KR102068230B1 (ko) 2017-12-05 2017-12-05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45A KR20190066345A (ko) 2019-06-13
KR102068230B1 true KR102068230B1 (ko) 2020-01-20

Family

ID=6684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988A KR102068230B1 (ko) 2017-12-05 2017-12-05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2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1130A1 (en) 2007-04-13 2010-04-29 Boyce Gerard S Sign post comprising composite material
JP2010253714A (ja) * 2009-04-22 2010-11-11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640A (ja) * 1988-10-20 1990-04-24 Olympus Optical Co Ltd プラスチック用充填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150470B1 (ko) * 2009-09-09 2012-06-01 (주)삼박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과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20076325A (ko) 2010-12-29 2012-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장유리 섬유강화 수지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1130A1 (en) 2007-04-13 2010-04-29 Boyce Gerard S Sign post comprising composite material
JP2010253714A (ja) * 2009-04-22 2010-11-11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45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1238B1 (en) Aerospace structural member with hybrid composite structure
EP27221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plastic
US201100885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plastic profile parts
JP2010524718A (ja) 連続したプロファイルを作製するための引抜き成形法
CN108778847B (zh) 能量吸收部件和用于生产能量吸收部件的方法
EP2733161A1 (en) Thermoplastic resin pre-preg, molded preform and molded composit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preform and molded composite
JPS6364304B2 (ko)
CN110091821A (zh) 具有波纹式接头的多部件复合能量吸收结构
US11059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te rib and rib-and-sheet molding
CN110228211B (zh) 预成型坯赋形方法、复合材料和成形方法及航空器结构体
US10427361B2 (en) Fiber-reinforced sheet and structure
US20230415448A1 (en) Honeycomb core sandwich panels
JPH06218823A (ja) 均一な壁厚を持つ管状引抜成形部材
KR102068230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07374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ber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KR102045308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711943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EP2889132B1 (en) A Reinforcing Pin for a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JP200716812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
JP2007285330A (ja) リベット状締結部材の形成方法、リベット状締結部材及びリベット状締結部材形成用の中間素材
US20220143879A1 (en) Dual expanding foam for closed mold composite manufacturing
US20200340544A1 (en) Component for absorbing impact force
JP7196006B2 (ja) 金属箔‐cfrp積層シート
WO2015098147A1 (ja) アイソグリッドパネル構造体およびアイソグリッドパネル構造体製造方法
KR102401275B1 (ko) 중공 단면을 가진 섬유강화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