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40B1 -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40B1
KR102067540B1 KR1020190045391A KR20190045391A KR102067540B1 KR 102067540 B1 KR102067540 B1 KR 102067540B1 KR 1020190045391 A KR1020190045391 A KR 1020190045391A KR 20190045391 A KR20190045391 A KR 20190045391A KR 102067540 B1 KR102067540 B1 KR 10206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im
unreal
mapp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a BIM mapp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y identification; and a BIM mapping device including a mapping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an ID of a BIM model related to a facility, an ID of a non-reality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as a non-reality model, a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a storage of the non-reality model, mapping the BIM model and the non-reality model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ID of the non-reality model,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storage of the non-reality model, and defining LOD geometry information on the BIM model, and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a non-reality model-based BIM image by rendering a mapping result of the mapping unit. The non-reality model is one of a virtual reality (VR) model, an augmented reality (AR) model, and a mixed reality (MR).

Description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its BIM mapping method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BIM 모델을 가상현실과 같은 비현실 모델로 매핑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a BIM mapp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be implemented by mapping a BIM model of a facility to an unreal model such as virtual reality, and its It relates to a BIM mapping method.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출시되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같은 엔지니어링 분야에도 가상현실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With the spread of Virtual Reality (VR) devices and the release of Software Development Kits (SDKs),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engineering fields such a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being attempted.

기존의 BIM 정보와 연계된 가상현실 기술은 특정 게임 엔진을 이용하는 뷰어 기술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기술은 BIM 정보에서 3차원 모델을 게임엔진에서 임포트(import)할 수 있는 특정 파일포맷(예를 들어, FBX 등)을 변환하여, VR 기술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 기술은 BIM 정보와 가상현실 영상을 직접 매핑하지는 못하며, 이로써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을 유스케이스에 따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Virtual reality technology linked with existing BIM information is mostly viewer technology using a specific game engine. This technique is a method of implementing VR technology by converting a specific file format (for example, FBX, etc.) that can import a 3D model from a game engine in BIM information. Therefore, the existing technology does not directly map the BIM information and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more realistic images according to the use case.

한편, BIM은 다양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BIM은 3차원 형상정보뿐 아니라 속성정보와 객체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가상현실로 보고자 하는 정보는 사용 관점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이유로 BIM에서 필요한 어떤 정보가 VR로 맵핑되어야 하는 지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BIM에서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정의해 VR로 변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은 3차원 형상만 메쉬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정의하여 BIM-VR 맵핑을 메타 데이터로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BIM is composed of various information. The BIM includes not only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but also attribute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you want to see in virtual reality depends on your point of view, and for this reason you need a way to directly specify what information you need in your BIM to be mapped to VR.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pre-defining necessary information in BIM and converting it into VR. However, the existing technology focuses only on the technology of converting only three-dimensional shapes into meshes, and does not present any method of defining BIM-VR mapping as metadata by defining necessary information in advance.

국내 등록특허 제10-1823544호(2018.01.24. 등록)Domestic Patent No. 10-1823544 (registered on Jan. 24, 201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BIM 모델을 가상현실과 같은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해 BIM 모델에서 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정의한 후 매핑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be defined after mapping the information required in the BIM model in advance in order to implement the BIM model to a non-real model such as virtual reality And BIM mapp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은,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식별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상기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상기 BIM 모델의 저장소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하고, 상기 BIM 모델의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정의하는 매핑부와, 상기 매핑부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BIM 매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모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델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y identification; Receiving and analyz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ID of the BIM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into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 mapping unit for determining and mapping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defining LOD geometry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And a BIM mapp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render the mapping result of the mapping unit to generate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wherein the unreal model includes a virtual reality model and an augmented reality model. It may be at least one of an Augmented Reality (MR) model and a Mixed Reality (MR) model.

상기 매핑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BIM 모델의 ID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ID를 결정하고, 상기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DB에서 지정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 DB에서 지정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의 필터를 정의하는 객체 필터 정의부; 및 서로 매핑할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정의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LOD 지오메트리 정보로부터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analyzes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an ID of the BIM model and an ID of the unreal model, designates a storage in which the BIM model is stored in a BIM DB, and designates a storage in which the unreal model is stored in an unreal model.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by designating in the DB; An object filter definition unit defining a filter of a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And a link unit defining a storage of the BIM model to be mapped to each other and a storage of the unreal model, and defining a data transmission reference for each LOD from the determined LOD geometry information to connect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상기 매핑부는,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모델과 함께 보여질 BIM 속성데이터 뷰를 정의하고,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상기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항목명을 정의하는 뷰 정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하는 앵커 정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defines a BIM attribute data view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unreal model-based BIM model, and uses a view item filter to include an item name to be included i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View definition unit for defining a; And an anchor defining unit defining a reference point and a position marker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 anchor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가,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BIM 매핑 장치가, 상기 (A) 단계로부터 전자식별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상기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상기 BIM 모델의 저장소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하는 단계; 및 (C)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B) 단계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표시가능한 형태의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로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모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델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M mapping method of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y identification; (B) The BIM mapping apparatus receives and analy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ep (A) to identify the ID of the BIM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as an unreal model, and the BIM model. Determining a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a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mapping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C) the BIM mapping apparatus processing the rendered result of the mapping in step (B) into an unrealistic model-based BIM image of a displayable form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It may be at least one of a virtual reality (VR) model, an augmented reality (AR) model, and a mixed reality (MR) model.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BIM 모델의 ID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ID를 결정하고, 상기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DB에서 지정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 DB에서 지정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는 단계; (B2)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의 필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B3)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서로 매핑할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정의하고, 상기 BIM 모델의 지오메트리 정보로부터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B), (B1) the BIM mapping apparatus analyzes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ID of the BIM model and the ID of the unreal model, and stores the BIM model in a BIM DB. Determining a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by designating a storage space in the non-real model DB; (B2) defining, by the BIM mapping apparatus, a filter of a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And (B3) the BIM mapping apparatus defines a repository of a BIM model to be mapped to each other and a repository of an unrealistic model, and defines a LOD data transmission criterion from geometry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to connect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It includes; step.

상기 (B) 단계는, 상기 (B3) 단계 이전에, (B4)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모델과 함께 보여질 BIM 속성데이터 뷰(상기 속성데이터 뷰는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을 포함한다)를 정의하고,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상기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항목명을 정의하는 단계; 및 (B5)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step (B), before the step (B3), (B4) the BIM mapping device is a BIM attribute data view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unreal model-based BIM model (the attribute data view is provided by the BIM model). A plurality of attribution information item names), and an item name to be included in the BIM attribution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ion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using a view item filter; And (B5) defining, by the BIM mapping apparatus, a reference point and a position marker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chors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의 BIM 모델과 VR과 같은 비현실 모델을 직접 매핑할 수 있도록 BIM에서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정의해 VR로 변환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와 관련된 실감나는 VR/AR/MR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irectly map a BIM model of a facility and an unreal model such as VR, information required by the BIM may be predefined and converted into VR to provide a realistic VR / AR / MR related to facility managemen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분석한 VR 개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BIM 모델과 도시모델의 예시도,
도 3은 기술된 VR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개발된 VR기반 BIM 뷰어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매핑부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매핑부에서 BIM 모델과 VR 모델을 매핑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정의한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2VM(BIM-to-VR Mapping) 클래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BIM-to-VR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도 10의 S815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zed VR development process;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BIM model and a city model;
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the VR-based BIM viewer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cribed VR content development proces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mapping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 defined in a metadata format to map a BIM model and a VR model in a mapping unit;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M-to-VR mapping (B2VM) cla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 BIM-to-VR;
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M mapping method of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operation S815 of FIG. 10.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or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ny form of software, application program, and hardware, unless a special mention is made in the implementation of any element (or component). something to do.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rm "DB"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a functional structural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that stor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B. The DB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nked-list, a tree, a relational DB, and includes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B.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또한,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of the system shown in Figure 4 represents that it can be functionally and logically separated,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each configuration is divided into separate physical devices or written in separate code. The average expert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ason easily.

상기 시스템은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system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일반적인 PC(personal computer)이거나 휴대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랩탑, 노트북 (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HMD(Head Mount Display) 등과 같은 단말기 일 수 있으며,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하고, VR과 같은 영상, 즉, 비현실 모델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is a general PC (personal computer) or portable mobile phone, smart phone (smart phone), tablet computer (tablet computer), laptop, notebook (note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The terminal may be a terminal such a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HMD), a head mount display (HMD), or the like, and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an image such as VR, that is, an unreal model, is sufficient.

또한, BIM 매핑 장치(200)는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may operate as a server, and may be one of all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program.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technical contents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할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은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BIM 정보를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고,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BIM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을 바라보는 시점, 방향, LOD 등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따라 비현실 모델을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to be described later implements BIM information of a facility as an unreal model using a BIM viewer application based on the unreal model,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BIM information. Can be us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 non-realistic model according to a variety of use cases, such as the point of view, direction, LOD when the user looks at the facility in the field.

상기의 비현실 모델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모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델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비현실 모델들 중 VR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non-reality mode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rtual reality (VR) model, an augmented reality (AR) model, and a mixed reality (MR) model. Hereinafter, the VR of the plurality of unreal model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에서는,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도출하기 위하여, 먼저, 1) VR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2)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절차를 도출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며, 3) 개발된 결과를 바탕으로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rive a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first, 1) to analyze the VR content development process, 2) to derive the procedure when developing the BIM viewer appl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to develop a prototype, 3) Based on the developed results,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are drawn.

1. VR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 분석1. VR Content Development Process Analysis

VR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를 분석하기 위해, HTC VIVE, Facebook Oculus Rift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와 예제를 분석하였다. VR 컨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VR 구현 장치를 먼저 선정해야 한다. 구현 장치에 따라 개발 방법이 달라진다. 도 1은 분석한 VR 개발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To analyze the VR content development process, we analyzed software development kits (SDKs) and examples from HTC VIVE and Facebook Oculus Rift. In order to develop VR contents, first, a VR implementation device should be selected. The development method depends on the implementation devic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zed VR development process.

2. VR 기반 BIM 뷰어 프로토타입을 개발2. Develop VR-based BIM viewer prototype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 고려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간단한 BIM 뷰어를 개발해 보았다. 사용한 VR 장비는 HTC의 VIVE이며, 3차원 렌더링 엔진으로 Unity3D를 사용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BIM 모델은 Autodesk Revit에서 제공하는 Sample과 Sketchup에서 제공하는 도시 모델을 이용하였다. Unity3D에서 가져온 도시모델 위에 BIM 모델을 정합하여, City BIM 모델을 생성하였다. To derive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considerations, we developed a simple BIM viewer. The VR equipment used was HTC's VIVE, and Unity3D was used as the 3D rendering engine. As shown in FIG. 2, the BIM model used a city model provided by Sample and Sketchup provided by Autodesk Revit. The city BIM model was created by matching the BIM model on the city model imported from Unity3D.

도 3은 앞에서 기술된 VR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개발된 VR기반 BIM 뷰어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VR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장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VR 기반 City BIM 모델 상호동작이 가능하고, VR 기반 1:1 스케일로 City BIM 모델 관찰이 가능하고, 건축물의 완공 전 모델에 대한 디자인 및 기능 협의 가능하며, 재난 재해 등 가상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3 shows the results of a VR-based BIM viewer developed according to the VR content development process described above. The advantages of developing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VR-based City BIM model interaction is possible, VR-based 1: 1 scale city BIM model observation is possible, design and function consultation can be negotiated before building is completed, and virtual simulation such as disaster disaster is possible. .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사전 디자인 검토,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공성 확인 시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Because of these advantages,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en constructability is confirmed through pre-design review and simulation.

3.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고려사항3.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BIM과 같은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모델을 연계할 경우, 다양한 부분을 고려하여야 한다. 간단하게, VR 기반 BIM 뷰어 앱을 개발해 보았으며, 본 발명에서는 건설 및 건축 분야에서 BIM과 연계된 VR기술 활용을 위해서, 다음 [표 1]과 같은 부분을 더 고려한다. When linking models required for engineering such as BIM, various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For simplicity, we have developed a VR-based BIM viewer app,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utilize VR technology associated with BIM in the construction and building fields, the following parts of Table 1 are further considered.

NoNo Function considerationFunction consideration DescriptionDescription 1One Standard BIM format Standard BIM format BIM formats(e.g. IFC, rvt etc) import supportBIM formats (e.g. IFC, rvt etc) import support 22 BIM searchingBIM searching Query, filtering functions about BIM properties, geometries Query, filtering functions about BIM properties, geometries 33 BIM data modificationBIM data modification Data update about BIM propertiesData update about BIM properties 44 BIM based simulationBIM based simulation 4D, 5D simulation support4D, 5D simulation support 55 Internet-based BIM server support Internet-based BIM server support BIM data streaming from server BIM data streaming from server 66 BIM data lightweight BIM data lightweight Large volume BIM data supportLarge volume BIM data support 77 Heterogeneous data support Heterogeneous data support Legacy data(e.g. Facility Management Data) supportLegacy data (e.g. Facility Management Data) support

[표 1]은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Function consideration)과 설명(Description)을 보여준다. [표 1]과 같이 도출된 고려사항은 BIM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핵심적인 것으로서, 유스케이스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시설물 관리 관점에서 VR 기반 BIM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활용하여 유스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Table 1] shows the function considerations and descriptions when developing a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Considerations derived as shown in [Table 1] are essential in developing BIM applications,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 c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a VR-based BIM viewer application can be utilized in terms of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to implement a use cas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BIM 매핑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nd a BIM mapping apparatus 200.

사용자 단말기(100)는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하여 BIM 매핑 장치(200)로 전송하며, BIM 매핑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장에 부착된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장치를 인식하여 전자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전자식별정보를 BIM 매핑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y identification and transmit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and display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received from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the facility attached to the site, obtain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obtain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현장에는 실제로 만들어진 시설물이 있거나, 건축 예정인 시설물의 예비 공간이 있거나, 또는 철거된 시설물의 공간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전자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식별장치가 시설물 또는 예비 공간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전자식별장치는 QR 코드, RFID 태그를 예로 들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장을 촬영한 사진을 위치정보와 함께 전자식별정보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The site may have a facility that is actually built, a reserve space for a facility that is being built, or a space for a demolished facility, and an electronic identifier that provides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such a facility may be located in the facility or reserve space. One or more may be provided.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a QR code or an RFID tag.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 photograph of the field as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장에 마련된 컨테이너의 왼쪽 하단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후,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BIM 매핑 장치(200)를 확인하고, 확인된 BIM 매핑 장치(200)로 전자식별정보를 전송한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attached to the lower left of the container provided in the field, and checks the BIM mapping device 200 from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and confirm The BIM mapping device 200 transmit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BIM 매핑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식된 전자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과, BIM 모델과 매핑할 비현실 모델을 결정하여 매핑하고, 매핑 결과를 표시가능한 형태의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는 시설물의 종류, 시설물의 ID, 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의 ID와 비현실 모델의 ID, 전자식별장치가 부착된 위치정보(또는 전자식별정보가 인식된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and maps a BIM model related to the facility and a non-real model to be mapped with the BIM model, and displays the mapping result in the unreal model. The image may be processed as a base BIM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facility, the ID of the facility, the ID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of the facility,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is attache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like. Can be.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따른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와 이에 해당하는 시설물의 BIM 속성정보를 BIM 매핑 장치(200)에게 요청 및 제공받을 수 있다.When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may display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according to various use cases and the BIM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requested and provided b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IM 매핑 장치(200)는 입력부(210), 매핑부(220), 출력부(230), BIM DB(240) 및 비현실 모델 DB(25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 mapping unit 220, an output unit 230, a BIM DB 240, and an unreal model DB 250. have.

입력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자식별정보 또는 BIM 속성데이터 뷰와 관련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a command related to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BIM attribute data view from the user terminal 100.

매핑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BIM 모델과 BIM 모델에 해당하는 비현실 모델을 매핑하고, BIM 모델의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매핑부(220)는 후술할 도 6에서와 같이 정의된 형식의 코딩을 이용하여 BIM 모델과 BIM 모델에 해당하는 비현실 모델을 매핑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220 analy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identify the ID of the BIM model related to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as the unreal model,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ity. Determine the repository of the model, map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BIM model using the determined BIM model ID,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the LOD geometry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Can be defined. The mapping unit 220 may map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BIM model by using coding of a format defined as shown in FIG. 6 to be described later.

출력부(230)는 매핑부(220)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30 may render the mapping result of the mapping unit 220 to generate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and transmit the generated unreal model-based BIM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BIM DB(240)에는 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이 저장되고, 비현실 모델 DB(250)에는 시설물의 BIM 모델을 비현실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다. The BIM DB 240 stores a BIM model for the facility, and the unreal model DB 250 stores an unreal model for realizing the BIM model of the facility.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매핑부(220)를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pping unit 220 illustrated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핑부(220)는 결정부(221), 객체 필터 정의부(223), 뷰 정의부(225), 앵커 정의부(227) 및 링크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pp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rminer 221, an object filter definer 223, a view definer 225, an anchor definer 227, and a linker ( 229).

결정부(221)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BIM 모델의 ID와 비현실 모델의 ID를 결정 및 정의하고,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모델의 ID를 이용하여 BIM DB(240)에서 지정하고,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의 ID를 이용하여 비현실 모델 DB(250)에서 지정하여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 및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221)는 BIM 모델에 대해 설정된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정의(또는 지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21 analy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determine and define the ID of the BIM model and the ID of the unreal model, and the BIM DB using the ID of the BIM model to store the BIM model. In operation 240, the storage in which the unreal model is stored may be designated in the non-real model DB 250 using the ID of the non-real model to determine and define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non-real model. Also, the determination unit 221 may define (or designate) LOD geometry information set for the BIM model.

객체 필터 정의부(223)는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를 정하기 위한 객체 필터를 정의하고, 정의된 객체 필터에 해당하는 BIM 객체를 정할 수 있다. BIM 객체의 예로는 BIM 건물, 공간, 장비, 시설 등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전자식별정보로부터 확인된 BIM 모델의 ID가 컨테이너라는 BIM 객체에 관한 ID이면, 객체 필터 정의부(223)는 컨테이너라는 객체를 지정 또는 추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필터를 정의한다.The object filter definition unit 223 may define an object filter for determining a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and determine a BIM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object filter. Examples of BIM objects vary, including BIM buildings, spaces,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example, if the ID of the BIM model identified from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ID relating to a BIM object called a container, the object filter definition unit 223 defines a container filter capable of specifying or extracting an object called a container.

뷰 정의부(225)는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모델과 함께 보여질 BIM 속성데이터 뷰를 정의하고,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상기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속성정보 항목명을 정의할 수 있다. 뷰 항목 필터는 어떤 BIM 데이터(즉, 속성데이터)를 비현실 모델에서 함께 보여줄지를 결정한다.The view defining unit 225 defines a BIM attribute data view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unreal model-based BIM model, and includes it i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in the BIM model using a view item filter.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 can be defined. The view item filter determines which BIM data (ie attribute data) will be shown together in the unreal model.

앵커 정의부(227)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위치에 기초하여,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Anchor)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가 컨테이너의 왼쪽 하단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경우, 앵커 정의부(227)는 컨테이너 중 QR 코드가 부착된 지점을 기준점으로 정하고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한다.The anchor defining unit 227 may define a reference point and a position mark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 anchor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attached to the lower left of the container, the anchor defining unit 227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QR code is attached among the containers as a reference point. Define the marker as an anchor.

링크부(229)는 서로 매핑할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정의하고, 결정부(221)에서 결정된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참조하여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하여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연결할 수 있다.The link unit 229 may define a storage of the model and the unreal model to be mapped to each other, and define a data transmission standard for each LOD by referring to the LOD geometry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21 to connect the BIM model to the unreal model. have.

도 6은 매핑부(220)에서 BIM 모델과 VR 모델을 매핑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정의한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 defined in a metadata format in order to map a BIM model and a VR model in the mapping unit 220.

도 6을 참조하면, 매핑부(220)는 BIM 모델과 VR 모델을 매핑하기 위해 BIM 모델의 저장위치, 현실에서 BIM을 VR로 보여줄 곳의 표식인 앵커 타입, 위치 등의 연산자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매핑부(220)는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의 메타데이터 <BIM-VR-mapping VR_type="MR">~</BIM-VR-mapping>를 이용하여 BIM 모델을 VR로 구현할 때 필요한 정보를 BIM 모델에서 미리 정의해 VR로 변환하는 방식을 정의함으로써 비현실 기반 BIM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BIM-to-VR 매핑할 수 있다. 즉, BIM에서 필요한 어떤 정보가 VR로 맵핑되어야 하는지를 직접적으로 정의 및 명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pping unit 220 converts an operator such as a storage location of a BIM model, an anchor type, a marker of a place where a BIM is displayed in VR in reality, and a metadata format to map a BIM model and a VR model. Can be defined That is, the mapping unit 220 uses the metadata <BIM-VR-mapping VR_type = "MR"> ~ </ BIM-VR-mapping> of the BIM-VR linkage description language to impl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BIM model in VR. By defining a method of converting to VR in the BIM model in advance, BIM-to-VR can be mapped to generate an unrealistic BIM image. That is, it is possible to directly define and specify what information needed in the BIM should be mapped to VR.

이하에서는 비현실 모델을 대표하는 모델이 VR이므로, 비현실 모델과 VR 모델을 혼용한다. 따라서, '비현실 모델의 ID'는 'VR 모델의 ID'라 할 수도 있다.Hereinafter, since the model representing the unreal model is VR, the unreal model and the VR model are mixed. Therefore, the ID of the unreal model may be referred to as the ID of the VR model.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는 컨테이너와 관련된 것으로서, 결정부(221)에서 결정 및 정의된 BIM 모델의 ID는 'BIM container#1'이고, VR 모델의 ID는 'AR container#1'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related to the container, and the ID of the BIM model determined and def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21 is 'BIM container # 1' and VR The ID of the model is 'AR container # 1'.

결정부(221)는 'BIM_model' 메타데이터(또는 함수), 즉, <BIM_model id="BIM container#1">~</BIM_model>의 코딩을 이용하여 BIM container#1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의 BIM 정보가 저장된 위치(저장소)를 BIM DB(240)에서 지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221 uses the coding of 'BIM_model' metadata (or function), that is, <BIM_model id = "BIM container # 1"> ~ </ BIM_model> to determine the BIM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BIM container # 1. Stored location (store) can be specified in the BIM DB (240).

또한, 결정부(221)는 'VR_model' 메타데이터, 즉, <VR_model id="AR container#1">~ </VR_server>의 코딩을 이용하여 AR container#1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의 AR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비현실 모델 DB(250)에서 지정하고, 이 컨테이너에 대해 설정된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LOD 지오메트리 정보는 하나의 컨테이너에 대해서 LOD4, LOD3, LOD2 각각의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유스케이스에 따라 원하는 LOD를 지정하여 BIM 이미지의 표시를 요청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21 stores the AR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AR container # 1 using coding of 'VR_model' metadata, that is, <VR_model id = "AR container # 1"> to </ VR_server>. The location can be specified in the non-real model DB 250, and LOD geometry information set for this container can be specified. In this case, since the LOD geometry information includes traffic information of each of LOD4, LOD3, and LOD2 for one container, the user may request display of a BIM image by designating a desired LOD according to a use case.

객체 필터 정의부(223)는 'filter object' 메타데이터, 즉, <filter object ?>~</filter>의 코딩을 이용하여 VR 기반으로 매핑할 BIM 객체 필터를 정의할 수 있다.The object filter definition unit 223 may define a BIM object filter to be mapped on the basis of VR using coding of 'filter object' metadata, that is, <filter object?> ~ </ Filter>.

뷰 정의부(225)는 'view' 메타데이터, 즉, <view>의 코딩을 이용하여 BIM 속성데이터 뷰를 정의할 수 있다. The view defining unit 225 may define a BIM attribute data view using coding of 'view' metadata, that is, <view>.

앵커 정의부(227)는 'anchor' 메타데이터, 즉, <anchor>의 코딩을 이용하여 앵커 유형과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The anchor defining unit 227 may define the anchor type and location by using 'anchor' metadata, that is, coding of <anchor>.

또한, 앵커 정의부(227)는 'PositionSystem' 메타데이터, 즉, < PositionSystem>~<. PositionSystem>의 코딩을 이용하여, BIM-VR 객체 위치를 관리하는 서버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는, BIM 모델이 물리적 공간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야 VR로 보았을 때 똑같이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이 매칭되어야 하는지를 지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리적 공간은 실제 현장의 공간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anchor defining unit 227 is 'PositionSystem' metadata, that is, <PositionSystem> to <. Using Coding of PositionSystem>, the server location that manages the BIM-VR object location can be specified. This is because the BIM model must be located at a point in the physical space to specify that the physical and virtual spaces must be matched equally when viewed in VR. Physical space means the space of the actual site.

링크부(229)는 'link' 메타데이터, 즉, <link>~</link>의 코딩을 이용하여 BIM container#1와 AR container#1를 연결하며, 이로써 AR 정보와 BIM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link' 메타데이터는 BIM 정보와 VR 정보를 연결하는 메타데이터로서, 연결할 정보가 저장된 BIM_model id와 VR_model id를 지정할 수 있다.The link unit 229 connects the BIM container # 1 and the AR container # 1 using coding of 'link' metadata, that is, <link> ~ </ link>, so that the AR information and the BIM information can be mapped. have. The 'link' metadata is metadata that links BIM information and VR information, and may designate a BIM_model id and a VR_model id in which information to be linked is stored.

아울러, 링크부(229)는 <LOD>~</LOD> 코딩을 이용하여 LOD 지오메트리 정보 중 각각의 LOD를 구분하여 정의함으로써, 현장에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용량이 커서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구분된 LOD에 의해 BIM 매핑 장치(200)가 저용량 데이터부터 전송할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unit 229 classifies and defines each LOD of the LOD geometry information using <LOD> to </ LOD> coding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the field. If the capacity is large and data transmission is not smooth,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may define the low-capacity data from the separated LOD.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2VM(BIM-to-VR Mapping) 클래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BIM-to-VR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A illustrates a BIM-to-VR mapping (B2VM) cla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llustrates a data structure of a BIM-to-VR.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B2VM description과 B2VM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연관관계가 있다. 즉, 도 6의 <BIM-VR-mapping>은 도 7b의 BIM-VR-mapping 객체에 해당하고, 도 6의 <PositionSystem>은 position 객체에 해당하고, 도 6의 <link>는 link 객체에 해당한다.6 to 7B, the B2VM description and the B2VM class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at is, <BIM-VR-mapping> of FIG. 6 corresponds to the BIM-VR-mapping object of FIG. 7B, <PositionSystem> of FIG. 6 corresponds to a position object, and <link> of FIG. 6 corresponds to a link object. do.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230)는 매핑부(220)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표시가능한 형태의 VR 기반 BIM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VR 기반 BIM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output unit 230 renders the mapping result of the mapping unit 220 to generate a VR-based BIM image in a displayable form, and transmits the generated VR-based BIM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또한, 출력부(230)는 뷰 정의부(225)에서 정의된 BIM 속성데이터 뷰에 해당하는 UI를 더 생성하여 VR 기반 BIM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BIM 속성데이터 뷰에 해당하는 UI는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BIM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메뉴, LOD 변경 메뉴, 시점/뷰포인트 변경 메뉴 등 다양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30)는 상기 UI를 의미하는 아이콘을 VR 기반 BIM 이미지의 일부에 추가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BIM 속성데이터 뷰에 해당하는 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UI는 VR 기반 BIM 이미지 위에 오버랩되거나 단독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230 may further generate a UI corresponding to the BIM attribute data view defined by the view definer 225 and transmit the UI to the user terminal 100 along with the VR-based BIM image. The UI corresponding to the BIM attribute data view may include various menus such as a menu for specifying BIM attribute information for which the user wants to receive information, an LOD change menu, a viewpoint / viewpoint change menu,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30 adds the icon representing the UI to a part of the VR-based BIM image, and when the icon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output unit 230 generates a UI corresponding to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nd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sent. This UI may overlap or be displayed alone on the VR based BIM imag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M mapping method of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동작을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IM mapping system for the operation of FIG. 8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하여 BIM 매핑 장치(200)에게 전송한다(S805, S810).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facility identification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S805 and S810).

BIM 매핑 장치(200)는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할 수 있다(S815).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analyzes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ID of the BIM model related to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as the unreal model,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storage of the unreal model.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may be mapped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S815).

BIM 매핑 장치(200)는 S815단계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표시가능한 형태의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820, S825).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generates an unrealistic model based BIM image of a displayable form by rendering the mapping result of operation S81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IM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S820 and S825).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비현실 모델 기반의 BIM 이미지를 표시한다(S830).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received unreal model-based BIM image (S830).

사용자가 표시된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 상에서 UI 표시를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BIM 속성데이터 뷰를 표시할 수 있다(S835). S835단계는, S825단계에서 수신된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에 BIM 속성데이터 뷰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가 자체적으로 BIM 속성데이터 뷰를 표시할 수 있으며,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BIM 매핑 장치(200)에게 BIM 속성데이터 뷰를 요청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requests a UI display on the displayed unreal model-based BIM image,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 BIM attribute data view (S835). In step S835, whe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is included in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received in step S825,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BIM attribute data view on its own, and if it is not included, the BIM mapping apparatus. In operation 200, the BIM attribute data view may be requested and displayed.

사용자가 표시된 BIM 속성데이터 뷰에서 정보를 원하는 BIM 속성정보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선택된 BIM 속성정보 항목을 BIM 매핑 장치(200)로 전송한다(S840, S845).When the user selects the BIM attribute information item for which information is desired from the displayed BIM attribute data view,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selected BIM attribute information item to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S840 and S845).

BIM 매핑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성정보 항목에 해당하는 BIM 속성정보를 DB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BIM 속성데이터 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850, S855).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searches for the BIM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item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B, generates a BIM attribute data view showing the search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IM attribute data view to the user terminal 100 (S850 and S855). .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BIM 속성데이터 뷰를 표시한다(S860).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a BIM attribute data view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result (S860).

도 9는 도 10의 S815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operation S815 of FIG. 10.

도 9를 참조하면, BIM 매핑 장치(200)는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BIM 모델의 ID와, 비현실 모델의 ID를 확인 및 결정한다(S910).Referring to FIG. 9,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analyzes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eck and determine the ID of the BIM model and the ID of the unreal model (S910).

BIM 매핑 장치(200)는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모델의 ID에 기초하여 BIM DB(240)에서 지정하고,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의 ID에 기초하여 비현실 모델 DB(250)에서 지정하여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한다(S920).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designates the storage in which the BIM model is stored in the BIM DB 240 based on the ID of the BIM model, and designates the storage in which the non-real model is stored in the non-real model DB 250 based on the ID of the non-real model. By determining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S920).

BIM 매핑 장치(200)는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의 필터와 BIM 속성데이터 뷰를 정의한다(S930, S940). S940단계에서, BIM 매핑 장치(200)는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속성정보 항목명을 정의할 수 있다.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defines a filter and a BIM attribute data view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S930 and S940). In operation S940,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may define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to be included i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using the view item filter.

BIM 매핑 장치(200)는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하고, BIM-VR 객체 위치를 관리하는 서버의 위치를 지정한다(S950). 사용자 단말기(100)가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표시된 비현실 모델 기반의 BIM 이미지 이동을 요청하면, BIM 매핑 장치(200)는 이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기초로 비현실 모델 기반이 이동할 위치를 다시 앵커로 표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새로운 비현실 모델 기반의 BIM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defines a reference point and a location mark of a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 anchor and designates a location of a server managing the BIM-VR object location (S950). When the user terminal 100 moves or requests the BIM image movement based on the displayed unrealistic model, 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displays the position to which the unrealistic model base moves agai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 marker, Based on this, a new unreal model-based BIM model can be generated.

BIM 매핑 장치(200)는 연결할 BIM 모델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 저장소를 정의하고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한 후, S910단계 내지 S960단계에서 정의된 결과로부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 실행한다(S960, S970).The BIM mapping apparatus 200 defines the BIM model repository and the unreal model repository to be connected and defines data transmission criteria for each LOD, and then maps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from the results defined in steps S910 to S960 (S960 and S97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BIM mapping method of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through a computer because a program of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same is tangibly implemented. It is easy for the technician to understand.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That is, the BIM mapping method of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which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optical media such as a CD-ROM, and DVD, and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ecuted on a computer controlling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BIM mapping method of the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100: 사용자 단말기 200: BIM 매핑 장치
210: 입력부 220: 매핑부
230: 출력부 240: BIM DB
250: 비현실 모델 DB
100: user terminal 200: BIM mapping device
210: input unit 220: mapping unit
230: output unit 240: BIM DB
250: unreal model DB

Claims (6)

시설물에 구비된 전자식별장치로부터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식별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상기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상기 BIM 모델의 저장소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하고, 상기 BIM 모델의 LOD 지오메트리 정보를 정의하는 매핑부와, 상기 매핑부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BIM 매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BIM 모델의 ID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ID를 결정하고, 상기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DB에서 지정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 DB에서 지정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의 필터를 정의하는 객체 필터 정의부; 및
서로 매핑할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정의하고, 상기 결정된 LOD 지오메트리 정보로부터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별정보는 전자식별장치가 구비된 시설물의 종류, 시설물의 ID,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비현실 모델의 ID, 그리고, 전자식별정보가 인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모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델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facility from an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facility;
Receiving and analyz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ID of the BIM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into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a mapping unit configured to map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define LOD geometry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And a BIM mapp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the unreal model-based BIM image by rendering the mapping result of the mapping unit.
The mapping unit,
The ID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and the ID of the unreal model a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in which the BIM model is stored in the BIM DB, and the storage in which the unreal model is stored in the non-real model DB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An object filter definition unit defining a filter of a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And
And a link unit defining a repository of a BIM model and a repository of an unrealistic model to be mapped to each other, and defining a data transmission standard for each LOD from the determined LOD geometry information to connect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ype of a facility equipped with an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an ID of the facility, an ID of a BIM model and an unreal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unreal model,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virtual reality (VR) model, Augmented Reality (AR) model and Mixed Reality (MR) mod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모델과 함께 보여질 BIM 속성데이터 뷰를 정의하고,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상기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속성정보 항목명을 정의하는 뷰 정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하는 앵커 정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pping unit,
Define a BIM attribute data view to be shown together with the unreal model-based BIM model, and define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to be included i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using a view item filter. A view defining unit; And
And an anchor defining unit defining a reference point and a location mark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 anchor based on a position at which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A) 사용자 단말기가, 시설물에 구비된 전자식별장치로부터 시설물 식별을 위한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단계;
(B) BIM 매핑 장치가, 상기 (A) 단계로부터 전자식별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상기 시설물을 비현실 모델로 구현하기 위한 비현실 모델의 ID와, 상기 BIM 모델의 저장소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BIM 모델의 ID, 비현실 모델의 ID, BIM 모델의 저장소 및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매핑하는 단계; 및
(C)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B) 단계의 매핑 결과를 렌더링하여 표시가능한 형태의 비현실 모델 기반 BIM 이미지로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전자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BIM 모델의 ID와, 상기 비현실 모델의 ID를 결정하고, 상기 BIM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BIM DB에서 지정하고, 상기 비현실 모델이 저장된 저장소를 비현실 모델 DB에서 지정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결정하는 단계;
(B2)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BIM 모델에서 매핑할 BIM 객체의 필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B3)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서로 매핑할 BIM 모델의 저장소와 비현실 모델의 저장소를 정의하고, 상기 BIM 모델의 지오메트리 정보로부터 LOD 별 데이터 전송 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BIM 모델과 비현실 모델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별정보는 전자식별장치가 구비된 시설물의 종류, 시설물의 ID, 시설물과 관련된 BIM 모델의 ID와 비현실 모델의 ID, 그리고, 전자식별정보가 인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현실 모델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모델,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델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
(A) the user terminal,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facility from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transmitting;
(B) The BIM mapping apparatus receives and analy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ep (A) to identify the ID of the BIM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the ID of the unreal model for implementing the facility as an unreal model, and the BIM model. Determining a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a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mapping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using the determined ID of the BIM model, the ID of the unreal model, the repository of the BIM model, and the repository of the unreal model; And
(C) the BIM mapping apparatus, rendering the mapping result of step (B) and processing the image as a non-realistic model-based BIM image in a displayable form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Step (B) is,
(B1) the BIM mapping apparatus analyzes the received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an ID of the BIM model and an ID of the unreal model, and designates a storage in which the BIM model is stored in a BIM DB, and the unreal model Designating the stored storage in the unreal model DB to determine the storage of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B2) defining, by the BIM mapping apparatus, a filter of a BIM object to be mapped in the BIM model; And
(B3) the BIM mapping apparatus defining a repository of a BIM model to be mapped with each other and a repository of an unreal model, and defining data transmission criteria for each LOD from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BIM model to connect the BIM model and the unreal model Including;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ype of a facility equipped with an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an ID of the facility, an ID of a BIM model and an unreal model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unreal model,
BIM mapping method of a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virtual reality (VR) model, Augmented Reality (AR) model, and Mixed Reality (MR) model.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B3) 단계 이전에,
(B4)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비현실 모델 기반 BIM 모델과 함께 보여질 BIM 속성데이터 뷰(상기 속성데이터 뷰는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을 포함한다)를 정의하고, 뷰 항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IM 모델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속성정보 항목명들 중 상기 BIM 속성데이터 뷰에 포함할 속성정보 항목명을 정의하는 단계; 및
(B5) 상기 BIM 매핑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자식별정보를 인식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할 BIM 객체의 기준점과 위치 표식을 앵커로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의 BIM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 is, before the step (B3),
(B4) the BIM mapping apparatus defines a BIM attribute data view (the attribute data view includes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unreal model-based BIM model, and a view item Defining an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 to be included in the BIM attribute data view among a plura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item names provided by the BIM model using a filter; And
And (B5) the BIM mapping apparatus, defining a reference point and a location mark of the BIM object to be mapped as an anchor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BIM mapping method of BIM mapping system for management.
KR1020190045391A 2019-04-18 2019-04-18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2067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1A KR102067540B1 (en) 2019-04-18 2019-04-18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1A KR102067540B1 (en) 2019-04-18 2019-04-18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40B1 true KR102067540B1 (en) 2020-01-16

Family

ID=6936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91A KR102067540B1 (en) 2019-04-18 2019-04-18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4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72A (en)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Computer program taht can update bim information stored in server without bim authoring tool, server executing the program, and method of providing update service
KR20220113204A (en) * 2021-02-05 2022-08-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fire respons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ixed reality
KR102432164B1 (en) * 2021-06-23 2022-08-12 김형찬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site check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hecking and augmented reality form based on three dim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R102465528B1 (en) * 2021-09-06 2022-11-11 주식회사 태성에스엔아이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sewer system using mixed reality and bim
WO2023095715A1 (en) * 2021-11-29 2023-06-01 野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sign assistance system and design assistance method
JP7286216B1 (en) 2021-11-29 2023-06-05 野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sign support system and design support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266A (en) * 2009-06-03 2010-12-13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movable property informa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pace-information
KR101717896B1 (en) *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shape model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optimization of data
KR101823544B1 (en)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processing based on 3D BIM
KR101876499B1 (en) * 2017-02-03 2018-08-02 주식회사 올포랜드 Method for displaying building spatial infom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909628B1 (en) * 2018-05-04 2018-10-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bim object using plane shape dat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266A (en) * 2009-06-03 2010-12-13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movable property informa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pace-information
KR101717896B1 (en) *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shape model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optimization of data
KR101823544B1 (en)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processing based on 3D BIM
KR101876499B1 (en) * 2017-02-03 2018-08-02 주식회사 올포랜드 Method for displaying building spatial infom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909628B1 (en) * 2018-05-04 2018-10-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bim object using plane shape dat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72A (en)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Computer program taht can update bim information stored in server without bim authoring tool, server executing the program, and method of providing update service
KR20220113204A (en) * 2021-02-05 2022-08-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fire respons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ixed reality
KR102517292B1 (en) * 2021-02-05 2023-04-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fire respons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ixed reality
KR102432164B1 (en) * 2021-06-23 2022-08-12 김형찬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site check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hecking and augmented reality form based on three dim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R102465528B1 (en) * 2021-09-06 2022-11-11 주식회사 태성에스엔아이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sewer system using mixed reality and bim
WO2023095715A1 (en) * 2021-11-29 2023-06-01 野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sign assistance system and design assistance method
JP7286216B1 (en) 2021-11-29 2023-06-05 野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sign support system and design support method
JP2023082083A (en) * 2021-11-29 2023-06-13 野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sign assistance system and design assistanc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540B1 (en) BIM mapping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1627169B1 (en) System for authorting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tents
US9720658B2 (en) Application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22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displaying of VR(virtual reality) contents
CN101593223B (en) Gallery management method for CAD
US9984179B2 (en) 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CN106951479B (en) Simulation data visualization cooperation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environment
Koutsoudis et al. 3dsse–a 3d scene search engine: Exploring 3d scenes using keywords
JP7337428B1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OBJECT
US20110018865A1 (en) Method for providing three dimensional map service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P2018116751A (en) Server,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program
Hijazi et al. 3DCITYDB4BIM: A system architecture for linking bim server and 3d citydb for bim-gis-integration
US20180027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ing, filtering, and combining content
KR20140036869A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based on hla/rti for sedris environmental federate automatic generation
CN114969586A (e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raphic engine load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EB side
KR101425672B1 (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Communication Syste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Communication Server,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Communication Method in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0162731B (en) Method for displaying IFC model component space information on Web
Ünal et al. Location based data represent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in architectural design
KR101870423B1 (en)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information of geotagg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CN114153631A (en) WebGIS data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80232125A1 (en) Contextual Linking of Digital Representations of Objects with Documents
KR101447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tandard model of three dimension for augmented reality
US202100418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nhanced graphical representation based on processed data
CN102110166B (en) Browser-based body 3D (3-demensional) visualizing and editing system and method
Shahidinejad et al. Challenges and Steps Toward Implementing 3D Cadastral Database—Physical Data Model of LAD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