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731B1 -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731B1
KR102067731B1 KR1020180071852A KR20180071852A KR102067731B1 KR 102067731 B1 KR102067731 B1 KR 102067731B1 KR 1020180071852 A KR1020180071852 A KR 1020180071852A KR 20180071852 A KR20180071852 A KR 20180071852A KR 102067731 B1 KR102067731 B1 KR 102067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lock
unit
power transmission
coi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779A (ko
Inventor
김정호
이범선
심부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9007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블록형 코일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와,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EXPANDABLE BLOCK TYPE COIL APPARTUS}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 형태의 코일을 조립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다수의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 가능하게 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 하지 않고 단지 휴대폰을 충전 패드에 올려놓음으로써,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원리에 따라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부 코일과 수신부 코일 사이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자기 공진 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전자기파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은 송신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를 수신부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송신부 코일과 수신부 코일의 자기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의 형태 내지 강도에 따라 유연하게 결합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flexibly coupled wireless power transfer technology, 이하 'flexibly coupled technology')과 단단하게 결합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tightly coupled wireless power transfer technology, 이하 'tightly coupled technology ')으로 구분될 수 도 있다.
이때, 'flexibly coupled technology'의 경우 하나의 송신부 공진기와 다수의 수신부 공진기들 사이에 자기 공진 결합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동시 다중 충전(Concurrent Multiple Charging)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tightly coupled technology '는 단지 하나의 송신부 코일과 하나의 수신부 코일 간의 전력 전송(one-to-one power transmission) 만이 가능한 기술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가정, 사무실, 공항, 열차 안 등 복잡한 무선채널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3차원 공간에서 비콘 측위기술 등을 바탕으로 배열 안테나의 3차원 빔패턴을 합성하여 무선기기/IoT 디바이스/웨어러블 기기를 충전하는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 개발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제한된 개수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5311호,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 방법"(2017.11.14)
본 발명은 가정, 사무실, 공항, 열차 안 등 복잡한 무선채널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형상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여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힐 수 잇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형상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해 인덕턴스를 높여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와, 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는 상기 상면의 요부에 의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와,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단위 코일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는 상기 상면의 요부에 의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상기 요부 및 상기 철부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서로 상기 코일부를 연결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서로 상기 코일부를 연결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서로 코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 거리 및 비 가시거리 환경에서 3차원 선택적 공간에 대한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형상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여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힐 수 잇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형상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에 의해 인덕턴스를 높여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무선 충전 패드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패드부의 무선 충전 패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충전 패드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경우 무선 충전 패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구동 제어부 및 코일 구동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동부의 구성 예 및 소형 전력 전송 코일과 코일 구동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서 근접장 전력 전송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서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의 구성 및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의 구성 예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의 다른 구성 예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조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블록형 코일 장치의 다른 구성 예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환경은 가정의 거실, 룸(room), 사무실, 공항, 열차와 같은 3차원 공간일 수 있다.
3차원 공간 상에서 전력 전송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의 근접 장 전송(Near field Wireless Power Transform)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나 종류에 따라 근거리 및 원거리를 커버할 수 있는 전자기파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수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3차원 공간 상에는 전자기파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는 RF Harvesting Device가 구비될 수 도 있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충전 패드부(210),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 및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무선 충전 패드부(210),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 및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3차원 공간 환경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력 전송 장치만이 구비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또는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충전 패드부(210),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 및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240)는 무선 충전 패드부(210),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 및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3차원 공간의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패드부(210),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 및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원거리 전송이 필요 없는 경우 무선 충전 패드부(210) 및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를 동작하도록 하고,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패드부(21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근접장 전력 전송부(220)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3차원 공간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는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 방식으로 3차원 공간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거리 장(Far Field)은 송수신단 사이의 거리가 '2x(안테나길이)2/파장' 이상인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무선 충전 패드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장치는 무선 충전 패드(도시 되지 않음)와 무선 충전 패드 구동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패드는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패드 구동장치는 구동 제어부(315) 및 코일 구동부(317)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패드 구동장치는 코일 결정부(313) 및 스캐닝 제어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패드 구동장치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구성된 무선 충전 패드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315) 및 구동 제어부(315)에서 입력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 각각을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스캐닝 제어부(311)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로 구성된 무선 충전 패드 위의 충전 대상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 충전 패드를 스캐닝한다.
스캐닝 제어부(311)는 각각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의 임피던스 변화, 압력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소형 전력 전송 코일 위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여 있는지를 검출 할 수 있다.
코일 결정부(313)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 들 중 상기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 들 중 상기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을 감싸는 주변 전력 전송 코일들을 확인한다.
구동 제어부(315)는 상기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에 제1 위상을 갖는 제1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변 전력 전송 코일들에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위상을 갖는 제2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은 충전 대상 디바이스에 매칭되는 소형 전력 전송 코일 일 수 있다. '충전 대상 디바이스에 매칭된다'는 것은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충전 대상 디바이스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 신호는 도 6 및 도 7에서 'A'로 표시한 신호와 'A'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B' 신호 중 'A' 신호를 선택하도록 코일 구동부(317)를 제어하는 'Select' 신호 일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도 6 및 도 7에서 'A'로 표시한 신호와 'A'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B' 신호 중 'B' 신호를 선택하도록 코일 구동부(317)를 제어하는 'Select' 신호 일 수 있다.
코일 구동부(317)는 상기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무선 충전 패드에 인가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패드부의 무선 충전 패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410)은 무선 충전 패드 상에 겹쳐지지 않는 구조인 테셀레이션(tesselation)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무선 충전 패드상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인 'DEVICE'가 놓여 있는 예를 나타낸다.
이때, 전체 소형 전력 전송 코일 들 중 'DEVICE'가 위치하고 있는 육각형 굵은 선 내부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 들만 동작 하도록 제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충전 패드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경우 무선 충전 패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캐닝 제어부(311)는 각각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의 임피던스 변화, 압력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소형 전력 전송 코일 위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여 있는지를 검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스캐닝하는 경우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코일의 경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하면 해당 코일 위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압력 감지 센서가 구비된 경우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압력 감지 센서는 압력 변화를 통해 디바이스를 검출 할 수 있다.
스캐닝 제어부(311)는 무선 충전 패드를 스캐닝함으로써, 10, 11, 12, 13, 17, 18, 19, 20, 21, 25, 26, 27, 28 코일들 위에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스캐닝 제어부(311)에서 스캐닝을 수행한 결과,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놓인 위치의 하부에 구비된 코일들이 10, 11, 12, 13, 17, 18, 19, 20, 21, 25, 26, 27, 28 코일들로 검출된 경우, 코일 결정부(313)는 10, 11, 12, 13, 17, 18, 19, 20, 21, 25, 26, 27, 28 코일들 각각이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결정부(313)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 들 중 상기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인 10, 11, 12, 13, 17, 18, 19, 20, 21, 25, 26, 27, 28 코일들을 감싸는 2, 3, 4, 5, 6, 9, 14, 16, 22, 24, 29, 32, 33, 34, 35, 36번 코일들이 주변 전력 전송 코일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시계 방향 화살표는 제1 위상을 의미하고, 반 시계 방향 화살표는 제2 위상을 의미한다.
코일 구동부(317)는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제1 구동 신호를 해당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출력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제2 구동 신호를 해당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구동부(317)는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인 10, 11, 12, 13, 17, 18, 19, 20, 21, 25, 26, 27, 28 코일들 각각에 제1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주변 전력 전송 코일들인 2, 3, 4, 5, 6, 9, 14, 16, 22, 24, 29, 32, 33, 34, 35, 36 코일들 각각에 제2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위치한 곳에 놓인 코일들을 동작 시킴으로써 충전 대상 디바이스에 전력이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대상 디바이스가 위치한 코일들 주변의 코일들은 반대 위상을 갖도록 동작 시킴으로써, 충전 대상 디바이스로 향하는 자기력 선이 증가하고 외부로 퍼지는 자기력 선은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하고 외부에 자기력선이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구동 제어부 및 코일 구동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구동 제어부(제1 구동 제어부, 631)가 4개의 구동 모듈들(642, 643, 645, 647)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 제어부는 제1 구동 제어부(931)외에 제2 구동 제어부 및 제3 구동 제어부 등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 제어부(931)는 8개의 출력 신호 단자(601~908)를 갖는 쉬프트 레지스터일 수 있다.
따라서, 쉬프트 레지스터와 같은 제1 구동 제어부(931)를 캐스케이딩 형태로 연결하는 경우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는 선형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구동 모듈들(642, 643, 645, 647) 각각은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모듈(642)은 제1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고, 제2 구동 모듈(643)은 제2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고, 제3 구동 모듈(645)은 제3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고, 제4 구동 모듈(647)은 제4 소형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패드에 36개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이 구비된 경우, 무선 충전 구동 장치는 36개의 구동 모듈 및 9개의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패드의 구동 장치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구성된 제1 무선 충전 모듈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제1 구동 제어부 및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구성된 제2 무선 충전 모듈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제2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 제어부의 일단은 상기 제1 구동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제어부의 타단은 제3 구동 제어부에 연결되어 무선 충전 모듈의 확장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코일 구동부는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모듈들(642, 643, 645, 647)을 포함한다.
또한, 코일 구동부는 제1 위상을 갖는 제1 스위칭 신호(A) 및 상기 제2 위상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B)를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듈(642, 643, 645, 647) 각각에 인가하는 2개의 버스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31)는 각각의 구동 모듈로 해당 구동 모듈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와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제1 구동 제어부(631)는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들 및 상기 주변 전력 전송 코일들 각각에 연결된 구동 모듈들에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모듈들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모듈(642)이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된 구동 모듈인 경우, 참조부호 601단자로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고, 참조부호 602 단자로 제1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구동 모듈(647)이 주변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된 구동 모듈인 경우, 참조부호 607단자로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고, 참조부호 608 단자로 제2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동부의 구성 예 및 소형 전력 전송 코일과 코일 구동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710은 하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의 일단은 구동전압 Vcc 가 연결되고 타 단은 코일 구동부 내에 구비된 스위칭 소자(7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코일 구동부는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720), 멀티플렉서(750) 및 앤드 게이트(And gate) 소자(76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구동부는 참조부호 730 단자를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 받고, 참조부호 740 단자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멀티플렉서(750)는 740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제1 제어 신호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인 A 신호를 출력하고, 740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제2 제어 신호인 경우 제2 스위칭 신호인 B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앤드 게이트(And gate) 소자(760)는 730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 및 멀티플렉서(750)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스위칭 소자(7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이 구동 대상 전력 전송 코일인 경우, 740 단자로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스위칭 소자(720)는 A 신호와 같은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720)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구동 전압 Vcc가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에 인가됨으로써,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은 제1 위상을 갖는 제1 구동 전압으로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720)가 NMOS 트랜지스터인 경우, NMOS 트랜지스터가 온(On)되는 시간 구간에서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의 캐패시터는 충전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가 오프(Off)되는 시간 구간에서 소형 전력 전송 코일(710)의 캐패시터는 방전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충전 및 방전의 반복을 통해 인덕터의 자기장이 제어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서 근접장 전력 전송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근접장 전력 전송부는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810), 전력 분배기(815), 제1 증폭부(820), 제2 증폭부(830), 위상 변위기(840) 및 제어부(85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810)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수신 코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코일부(810)는 2개의 자기 공진 코일(811, 8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공진 코일(811)과 제2 자기 공진 코일(813)은 각각 단일 수신 코일과 자기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송신 코일과 단일 수신 코일로 구성되는 환경을 Multi Input Single Output(MISO) 시스템이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단일 송신 코일 또는 단일 송신기와 단일 수신 장치로 구성되는 환경은 Single Input Single Output(SISO) 시스템이라 표현할 수 있다.
MISO 시스템은 SISO 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는 환경에서도 SISO 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MISO 시스템도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정렬 상태에 따라 자기 결합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자기 공진 코일(811)과 제2 자기 공진 코일(813)로 공급되는 전류의 위상을 다르게 제어하는 경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정렬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기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전력 분배기(815)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고, 분배된 전력을 제1 증폭부(820)와 위상 변위기(840)로 출력할 수 있다.
위상 변위기(840)는 입력된 전력의 위상을 변경할 수 있다.
위상 변위기(840)는 입력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제2 증폭부(830)로 공급되는 전류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기 공진 코일(811)과 제2 자기 공진 코일(813)로 공급되는 전류의 위상은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기 공진 코일(811)과 제2 자기 공진 코일(813)로 공급되는 전류의 위상차는 0~180도(degree)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제어를 통해 MISO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움직임에 의한 효율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서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의 구성 및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element1, element2,,,elementN)를 포함하는 어레이 안테나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안테나부(93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각각에 대한 위상 및 분포 전류의 크기 등을 제어함으로써, 방사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방사 소자의 급전 위상을 조절하여, 수신 안테나의 위치에서 전기장이 동위상으로 더해지게 함으로써 수신 전력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열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매우 먼 거리로 가정한다. 따라서, 안테나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은 배열 안테나의 각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같다고 가정한 후에 수학식 1의 Friis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61377254-pat00001
수학식 1에서, Pr은 수신 전력, Pt는 송신 전력, R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 Gt는 송신 안테나의 이득, Gr은 수신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낸다.
그러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환경에서 배열 안테나의 각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Friis 공식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의 제어부(240) 또는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는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함에 있어서, 실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환경을 고려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한다.
도 2의 제어부(240) 또는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230)는 전력 수신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각 송신 방사소자에서 입력전력의 크기가 각각 P1, P2,… , PN이고 수신 안테나와 각각의 방사 소자 사이의 거리는 R1, R2,…,RN이며 각 방사소자가 동일한 이득 Gt0 를 갖고, 안테나 이득이 Gr인 수신 안테나로의 전력전송 효율은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61377254-pat00002
수학식 2에서, 송신단의 방사소자와 수신안테나 사이의 거리의 평균을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 계산 방식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61377254-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18061377254-pat00004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근접장 전력 전송부의 다른 구성 예일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부의 다른 구성 예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록형 코일 장치(1000)는 코일 페라이트 블록부(1010)와 코일부(1020)를 포함한다.
페라이트 블록부(1010)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페라이트 블록부(1010)는 상면의 요부에 의해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 시킬 수 있다.
코일부(1020)는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 신호는 전자기장 또는 자기장일 수 있다.
블록형 코일 장치(1000)는 제1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블록형 코일 장치(1000)는 제2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1000)와 동일한 코일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이트 블록부와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한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형 코일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1000)를 단위 코일 장치로 하여 복수 개 조립 및 연결된 형태의 블록형 코일 장치일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은 상면의 요부에 의해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시킬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은 요부 및 철부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은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서로 코일부를 연결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위코일 장치들은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서로 코일부를 연결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은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의해 서로 코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의 구성 예이다.
도 11(a)는 블록형 코일 장치의 상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블록형 코일 장치의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1000)는 페라이트 블록부(1110)와, 코일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 블록부(1110)는 요부(1111) 및 철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요부(1111)는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상면에 원통 형태로 튀어나온 부분일 수 있다.
철부(1112)는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하면에 원통 형태로 들어간 부분일 수 있다.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요부(1111)는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철부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페라이트 블록부(1110)는 전체가 페라이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페라이트 블록부(1110)는 요부(1111)만 페라이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페라이트 블록부(1111)는 코일부(1110)에 의해 생성된 무선전력 신호를 요부(1111)의 형성 방향으로 빔포밍 시킬 수 있다.
코일부(1120)는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상면에 요부(1111)를 중심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120)는 급전부에 연결되어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하나의 요부(1111)와 하나의 철부(1112)를 포함하나, 두 개 이상의 요부들 및 철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부의 수와 철부의 수는 다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원통 형태의 요부(1111) 및 철부(1112)를 포함하나, 요부(1111) 및 철부(1112)의 형태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사각 형태의 페라이트 블록부(1110)를 포함하나,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형태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의 다른 구성 예이다.
도 12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블록형 코일 장치는 페라이트 블록부(1210)와, 코일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페라이트 블록부(1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1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페라이트 블록부(1210)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1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페라이트 블록부(1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1211) 및 페라이트 블록부(1210)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1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220)는 제1 연결부(1211)로부터 나와 요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겨지고, 제2 연결부(12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코일부(1220)는 제2 연결부(1212)로부터 나와 요부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겨지고, 제1 연결부(1211)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록형 코일 장치는 제1 연결부(1211)에 의해 오른쪽에 배치된 제1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1220)는 제1 연결부(1211)에 의해 오른쪽에 배치된 제1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제2 연결부(1212)에 의해 왼쪽에 배치된 제2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1220)는 제2 연결부(1212)에 의해 왼쪽에 배치된 제2 다른 블록형 코일 장의 코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제1 내지 제2 연결부(1211, 1212)를 통해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들과 일 열로 연결되어 충전 공간을 확장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제1 내지 제2 연결부(1211, 1212)를 통해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들의 코일부와 연결되어 인덕턴스(inductance)를 높이고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블록형 코일 장치는 오른쪽의 일 면에 제1 연결부(1211)와 왼쪽의 타 면에 제2 연결부(1212)를 포함하나, 블록형 코일 장치는 다른 위 쪽 면과 아래 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요부의 중앙에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블록형 코일 장치의 연결부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코일부(1220)는 권선 모양이 원형으로 감기는 형태로 표현 되었으나, 코일 권선 모양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블록부(1110)의 형태에 따라 사각형 형태로 권선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조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블록형 코일 장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 장치들(1310, 1320, 1330, 1340, 13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1310, 1320, 1330, 1340, 1350)는 도 10에 도시된 하나의 블록형 코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1310, 1320, 1330, 1340, 1350)은 상부로 복수 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위 코일 장치(1310)는 맨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위 코일 장치(1320)는 제1 단위 코일 장치(1310)의 철부에 요부를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3 단위 코일 장치(1330)는 제2 단위 코일 장치(1320)의 철부에 요부를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4 단위 코일 장치(1340)는 제3 단위 코일 장치(1330)의 철부에 요부를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5 단위 코일 장치(1350)는 제4 단위 코일 장치(1340)의 철부에 요부를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단위 코일 장치(1310, 1320, 1330, 1340, 1350)들은 조립되어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단위 코일 장치(1310, 1320, 1330, 1340, 1350)들은 요부들에 의해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 시켜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단위 코일 장치들(1360, 1370, 1380) 옆 및 상부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8 단위 코일 장치(1380)는 하나의 요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하면에 두개 이상의 철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6 단위 코일 장치(1360)는 오른쪽의 연결부를 통해 제7 단위 코일 장치(13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단위 코일 장치(1360) 및 제7 단위 코일 장치(1370)의 상면에는 제8 단위 코일 장치(1380)의 철부에 제6 단위 코일 장치(1360) 및 제7 단위 코일 장치(1370)의 요부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단위 코일 장치들(1360, 1370, 1380)은 이와 같은 구조로 무선 충간 공간을 넓히고,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형 코일 장치는 단위 코일 장치들(1310 내지 1380)의 결합에 의해 전력량을 증가 시키고 충전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도 14는 블록형 코일 장치의 다른 구성 예이다.
도 14는 블록형 코일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블록형 코일 장치는 페라이트 블록부(1410)에 4개의 요부들(1411, 1412, 1413, 1414)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420)는 제1 연결부(1431)로부터 나와 제1 요부(1411)를 반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고, 제2 요부(1412)를 반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으며, 제4 요부(1414)를 반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고, 제3 요부(1413)를 반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은 후 제2 연결부(14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코일부(1420)는 제2 연결부(1432)로부터 나와 제3 요부(1413)를 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고, 제4 요부(1414)를 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으며, 제2 요부(1412)를 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고, 제1 요부(1411)를 시계 방향으로 수회 감은 후 제1 연결부(14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 및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는 상기 상면의 요부에 의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시키는
    블록형 코일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블록형 코일 장치의 코일부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
  5.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 및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단위 코일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상기 요부 및 상기 철부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블록형 코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는 상기 상면의 요부에 의해 상기 무선전력 신호를 빔포밍시키는
    블록형 코일 장치.
  7. 삭제
  8.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하면에 철부를 형성한 페라이트 블록부; 및
    상기 페라이트 블록부의 요부를 중심으로 감겨져 무선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단위 코일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서로 상기 코일부를 연결 가능하도록 일면에 형성된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서로 상기 코일부를 연결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형 코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코일 장치들은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서로 코일부가 연결된 블록형 코일 장치.
KR1020180071852A 2017-12-21 2018-06-22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 KR102067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310 2017-12-21
KR20170177310 2017-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79A KR20190075779A (ko) 2019-07-01
KR102067731B1 true KR102067731B1 (ko) 2020-01-17

Family

ID=6725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52A KR102067731B1 (ko) 2017-12-21 2018-06-22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7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437A (ja) * 2000-09-29 2002-04-12 Toko Inc 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42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KR20160082585A (ko) * 2016-06-30 2016-07-08 한국전기연구원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코일 구조물
KR20180083773A (ko) * 2017-01-13 2018-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897021B1 (ko) 2017-11-02 2018-10-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437A (ja) * 2000-09-29 2002-04-12 Toko Inc 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79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36B1 (ko) 수신기 위치를 확인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US10693319B2 (en) Wireless charging pad including plurality of small power transmission coils and device for and method of driving wireless charging pad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008886B2 (en) Modular antennas with heat sink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102042121B1 (ko)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4396117A (zh) 无线充电设备
KR102069097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마그네틱 필드 생성용 코일 장치
US20170187250A1 (en)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base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ing high gain antenna and beam forming and steering technology
KR102042120B1 (ko) 가변 캐패시턴스를 이용한 위상 변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
KR102039864B1 (ko)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0790711B2 (en) Magnetic field generating apparatus having cannon shape and magnetic field generation method thereof
US97288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KR101958595B1 (ko)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배열안테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0855114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patch antenna
KR101932383B1 (ko) 메타물질과 루프 코일 어레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7731B1 (ko) 확장 가능한 블록형 코일 장치
KR102051270B1 (ko) 수신기 자유도 개선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70916B1 (ko) 대포 형상을 가지는 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것의 자기장 발생 방법
KR102042116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87302B1 (ko) 고효율 및 저 전자파 방해 모드를 갖는 접이식 코일 장치
KR102571524B1 (ko) 안테나 장치
KR102241907B1 (ko) 일체형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6758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기 자유도 개선을 위한 입력 전류의 크기 및 위상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968264A (zh) 多边形环路天线以及通信设备和天线制造方法
KR101986050B1 (ko)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atbay et al. Dynamic wireless power transfer in the presence of reflecting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